WO2015174807A2 -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 Google Patents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74807A2
WO2015174807A2 PCT/KR2015/007275 KR2015007275W WO2015174807A2 WO 2015174807 A2 WO2015174807 A2 WO 2015174807A2 KR 2015007275 W KR2015007275 W KR 2015007275W WO 2015174807 A2 WO2015174807 A2 WO 201517480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sh
screen
area
mesh screen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2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5174807A3 (ko
Inventor
강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홀로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5758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8216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5758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30694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홀로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홀로티브
Publication of WO201517480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74807A2/ko
Publication of WO201517480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7480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h screen for holograms, and more particularly, a part of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a video device by being adhered to a transparent billboard or a shop window of a window passes through part of the pattern part and partially reflects or passes through the holographic image toward the viewer.
  • the transparent mesh screen which is formed to form, by applying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mesh line of the pattern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film is configured so that the application area of the mesh line to the total area of the screen fabric is between 10.25%-19.43%
  •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screen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mesh line constituting the pattern portion and the print area range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transparency of the correlated film and the clarity of the image formed on the pattern portion, respectively, and to print the pattern portion in a mesh form on one surface of the film.
  • Fluorescent pigments or reflections for the reflection of image light as pigments Hologram that makes it easier to manufacture transparent mesh screens for the front and rear without chang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ause it is divided into transparent mesh screen for the front or transparent mesh screen for the rear according to what kind of pigment is used, such as matte pigment for light transmission. Relates to a dragon mesh screen.
  • a screen for an imaging device is divided into a front and a rear, depending on whether a hologram image formed while projecting light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viewer's side in the room or on the contrary, on the viewer's side.
  • part of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e device passes through the screen, and part of the screen is reflected so that the viewer on the inside can appreciate the holographic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 a part of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er passes through the screen, and part of the rear screen is transmitted so that the viewer on the outside can appreciate the holographic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 a pattern layer in the form of a mesh is printed on one surface of a transparent film using a gravure printing method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2199), or a screen fabric woven in a mesh form, that is, transparent
  • a gravure printing method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2199
  • a screen fabric woven in a mesh form that is, transparent
  • a structure in which a film screen having a light diffusing function is coupled to a mesh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44192
  • the screen manufactured by the gravure printing method Patent Publication No.
  • the pattern layer is composed of an area ratio of 20% to 65% of the area of the entire transparent plate material, '' which is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pattern layer to the area of the entire transparent plate material.
  • the range itself is a large error, and as stated above, when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pattern layer to the area of the entire transparent plate is 20% or more, that is, 20% to 65%
  • the width of the mesh line of the printed pattern layer is increased by that amount, and as the width of the mesh line increases, the sharpness of forming an image on the screen through the pattern layer is improved, while the pattern layer is relatively in front of the screen.
  • the width of the mesh line depends on the width size. Since it is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igment for printing the pattern layer, when printing a wide area of the pattern layer, that is, the width of the mesh line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the hexagonal mesh forming the pattern portion decreases while the pattern portion is reduced.
  • the hologram image of the state as shown in FIG. 6A is displayed through a moiré phenomenon in which the light (image light) is overlapped as the interference occurs and the image formed on the mesh line is zigzag and shake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display a clear and clear image on the pattern layer.
  • the screen As the use of pigments increas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screen production and sales costs are increased, and through such problems, the above-mentioned pattern layer is printed on the transparent plate at the above-mentioned area ratio.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a lot of restrictions on use, such as the original function as a screen is greatly reduced.
  • polarizing film-type transparent screen uses a polarizing effect that passes only specific light. Although it can be obtained, there is not enough to obtain a clear and clear image, as well as a screen using a special technology for projecting a specific direction of the image has a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and difficult difficulty of the process.
  •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e device by being adhered to the transparent billboard or the shop window display window partly passes through the pattern portion and partially reflects or transmits the holographic image toward the viewer.
  • the transparent mesh screen is formed such that the mesh line of the pattern portion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lm with a constant width so that the application area of the mesh line is 10.25% to 19.43% relative to the total area of the screen fabric.
  • the width of the mesh line constituting the pattern portion and the printing area range through it can optimize the transparency of the correlated film and the clarity of the image formed on the pattern portion, respectively.
  • the pattern portion is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film in the form of a mesh.
  • Fluorescent pigment or image for the reflection of the image light as a pigment for Hologram that makes it easier to manufacture transparent mesh screens for the front and rear without chang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ause it is divided into transparent mesh screen for the front or transparent mesh screen for the rear according to what kind of pigment is used, such as matte pigment for the transmission of light.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ragon mesh screen.
  • pigments such as fluorescent pigments for the reflection of image light or matte pig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image light as pigments for printing the pattern portion in the form of a mesh on one surface of the film.
  • fluorescent pigments for the reflection of image light
  • matte pig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image light
  • it is divided into 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the rear is another object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transparent mesh screen using a conventional gravure method without changing the production process.
  •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esh screen is very simple and the production time through this, as well as the production cost and the selling price can also be significantly lower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the holographic mes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to part which projects a part of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and reflects a part thereof to form a hologram image on the viewer's side, and the pattern part includes the total area of the holographic mesh screen. It is more than 10.25% and less than 19.43%.
  • variety of the mesh line which forms the said pattern part is 0.1 mm or more and 0.19 mm or less.
  • the pattern portion is printed on the film in a gravure method, the pattern portion is applied to the screen fabric in a spray method.
  • the pattern portion may include a pigment, and the pigment may include a pigment stock solution, a resin, and a solvent, and the pigment may be 25 wt% or more and 40 wt% or less, 10 wt% or more and 25 wt% or less, and the solvent. It is a component ratio of 40 weight% or more and 50 weight% or less.
  • the pigment includes a fluorescent pigment, a non-pigmented pigment or a mixed pigment in which a diluent in the form of a resin is mixed in one of them, the mixed pigment is a fluorescent pigment or a non-pigmented pigment and the diluent are each mixed in a 1: 0.3 ratio.
  • the fluorescent pigment may include aluminum powder, copper powder, or a mixed powder thereof, and the pattern part including the fluorescent pigment may be used as 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the front.
  • the matte pigment is any one of white, gray and black color
  • the pattern portion containing the matte pigment is used as 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the rear.
  • the diluent may include a solvent comprising at least one of poly-based ethylene, amide, vinyl, and urethane, and a solvent consisting of any one of hydrocarbon resin, chlorine, and alcohol.
  • the diluent may include the liquid resin and the solvent. Mixed at 2: 8.
  • the film includes at least one of PET, PC, PE, PP, PVC, acrylic.
  • the screen fabric includes at least one of glass fiber, nylon, cotton, and metal fabric.
  • the mesh of the pattern portion is polygonal, circular, oval, atypical, the polygon is any one of a honeycomb-shaped hexagon, triangular, square, rhombus.
  • Printing area of pattern part Film total area-punching area of pattern part
  • the pattern area print area ratio to the total film area the pattern area print area / film area x 100 is formed.
  • a transparent mesh screen is formed on a transparent billboard or a shop window window, and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e device is partially passed through the pattern portion and partially reflected or transmitted to form a holographic image toward the viewer.
  • a pigment for printing the pattern portion in the form of a mesh on one side of the film according to what kind of pigments, such as fluorescent pigments for the reflection of the image light or matte pig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light it is 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the front or Since it is classified as a rear transparent mesh scree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transparent mesh screen using a conventional gravure method without changing the production process.
  •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olographic mesh screen is very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time, the selling price and the selling price can be greatly reduc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detailed detailed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holo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holo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producing 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holograms through the gravure printing method.
  • Figures 4a and 4b is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ransparent mesh screen for holo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ight source and the viewer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the film to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film on which the panton portion is printed in the transparent mesh screen for holo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A and 6B are photographs comparing the hologram displayed on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mesh screen with the mes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and detailed view of the front holographic mesh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ographic mesh screen for the fro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producing a holographic mesh screen for the front through the spray method.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front holographic mesh screen based on an image light source and a viewer projected from an imaging device;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creen fabric in order to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screen fabric woven in a mesh form of the front holographic mesh scre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16 to 20 are tables showing pattern portion widths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holographic transparent mesh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mes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detailed view showing the holographic transparent mes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parent mesh screen for hologr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eneral gravure printing method This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holograms.
  • 4A and 4B illustrate an exemplary embodiment (for front and rear) of a holographic transparent mes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light sources and viewers emitted from an imaging apparatus
  • FIG. 5 illustrates the present invention.
  • a state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portion of the film in order to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film on which the pattern portion of the transparent mesh screen for hologram of is printed.
  •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60 by being adhered to the transparent billboard or the shop window glass window G is partially passed through the pattern part 20.
  • a part of the transparent mesh screen 1 reflects or transmits a holographic image to a viewer's side located inside and outside, and includes a transparent film 10 as shown in FIGS.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lease paper 40 adhered to the adhesive 30.
  • the transparent mesh screen 1 is manufactured using the gravure method.
  • the transparent film 10 is made of ink accommodated in a concave shape (corros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10 being transported.
  • Gravure roll 51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 a driven roll 52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gravure roll 51 to transfer the transparent film 10 in a progressing direction while rotating opposite to the gravure roll 51;
  • An auxiliary roll 53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avure roll 51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ink together with the gravure roll 51;
  • the ink supply nozzle 54 is installed to be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avure roll 51
  • the transparent mesh scree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using a conventional gravure printing apparatus 50 configured to include the same.
  • the gravure roll 51 is rotated to face each other along with the driven roll 52, while simultaneously transferring the transparent film 10 in the advancing direc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10.
  • Printing of the pattern pattern by the rotation of the gravure roll 51 that is, the transparent film 10 by the ink accommodated in the pattern shape concave (corroded) in a continuous and repetitive form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avure roll 51
  •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avure roll 51 is printed a pattern of the same shape as the carved patter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 the gravure roll 51 and the auxiliary gravure roll 51 from the ink supply nozzle 54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ravure roll 51 and the auxiliary roll 53.
  • the gravure roll 51 is supplied to the ink receiving space between the rolls 53 and at the same time the ink is filled and accommodated in a concave pattern (corrosion) pattern that is concave (corroded) in a continuous and repetitive form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avure roll 51.
  • the pattern part 20 of the set shape is formed while the same shape as the carved pattern is pri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avure roll 5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10 transported by the opposite rotation of the bell stone roll. do.
  • the transparent mesh screen 1 is manufactured using the gravure printing apparatus 50, the screen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only very simple but also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can reduce not only the manufacturing time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 the pattern part 20 is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film 10 by the gravure printing method, wherein the pattern part 20 is a film ( 10 is a factor relat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parency of the image formed in the pattern portion 20 and the mesh line 21 of the pattern portion 20 can be printed with a width w of 0.1 mm to 0.162 mm. have.
  • the printing area of the mesh line 21 relative to the total area of the film 10 may be 11.88% to 19.39%.
  • 12 to 15 illustrate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film area, perforation hole perforation area, mesh line printing area and mesh line printing rate according to the mesh line widths (0.1 mm, 0.12 mm, 0.15 mm and 0.162 mm) of the pattern portion. .
  • the calculation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rinting area (mesh line printing rate) of the mesh line 21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mesh line 21 of the pattern part 20 is as follows.
  • the width (w1) of the mesh line 21 of the pattern portion 20 shown in FIG. 1A of 0.1 mm to 0.162 mm in the range of the width of the line of sight 21 is 0.1 mm as an example.
  • the printing area of the mesh line 21 for the total area is to be calculated.
  • the total area of the printed film 10 is shown as the length and the length, and the “pattern perforation area” denotes the shape of the perforation hole 22 forming the pattern part 20.
  • the sum of the area of the film and the product area, and the "printing area of the pattern part” represents the printing area of the mesh line 21 minus the perforation area of the pattern part, and the pattern part 20 of the entire area of the film 10.
  • the "printing area ratio (mesh line printing rate)" of the mesh line 21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rinting area of the pattern portion by the total film area and multiplying by 100.
  • the width (w) of the mesh line 21 forming the pattern portion 20 becomes thin so that the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and passes through the hole 22 of the pattern portion 20 as it is. Since the image is not formed properly, the width w of the mesh line 21 is very thin, and the brightness of the mesh line 21 reflecting or transmitting the image light even if the image light is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 the lack of a medium of the pattern portion 20 to which an image is formed such as not being possible itself cause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as a screen is lost.
  • the width w of the mesh line 21 constituting the pattern portion 20 is 0.162 mm or more, the thicker mesh line 21 can improve the sharpness of the image to some extent.
  • the width (w) of the mesh line 21 may not be increased indefinitely, and the pattern portion 20 may be formed using a film (such as a conventional rear projection type transparent scre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2199). 10) If you print at 20% ⁇ 65% of the total area, it will cause a problem that the sharpness of the image is reduced.
  • the printed density of the mesh line 21 is blurred compared to the initial density, so that the mesh line having a blurry state ( 21) the image by the video light is not properly formed,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clear and clear image.
  • a clear image is displayed, and the line width w of the mesh forming the pattern portion 20 becomes thinner relative to the number of meshes of the screen, but the mesh line 21 width w of 0.1 mm to 0.162 mm Since light (image ligh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pattern unit 20, the moiré phenomenon is prevented, and the transparency of the hologram image with respect to the screen is also greatly improved. .
  • some of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60 passes through the pigments for printing the pattern portion 20 on one surface of the film 10 in the transparent mesh screen 1 of the first embodiment, and some Fluorescent pigments or matte pigments may be used as they are, so that the hologram image may be formed on the viewer while reflection or transmission is performed, or mixed pigments in which a resin-type diluent (MD) is added to the fluorescent pigments or matte pigments may be used.
  • MD resin-type diluent
  • the fluorescent pigment or matte pigment is composed of 25 to 40% by weight of the pigment stock solution, 10 to 25% by weight of the resin and 40 to 50% by weight of the solvent.
  • the fluorescent pigment forming the pattern portion 20 passing through and partially reflecting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60 may include aluminum powder or copper powder or mixed powder in which aluminum powder and copper powder are mixed. It is a pigment.
  • the transparent mesh screen 1a of the pattern portion 20 printed with the fluorescent pigment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1a adhesively fixed to the shop window glass window G from the imaging device 60 located indoors for the front. Some of the image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22 of the pattern portion 20, and part of the image light is reflected by the mesh line 21 of the pattern portion 20 printed with fluorescent pigment so that the viewer in the room It is used as a transparent mesh screen 1a (see FIG. 4A) for the front where the resulting holographic image can be viewed.
  • the matte pigment used in the pattern portion 20 to partially pass and partially pass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60 is a white, gray, or black colorless pigment.
  • the transparent mesh screen 1b of the pattern portion 20 printed with the matte pigment is for rear, an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60 located indoors onto the screen 1b adhesively fixed to the shop window glass window G. Some of the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unching hole 22 of the pattern portion 20, and some of the light is absorbed and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as the mesh line 21 of the pattern portion 20.
  • the use is divided into a transparent mesh screen 1b for rear (see Fig. 4b) where it can be seen.
  • a mixed pigment obtained by mixing a diluent (MD: MEDIUM) in the form of a resin with a fluorescent pigment or a matte pigment in a ratio of 1: 0.3, respectively, is produced, and a mesh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lm 10 using the mixed pigment.
  • a transparent mesh screen 1a for the front or the rear which prints the pattern portion 20 so that a part of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60 passes and a part of the image light is reflected or transmitted to form a hologram image toward the viewer. 1b) may be produced.
  • the diluent (MD) is a mixture of any one of hydrocarbon-based, chlorine-based, and alcohol-based solvents 2: 2 in a liquid resin in which any one or more of poly-based ethylene, amide, vinyl, and urethane are mixed.
  • the film in which a fluorescent pigment, a matte pigment or a mixed pigment is printed such that the pattern portion 20 is formed through a gravure printing method ( 10) is one of PET (Polyethyleneterephtalate), PC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E (Polyethylene), PP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and acrylic. It is possible to use PET.
  • the mesh form of the pattern portion 20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10 as a fluorescent pigment or a matte pigment or a mixed pigment through the gravure printing method may be formed in a polygon, a circle, an oval, an amorphous shape, and the polygon is In addition to the honeycomb-shaped hexagon, it can be formed of any one of triangular, square, rhombus.
  • the mesh line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band, a band, or the lik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 6A and 6B show photographs comparing a hologram displayed on a conventional transparent mesh screen with a mes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le hole 22 of the pattern portion 20 It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through the outside, and part of the pattern portion print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mesh screen (1a) while being reflected to the viewer side of the room through the mesh line 21 of the pattern portion 20, the fluorescent pigment is printed (
  • the hologram image formed on the screen through the pattern unit 20 can be seen more clearly by the viewer in the room as shown above, and the hologram image is limited to FIG. 4A. Without being Various images can be displayed.
  • a holographic mesh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esh screen) for the fro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and detail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holographic mes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holographic mesh scre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pray method. This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holographic mesh screen for the front.
  • a part of the image light projected from the imaging device 600 passes through the pattern unit 200 and partially reflects the holographic image to the viewer.
  • the pigment coating layer 3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ame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screen fabric 100 is formed.
  • a thread or wire made of any one of glass fiber, nylon, cotton, and metal fabric is It is preferable to form a pattern portion 20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quare) by woven into a mesh shape and having a pattern portion 20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woven into a mesh shape using a yarn made of glass fibers.
  • the spray method is to spray spray coating a fluorescent pigment to the pigment barrel connected to be separately supplied into the air gun 400 according to the venturi action effect generated by spraying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not shown) to the air gun 400.
  • the pattern portion constituting the screen fabric 100 is sucked into the air gun 400, the pressure is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injection of compressed air from the 500 and sprayed on one surface of the screen fabric 100 with the compressed air (
  • the mesh screen 2 is fabricated by applying a desired width w to the mesh line 222 of 200 and then drying at room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mesh screen (2) thus produced is very simple mesh screen manufacturing process compared to the screen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gravure printing method,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time as well as the production cost.
  • the mesh screen 2 manufactured through the spray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mesh screen 2 having the pattern portion 200 woven in the form of a mesh is formed, that is, the fluorescent pigment on one surface of the screen fabric 100. Sprayed in a spray method and coated on the mesh line 222 of the pattern portion 200.
  • the pattern unit 200 is a factor relat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parency of the mesh screen 2 and the clarity of the image formed on the pattern unit 200, and includes a screen fabric having a pattern unit 200 woven in a mesh shape ( By spraying a fluorescent pigment on one surface of the 100) it may be applied to the mesh line 222 of the pattern portion 200 in a width (w) of 0.1mm ⁇ 0.19mm.
  • the spray coating area of the mesh line 222 relative to the total area of the screen fabric 100 may be applied so that 10.25% ⁇ 19.43%.
  • 16 to 20 show the screen fabric total area, the perforation hole perforation area, the mesh line application area when the mesh line application width of the pattern portion is 0.1 mm, 0.12 mm, 0.15 mm, 0.185 mm and 0.19 mm (see FIG. 11). It is a table which computed mesh line application rate, respectively.
  • the mesh line 222 of the pattern part 200 may be between 10.25% and 19.43% of the mesh line 222 coating area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 the screen fabric 100 may be fabricated using the application width w of the mesh line 222 between 0.1 mm and 0.19 mm.
  • an application area (mesh line coverage) of the mesh line 222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width w of the mesh line 222 of the pattern unit 200.
  • (w) is to calculate the application area of the mesh line 222 for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fabric 100 as an example.
  • the "screen fabric total area” is the total area of the screen fabric 100 in which the pattern portion 200 is woven in a mesh form, and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screen.
  • the "multiplying pattern area” represents the area multiplied by one area of the rectangular perforation hole 224 forming the pattern part 200, and the "pattern area applied area” is the total area of the screen fabric.
  •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erforated area of the pattern portion, and the "coating area ratio (mesh line application rate)" of the pattern portion 200 mesh line 222 with respect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screen fabric 100 is the entire surface of the screen portion. It is divided by the area and multiplied by 100.
  • the image is not properly formed on the screen 2, because the application width (w) of the mesh line 222 becomes very thin Even if the image light is projected from the image device 600, the brightness itself of the mesh line 222 reflecting the image light becomes impossible, so that the medium of the pattern portion 200 in which the image is formed is insufficient, thereby functioning as the screen 2. Is lost, so even if the mesh area is more than 10.25% Preferably.
  • the width w 0.19 mm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oating area below 19.43%, ie, 20% or less.
  • the application width (w) of the mesh line 222 constituting the pattern portion 200 is 0.19 mm or more, the sharpness of the image may be improved to some extent by the thick mesh line 222.
  • the application width w of the mesh line 222 may not be increased indefinitely, and as the width w increases, the amount of pigment used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screen manufacturing cost.
  • a fluorescent pigment containing aluminum powder or copper powder, or a mixed powder in which aluminum powder and copper powder are mixed, or a mixed pigment in which a resin-type diluent (MD) is added to the fluorescent pigment is used.
  • MD resin-type diluent
  • the fluorescent pigment is composed of a component ratio of 25 to 40% by weight of the pigment stock solution, 10 to 25% by weight of the resin and 40 to 50% by weight of the solvent, and in some cases, a resin-type diluent (MD: MEDIUM) in the fluorescent pigment.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mesh screen (2) by spray coating the pattern portion 200 woven in a mesh form on one surface of the screen fabric 100 by producing a mixed pigment mixed in a ratio of 1: 0.3.
  • the diluent is used by mixing 2: 8 a solvent consisting of any one of hydrocarbon, chlorine, and alcohol groups in a liquid resin in which any one or more of poly-based ethylene, amide, vinyl, and urethane are mixed.
  • the pattern is sprayed and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creen fabric 100 while the fluorescent pigment, which is a relatively main raw material, is changed from a thin stock state to a thin state as the diluent is added.
  • the mesh line 222 itself of the portion 200 is thicker than the application width w of 0.1 mm, which is a range of the mesh line 222 of the pattern portion 2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pplied in a wide spread state to approach the upper limit of 0.19mm of 0.1mm ⁇ 0.19mm.
  • the screen fabric 100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esh screen 2 of the second embodiment is woven in a mesh form using a yarn made of glass fiber, nylon, cotton, or metal fabric.
  • the pattern portion 200 woven in the mesh form of the screen fabric 10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circular, oval, anisotropic, the polygon is a honeycomb-shaped hexagon, triangular, square, triangular, rhombus One may be selectively formed,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very preferable to be woven in a square.
  • the mesh line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band, a band, or the lik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front holographic mesh screen based on an image light source and a viewer projected from an imaging device
  • FIG. 11 is a pattern portion of a front holographic mesh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in a mesh form.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creen fabric by way of example to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woven screen fabric.
  • the holographic imag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200 spray-coated with the fluorescent pigment on one surface of (2), and the viewer can more clearly see the hologram image formed on the mesh screen 2 through the pattern portion 200.
  • the hologram zero The image is not limited to FIG. 10 and may display variou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하여 반사 또는 투과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 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의 전체 면적 대비 패턴부의 면적이 10.25% ~ 19.43% 사이로 형성되어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에 점착되어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이루어진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하여, 필름 일면에 패턴부의 메시선을 일정한 폭으로 도포해 상기 스크린원단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도포면적이 10.25% ~ 19.43% 사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투명스크린에 비해 패턴부를 이루는 메시선의 폭 및 이를 통한 인쇄면적 범위로서 상관관계에 있는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각각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변화없이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투명 메시 스크린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본 발명은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에 점착되어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이루어진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하여, 필름 일면에 패턴부의 메시선을 일정한 폭으로 도포해 상기 스크린원단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도포면적이 10.25% - 19.43% 사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투명스크린에 비해 패턴부를 이루는 메시선의 폭 및 이를 통한 인쇄면적 범위로서 상관관계에 있는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각각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변화없이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투명 메시 스크린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기기용 스크린은 영사기기를 통해 영상광이 스크린에 투사되면서 맺히는 홀로그램 영상이 실내의 관람자 측으로 표시되느냐, 아니면 반대로 실외의 관람자 측으로 표시되느냐에 따라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구분되는 상기 프론트용 스크린의 경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이 스크린에서 일부는 그냥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되면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실내측 관람자가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와 반대로 상기 리어용 스크린의 경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이 스크린에서 일부는 그냥 통과하고, 일부는 투과되면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실외측 관람자가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의 경우 투명한 재질의 필름 일면에 그라비아(gravure) 인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의 패턴층을 인쇄(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32199호)하거나, 또는 메시형태로 직조된 스크린원단 즉, 투명망사에 광확산기능을 갖는 필름스크린을 결합(등록실용신안 20-0444192)시킨 구조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스크린(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32199호)의 경우 해당 특허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을 살펴보면, "상기 패턴층은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20% ~ 65%의 면적 비율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패턴층의 면적 비율의 범위 자체가 큰 오류인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명시된 대로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패턴층의 면적 비율이 20% 이상 즉, 20% ~ 65% 일 경우 이는 메시형태로 인쇄된 패턴층의 메시선 폭이 그 만큼 커진다는 의미이며, 이와 같이 메시선 폭이 커지게 되면 상기 패턴층을 통한 스크린에 영상이 맺히는 선명도가 좋아지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상기 스크린 전방에서 패턴층의 천공홀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패턴층의 천공홀의 통해 육안으로 스크린 반대측 내부 인테리어를 볼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패턴층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메시선의 폭 크기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패턴층을 인쇄하는 안료의 농도와 관계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패턴층의 면적 즉, 메시선의 폭을 넓게 인쇄할 경우 상기 패턴부를 이루는 육각모양의 메시 양이 적어지면서 상기 패턴부의 맺히는 메시선 부분이 적어져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를 이루는 육각모양의 메시선과 정확히 대응되지 못한 상태로 넓게 퍼지면서 스크린에 흐릿한 영상이 맺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패턴부의 천공홀을 중심으로 육각모양의 메시형태로 인쇄되는 메시선의 사이간격 역시 좁아져 결국 메시선에 반사되는 빛(영상광)이 서로 간섭이 이루어지면서 겹쳐져 상기 메시선에 맺히는 영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고르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는 모아레(jaggy) 현상을 통해 도 6a와 같은 상태의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되는 등 상기 스크린의 패턴층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아울러, 상기와 같이 패턴층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턴층을 인쇄하는 안료의 농도와 관계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패턴층의 메시선을 20% 이상의 면적으로 넓게 형성시킬 경우 스크린 제작과정에서 안료의 사용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그만큼 스크린 제작 및 판매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통해 상기한 패턴층을 상기한 면적 비율로 투명판재에 인쇄할 경우 목적한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등 사용상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메시형태로 직조된 투명망사에 광확산기능을 갖는 필름스크린을 결합하여 제작되는 스크린(등록실용신안 20-0444192)의 경우 이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안료나 도료, 또는 잉크를 이용해 그라비아 인쇄방식이 아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소재에서 뽑아낸 원형의 플라스틱실로 직조(織造)한 투명망사에 광확산기능을 갖는 필름스크린을 결합하여 상기 투명망사에 의해 1차 산란된 빛을 상기 필름스크린을 통해 2차 산란시켜 난반사 처리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경우 앞서 밝힌 투명한 재질의 필름 일면에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의 패턴층을 인쇄하는 스크린보다 구조적으로 복잡함은 물론, 이에 따른 제작공정 및 제작시간 역시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제작 및 판매에 대한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느낄 수 있는 투명스크린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편광필름형 투명스크린은 특정한 빛만 통과시키는 편광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일반 투명소재에 비해 영상 표현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특정 방향의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특수 기술을 이용한 스크린이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공정의 난이도가 까다로운 문제점 등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에 점착되어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이루어진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하여, 필름 일면에 패턴부의 메시선을 일정한 폭으로 도포해 상기 스크린원단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도포면적이 10.25% - 19.43% 사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투명스크린에 비해 패턴부를 이루는 메시선의 폭 및 이를 통한 인쇄면적 범위로서 상관관계에 있는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각각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변화없이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투명 메시 스크린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의 변화없이 통상의 그라비아 방식을 이용해 투명 메시 스크린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실내, 외 공연용 또는 행사용으로 사용되는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을 제작함에 있어 글라스화이버를 이용해 메시형태로 직조된 스크린원단의 일면에 형광안료를 분사 도포 및 건조시키는 등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의 제작과정이 매우 간단함과 아울러 이를 통한 제작시간을 비롯해 제작단가 및 판매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홀러그램용 메시 스크린은,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 중 일부는 투사시키고 일부는 반사시켜서 관람자 측으로 홀로 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팬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의 전체 면적 대비 10.25% 이상 19.43% 이하이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메시선의 폭은 0.1mm 이상 0.19mm 이하이다.
또한 상기 패턴부는 그라비아방식으로 필름상에 인쇄되고, 상기 패턴부는 스프레이방식으로 스크린원단 상에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는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안료는 안료원액,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안료는 상기 안료원액 25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 상기 수지 10중량% 이상 25중량% 이하, 상기 용제 40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의 성분비율이다.
또한 상기 안료는 형광안료, 무광안료 또는 이들 중 하나에 수지형태의 희석제가 혼합된 혼합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안료는 형광안료 또는 무광안료와 상기 희석제가 각각 1:0.3 비율로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형광안료는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안료를 포함하는 상기 패턴부는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무광안료는 흰색, 회색 및 검은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이며, 상기 무광안료를 포함하는, 패턴부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희석제는 폴리계열의 에틸렌, 아마이드, 비닐, 우레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액상수지와 탄화수지, 염소계, 알콜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희석제는 상기 액상수지와 상기 용제가 2:8로 혼합된다.
또한 상기 필름은 PET, PC, PE, PP, PVC,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원단은 글라스화이바, 나일론, 면, 메탈페브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턴부의 메시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비정형이고, 상기 다각형은 벌집형태의 육각이나, 삼각, 사각, 마름모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필름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패턴 면적 비율을 구하는 계산식은,
① 필름 전체면적: 가로길이×세로길이
② 패턴부 타공면적: 각 모양의 천공홀(22) 1개 면적×개수의 합
③ 패턴부 인쇄면적: 필름 전체면적-패턴부 타공면적
④ 필름 전체면적 대비 패턴부 인쇄면적 비율 = 패턴부 인쇄면적/필름 전체면적×100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원단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도포면적을 구하는 계산식은,
① 스크린원단 전체면적: 가로길이×세로길이
② 패턴부 타공면적: 사각 천공홀 1개 면적×개수
③ 패턴부 도포면적: 스크린원단 전체면적-패턴부 타공면적
④ 스크린원단 전체면적 대비 패턴부 도포면적 비율 = 패턴부 도포면적/스크린원단 전체면적×100 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에 점착되어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이루어진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하여, 필름 일면에 패턴부의 메시선을 일정한 폭으로 도포해 상기 스크린원단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도포면적이 10.25% - 19.43% 사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투명스크린에 비해 패턴부를 이루는 메시선의 폭 및 이를 통한 인쇄면적 범위로서 상관관계에 있는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각각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변화없이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투명 메시 스크린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의 변화없이 통상의 그라비아 방식을 이용해 투명 메시 스크린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외 공연용 또는 행사용으로 사용되는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을 제작함에 있어 글라스화이버를 이용해 메시형태로 직조된 스크린원단의 일면에 형광안료를 분사 도포 및 건조시키는 등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의 제작과정이 매우 간단함과 아울러 이를 통한 제작시간을 비롯해 제작단가 및 판매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에 따른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의 단면도.
도 3은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광원과 관람자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중 팬턴부가 인쇄된 필름의 전체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필름의 일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 투명 메시 스크린과 본 발명의 메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을 비교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스프레이방식을 통해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원과 관람자를 기준으로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중 패턴부가 메시형태로 직조된 스크린원단의 전체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원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패턴부 폭을 나타내는 표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패턴부 폭을 나타내는 표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이하, 투명 메시 스크린이라 함)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도 1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일반적인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도 4a 및 도 4b는 영상기기로부터 발출되는 광원과 관람자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프론트용, 리어용)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중 패턴부가 인쇄된 필름의 전체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필름의 일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 메시 스크린(1)은,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G)에 점착되어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20)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실내, 외측에 위치한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투명 메시 스크린(1)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재질의 필름(10)과; 상기 필름(10)의 일면에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인쇄하여 형성된 패턴부(20)와; 상기 필름(10)의 배면(背面)에 도포되어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G)에 필름(10)이 점착되도록 하는 점착제(30)와; 상기 필름(10)의 배면(背面)에 도포된 점착제(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점착제(30) 위에 점착되는 이형지(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메시 스크린(1)의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투명 메시 스크린(1)이 제작되는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이루는 장치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되는 투명필름(10)의 상면과 면접촉하면서 원둘레면에 오목하게 조각(부식)된 모양에 수용된 잉크로 투명필름(10)의 상면에 인쇄하는 그라비아롤(51)과; 상기 그라비아롤(5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그라비아롤(51)과 대향 회전하면서 투명필름(10)을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종동롤(52)과;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측면 상에 대향 회전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그라비아롤(51)과 함께 잉크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롤(53)과; 상기 투명필름(10)에 인쇄되는 잉크를 상기 그라비아롤(51)과 보조롤(53) 사이에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그라비아롤(51)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잉크공급노즐(54)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상의 그라비아 인쇄장치(50)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을 제작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의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그라비아롤(51)은 종동롤(52)과 함께 서로 대향 회전하면서 투명필름(10)을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투명필름(10)의 상면에 그라비아롤(51)의 회전에 의한 패턴 무늬의 인쇄 즉,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연속적이면서 반복적인 형태로 오목하게 조각(부식)된 무늬 모양에 수용된 잉크로 상기 투명필름(10)의 상면에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조각된 무늬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패턴이 인쇄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때,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형성된 오목한 무늬 모양에 수용된 잉크의 경우 그라비아롤(51)과 보조롤(53)의 상단에 설치된 잉크공급노즐(54)로부터 그라비아롤(51)과 보조롤(53) 사이의 잉크수용공간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연속적이면서 반복적인 형태로 오목하게 조각(부식)된 무늬 모양에 잉크가 채워져 수용된 상태로 상기 그라비아롤(51)과 종돌롤의 대향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투명필름(10)의 상면에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조각된 무늬 모양과 동일한 모양이 인쇄되면서 설정된 모양의 패턴부(20)가 형성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아울러 상기 잉크공급노즐(54)로부터 공급되는 잉크 대신에 안료나 도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그라비아 인쇄장치(50)를 이용하여 투명 메시 스크린(1)을 제작할 경우 스크린 제작공정이 매우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제작시간은 물론 제작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한편,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제작된 투명 메시 스크린(1)의 경우 필름(10) 일면에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패턴부(20)가 인쇄된 구조로써, 이때 상기 패턴부(20)는 필름(10)의 투명도와 패턴부(20)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에 대한 상관관계와 관련된 요소이므로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을 0.1mm ~ 0.162mm의 폭(w)으로 인쇄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상기 필름(10)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이 11.88% ~ 19.39%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도 12 내지 도 15는 패턴부의 메시선 폭(0.1mm, 0.12mm, 0.15mm 및 0.162mm)에 따른 필름 전체 면적, 천공홀 타공면적, 메시선 인쇄면적 및 메시선 인쇄율을 산출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을 0.1mm ~ 0.162mm 폭(w)을 이용해 필름(10) 전체 면적에 대한 메시선(21) 인쇄면적을 11.88% - 19.39%가 되게 간단히 산출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때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w)에 따른 메시선(21) 인쇄면적(메시선 인쇄율)을 산출하는 계산식은 다음과 같으며,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w) 범위인 0.1mm ~ 0.162mm 중 도 1(a)에 도시된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w1)이 0.1mm를 하나의 예로서 상기 필름(10) 전체 면적에 대한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을 산출하고자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와 같은 메시선(21) 인쇄율 계산식을 이용해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을 구하기에 앞서, 상기 메시선(21) 인쇄율 계산식에 대한 용어를 간략히 설명하면, "필름 전체면적"은 패턴부(20)가 인쇄된 필름(10)에 대한 전체 면적으로서 가로길이, 세로길이를 나타낸 것이고, "패턴부 타공면적"은 패턴부(20)를 형성하는 천공홀(22) 모양을 각각 1개씩에 대한 면적을 합하고 이를 곱한 것이며, "패턴부 인쇄면적"은 메시선(21)의 인쇄면적으로서 필름 전체면적에서 패턴부 타공면적을 뺀 값을 나타낸 것이며, 필름(10) 전체면적 대한 패턴부(20) 메시선(21)의 "인쇄면적 비율(메시선 인쇄율)"은 패턴부 인쇄면적을 필름 전체면적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를 근거로 먼저, 상기 필름(10)의 전체 면적을 구하기 위한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도 5에 도시된 필름(1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일예로 대신하기로 하며, 이를 통한 산출된 값을 보면 아래와 같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아 래-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① 필름 전체면적: 가로길이×세로길이 = 29.3769×31.0947 = 913.465892㎟이고,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② 패턴부 타공면적: (육각 천공홀 1개 면적×개수)+(사다리꼴 천공홀 1개 면적×개수)+(오각 천공홀 1개 면적×개수) = (2.0327×367)+(1.0164×22)+(1.0164×36) = 804.9521㎟이며,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③ 패턴부 인쇄면적: 필름 전체면적-패턴부 타공면적 = 913.465892-804.9521 = 108.514㎟이고,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④ 필름 전체면적 대비 패턴부 인쇄면적 비율 = 패턴부 인쇄면적/필름 전체면적×100 = (108.514/913.465892)×100 = 11.879 = 11.88%로 산출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와 같이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w1)이 0.1mm 이하일 경우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이 11.88% 이하로 나타나 상기 패턴부(20)를 통한 스크린의 투명도가 좋아진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하지만 상기 패턴부(20)를 형성하는 메시선(21)의 폭(w)이 얇아져 결국에는 영상이 스크린에 표출되지 못하고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그대로 통과하게 되어 상기 스크린에 영상이 제대로 맺혀지지 않게 됨과 아울러, 상기 메시선(21)의 폭(w)이 매우 얇기 때문에 영상기기로부터 영상광이 투사된다 하더라도 상기 영상광을 반사하거나 또는 투과하는 메시선(21)의 밝기 자체가 불가능 하는 등 영상이 맺히는 패턴부(20)의 매질이 부족하게 되면서 스크린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즉, 일정한 패턴을 갖는 메시선의 폭이 특정 너무 얇을 경우 투과는 좋으나 스크린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어 실질적으로 반사되는 영상효과를 얻기는 힘들 단점이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반대로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w)이 0.162mm 이상으로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이 19.39%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패턴부(20)를 통한 스크린에 영상이 맺히는 선명도가 좋아지는 반면에,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w)이 넓어질수록 상기 패턴부(20)의 천공홀(22)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패턴부(20)의 천공홀(22)의 통해 스크린 전방에서 육안으로 스크린 반대측 내부 인테리어를 볼 수 없게 되는 등 상기 스크린의 투명성이 크게 떨어지고,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을 넓게 형성시킬 경우 스크린 제작과정에서 안료의 사용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그만큼 스크린의 제작 및 판매에 대한 비용 역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등 투명 메시 스크린(1)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상기 패턴부(20)를 이루는 메시선(21)의 폭(w)을 0.162mm 이상으로 할 시엔 굵어진 메시선(21)에 의해 어느 정도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할 수는 있지만, 상기 영상의 선명도 향상을 위해 메시선(21)의 폭(w)을 무한정으로 크게 할 수 없으며, 종래의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2199호)과 같이 패턴부(20)를 필름(10) 전체면적 대비 20% ~ 65%로 인쇄할 경우 오히려 영상의 선명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는 상기 패턴부(20)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20)를 인쇄하는 안료의 농도와 관계되기 때문에 초기 농도의 안료를 이용해 메시형태의 패턴부(20) 인쇄에 따른 안료의 사용량 증가와 함께 스크린의 제작 및 판매에 대한 비용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료의 소비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안료를 초기 농도보다 묽게 하여 메시선(21)의 폭(w)을 넓게 인쇄할 수는 있으나, 이럴 경우 상기 폭(w)이 넓게 인쇄된 메시선(21)에 영상광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상기 메시선(21)의 인쇄 농도가 초기 농도에 비해 흐리기 때문에 결국 흐린상태의 메시선(21)에 영상광에 의한 영상이 제대로 맺히지 못해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초기 농도의 안료를 이용해 메시선(21)의 폭(w)을 넓게 인쇄할 경우 스크린의 투명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은 물론, 상기 패턴부(20)를 이루는 육각 모양의 메시량이 적어지면서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20)를 이루는 육각 모양의 메시선(21)과 정확히 대응되지 못한 상태로 넓게 퍼지면서 스크린에 흐릿한 영상이 맺히게 되고, 상기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중심으로 육각 모양의 메시형태로 인쇄되는 메시선(21)의 사이 간격 역시 좁아져 결국 상기 메시선(21)에 반사되어 맺히는 영상광 간에 서로 간섭이 이루어지면서 겹쳐져 영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고르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는 모아레(jaggy) 현상을 통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크린의 패턴부(20)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없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따라서, UHD 시대에 맞춘 4000 Pixel의 고화질 프로젝터와 스크린의 패턴부(20)에 대하여 상기 고화질 프로젝터의 Pixel 수와 상기 스크린의 메시수를 일치시킬 경우 스크린의 패턴부(20)에 표시되는 영상 자체가 최적화가 되는 등 상기 스크린을 이루는 패턴부(20)의 메시수가 많을수록 고화질 프로젝터의 Pixel 수가 빠지지 않고 상기 스크린의 메시부분과 모두 대응되는 인식범위가 커지게 되면서 상기 스크린의 패턴부(20)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이 표시되게 되고, 상기 스크린의 메시 수와 상대적으로 패턴부(20)를 이루는 메시의 선 폭(w)이 얇아지되, 0.1mm ~ 0.162mm의 메시선(21) 폭(w) 범위에서는 상기 패턴부(20)에서의 빛(영상광)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모아레 현상이 방지되면서 상기 스크린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의 선명도와 함께 투명도 역시 크게 향상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그리고 제1실시예의 투명 메시 스크린(1) 중 필름(10)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20)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가 이루어지면서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힐 수 있도록 형광안료나 무광안료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에 수지형태의 희석제(MD)를 첨가한 혼합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여기서,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는 안료원액 25~40중량%, 수지 10~25중량% 및 용제 40~50중량%의 성분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때 상기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의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시키는 패턴부(20)를 형성하는 형광안료는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 또는 알루미늄분말과 동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이 포함된 안료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형광안료로 인쇄된 패턴부(20)의 투명 메시 스크린(1a)은 프론트용으로, 실내에 위치된 영상기기(60)로부터 매장 쇼윈도 유리창(G)에 접착 고정된 스크린(1a)에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실외로 방출되고, 일부는 형광안료로 인쇄된 패턴부(20)의 메시선(21)에 반사되어 실내의 관람자가 스크린에 맺힌 홀로그램 영상을 볼 수 있는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1a)(도 4a 참조)으로 사용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와는 반대로 상기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을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투과시키도록 패턴부(20)에 사용되는 무광안료는 흰색이나 회색, 검은색을 띤 무채색 안료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무광안료로 인쇄된 패턴부(20)의 투명 메시 스크린(1b)은 리어용으로, 실내에 위치된 영상기기(60)로부터 매장 쇼윈도 유리창(G)에 접착 고정된 스크린(1b)에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실외로 방출되고, 일부는 패턴부(20)의 메시선(21)에 흡수됨과 동시에 투과되면서 실외의 관람자가 스크린에 맺힌 홀로그램 영상을 볼 수 있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1b)(도 4b 참조)으로 사용이 구분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에 수지형태의 희석제(MD:MEDIUM)를 각각 1:0.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안료를 제작하여 상기 혼합안료를 이용해 필름(10)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20)를 인쇄하여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가 이루어지면서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프론트용 또는 리어용의 투명 메시 스크린(1a,1b)을 제작할 수도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여기서, 상기 희석제(MD)는 폴리계열의 에틸렌, 아마이드, 비닐, 우레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액상수지에 탄화수소계, 염소계, 알콜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가 2:8로 혼합된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에 희석제를 1:0.3의 비율로 첨가 혼합할 경우 상기 희석제가 첨가된 만큼 상대적으로 주원료인 형광안료나 무광안료가 진한 원액 상태에서 묽은 상태로 변화되면서 상기 필름(10) 일면에 인쇄되는 패턴부(20)의 메시선(21) 자체가 기설정된 0.1mm의 폭(w) 보다 더 굵게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w) 범위인 0.1mm ~ 0.162mm 중 상한치인 0.162mm에 근접하도록 넓게 퍼진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 메시 스크린(1)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패턴부(20)가 형성되도록 형광안료나 무광안료 또는 혼합안료가 인쇄되는 상기 필름(10)은 PET(Polyethyleneterephtalate: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PC(Polycarbonate:폴리카보네이트), PE(Polyethylene:폴리에틸렌), PP(Polypropylene:폴리프로필렌), PVC(Polyvinyl Chloride:폴리염화비닐),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이용할 수 있으며, PE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필름(10)의 일면에 형광안료나 무광안료 또는 혼합안료로서 인쇄되는 상기 패턴부(20)의 메시형태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비정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다각형은 벌집형태의 육각을 비롯해 삼각, 사각, 마름모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패턴부의 메시선은 일정한 폭을 갖는 띠, 밴드 등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시 스크린 중 프론트용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도 6a 및 도 6b는 종래 투명 메시 스크린과 본 발명의 메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투명 메시 스크린(1) 중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1a)을 매장 쇼윈도 유리창(G)의 실내측에 접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영상기기(60)로부터 영상광이 방출되어 상기 투명 메시 스크린(1a)에 투사되게 되면, 필름(10)의 일면에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이 포함된 형광안료로 인쇄된 패턴부(20)를 통해 상기 영상광 중 일부는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스크린 뒤편인 실외로 방출되게 되고, 일부는 형광안료가 인쇄된 패턴부(20)의 메시선(21)을 통해 실내의 관람자 측으로 반사되면서 상기 투명 메시 스크린(1a) 일면에 인쇄된 패턴부(20)에 홀로그램 영상이 맺혀 표시되게 되는 등 상기와 같이 패턴부(20)를 통해 스크린에 맺힌 홀로그램 영상을 실내에 있는 관람자가 보다 선명하게 관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홀로그램 영상은 도 4a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이하, 메시 스크린이라 함)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도 7은 본 발명의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스프레이방식을 통해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시 스크린(2)은 영상기기(60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200)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실내, 외 공연용 또는 행사용으로 사용되는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2)으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글라스화이버, 나일론, 면, 메탈 페브릭, 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 실이나 와이어를 이용해 메시형태로 직조된 패턴부(200)를 갖는 스크린원단(100)과; 상기 스크린원단(100)의 일면에 스프레이방식으로 형광안료를 분사하여 상기 패턴부(200)의 메시선에 도포 형성된 안료도포층(300)과; 상기 안료도포층(300)이 형성된 스크린원단(100)을 지지하는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메시 스크린(2)에 대한 구성요소 중 상기 스크린원단(100)의 경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글라스화이버, 나일론, 면, 메탈 페브릭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 실이나 와이어를 이용해 메시형태로 직조되면서 일정형태의 패턴부(200)를 가지며, 글라스화이버로 이루어진 실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직조하여 일정형태(사각형태)를 갖는 패턴부(20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여기서, 상기 스크린원단(100)을 통한 제2실시예의 메시 스크린(2) 제작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라스화이버로 이루어진 실을 이용해 사각으로 직조된 메시형태의 패턴부(200)를 갖는 스크린원단(100)의 일면에 형광안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메시 스크린(2)을 제작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스프레이방식은 형광안료를 스프레이 분사 도포하는 것으로 콤프레셔(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에어건(400)으로 분사시키면서 발생되는 벤츄리 작용효과에 따라 상기 에어건(400) 내부로 별도 공급되도록 연결된 안료통(500)으로부터 형광안료가 압축공기 분사에 따라 압력이 저하된 에어건(400) 내부로 빨려나와 상기 압축공기와 함께 스크린원단(100)의 일면에 분사되면서 상기 스크린원단(100)을 이루는 패턴부(200)의 메시선(222)에 목적한 폭(w)을 도포시킨 후 상온에서 일정시간 건조시킴으로써 메시 스크린(2)이 제작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렇게 제작된 메시 스크린(2)은 종래 그라비아 인쇄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스크린에 비해 메시 스크린 제작공정이 매우 단순하고, 이에 따른 제작시간은 물론 제작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한편, 상기 스프레이방식을 통해 제작된 메시 스크린(2)의 경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메시형태로 직조된 패턴부(200)를 갖는 메시 스크린(2)으로, 즉 스크린원단(100)의 일면에 형광안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패턴부(200)의 메시선(222)에 도포시킨 구조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때 상기 패턴부(200)는 메시 스크린(2)의 투명도와 패턴부(200)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에 대한 상관관계와 관련된 요소로서, 메시형태로 직조된 패턴부(200)를 갖는 스크린원단(100)의 일면에 형광안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상기 패턴부(200)의 메시선(222)을 0.1mm ~ 0.19mm의 폭(w)로 도포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상기 스크린원단(100)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222)의 분사 도포면적이 10.25% ~ 19.43%가 되도록 도포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도 16 내지 도 20은 패턴부의 메시선 도포 폭이 0.1mm, 0.12mm, 0.15mm, 0.185mm 및 0.19mm 일 때(도 11 참조)의 스크린원단 전체 면적, 천공홀 타공면적, 메시선 도포면적 및 메시선 도포율을 각각 산출한 표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여기서, 상기 패턴부(200)의 메시선(222)은 전체 면적에 대한 메시선(222) 도포면적 10.25% ~ 19.43% 사이가 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상기 메시선(222) 도포 폭(w)을 0.1mm ~ 0.19mm 사이에서 이용하여 스크린원단(100)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패턴부(200)의 메시선(222) 도포 폭(w)에 따른 메시선(222) 도포면적(메시선 도포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패턴부(200)의 메시선(222) 도포 폭(w) 범위인 0.1mm ~ 0.19mm 중 도 7의 상세도 중 (a)에 도시된 패턴부(200)의 메시선(222) 도포 폭(w)이 0.1mm를 하나의 예로서 상기 스크린원단(100) 전체 면적에 대한 메시선(222)의 도포면적을 산출하고자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메시선(222) 인쇄율 계산식에 대한 용어를 설명하면, "스크린원단 전체면적"은 패턴부(200)가 메시형태로 직조된 스크린원단(100)에 대한 전체 면적으로서 가로길이와 세로로길이를 곱한 값을 나타낸 것이고, "패턴부 타공면적"은 패턴부(200)를 형성하는 사각 천공홀(224)의 1개 면적 곱하기 개수를 나타낸 것이며, "패턴부 도포면적"은 스크린원단 전체면적에서 패턴부 타공면적을 뺀 값을 나타낸 것이고, 스크린원단(100) 전체면적 대한 패턴부(200) 메시선(222)의 "도포면적 비율(메시선 도포율)"은 패턴부 도포면적을 스크린원단 전체면적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를 기초로 상기 스크린원단(100)의 전체 면적을 구하기 위한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도 11에 도시된 스크린원단(10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일예로 대신하기로 하며, 상기와 같은 기준을 근거로 각각의 값을 산출하면 아래와 같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아 래-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① 스크린원단 전체면적: 가로길이×세로길이 = 30.4×28.5 = 866.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② 패턴부 타공면적: 사각 천공홀 1개 면적×개수 = 3.24×240 = 777.6㎟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③ 패턴부 도포면적: 스크린원단 전체면적-패턴부 타공면적 = 866.4-777.6 = 88.8㎟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④ 스크린원단 전체면적 대비 패턴부 도포면적 비율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 패턴부 도포면적/스크린원단 전체면적×100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 (88.8/866.4)×100 = 10.249 = 10.2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따라서, 상기 안료가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 도포된 상기 패턴부(200)의 메시선(222) 도포 폭(w)이 0.1mm 이하에서 메시선(222)의 도포면적이 10.25%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패턴부(200)를 통한 스크린(1)의 투명도가 좋아지지만 반면에, 상기 패턴부(20)를 형성하는 메시선(222)의 도포 폭(w)이 얇아져 결국에는 영상이 스크린(2)에 표출되지 못하고 패턴부(200)의 천공홀(224)을 통해 그대로 통과하게 되어 상기 스크린(2)에 영상이 제대로 맺혀지지 않게 되고, 상기 메시선(222)의 도포 폭(w)이 매우 얇아지기 되기 때문에 영상기기(600)로부터 영상광이 투사된다 하더라도 상기 영상광을 반사하는 메시선(222)의 밝기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영상이 맺히는 패턴부(200)의 매질이 부족하게 되면서 스크린(2)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게 되므로 메시선 도포면적이 10.25%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반도로 상기 패턴부(200)의 메시선(222) 도포 폭(w)이 0.19mm 이상에서 메시선(222)의 도포면적을 19.43%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상기 패턴부(200)를 통한 스크린(2)에 영상이 맺히는 선명도가 좋아지지만 상기 패턴부(200)의 메시선(222) 도포 폭(w)이 넓어질수록 역으로 상기 패턴부(200)의 천공홀(224)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패턴부(200)의 천공홀(224)의 통해 스크린(2) 전방에서 육안으로 스크린(2) 반대측 내부 인테리어를 볼 수 없도록 상기 스크린(2)의 투명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므로 폭(w) 0.19mm 이하에서 도포면적을 19.43%, 즉 2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한편 상기 패턴부(200)를 이루는 메시선(222)의 도포 폭(w)을 0.19mm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굵어진 메시선(222)에 의해 어느 정도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할 수는 있지만, 상기 영상의 선명도 향상을 위해 메시선(222)의 도포 폭(w)을 무한정 크게 할 수 없고, 폭(w)이 커지는 만큼 상대적으로 안료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스크린 제작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즉, 종래의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2199호)과 같이 패턴부(200)를 스크린원단(100) 전체 면적 대비 20% - 65%로 도포할 경우 반사되는 영상의 선명도는 증가하나 투과되는 영상의 선명도는 떨어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안료 사용량이 증가하여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를 야기하며, 패턴부(200)의 천공홀(224)을 중심으로 사각모양의 메시형태로 인쇄되는 메시선(222)의 사이간격이 좁아져 결국 메시선(222)에 반사되어 맺히는 영상광 간에 서로 간섭이 이루어지면서 겹쳐져 영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고르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는 모아레(jaggy) 현상을 통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 스크린(2)의 패턴부(200)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없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따라서, UHD 시대에 맞춘 4000 Pixel의 고화질 프로젝터와 메시 스크린(2)의 패턴부(200)에 대하여 상기 고화질 프로젝터의 Pixel 수와 상기 메시 스크린(2)의 메시 수를 일치시킬 경우 메시 스크린(2)의 패턴부(200)에 표시되는 영상 자체가 최적화가 되어 상기 메시 스크린(2)의 패턴부(200)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이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메시 스크린(2)의 메시 수와 상대적으로 패턴부(200)를 이루는 메시의 선 도포 폭(w)을 0.1mm~0.19mm 범위에서는 상기 패턴부(200)에서의 빛(영상광)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모아레 현상이 방지되면서 상기 메시 스크린(2)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의 선명도와 함께 투명도 역시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그리고, 제2실시예의 메시 스크린(2) 중 스크린원단(100)의 일면에 분사 도포되는 안료로서, 영상기기(60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가 이루어지면서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힐 수 있도록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 또는 알루미늄분말과 동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이 포함된 형광안료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형광안료에 수지형태의 희석제(MD)를 첨가한 혼합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때, 상기 형광안료는 안료원액 25~40중량%, 수지 10~25중량% 및 용제 40~50중량%의 성분비율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형광안료에 수지형태의 희석제(MD:MEDIUM)를 각각 1:0.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안료를 제작하여 스크린원단(100) 일면에 메시형태로 직조된 패턴부(200)를 분사 도포하여 메시 스크린(2)을 제작할 수도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여기서, 상기 희석제(MD)는 폴리계열의 에틸렌, 아마이드, 비닐, 우레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액상수지에 탄화수소계, 염소계, 알콜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를 2:8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형광안료에 희석제를 1:0.3의 비율로 첨가 혼합할 경우 상기 희석제가 첨가된 만큼 상대적으로 주원료인 형광안료가 진한 원액 상태에서 묽은 상태로 변화되면서 상기 스크린원단(100) 일면에 분사 도포되는 패턴부(200)의 메시선(222) 자체가 기설정된 0.1mm의 도포 폭(w) 보다 더 굵어지는 등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턴부(200)의 메시선(222) 도포 폭(w) 범위인 0.1mm ~ 0.19mm 중 상한치인 0.19mm에 근접하도록 넓게 퍼진 상태로 도포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한편 제2실시예의 메시 스크린(2)을 구성하는 요소 중 상기 스크린원단(100)의 경우 글라스화이바, 나일론, 면, 메탈 페브릭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실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직조되며, 제2실시예에서는 인장강도가 큰 글라스화이바로 제작된 실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직조된 메시 스크린(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또한 상기 스크린원단(100)의 메시형태로 직조된 패턴부(200)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이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각형은 벌집형태의 육각이나, 삼각, 사각, 삼각, 마름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사각으로 직조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패턴부의 메시선은 일정한 폭을 갖는 띠, 밴드 등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시 스크린(2)에 대한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도 10은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원과 관람자를 기준으로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이고,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중 패턴부가 메시형태로 직조된 스크린원단의 전체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원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상기 메시 스크린(2)을 공연장이나 행사장에 설치한 상태에서 영상기기(600)로부터 영상광이 방출되어 상기 메시 스크린(2)에 투사되게 되면, 메시 스크린(2)의 일면에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이 포함된 형광안료로 분사 도포된 패턴부(200) 즉, 글라스화이바로 제작된 실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직조된 메시 스크린(2)의 패턴부(200)를 통해 상기 영상광 중 일부는 패턴부(200)의 천공홀(224)을 통해 메시 스크린(2) 반대편으로 방출되게 되고, 일부는 형광안료가 분사 도포된 패턴부(200)의 메시선(222)을 통해 관람자 측으로 반사되면서 상기 메시 스크린(2)의 일면에 형광안료가 분사 도포된 패턴부(200)에 홀로그램 영상이 맺혀 표시되게 되어 상기 패턴부(200)를 통해 메시 스크린(2)에 맺힌 홀로그램 영상을 관람자가 보다 선명하게 관람할 수 있고, 상기 홀로그램 영상은 도 10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30.07.2015]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Claims (18)

  1.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 중 일부는 투사시키고 일부는 반사시켜서 관람자 측으로 홀로 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팬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의 전체 면적 대비 10.25% 이상 19.4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메시선의 폭은 0.1mm 이상 0.19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그라비아방식으로 필름 상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스프레이방식으로 스크린원단 상에 도포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안료는 안료원액,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상기 안료원액 25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 상기 수지 10중량% 이상 25중량% 이하, 상기 용제 40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의 성분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형광안료, 무광안료 또는 이들 중 하나에 수지형태의 희석제가 혼합된 혼합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안료는 형광안료 또는 무광안료와 상기 희석제가 각각 1:0.3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안료는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안료를 포함하는 상기 패턴부는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안료는 흰색, 회색 및 검은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이며, 상기 무광안료를 포함하는, 패턴부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폴리계열의 에틸렌, 아마이드, 비닐, 우레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액상수지와 탄화수지, 염소계, 알콜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상기 액상수지와 상기 용제가 2:8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PET, PC, PE, PP, PVC,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원단은 글라스화이바, 나일론, 면, 메탈페브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메시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비정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벌집형태의 육각이나, 삼각, 사각, 마름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패턴 면적 비율을 구하는 계산식은,
    ① 필름 전체면적: 가로길이×세로길이
    ② 패턴부 타공면적: 각 모양의 천공홀(22) 1개 면적×개수의 합
    ③ 패턴부 인쇄면적: 필름 전체면적-패턴부 타공면적
    ④ 필름 전체면적 대비 패턴부 인쇄면적 비율 = 패턴부 인쇄면적/필름 전체면적×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원단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도포면적을 구하는 계산식은,
    ① 스크린원단 전체면적: 가로길이×세로길이
    ② 패턴부 타공면적: 사각 천공홀 1개 면적×개수
    ③ 패턴부 도포면적: 스크린원단 전체면적-패턴부 타공면적
    ④ 스크린원단 전체면적 대비 패턴부 도포면적 비율 = 패턴부 도포면적/스크린원단 전체면적×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PCT/KR2015/007275 2014-05-14 2015-07-14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WO201517480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83 2014-05-14
KR1020140057583A KR101582164B1 (ko) 2014-05-14 2014-05-14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KR1020140057584A KR20150130694A (ko) 2014-05-14 2014-05-14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KR10-2014-0057584 201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4807A2 true WO2015174807A2 (ko) 2015-11-19
WO2015174807A3 WO2015174807A3 (ko) 2015-12-30

Family

ID=5448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275 WO2015174807A2 (ko) 2014-05-14 2015-07-14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174807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5318B1 (ja) * 2002-05-24 2004-01-13 Nbc株式会社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US20040120667A1 (en) * 2002-12-23 2004-06-24 Eastman Kodak Company Walled network optical component
US7274508B2 (en) * 2004-10-15 2007-09-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flective projection screen with angled sidewalls
KR101452435B1 (ko) * 2012-09-06 2014-10-23 최중선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4807A3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9497B (zh) 反射屏及其制造方法
KR101452435B1 (ko)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
US8169700B2 (en) Reflective screen
US20050041286A1 (en) Front projection screen and systems using same
US20160350053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80174865A1 (en) Projection screen with digitally printed overscan border
KR20150130694A (ko)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WO2015174807A2 (ko)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KR20160079746A (ko)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CN107861329A (zh) 一种荧光幕面
CN203825353U (zh) 用于短焦投影设备的定向增光和抗环境光投影屏幕
KR101582164B1 (ko)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DE112005001174T5 (de) Ein Verfahren und ein System zum Bestimmen des Orts eines bewegbaren Icons auf einer Anzeigeoberfläche
JP5870555B2 (ja) マイクロルーバー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946801B1 (ko) 패턴이 나타나는 영사기용 전면 스크린
KR101885512B1 (ko) 전자칠판용 플라스틱 스크린의 제조방법
KR20190006340A (ko) 홀로그램 스크린
KR20170135407A (ko) 전자칠판용 플라스틱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CN207818115U (zh) 一种led喷绘互动墙
US20080180797A1 (en) Screen having image viewable only in ambient light
KR20160054828A (ko)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JP3143023U (ja) 投影装置用スクリーン
JP2551670Y2 (ja) 映写スクリーン装置
JP2008006813A (ja) 立体構造物
JPH0627533A (ja) 投射形ディスプレイ用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929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929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