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405B1 -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405B1
KR102445405B1 KR1020210123933A KR20210123933A KR102445405B1 KR 102445405 B1 KR102445405 B1 KR 102445405B1 KR 1020210123933 A KR1020210123933 A KR 1020210123933A KR 20210123933 A KR20210123933 A KR 20210123933A KR 102445405 B1 KR102445405 B1 KR 102445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safety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일
조원균
김현지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1012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405B1/ko
Priority to KR1020220115410A priority patent/KR2023004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 근로자가 사용하는 근로자 단말기; 상기 건설현장에서 안전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어서 상기 건설 근로자의 무사고 작업 출입을 확인하는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 및 상기 근로자 단말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건설 근로자의 상기 건설현장 출입 이력을 포함하는 상기 건설 근로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건설 근로자의 무재해 활동에 대한 보상인 안전 포인트의 적립을 관리하는 포인트 적립 관리부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건설현장에서의 사고 발생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는 상기 사고 발생 데이터 및 상기 건설 근로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 포인트를 생성하는,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CENTIVE TO WORKER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IN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서, 다양한 공종과 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므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관리와 운용, 및 투입 인력에 대한 안전관리가 중요하다. 하지만, 건설현장은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기인하는 위험성이나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된다. 또한, 걸설현장에는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서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작업자들의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수가 극히 적고, 실외 작업시 현장 관리자의 통제와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이 발생하여 건설현장의 인력에 대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건설현장 인력에 대한 안전사고나 비효율적인 인력관리는 전체적인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및 공사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7-0006095호에는 현장 근로자가 위험지역에 인접하면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20-0121699호에는 현장내의 작업자들의 작업내용을 실시간을 파악하여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작업을 분석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 공개번호 제10-2017-0006095호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2017.01.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0-0121699호 "건설현장 작업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작업일보 생성을 통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2020.10.26)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근로자의 자발적인 안전관리 동기 부여를 유도할 수 있는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 근로자가 사용하는 근로자 단말기; 상기 건설현장에서 안전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어서 상기 건설 근로자의 무사고 작업 출입을 확인하는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 및 상기 근로자 단말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건설 근로자의 상기 건설현장 출입 이력을 포함하는 상기 건설 근로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건설 근로자의 무재해 활동에 대한 보상인 안전 포인트의 적립을 관리하는 포인트 적립 관리부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건설현장에서의 사고 발생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는 상기 사고 발생 데이터 및 상기 건설 근로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 포인트를 생성하는,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근로자의 무사고 작업을 포함한 무재해 활동 기간에 비례하여 가중치가 증가함으로써 장기간 무재해 유지시 보상 혜택이 증가하고, 사고 발생시에는 가중치가 초기화되어서 보상 혜택이 감소한다. 그에 따라, 보상 혜택을 유지하기 위하여, 장기간 지속적인 안전의식을 가지고 안전하게 작업에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현장근로자들의 안전의식이 내재화 되어 안전사고의 예방 및 재해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에서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 발생의 예방과 관련한 인센티브를 근로자에게 체계적으로 지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의 자발적인 안전관리 동기 부여를 유도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100)은,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 근로자들 각각이 사용하는 근로자 단말기(110)와, 건설현장에서 작업 및 안전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120)와, 건설현장에 설치되어서 건설 근로자들 각각의 무사고 작업을 인증하는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와, 안전관련 교육이수를 인증하는 교육 확인 단말기(135)와, 안전과 관련된 인센티브를 관리하는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와, 근로자의 인센티브 사용과 관련하여 연계된 제휴 포인트를 관리하는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160)를 포함한다. 근로자 단말기(110), 관리자 단말기(120),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 교육 확인 단말기(135),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 및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160)는 인터넷 통신망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과 관련된 인센티브는 건설 근로자들 각각의 무재해 관련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되는 안전 포인트인 것으로 설명한다. 즉,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100)은 안전 포인트의 생성, 지급 및 사용을 관리한다.
근로자 단말기(110)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 근로자들 각각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통신 네트워크(N)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근로자 단말기(110)는 통신 네트워크(N)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근로자 단말기(110)에는 안전 포인트의 관리를 위한 인센티브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건설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기(110)에 설치된 인센티브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에 접속되어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100)에 가입하여 건설 근로자의 지위로 등록하고 안전 포인트의 적립, 관리 및 사용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건설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기(110)에 설치된 인센티브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전사고 예방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를 시청하고, 안전사고 관련 위험요소의 해소를 위한 신고/제안을 등록하며, 지급받은 안전 포인트의 이력을 확인하고, 지급받은 안전 포인트의 사용 가능 수단으로의 전환을 신청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20)는 건설현장에서 작업 및 안전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통신 네트워크(N)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기(120)는 통신 네트워크(N)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일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120)에는 근로자의 안전 포인트를 관리하기 위한 인센티브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20)에 설치된 인센티브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에 접속되어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100)에 가입하여 관리자의 지위로 등록하고, 건설 근로자의 안전 포인트 이력을 확인하며, 안전사고 예방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의 업로드 및 수정이 가능하고, 건설 근로자가 등록한 안전사고 관련 위험요소의 해소를 위한 신고/제안의 검토 및 승인이 가능하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관련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는 건설현장에 설치되어서 건설 근로자들 각각의 무사고 작업일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로서, 통신 네트워크(N)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는 통신 네트워크(N)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는 근로자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QR 코드 및 NFC 등과 같은 본인 인증 수단을 확인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건설현장 무사고 일수 이력은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로 전송되어서 관리된다.
교육 확인 단말기(135)는 건설현장에 설치되어서 건설 근로자들 각각의 교육 이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로서, 통신 네트워크(N)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육 확인 단말기(135)는 통신 네트워크(N)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육 확인 단말기(135)는 근로자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QR 코드 및 NFC 등과 같은 본인 인증 수단을 확인하여 근로자의 교육을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교육 출입 확인 단말기(135)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안전교육 이수 이력은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로 전송되어서 관리된다.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안전 포인트를 관리하는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을 제공한다.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건설 근로자들 각각의 무재해 관련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적합한 안전 포인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전 포인트를 지급하며, 지급된 안전 포인트의 사용을 위해 지급된 안전 포인트에 대한 사용 가능 수단으로의 전환 절차를 수행한다. 도 2에는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건설 근로자 및 관리자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안전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와, 건설현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143)와, 안전사고 예방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가 저장되는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와, 건설 근로자가 등록한 안전관련 신고/제안이 저장되는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와, 근로자의 안전 포인트 사용과 관련하여 연계된 제휴 포인트의 정보가 저장되는 제휴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6)와,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47)와,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을 위한 통신부(148)와, 안전 포인트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는 건설 근로자 및 관리자의 정보(이름, 국적, 주소, 연락처 등)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되는 건설 근로자 및 관리자의 정보는 근로자 단말기(110) 또는 관리자 단말기(120)를 통해 새로 입력되거나 수정 또는 삭제되는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건설 근로자에 대한 정보는 건설현장 출입 이력 및 사고 발생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는 안전 포인트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건설 근로자 별로 안전 포인트의 생성 및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적립 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안전 포인트의 생성에 대한 정보는 가중치 발생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143)에는 건설현장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143)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143)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143)에 저장된 무사고 일수에 따른 포인트 지급기준에 대한 정보는 안전 포인트 생성 시 가중치 데이터로 활용된다.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에는 안전사고 예방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가 저장된다.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된 교육 콘텐츠는 근로자 단말기(1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근로자 단말기(110)로 전송되어서 제공될 수 있다. 신규 교육 콘텐츠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에 업로드될 수 있고, 관리자는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된 교육 콘텐츠를 관리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에는 저정된 교육 콘텐츠의 사용 내역(제공된 근로자 단말기, 제공 시각, 스트리밍 서비스 시간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에는 건설 근로자가 등록한 신고/제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신고/제안은 안전 위험요소를 신고하는 신고도 포함한다.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에 건설 관리자에 의해 신고/제안이 새로 등록되면 제어부(145)는 해당 건설 현장의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120)로 전송하여 검토 및 승인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에는 신고 및 제안에 대한 관리자의 검토 및 승인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된 승인 정보는 안전 포인트의 생성 데이터로 활용된다.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제휴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6)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된다. 제휴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6)에는 근로자의 안전 포인트를 제휴 포인트로 전환하기 위한 포인트 전환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50)는 근로자의 안전 포인트는 제휴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6)에 저장된 포인트 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160)에 포인트 전환을 요청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계된 제휴 포인트가 네이버페이 포인트(N포인트)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휴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6)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47)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된다.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47)에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47)에 저장되는 안전사고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사고 발생 등록 데이터에 기초한다.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47)에 저장되는 안전사고에 대한 정보는 발생한 안전사고의 건설현장, 시간 및 관련 근로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148)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서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한 근로자 단말기(110), 관리자 단말기(120),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 교육 확인 단말기(135) 및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160)와의 통신에 사용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143),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 제휴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6) 및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47)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통신부(148)를 통해 근로자 단말기(110), 관리자 단말기(120),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130), 교육 확인 단말기(135) 및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16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안전 포인트를 관리하는 포인트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부(150)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포인트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제어부(15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건설 근로자의 건설현장 출입을 관리하는 근로자 출입 관리부(151)와, 안전 포인트의 적립을 관리하는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와, 안전 포인트의 사용을 관리하는 포인트 사용 관리부(153)를 구비한다.
근로자 출입 관리부(151)는 건설현장에 설치된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도 1의 130)로부터 전송되는 건설 근로자의 건설현장 출입 정보를 이용하여 건설 근로자의 출입을 관리한다. 근로자 출입 관리부(151)는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출입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건설 근로자 별로 저장한다.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는 건설 근로자 별로 안전 포인트의 생성 및 지급을 관리한다. 도 4에는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에 의해 수행되는 안전 포인트의 적립 방법이 순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인트 적립 대상 근로자가 확인되는 근로자 확인 단계(S10)와,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근로자에 대한 사고 발생 여부가 근로자의 작업일 별로 확인되는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와,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연속 무사고 일수가 누적되는 무사고 일수 누적 단계(S21)와,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근로자가 수행한 작업의 무사고가 확인되는 무사고 작업 일수 확인 단계(S23)와,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연속 무사고 일수가 초기화되는 무사고 일수 초기화 단계(S25)와,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근로자의 안전 교육 이수가 인증되는 교육 이수 인증 단계(S30)와,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근로자가 등록한 안전 신고/제안의 승인 여부가 확인되는 신고/제안 승인 확인 단계(S40)와,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근로자에게 지급할 안전 포인트가 생성되는 포인트 생성 단계(S50)와, 포인트 생성 단계(S50)를 통해 생성된 포인트가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포인트 지급 단계(S60)를 포함한다.
근로자 확인 단계(S10)에서는 안전 포인트의 적립 대상 건설 근로자가 확인된다. 근로자 확인 단계(S10)는 제어부(150)의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건설 근로자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근로자 확인 단계(S10)에 의해 건설 근로자의 안전 포인트 적립 대상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서는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에 대한 사고 발생 여부가 작업자의 작업일 별로 확인된다.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는 제어부(150)의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가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47)에 저장된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무사고 일수 누적 단계(S21)가 수행된다.
무사고 일수 누적 단계(S21)에서는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해당 건설 근로자의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를 추가하여 누적시킨다. 무사고 일수 누적 단계(S21)는 제어부(150)의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에 의해 수행된다.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에 따라 포인트 생성 단계(S50)에서 생성되는 안전 포인트가 달라진다.
무사고 작업 일수 확인 단계(S23)는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건설 근로자가 수행한 작업의 일수에 따라 지급할 포인트를 확인된다. 예를 들어, 작업일수는 3개월(90일) 마다 100P가 증가된다. 무사고 작업 일수 확인 단계(S23)는 제어부(150)의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가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의 작업일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무사고 일수 초기화 단계(S25)에서는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연속 무사고 일수가 초기화된다. 무사고 일수 누적 단계(S21)는 제어부(150)의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에 의해 수행된다.
교육 이수 인증 단계(S30)에서는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안전 교육 이수가 인증된다. 교육 이수 인증 단계(S30)는 제어부(150)의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가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된 교육 콘텐츠의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교육 이수 인증 단계(S30)에서 인증되는 안전 교육 이수에 의해 포인트 생성 단계(S50)에서 안전 포인트가 생성된다.
신고/제안 승인 확인 단계(S40)에서는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가 등록한 안전 신고/제안의 승인 여부가 확인된다. 신고/제안 승인 확인 단계(S40)는 제어부(150)의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가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된 신고 및 제안에 대한 관리자의 검토 및 승인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신고/제안 승인 확인 단계(S40)에서 확인되는 신고/제안 승인에 의해 포인트 생성 단계(S50)에서 안전 포인트가 생성된다.
포인트 생성 단계(S50)에서는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에게 지급할 안전 포인트가 생성된다. 포인트 생성 단계(S50)는 제어부(150)의 포인특 적립 관리부(152)가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 의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일일 무사고 작업 여부, 교육 이수 인증 단계(S3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교육 이수 인증 상태 및 신고/제안 승인 확인 단계(S4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신고/제안 승인 상태를 기초로 건설 근로자에게 지급할 안전 포인트를 생성함으로써 수행된다.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S20)에 의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일일 무사고 작업 여부에 따라 일별로 생성되는 안전 포인트는 무사고 일수 누적 단계(S21)에서 산출되는 해당 건설 근로자의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에 따라 차등을 두어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가 1일 ~ 3개월인 경우 생성되는 안전 포인트는 100,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가 3개월 ~ 6개월인 경우 생성되는 안전포인트 200,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가 6개월 ~ 12개월인 경우 생성되는 안전포인트 300 ~ 400,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가 1년 ~ 2년인 경우 생성되는 안전포인트 500 ~ 800,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가 3년 이상인 경우 생성되는 안전포인트 900 ~ 1,200일 수 있다.
교육 이수 인증 단계(S3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교육 이수 인증에 따라 생성되는 안전 포인트는 교육 이수 건수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교육 이수 건별로 생성되는 안전 포인트는 이수한 교육에 따라 차등을 두어서 5 ~ 1,000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차등 없이 교육 이수 건별로 모두 동일한 교육 포인트(예를 들어, 1000 포인트)가 생성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신고/제안 승인 확인 단계(S40)를 통해 확인된 건설 근로자의 신고/제안 승인에 따라 생성되는 안전 포인트는 신고/제안 승인 건수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신고/제안 승인 건별로 생성되는 안전 포인트는 500일 수 있다.
포인트 지급 단계(S50)에서는 포인트 생성 단계(S50)를 통해 생성된 안전 포인트가 근로자 확인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해당 건설 근로자에게 지급되어서 적립된다. 포인트 지급 단계(S50)는 제어부(150)의 포인트 적립 관리부(152)가 포인트 생성 단계(S50)를 통해 생성된 안전 포인트를 해당 건설 근로자에게 지급하고, 지급 내역을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하며 근로자 단말기(12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포인트 사용 관리부(153)는 건설 근로자의 안전 포인트 사용을 관리한다. 건설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적립된 안전 포인트의 사용이 용이한 사용 수단으로의 전환을 요청하는데, 사용이 용이한 사용 수단은 사용이 용이한 제휴 포인트 또는 현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휴 포인트는 네이퍼페이 포인트(N포인트)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포인트 사용 관리부(153)는 근로자가 전환 요청한 안전 포인트에 대하여 대응하는 제휴 포인트 또는 현금으로의 전환시킨다. 안전 포인트가 제휴 포인트로 전환되는 경우, 포인트 사용 관리부(153)는 제퓨 포인트 관리 서버(160)에 접속하여 안전 포인트의 제휴 포인트로의 전환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포인트 사용 관리부(153)에 의해 수행된 안전 포인트의 전환이 반영되어서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안전 포인트의 적립 내역이 수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 포인트의 제휴 포인트로의 전환은 국내 건설 근로자에게 적용되며, 안전 포인트의 현금으로의 전환은 외국인 건설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160)는 건설 근로자의 안전 포인트의 사용과 관련하여 연계된 제휴 포인트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160)가 네이버페이 포인트(N포인트)를 관리하는 서버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160)는 포인트 사용 관리부(153)로부터 전송되는 안전 포인트의 제휴 포인트로의 전환 신청에 대응하여 안전 포인트를 대응하는 제휴 포인트로 전환시킨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110 : 근로자 단말기 120 : 관리자 단말기
130 : 무사고 출입 확인 단말기 135 : 교육 확인 단말기
140 :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
141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42 : 인센티브 정보 데이터베이스
143 : 현장 정보 데이터베이스 144 :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145 :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 146 : 제휴 포인트 데이터베이스
147 :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 148 : 통신부
150 : 제어부 151 : 근로자 출입 관리부
152 : 포인트 적립 관리부 153 : 포인트 사용 관리부
160 : 제휴 포인트 관리 서버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건설현장의 건설 근로자가 사용하는 근로자 단말기, 상기 건설현장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어서 상기 건설 근로자의 출입을 확인하는 출입 확인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인센티브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건설 근로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건설 근로자의 상기 건설현장 출입을 관리하는 근로자 출입 관리부와, 상기 건설 근로자의 무재해 활동에 대한 보상인 안전 포인트의 적립을 관리하는 포인트 적립 관리부와, 상기 건설현장에서의 사고 발생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안전사고 예방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가 저장된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건설 근로자가 상기 근로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등록한 안전 신고/제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출입 확인 단말기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건설 근로자의 상기 건설현장 출입 정보가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부에 의해 근로자 출입 정보 데이터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하여 상기 안전사고와 관련된 근로자의 정보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되어서 상기 사고 발생 데이터로서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건설 근로자의 상기 건설현장 출입 정보를 확인하는 근로자 확인 단계;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가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상기 건설 근로자의 이수를 확인하는 교육 이수 인증 단계;
    상기 안전 신고/제안에 대한 상기 관리자에 의한 승인 여부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안전 신고/제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가 상기 안전 신고/제안에 대한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신고/제안 승인 확인 단계;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가 상기 사고 발생 데이터로부터 상기 안전사고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사고에 대한 상기 건설 근로자의 관련 여부를 확인하는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
    상기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건설 근로자가 관련된 안전사고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가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를 상기 건설 근로자 별로 추가하여 누적시키는 무사고 일수 누적 단계;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가 상기 안전 포인트 적립 대상 건설 근로자에게 작업일 마다 지급할 상기 안전 포인트가 생성되는 포인트 생성 단계; 및
    상기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건설 근로자가 관련된 안전사고가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가 상기 안전사고에 관련된 상기 건설 근로자의 상기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를 초기화 하는 무사고 일수 초기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트 생성 단계에서,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는 상기 안전 포인트를 상긴 무사고 일수 누적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건설 근로자의 상기 연속 무사고 작업 일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차등을 두어서 생성하며,
    상기 포인트 생성 단계에서, 상기 포인트 적립 관리부는 상기 교육 이수 인증 단계를 통해 확인된 상기 건설 근로자의 교육 이수 인증 및 상기 신고/제안 승인 확인 단계를 통해 확인된 상기 신고/제안 승인에 따라 상기 안전 포인트를 추가로 생성하는,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건설 근로자에 의한 사고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건설 근로자가 수행한 작업의 일수에 따라 지급할 포인트가 확인되는 작업 일수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123933A 2021-09-16 2021-09-16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33A KR102445405B1 (ko) 2021-09-16 2021-09-16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15410A KR20230041621A (ko) 2021-09-16 2022-09-14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33A KR102445405B1 (ko) 2021-09-16 2021-09-16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410A Division KR20230041621A (ko) 2021-09-16 2022-09-14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405B1 true KR102445405B1 (ko) 2022-09-20

Family

ID=834465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933A KR102445405B1 (ko) 2021-09-16 2021-09-16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15410A KR20230041621A (ko) 2021-09-16 2022-09-14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410A KR20230041621A (ko) 2021-09-16 2022-09-14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5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127B1 (ko) * 2022-10-31 2023-07-20 디알씨티에스(주) 보안성이 강화된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626B1 (ko) * 2023-04-26 2024-04-2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41A (ko) * 2007-07-26 2009-02-02 이형운 포인트 거래 시스템
KR101483925B1 (ko) * 2014-11-25 2015-01-20 이요훈 스마트 안전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50047656A (ko) * 2013-10-23 2015-05-06 오성우 Rfid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의 무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4228B1 (ko) *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20200121699A (ko) 2019-04-16 2020-10-26 양경옥 건설현장 작업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작업일보 생성을 통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41A (ko) * 2007-07-26 2009-02-02 이형운 포인트 거래 시스템
KR20150047656A (ko) * 2013-10-23 2015-05-06 오성우 Rfid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의 무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83925B1 (ko) * 2014-11-25 2015-01-20 이요훈 스마트 안전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4228B1 (ko) *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20200121699A (ko) 2019-04-16 2020-10-26 양경옥 건설현장 작업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작업일보 생성을 통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127B1 (ko) * 2022-10-31 2023-07-20 디알씨티에스(주) 보안성이 강화된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621A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405B1 (ko)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Holdsworth Practical applications approach to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69547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 management for facility maintenance
US20080201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quipment tracking and preventative maintenance scheduling and verification
KR102131513B1 (ko) Nfcqr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US200701564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ircraft maintenance and material supply
KR102197286B1 (ko)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38757B1 (ko)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102216365B1 (ko)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Grau et al. Benefits of on-site design to project performance measures
KR20210049652A (ko) 클라우드 기반 가전제품 거래 o2o 설치 중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20200043306A (ko) 작업장 안전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41390A (ko)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09117A (ko) 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70126700A (ko) 고용인 및 피고용인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 시스템 및 운용방법
Yoon et al. Manufacturing information bus from the perspective of cyber physical manufacturing system (cpms)
KR101036936B1 (ko) 스마트 폰 기반 외부 증권업무처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94659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urce management and certification
Palassis et al. A new American management systems standard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ANSI Z10
KR10056962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KR20220078928A (ko) 건설산업현장 근로자를 위한 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32723B1 (ko)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WO2022254934A1 (ja) 作業管理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Hesla et al. Maintenance Management of Multiple Plants
Denmark COPENHAGEN & DEN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