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626B1 -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626B1
KR102661626B1 KR1020230055065A KR20230055065A KR102661626B1 KR 102661626 B1 KR102661626 B1 KR 102661626B1 KR 1020230055065 A KR1020230055065 A KR 1020230055065A KR 20230055065 A KR20230055065 A KR 20230055065A KR 102661626 B1 KR102661626 B1 KR 10266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identity
workers
uni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김서현
남혁우
홍승권
김제훈
백정현
육태호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주)지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주)지에스티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handwritten sign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은, 현장 작업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확인 디바이스와, 신원확인 디바이스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작업장의 출입유무를 결정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및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과한 작업자의 안전 교육을 실하는 안전교육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Worker human error prevention field safety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는 주로 작업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작업 관리자 역시, 작업자의 현장 투입전 신체검사에 대한 규정과 안전 수칙의 기준이 애매하고, 기업별로 상이하여 제대로 된 작업자의 신체관리를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작업자의 신체 변화에 의한 사고는 예측뿐만 아니라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도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아침 현장 투입 전, 작업자들의 건강체크를 구두로만 체크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 변화에 따른 위험을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장 투입전, 작업자들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150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 현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작업 현장의 출입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현장 출입 여부와 건강 체크 및 안전 교육을 원스톱으로 진행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은, 현장 작업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확인 디바이스와,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작업장의 출입유무를 결정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과한 작업자의 안전 교육을 실시하는 안전교육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성명을 입력하는 성명 입력부와, 상기 작업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핸드폰 번호 입력부 및 상기 성명 입력부에 기재된 성명이 작업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본인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와, 상기 작업자의 음주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 및 음주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교육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보직에 따른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시청각 교육부 및 상기 시청각 교육부를 통해 안전교육을 이수한 작업자에게 이수증을 발급하는 이수증 발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방법은, 현장 작업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확인 단계와,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작업장의 출입유무를 결정하는 헬스케어 단계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과한 작업자의 안전 교육을 실시하는 안전교육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작업 현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작업 현장의 출입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현장 출입 여부와 건강 체크 및 안전 교육을 원스톱으로 진행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이 적용된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의 신원확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의 안전교육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이 적용된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의 신원확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의 안전교육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100)은, 신원확인 디바이스(110), 헬스케어 디바이스(120), 안전교육 디바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원확인 디바이스(110)는 현장 작업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 작업장은 건설 현장, 공장 또는 출입이 제한된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원확인 디바이스(110)는 성명 입력부(111), 핸드폰 번호 입력부(112), 본인 확인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성명 입력부(111)는 작업자의 성명을 입력하는 부분으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부(123)에 표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핸드폰 번호 입력부(112)는 작업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부분으로 디스플레이부(123)에 표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인 확인부(113)는 성명 입력부(111)에 입력된 성명이 작업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것으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핸드폰 번호 입력부(112)에 입력된 핸드폰 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검증받음으로써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신원확인 디바이스(110)는 지문 인식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기(114)는 작업자의 지문을 확인함으로써 작업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지문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 후, 지문 인식기(114)에 인식된 지문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기(114)는 키오스크(10)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기(114)는 키오스크(10)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기(114)는 키오스크(10)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신원확인 디바이스(110)는 안면 인식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면 인식기(115)는 작업자의 안면을 확인함으로써 작업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안면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 후, 안면 인식기(115)에 인식된 안면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안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면 인식기(115)는 키오스크(10)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면 인식기(115)는 키오스크(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안면 인식기(115)는 키오스크(10)의 중간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키오스크(10)의 하단부에는 휴대폰 또는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받침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원확인 디바이스(110)는 홍채 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홍채 인식기는 작업자의 홍채를 확인함으로써 작업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홍채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 후, 홍채 인식기에 인식된 홍채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홍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홍채 인식기는 키오스크(10)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홍채 인식기는 키오스크(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홍채 인식기는 키오스크(10)의 중간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디바이스(120)는 신원확인 디바이스(110)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작업장의 출입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디바이스(120)는 체온 측정부(121), 음주 측정부(122), 디스플레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체온 측정부(121)는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23)에서 출력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 측정부(121)에서 측정한 작업자의 체온은 디스플레이부(123)에 출력됨과 동시에 작업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일 경우, 녹색 전구가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체온 측정부(121)에서 측정한 작업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빨간색 전구가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3)에 출력된 체온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됨과 동시에 작업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관리자는 작업자의 체온이 정상인지 또는 비정상인지를 확인하여 작업장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주 측정부(122)는 작업자의 음주를 측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주 측정부(122)는 작업자의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23)에서 출력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주 측정부(122)에서 측정한 작업자의 혈중알콜농도는 디스플레이부(123)에서 출력됨과 동시에 작업자의 혈중알콜농도가 정상 범위일 경우, 녹색 전구가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음주 측정부(122)에서 측정한 작업자의 혈중알콜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빨간색 전구가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3)에 출력된 작업자의 혈중알콜농도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됨과 동시에 작업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관리자는 작업자의 혈중알콜농도가 정상범위 인지 비정상범위인지를 확인하여 작업장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주 측정부(122)는 작업자의 음성을 통해 음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23)에 표시된 문장을 정확한 발음으로 정해진 시간내에 읽음으로써 음주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을 허용할 수 있고, 작업자가 디스플레이부(123)에 표시된 문장을 정확하지 않은 발음으로 정해진 시간 내에 읽지 못하면 음주 상태로 판단하여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읽은 문장을 통해 음주 여부를 판단한 자료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됨과 동시에 작업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3)는 각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3)는 키오스크(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3)는 키오스크(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3)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출력되는 위치가 변동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는 신원확인 디바이스(110)의 자료 및 헬스케어 디바이스(120)의 측정된 자료를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작업자의 건강 상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베이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볼록체인 네트워크는 알려진 바와 같이, 블록에 정보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정보 저장 기술이며,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정보를 보관하지 않고, 모든 작업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에게 정보를 보내주며, 작업자가 출입할 때마다 모든 작업자들이 정보를 공유하여 대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의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는 이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베이스는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된 정보를 대한 업데이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업데이트 이벤트에 매칭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볼록체인 업데이트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경우, 데이터 베이스는 블록체인 저장 과정, 블록체인 업데이트 과정, 정보 활용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저장 과정은 데이터 베이스가 획득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가 신원확인 디바이스(11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해달라는 요청 신호인 블록체인 컨펌을 발생시키면, 블록체인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 컨펌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인접 노드에 전파하여 블록체인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정보 중 일부 만을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업데이트 과정은,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업데이트 이벤트에 매칭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블록체인 업데이트 저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블록체인 업데이트 과정은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업데이트 이벤트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정보에 대한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을 블록체인 노드에 요청하는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 요청 과정과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이 요청되는 경우,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에 기반한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인접 노드에 전파하여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을 완료하고,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의 완료를 통보하는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 완료 통보 과정을 거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베이스는 업데이트 요청, 업데이트 컨펌 및 업데이트 컨펌 완료를 지시하는 블록체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디바이스(120)에서 측정된 자료가 작업 관리자에게 전송될 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디스플레이부(123)와 작업 관리자의 단말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net work)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디바이스(120)는 심박수 측정부는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심박수 측정부는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23)에서 출력되도록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수 측정부에서 측정된 작업자의 심박수가 정상 범위일 경우, 녹색 전구가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심박수 측정부에서 측정된 작업자의 심박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빨간색 전구가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심박수 측정부에서 측정되어 디스플레이부(123)에서 출력된 심박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됨과 동시에 작업 관리자에게 전송되고, 작업 관리자는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교육 디바이스(130)는 헬스케어 디바이스(120)를 통과한 작업자의 안전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교육 디바이스(130)는 시청각 교육부(131), 이수증 발급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청각 교육부(131)는 작업자의 보직에 따른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교육은 작업자의 보직에 따른 특화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e-learning 시스템이 도입될 수 있고, 작업장의 보완 및 안전의식 수준 향상을 위한 세분화된 e-learning 시스템이 도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수해야 할 교육 내용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시청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유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교육 몰입도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청각 교육부(131)는 비상 대피로 안내, 소화기 위치 또는 재난시 대피요령 및 응급처치 방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수증 발급부(132)는 시청각 교육부를 통해 안전교육을 이수한 작업자에게 이수증을 발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수증 발급부(132)는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출력됨은 물론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자 또는 작업 관리자의 메일 또는 핸드폰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방법은 현장 작업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확인 단계와,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작업장의 출입유무를 결정하는 헬스케어 단계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과한 작업자의 안전 교육을 실시하는 안전교육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110: 신원확인 디바이스
111: 성명 입력부
112: 핸드폰 번호 입력부
113: 본인 확인부
114: 지문 인식기
115: 안면 인식기
120: 헬스케어 디바이스
121: 체온 측정부
122: 음주 측정부
123: 디스플레이부
130: 안전교육 디바이스
131: 시청각 교육부
132: 이수증 발급부
10: 키오스크

Claims (6)

  1. 현장 작업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확인 디바이스;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작업장의 출입유무를 결정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과한 작업자의 안전 교육을 실시하는 안전교육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성명을 입력하는 성명 입력부; 및
    상기 성명 입력부에 기재된 성명이 작업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본인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인 확인부는,
    상기 작업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핸드폰 번호 입력부;
    상기 작업자의 지문을 확인하는 지문 인식기;
    상기 작업자의 안면을 확인하는 안면 인식기; 및
    상기 작업자의 홍채를 확인하는 홍채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상기 작업자의 음주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부;
    상기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와 음주 측정부 및 심박수 측정에서 측정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의 정보 및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자료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인 확인부는 핸드폰 번호 입력부에 입력된 핸드폰 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인증번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하여 검증받음으로써 작업자 본인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지문 인식기에 인식된 작업자의 지문 또는 상기 안면 인식기에 인식된 작업자의 안면 또는 상기 홍채 인식기에 인식된 작업자의 홍채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자의 자료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자 본인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자료는 작업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작업 관리자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을 제한하고,
    상기 안전교육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보직에 따른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시청각 교육부; 및
    상기 시청각 교육부를 통해 안전교육을 이수한 작업자에게 이수증을 발급하는 이수증 발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청각 교육부는 비상 대피로 안내, 소화기 위치 또는 재난시 대피요령 및 응급처치 방법을 제공하는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현장 작업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신원을 신원확인 디바이스에서 확인하는 신원확인 단계;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작업장의 출입유무를 결정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단계;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과한 작업자의 안전 교육을 실시하는 안전교육 디바이스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성명을 입력하는 성명 입력부; 및
    상기 성명 입력부에 기재된 성명이 작업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본인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인 확인부는,
    상기 작업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핸드폰 번호 입력부;
    상기 작업자의 지문을 확인하는 지문 인식기;
    상기 작업자의 안면을 확인하는 안면 인식기; 및
    상기 작업자의 홍채를 확인하는 홍채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상기 작업자의 음주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부;
    상기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와 음주 측정부 및 심박수 측정에서 측정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원확인 디바이스의 정보 및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자료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인 확인부는 핸드폰 번호 입력부에 입력된 핸드폰 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인증번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하여 검증받음으로써 작업자 본인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지문 인식기에 인식된 작업자의 지문 또는 상기 안면 인식기에 인식된 작업자의 안면 또는 상기 홍채 인식기에 인식된 작업자의 홍채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자의 자료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자 본인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자료는 작업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작업 관리자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장 출입을 제한하고,
    상기 안전교육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보직에 따른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시청각 교육부; 및
    상기 시청각 교육부를 통해 안전교육을 이수한 작업자에게 이수증을 발급하는 이수증 발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청각 교육부는 비상 대피로 안내, 소화기 위치 또는 재난시 대피요령 및 응급처치 방법을 제공하는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방법.
KR1020230055065A 2023-04-26 2023-04-26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66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065A KR102661626B1 (ko) 2023-04-26 2023-04-26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065A KR102661626B1 (ko) 2023-04-26 2023-04-26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626B1 true KR102661626B1 (ko) 2024-04-26

Family

ID=9088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065A KR102661626B1 (ko) 2023-04-26 2023-04-26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6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0806A (ko) *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코아칩스 자가발전 웨어러블 무선 전송기를 이용한 방재 관제 시스템
KR20210107518A (ko) * 2020-02-24 2021-09-01 김현수 건설현장 근로자의 보건 안전 및 관리 시스템
KR102371506B1 (ko) 2021-10-07 2022-03-10 강남앤인코누스 주식회사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6279A (ko) * 2020-10-27 2022-05-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 비전 감시 장치
KR20230041621A (ko) * 2021-09-16 2023-03-24 현대건설(주)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0806A (ko) *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코아칩스 자가발전 웨어러블 무선 전송기를 이용한 방재 관제 시스템
KR20210107518A (ko) * 2020-02-24 2021-09-01 김현수 건설현장 근로자의 보건 안전 및 관리 시스템
KR20220056279A (ko) * 2020-10-27 2022-05-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 비전 감시 장치
KR20230041621A (ko) * 2021-09-16 2023-03-24 현대건설(주)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71506B1 (ko) 2021-10-07 2022-03-10 강남앤인코누스 주식회사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nny et al. Community participation for rural health: a review of challenges
Gready et al. From transitional to transformative justice: A new agenda for practice
Solomon et al. Public Safety First
Fallon Jr Arguing in Good Faith about the Constitution: Ideology, Methodology, and Reflective Equilibrium
Rhine et al. Improving parole release in America
Hilton et al. The increasing influence of risk assessment on forensic patient review board decisions.
Bezdek Citizen engagement in the shrinking city: Toward development justice in an era of growing inequality
Lane et al. Obstacles to research in residential juvenile justice facilities: Recommendations for researchers
Hayle Comparing drug policy windows internationally: Drug consumption room policy making in Canada and England and Wales
US201602474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Gwelo Determinants of career choice among university students
Ghedamu et al. Assessing national public health law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immunization law as a basis for global health security
Fowler et al. Embedding third sector psychology services within the probation environment: an alternative to MHTRs
KR102661626B1 (ko) 작업자 휴먼에러 예방 현장안전 시스템 및 방법
Morris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the mentally ill
Byrne et al. A new tool to assess compliance of mental health laws with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oldstein Forensic psychology: Toward a standard of care
Patterson et al. Neighborhoods of opportunity: Developing an operational definition for planning and policy implementation
Febriani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REVIEW OF GOVERNMENT POLICY IN MAINTAINING THE ENVIRONMENT
True Safet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ural District Administrator Perceptions of School Safety in Northeast Tennessee Public Schools
Thomas et al. Negotiating the challenges of coerced treatment: An exploratory study of community-based service providers in Queensland, Australia
Van Cleemput Gypsy and Traveller health
Zaia Forensic psychiatry and the extremist: A review of the recent violence risk Assessment tools for offenders convicted of terrorism offences
CN110363370A (zh) 科研实验室安全管理准入的验证方法、装置和电子设备
Alomi et al. National Mass Gathering Pharmaceutical Care Program at Healthcare Institution in Saudi Arab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