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052B1 -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052B1
KR102445052B1 KR1020210039799A KR20210039799A KR102445052B1 KR 102445052 B1 KR102445052 B1 KR 102445052B1 KR 1020210039799 A KR1020210039799 A KR 1020210039799A KR 20210039799 A KR20210039799 A KR 20210039799A KR 102445052 B1 KR102445052 B1 KR 102445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ving
vertical direction
disposed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주)지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지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21003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9Self-tes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틸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이동부; 상기 제3이동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4이동부; 상기 제4이동부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면에 무선기기가 고정되는 트레이;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고 지면에 설치되며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보호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Inspection device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선기기 검사장치는, 통신 연결을 위하여 직렬 포트와 USB 포트 및 GPIB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포트가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와,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단말기 성능 검사장치의 기본 설정 상태를 읽어 표시하며, 시험 진행자의 설정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시험조건 설정수단과, 통신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와 연결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성능 측정 조건을 표시하며, 시험 진행자의 시험 진행 요청에 따라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시험을 진행하는 시험 개별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기기 검사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33657호 '이동통신단말기 성능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트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접속단자 사이에 걸림 결합을 두고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과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일이 자동화하는 것이 쉽지 않아 수작업으로 접속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지진을 대비한 구성이 없어, 지진이 발생될 경우 진동에 의해 검사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검사 대상을 다양한 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고 지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이동부; 상기 제2 이동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틸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 이동부; 상기 제3 이동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4 이동부; 상기 제4 이동부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면에 무선기기가 고정되는 트레이;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고 지면에 설치되며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보호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연결되며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내측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판; 및 상기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판의 상면의 전방과 후방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판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판의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각 단면이 원형상인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면에 설치되고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나선 형상의 가이드바가 마련되는 충격흡수케이스; 상기 충격흡수케이스의 내부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에 안착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측부에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나선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각 단면이 원형상인 연결턱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홈에 상기 연결턱이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재가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연결부재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회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달부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이동부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나타내는 제1 거리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는 상면에 무선기기가 고정되는 트레이가 제4 이동부를 통해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고, 제3 이동부를 통해 좌우방향을 축으로 틸팅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고, 제1 이동부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으므로, 검사 대상을 다양한 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는 충격흡수부를 통해 지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10)는 베이스부(100), 제1 이동부(200), 제2 이동부(300), 제3 이동부(400), 제4 이동부(500), 트레이(600) 및 충격흡수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베이스판(110) 및 제1 레일(R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11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110)은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내측공간(110s)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일(R1)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판(110) 상면의 전방과 후방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은 제1 이동판(210)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나타내는 제1 거리표시부(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00)는 제1 모터(M1), 제1 이동판(210), 동력전달바(220) 및 제2 레일(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M1)는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판(110)의 상면 전방측에 설치되고 제1 회전축이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터(M1)는 제1 회전축에 제1 기어(G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이동판(210)은 한 쌍의 제1 레일(R1) 상에 안착되고 중심부에 제1 관통홀(210h)이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바(220)는 제1 이동판(210)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바(220)는 전방측에 제1 기어(G1)에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제1 팁부(T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바(220)는 제1 모터(M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동력전달바(220)와 연결된 제1 이동판(210) 또한 제1 모터(M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레일(R2)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1 이동판(210) 상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판(210)은 제2 이동판(3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를 나타내는 제2 거리표시부(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부(300)는 제2 모터(M2), 회전롤러(330), 제2 이동판(310), 연결로드(320) 및 제1 연결벨트(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M2)는 제1 이동판(210)의 하면 좌측에 설치되고 제2 회전축이 우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터(M2)는 제2 회전축에 제2 기어(G2)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롤러(330)는 제1 이동판(210)의 하면 좌측에 제2 모터(M2)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동판(310)은 한 쌍의 제2 레일(R2) 상에 안착되고 중심부에 제2 관통홀(310h)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로드(320)는 제2 이동판(310)의 좌측 하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벨트(B1)는 제2 기어(G2) 및 회전롤러(330)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벨트(B1)는 연결로드(32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제2 기어(G2) 및 연결로드(3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1 연결벨트(B1)는 제2 기어(G2) 및 회전롤러(330)에 걸린 상태로 제2 모터(M2)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로드(320)는 제1 연결벨트(B1)에 연결되어 제2 기어(G2) 및 회전롤러(330) 사이에서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이동부(400)는 제3 모터(M3), 제1 지지기둥(420), 제1 기준축(430), 제1 지지판(440), 제2 지지기둥(450), 제2 기준축(460), 제2 지지판(470), 제3 이동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모터(M3)는 제2 이동판(310)의 상면 좌측에 제3 회전축이 우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모터(M3)는 제3 회전축에 제3 기어(G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지기둥(420)은 제2 이동판(310)의 상면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기둥(420)은 상부에 좌우측방향으로 관통된 제1 기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준축(430)은 제1 기준홀에 삽입되어 제1 지지기둥(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판(440)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의 두 반지름이 만나는 측에 제1 기준축(430)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기둥(450)은 제2 이동판(310)의 상면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기둥(450)은 상부에 좌우측방향으로 관통된 제2 기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준홀의 중심축은 제1 기준홀의 중심축과 일치될 수 있다.
제2 기준축(460)은 제2 기준홀에 삽입되어 제2 지지기둥(45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준축(460)은 제1 기준축(430)과 중심축이 일치될 수 있다.
제2 지지판(470)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의 두 반지름이 만나는 측에 제2 기준축(460)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판(470)은 호측에 톱니 형상의 제2 팁부(T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팁부(T2)는 제3 기어(G3)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판(470)은 제3 모터(M3)에 의해 제2 기준축(460)을 기준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제3 이동판(410)은 일단부가 제1 지지판(44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 지지판(47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동판(410)은 중심부에 제3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이동판(410)은 제3 모터(M3)에 의해 제2 기준축(460)을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이동판(410)은 제3 모터(M3)에 의해 제2 기준축(460)을 기준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4 이동부(500)는 제4 모터(M4), 제4 이동판(510), 연결축(520), 제2 연결벨트(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모터(M4)는 제3 이동판(410)의 하측에 제4 회전축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모터(M4)는 제4 회전축에 제4 기어(G4)가 설치될 수 있다.
제4 이동판(510)은 제3 이동판(410)의 중심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축(520)은 제4 이동판(510)의 하부 중심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축(520)의 단부는 제3 관통홀을 관통하여 제3 이동판(41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벨트(B2)는 제4 기어(G4) 및 연결축(520)에 걸려 제4 기어(G4) 및 연결축(5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4 이동판(510)은 제4 모터(M4)에 의해 연결축(520)을 기준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4 이동판(510)은 제4 모터(M4)에 의해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600)는 제4 이동부(500)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600)의 상면에는 무선기기가 고정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800)는 베이스부(100)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고 지면에 설치되며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베이스부(1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충격흡수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충격흡수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충격흡수부(800)는 연결부재(810), 충격흡수케이스(820), 탄성스프링(830) 및 전달부재(8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810)는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판(110)의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810)는 하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각 단면이 원형상인 연결홈(810p)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홈(810p)은 테이퍼진 형상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케이스(820)는 연결부재(8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충격흡수케이스(82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연결부재(81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공간(820s)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케이스(820)는 내주면에 내부공간(820s) 측으로 돌출되는 나선 형상의 가이드바(820a)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830)은 충격흡수케이스(820)의 내부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재(840)는 탄성스프링(830)의 상측에 배치되어 탄성스프링(83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전달부재(840)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측부에 가이드바(820a)가 삽입되는 나선 형상의 가이드홈(840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달부재(840)는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각 단면이 원형상인 연결턱(840q)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턱(840q)은 테이퍼진 형상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달부재(840)는 연결홈(810p)에 연결턱(840q)이 삽입되도록 연결부재(810)가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전달부재(840)는 탄성스프링(830)의 탄성력을 연결부재(8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840h)에는 가이드바(820a)가 삽입되어 전달부재(840)는 가이드바(820a)를 따라 회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810)는 전달부재(84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전달될 때 충격흡수부(800)는 탄성스프링(830)을 통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판(1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810)가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어, 어느 하나의 충격흡수부(800)의 연결부재(810)가 하강하게 되면 나머지 충격흡수부(800)들의 연결부재(810) 또한 하강하게 되므로,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판(110)에 연결되는 충격흡수부(800) 전체에서 진동을 분배하여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장치(10)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검사장치(1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10)는 무선기기가 고정되는 트레이(600)가 제4 이동부(500)를 통해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고, 제3 이동부(400)를 통해 좌우방향을 축으로 틸팅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300)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고, 제1 이동부(200)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으므로, 무선기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10)는 충격흡수부(800)를 통해 지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100 : 베이스부 110 : 베이스판
R1 : 제1 레일 200 : 제1 이동부
M1 : 제1 모터 G1 : 제1 기어
210 : 제1 이동판 210h : 제1 관통홀
220 : 동력전달바 T1 : 제1 팁부
R2 : 제2 레일 300 : 제2 이동부
M2 : 제2 모터 G2 : 제2 기어
310 : 제2 이동판 310h : 제2 관통홀
320 : 연결로드 330 : 회전롤러
B1 : 제1 연결벨트 400 : 제3 이동부
M3 : 제3 모터 G3 : 제3 기어
410 : 제3 이동판 420 : 제1 지지기둥
430 : 제1 기준축 440 : 제1 지지판
450 : 제2 지지기둥 460 : 제2 기준축
470 : 제2 지지판 T2 : 제2 팁부
500 : 제4 이동부 M4 : 제4 모터
G4 : 제4 기어 510 : 제4 이동판
520 : 연결축 B2 : 제2 연결벨트
600 : 트레이 800 : 충격흡수부
810 : 연결부재 810p : 연결홈
820 : 충격흡수케이스 820a : 가이드바
820s : 내부공간 830 : 탄성스프링
840 : 전달부재 840h : 가이드홈
840q : 연결턱

Claims (4)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이동부;
    상기 제2 이동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틸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 이동부;
    상기 제3 이동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4 이동부;
    상기 제4 이동부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면에 무선기기가 고정되는 트레이;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고 지면에 설치되며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보호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연결되며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내측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판;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중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판의 상면의 전방과 후방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중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판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중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판의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각 단면이 원형상인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면에 설치되고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나선 형상의 가이드바가 마련되는 충격흡수케이스;
    상기 충격흡수케이스의 내부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에 안착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측부에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나선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각 단면이 원형상인 연결턱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홈에 상기 연결턱이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재가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연결부재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회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달부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되는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이동부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나타내는 제1 거리표시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KR1020210039799A 2021-03-26 2021-03-26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KR10244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799A KR102445052B1 (ko) 2021-03-26 2021-03-26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799A KR102445052B1 (ko) 2021-03-26 2021-03-26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052B1 true KR102445052B1 (ko) 2022-09-21

Family

ID=8345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799A KR102445052B1 (ko) 2021-03-26 2021-03-26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0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7169A (ja) * 2003-08-29 2005-03-24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の機能検査装置
KR20050086344A (ko) * 2004-02-25 2005-08-30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핸드폰의 성능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7169A (ja) * 2003-08-29 2005-03-24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の機能検査装置
KR20050086344A (ko) * 2004-02-25 2005-08-30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핸드폰의 성능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68332A1 (zh) 电路板抗震性能测试装置
KR101019056B1 (ko) 고충격 낙하시험 장치
KR102445052B1 (ko) 충격흡수부가 마련된 검사장치
KR101866633B1 (ko) 유리 충격 시험 장치
KR101236923B1 (ko) 에어 스프링 파괴 및 좌굴 시험기
KR20200130640A (ko) 케이스 어셈블리 강도 테스트장치
KR102445050B1 (ko) 방진기능이 구비된 무선기기 검사장치
KR101592961B1 (ko) 동력전달축의 성능 시험 장치
CN113356654A (zh) 一种垂直循环停车设备的缓冲装置
KR101915355B1 (ko)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CN109211209B (zh) 多功能建筑测量架
CN106370158B (zh) 一种土木工程用水平微动调节装置
CN115092519A (zh) 一种机械臂运输用抗震防护装置
CN212744823U (zh) 一种液压多重减震装置
KR102266849B1 (ko) 로봇-인간 동적 충돌 안정성 평가 시험장치
CN213541698U (zh) 一种控制柜抗震结构
CN219178569U (zh) 激光投线仪
CN110715023A (zh) 一种电机制造设备减震装置
CN208931482U (zh) 一种机器人悬挂装置
CN111851279B (zh) 一种桥梁板抗震装置
CN216144601U (zh) 一种便于材料试验机安装的底座装置
JP3747179B2 (ja) 免震構造
CN215060536U (zh) 一种机器视觉道路检测用调节结构
KR20110057769A (ko) 차량의 허브 서포트 장치
CN219473106U (zh) 一种用于降低空气处理机组震动的减震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