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653B1 -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653B1
KR102444653B1 KR1020220062377A KR20220062377A KR102444653B1 KR 102444653 B1 KR102444653 B1 KR 102444653B1 KR 1020220062377 A KR1020220062377 A KR 1020220062377A KR 20220062377 A KR20220062377 A KR 20220062377A KR 102444653 B1 KR102444653 B1 KR 10244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unit
shaft
sushi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영
Original Assignee
신조에프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조에프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조에프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8Food-conveying devices for tables; Movable or rotary food-ser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와 연결된 서버, 디스플레이, 물티슈 공급 모듈, 및 손가락 세정 모듈이 내장된 테이블이 구비된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Unmanned revolving sushi restaurant system}
본 발명은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오스크와 연결된 서버, 디스플레이, 물티슈 공급 모듈, 및 손가락 세정 모듈이 내장된 테이블이 구비된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밥은, 일본 음식의 하나로 초와 소금 등으로 간을 한 흰밥을 갸름하게 뭉친 뒤에 겨자나 고추냉이와 생선 쪽을 얹어 만든 음식으로, 섭취시 간장 등의 소스에 찍어 간편하게 섭취하는 음식이다.
이러한 초밥은 따뜻한 밥과 날 생선을 이용하여 만든 관계로 상온이나 상온 이하의 온도에 서늘한 상태로 짧은 시간안에 보관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성형한 후 단시간 내에 섭취하여야 최상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변질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밥을 완성한 후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관계로 영업소 등에서도 주문이 있을 때 즉시 만들어 제공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보다 발전된 형태로는 초밥의 성형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셰프와 고객이 마주보는 형태의 것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각종 초밥을 실은 작은 접시를 객석에 따라 설치된 컨베이어로 된 회전 판매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편리하게 고객에게 공급 및 고객은 초밥을 자유롭게 골라 먹는 반 셀프 서비스 형식의 회전초밥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회전초밥 식당의 특성상 무인으로 운영하는 것이 편리한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계산을 위한 프론트 스태프, 접객을 위한 스태프 등 셰프 외의 가용 인원들이 상주해야 하는 인력 낭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이러한 인력 낭비를 줄이고자 무인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소한의 스태프 인원으로 식당을 운영하고자 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초밥이 구성된 메뉴판을 표시하는 키오스크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가 구비된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밥정보부, 주문수량부, 인원정보부 및 테이블번호선택부를 포함한 키오스크가 구비된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티슈 공급 모듈 및 손가락 세정 모듈이 내장된 테이블이 구비된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은 다양한 초밥이 구성된 메뉴판을 표시하는 키오스크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서버를 통해 다양한 언어로 이루어진 각종 초밥의 명칭, 재료, 조리방법 및 맛을 포함한 초밥정보가 저장된 초밥정보부, 상기 초밥정보부에서 선택한 초밥정보를 수신하여 주문 가능한 초밥 수량 정보가 저장된 주문수량부, 상기 주문수량부에서 선택한 초밥의 수량 정보를 수신하여 테이블 세팅을 위한 인원 정보를 선택하는 인원정보부, 상기 인원정보부에서 선택한 인원 정보를 수신하여 테이블 위치에 따른 번호를 선택하는 테이블번호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키오스크에서 상기 초밥정보부, 상기 주문수량부, 상기 인원정보부, 및 상기 테이블번호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정보를 추출하여 음식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은, 각 테두리가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칸막이 형상으로 구비된 사각형 형상의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에 삽입되어 상기 서버를 통해 초밥 수량 정보, 초밥 정보, 테이블 번호, 물티슈 교체 신호 및 직원 호출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물티슈 교체 신호, 손가락 세정 신호, 물티슈 폐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 모듈, 상기 테이블의 내부 일측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물티슈를 공급하는 물티슈 공급 모듈, 상기 테이블의 측면에 내장되고 상기 물티슈를 투입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손가락을 세정하는 손가락 세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티슈 공급 모듈은, 상기 테이블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의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에 안착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부, 상기 물티슈 공급부가 안착된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서 연장 설치되는 물티슈 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잔존하는 물티슈를 파악하는 수량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티슈 공급부는, 양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이홈, 양 말단부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홈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물티슈가 권취되어 권출 가능한 물티슈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 권출부는, 일측에 물티슈를 지지하는 제 1 물티슈 지지부가 형성되는 제 1 바디, 일측에 상기 제 1 바디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한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에 의해 결합된 영역의 타측에 상기 제 1 물티슈 지지부와 맞닿아 물티슈를 지지하는 제 2 물티슈 지지부가 형성되는 제 2 바디, 상기 제 1 물티슈 지지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의 영역에 삽입된 회동 가능한 제 1 권출 롤러, 상기 제 2 물티슈 지지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의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권출 롤러와 맞물려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 2 권출 롤러, 상기 제 1 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 1 권출 롤러를 향해 삽입되는 노즐축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축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권출 롤러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 공급 모듈은, 상기 테이블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물티슈 교체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모듈이 물티슈 공급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노즐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권출 롤러 및 상기 제 2 권출 롤러가 맞물려 돌아가 물티슈를 권출하고, 상기 수량 센서에 의해 상기 물티슈 공급부에 남아 있는 물티슈의 개수를 파악하여 비어 있을 시 상기 제어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물티슈 개수 정보를 송수신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세정 모듈은, 상기 테이블 측면에 내장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를 받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고, 복수 개의 통공이 회전하는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상기 복수 개의 통공 중 일 통공에 샤프트 축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가 후단부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상기 본체 측면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 가능한 고정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전후 방향 구동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샤프트, 상기 제 2 샤프트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샤프트의 전후 방향 동작을 따라 동일한 동작을 하고 내부에 상기 물티슈를 흡입 고정이 가능한 흡입 노즐과 흡입 동작을 위해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 모터가 내장되는 푸쉬축, 상기 푸쉬축과 상기 제 2 샤프트가 연결된 영역에서 상기 모듈 본체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물티슈를 배출 가능하게 통공된 배출 하우징, 상기 모듈 본체의 전면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앙이 상기 푸쉬축의 머리 부분 형상과 대응되도록 통공되며, 내부에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투입된 상기 물티슈를 다각도에서 뭉쳐질 수 있도록 동시에 압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물티슈 압축부가 형성된 물티슈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 압축부는, 원기둥 형상에 중앙이 통공된 압축부 바디, 상기 압축부 바디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압축 동작을 위한 피스톤 운동이 가능한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 상기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는 스프링, 상기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의 일단부에서 상기 압축부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가능한 압축면이 형성된 압축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세정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이 손가락 세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푸쉬축이 상기 물티슈 고정부의 통공된 중앙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푸쉬축은 상기 제어 모듈이 물티슈 배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흡입 모터의 동작에 의해 뭉쳐진 상기 물티슈를 흡입 고정하여 상기 배출 하우징에서 통공된 하부로 배출하고, 상기 물티슈 고정부의 상기 물티슈 압축부는 상기 제어 모듈의 손가락 세정 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가 동시에 투입된 상기 물티슈를 압축하여 손가락을 세정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오스크와 연결된 서버, 디스플레이, 물티슈 공급 모듈, 및 손가락 세정 모듈이 내장된 테이블이 구비된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음식점 단말기, 서버, 키오스크의 네트워크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키오스크의 관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음식점 단말기, 키오스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테이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물티슈 공급 모듈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물티슈 공급 모듈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물티슈 공급 모듈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물티슈 공급 모듈의 물티슈 권출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물티슈 공급 모듈의 물티슈 권출부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물티슈 공급 모듈의 물티슈 권출부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손가락 세정 모듈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손가락 세정 모듈의 일부 구성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손가락 세정 모듈의 물티슈 고정부와 푸쉬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손가락 세정 모듈의 물티슈 고정부와 푸쉬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음식점 단말기(10), 서버(S), 키오스크(K)의 네트워크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초밥이 구성된 메뉴판을 표시하는 키오스크(K)와 서버(S), 음식점 단말기(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키오스크(K)의 관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오스크(K)는 초밥정보부(K1), 주문수량부(K2), 인원정보부(K3) 및 테이블(T)번호선택부(K4)를 포함할 수 있다.
초밥정보부(K1)는 서버(S)를 통해 다양한 언어로 이루어진 각종 초밥의 명칭, 재료, 조리방법 및 맛을 포함한 초밥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주문수량부(K2)는 초밥정보부(K1)에서 선택한 초밥정보를 수신하여 주문 가능한 초밥 수량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인원정보부(K3)는 주문수량부(K2)에서 선택한 초밥의 수량 정보를 수신하여 테이블(T) 세팅을 위한 인원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테이블(T)번호선택부(K4)는 인원정보부(K3)에서 선택한 인원 정보를 수신하여 테이블(T) 위치에 따른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도 1에 도시된 관계도를 부가 설명하면, 서버(S)는 키오스크(K)에서 초밥정보부(K1), 주문수량부(K2), 인원정보부(K3), 및 테이블(T)번호선택부(K4)를 통해 선택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선택된 정보를 추출하여 음식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음식점 단말기(10), 키오스크(K), 디스플레이부(20)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S10 단계 : 고객이 가게에 입장하여 키오스크(K) 앞에 서면, 키오스크(K)는 디스플레이에 초밥정보부(K1)를 통해 다양한 초밥정보를 표시한다.
S20 단계 : 고객이 초밥을 선택하면, 서버(S)에서 선택된 초밥 정보를 추출하고, 주문수량부(K2)에서 초밥 수량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S30 단계 : 고객이 초밥 수량을 선택하면, 서버(S)에서 선택된 초밥 수량 정보를 추출하고, 인원정보부(K3)에서 식사하고 갈 인원을 선택할 수 있는 인원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S40 단계 : 고객이 인원 정보를 선택하면, 서버(S)에서 선택된 인원 정보를 추출하고, 테이블(T)번호선택부(K4)에서 식사할 테이블(T) 위치와 번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S50 단계 : 결제가 완료되면, 초밥 정보, 초밥 수량 정보, 인원 정보를 서버(S)에서 음식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다만, 결제가 완료되지 않고, 취소를 누르면 다시 S10 단계로 회귀한다.
S60 단계 : 테이블(T)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에 서버(S)를 통해 수신된 초밥 정보, 초밥 수량 정보, 테이블(T) 번호 정보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테이블(T)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은 각 테두리가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칸막이 형상으로 구비된 사각형 형상의 테이블(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T)은 디스플레이부(20), 제어 모듈(30), 물티슈 공급 모듈(100) 및 손가락 세정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테이블(T)의 정면에 삽입되어 서버(S)를 통해 초밥 수량 정보, 초밥 정보, 테이블 번호, 물티슈 교체 신호 및 직원 호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은 디스플레이부(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물티슈 교체 신호, 손가락 세정 신호, 물티슈 폐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은 물티슈 교체 신호를 통해 후술할 물티슈 공급 모듈(100)과 연동할 수 있고, 손가락 세정 신호를 통해 후술할 손가락 세정 모듈(200)과 연동할 수 있다.
물티슈 공급 모듈(100)은 테이블(T)의 내부 일측에 내장되고 제어 모듈(30)의 제어에 의해 물티슈(P)를 공급할 수 있다.
손가락 세정 모듈(200)은 테이블(T)의 측면에 내장되고 물티슈(P)를 투입하여 제어 모듈(30)의 제어에 의해 손가락을 세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키오스크(K), 서버(S) 및 음식점 단말기(10)를 연동함으로써 고객이 초밥을 주문하여 테이블(T)에 착석할 때까지의 주문 정보를 누락 없이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모듈을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손 쉽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초밥을 섭취하기 위한 위생 상태 점검에 용이함을 더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비롯한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를 테이블(T)의 연장된 측면에 내장하여 보다 넓게 테이블(T) 활용이 가능하여 초밥을 섭취하기 위한 테이블(T) 세팅이 가능하고 시선 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정면에 배치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제어 모듈(30)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물티슈 공급 모듈(100)을 다양한 각도로 도시하고 그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물티슈 공급 모듈(100)은 모듈 하우징(110), 물티슈 공급부(120), 물티슈 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10)은 테이블(T)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티슈 공급부(120)는 모듈 하우징(110)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물티슈 공급부(120)는 걸이홈(121), 회전축(122), 물티슈 롤러(123)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홈(121)은 물티슈 공급부(120)의 양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22)은 양 말단부에 걸이부(1221)가 형성되어 걸이홈(121)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물티슈 롤러(123)는 회전축(122)에 삽입되고, 물티슈(P)가 권취되어 권출 가능하다.
물티슈 롤러(123)의 물티슈(P)는 권출되어 후술할 물티슈 권출부(130)에 끼워져 고객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물티슈 공급 모듈(100)의 물티슈 권출부(130)를 도시한 것이다.
물티슈 권출부(130)는 물티슈 공급부(120)가 안착된 모듈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 부분에 연장 설치될 수 있다.
물티슈 권출부(130)는 제 1 바디(131), 제 2 바디(132), 제 1 권출 롤러(133), 제 2 권출 롤러(134), 노즐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바디(131)는 일측에 물티슈(P)를 지지하는 제 1 물티슈 지지부(1311)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바디(132)는 일측에 제 1 바디(131)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한 힌지부(1301)에 의해 결합되고, 힌지부(1301)에 의해 결합된 영역의 타측에 제 1 물티슈 지지부(1311)와 맞닿아 물티슈(P)를 지지하는 제 2 물티슈 지지부(1321)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바디(131) 및 제 2 바디(13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권출 롤러(133)는 제 1 물티슈 지지부(1311)와 힌지부(1301) 사이의 영역에 삽입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권출 롤러(134)는 제 2 물티슈 지지부(1321)와 힌지부(1301) 사이의 영역에 삽입되고 제 1 권출 롤러(133)와 맞물려 회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노즐부(135)는 제 1 바디(131)의 외측면에서 제 1 권출 롤러(133)를 향해 삽입되는 노즐축이 형성되고 노즐축에 끼움결합되어 제어 모듈(30)의 제어에 의해 제 1 권출 롤러(133)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의 조립 관계와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모듈 하우징(110)이 테이블(T) 내부에 내장되도록 설치되고 모듈 하우징(110) 내부에 물티슈 공급부(120)가 배치된다.
물티슈 공급부(120)의 일측에는 물티슈의 잔존량을 센싱하여 제어 모듈(3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는 수량 센서(111)가 설치될 수 있다.
수량 센서(111)는 권출되는 물티슈(P)에서 물티슈 롤러(123)의 물티슈 롤의 두께와 절취 가능한 영역을 센싱하여 남은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물티슈 공급부(120)의 양 측면에는 물티슈 롤러(123)가 삽입된 회전축(122)을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걸이홈(121)에 결합할 수 있다.
물티슈 롤러(123)를 권취하여 물티슈 롤을 권출함으로써 물티슈 권출부(130)에 물티슈를 끼워 테이블(T) 상에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티슈 권출부(130)는 물티슈 공급부(120)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물티슈 권출부(130)는 제 1 바디(131) 및 제 2 바디(132)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한 힌지부(1301)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제 1 물티슈 지지부(1311) 및 제 2 물티슈 지지부(1321)에 의해 권출된 물티슈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권출 롤러(133) 및 제 2 권출 롤러(134) 사이에 권출된 물티슈를 끼움으로써 물티슈 공급 신호가 제어 모듈(30)에 수신되면 노즐부(135)를 회전시켜 제 1 권출 롤러(133) 및 제 2 권출 롤러(134)가 톱니바퀴 동작처럼 맞물려 돌아가면서 물티슈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에 원터치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고객에게 물티슈를 공급해줌으로써 물티슈를 사용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티슈 권출부(130)를 통해 기존에는 고객이 물티슈 곽에서 뽑아야 하는 식당의 경우 물티슈 곽에 음식물이 묻어 더럽혀져 위생상 좋지 않았던 문제점이나 물티슈를 한 장씩만 뽑아내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디스플레이부(20)에 원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물티슈를 고객에게 한 장씩 미리 제공했던 식당의 경우 추가 물티슈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직원이 호출되어 다른 테이블(T)의 고객을 응대할 수 없었던 테이블(T) 접대를 위한 효용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의 손가락 세정 모듈(200)을 도시하고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손가락 세정 모듈(200)은 모듈 본체(210), 구동 모터(220), 회전부(230), 제 1 샤프트(240), 제 2 샤프트(250), 푸쉬축(260), 배출 하우징(270), 물티슈 고정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본체(210)는 테이블(T) 측면에 내장되는데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모터(220)는 모듈 본체(2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어 모듈(3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세정 모듈(200)은 제어 모듈(30)의 제어를 받으므로 제어 모듈(30)에 손가락 세정 신호가 송수신되면 구동 모터(220)가 이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회전부(230)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고, 복수 개의 통공이 회전하는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240)는 회전부(230)의 복수 개의 통공 중 일 통공에 샤프트 축(2401)이 삽입되어 회전부(230)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회전부(230)와 제 1 샤프트(240)의 동작에 의해 회전의 회전력이 제 1 샤프트(240)에서 전후 방향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250)는 제 1 샤프트(24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제 1 샤프트(240)가 후단부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본체 측면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 가능한 고정대(251)에 삽입되고 제 1 샤프트(240)의 전후 방향 구동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푸쉬축(260)은 제 2 샤프트(250)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 2 샤프트(250)의 전후 방향 동작을 따라 동일한 동작을 하고 내부에 물티슈를 흡입 고정할 수 있는 흡입 노즐(261)과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 모터(262)가 내장될 수 있다.
배출 하우징(270)은 푸쉬축(260)과 제 2 샤프트(250)가 연결된 영역에서 모듈 본체(210)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물티슈를 배출 가능하게 통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물티슈 고정부(280)는 모듈 본체(210)의 전면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앙이 푸쉬축(260)의 머리 부분 형상과 대응되도록 통공되며, 내부에 제어 모듈(30)의 제어에 의해 투입된 물티슈를 다각도에서 뭉쳐질 수 있도록 동시에 압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물티슈 압축부(29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물티슈 압축부(290)는 압축부 바디(2901), 압축 샤프트(2902), 스프링(2903), 압축대(290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 바디(2901)는 원기둥 형상에 중앙이 통공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압축부 바디(2901)의 통공된 영역은 푸쉬축(260)의 머리 부분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샤프트(2902)는 압축부 바디(2901)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압축 동작을 위한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2903)은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2902)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 샤프트(2902)의 피스톤 운동에 따른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다.
압축대(2904)는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2902)의 일단부에서 압축부 바디(29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가능한 압축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의 조립 관계와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손가락 세정 모듈(200)의 모듈 본체(210)가 테이블(T)의 연장 형성된 측면에 내장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모듈 본체(210)의 내부 일측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이에 연결되는 회전부(230)와 회전부(230)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통공에 샤프트 축(2401), 제 1 샤프트가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240) 전단부에 제 2 샤프트(250)가 삽입되고 그 중앙에는 모듈 본체(210)의 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고정대(25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250) 전단부에 푸쉬축(260)이 형성되고, 푸쉬축(260)을 내포하며 모듈 본체(210)의 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배출 하우징(270)이 구비될 수 있다.
모듈 본체(210)의 전면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물티슈 고정부(280)가 설치될 수 있다.
고객이 물티슈 공급 모듈(100)에 의해 공급 받은 물티슈를 검지 또는 엄지 손가락에 씌운 상태로 손가락 세정 모듈(200)이 내장된 구멍에 집어 넣는다.
이후, 고객이 디스플레이부(20)에서 손가락 세정 신호를 송출하면 제어 모듈(30)이 서버(S)를 통해 손가락 세정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모터가 동작하여 푸쉬축(260)이 물티슈 고정부(280)의 통공된 중앙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동시에 물티슈 고정부(280)의 물티슈 압축부(290)는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2902)가 투입된 물티슈를 압축 샤프트(2902)의 피스톤 동작과 스프링(2903)의 탄성력에 의해 압축하여 손가락을 세정할 수 있다.
이후, 고객이 디스플레이부(20)에서 물티슈 배출 신호를 송출하면 제어 모듈(30)이 물티슈 배출 신호를 수신하여 푸쉬축(260)의 흡입 모터(262)가 동작하여 압축되어 뭉쳐진 물티슈를 흡입 노즐(261)을 통해 흡입 고정하여 후퇴하면서 배출 하우징(270)에서 통공된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밥을 섭취하기 전의 식사 의식 중 엄지와 검지를 닦아 초밥을 집게 손가락을 하여 집어드는 동작을 위해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티슈를 공급받은 후 일일이 버릴 필요 없이 손가락 세정 모듈(200)의 동작에 의해 배출되므로 편리한 식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푸쉬축(26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모터(262)에서 흡입력을 생성하면 흡입 노즐(261)에서 사용된 물티슈를 흡입 고정한 후 후퇴하여 배출 하우징(270)의 하부로 사용된 물티슈를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물티슈(P)
서버(S)
데이터베이스(DB)
키오스크(K)
초밥정보부(K1)
주문수량부(K2)
인원정보부(K3)
테이블번호선택부(K4)
음식점 단말기(10)
디스플레이부(20)
제어 모듈(30)
테이블(T)
물티슈 공급 모듈(100)
모듈 하우징(110)
수량 센서(111)
물티슈 공급부(120)
걸이홈(121)
회전축(122)
걸이부(1221)
물티슈 롤러(123)
물티슈 권출부(130)
힌지부(1301)
제 1 바디(131)
제 1 물티슈 지지부(1311)
제 2 바디(132)
제 2 물티슈 지지부(1321)
제 1 권출 롤러(133)
제 2 권출 롤러(134)
노즐부(135)
노즐축(1351)
손가락 세정 모듈(200)
모듈 본체(210)
구동 모터(220)
회전부(230)
제 1 샤프트(240)
샤프트 축(2401)
제 2 샤프트(250)
고정대(251)
푸쉬축(260)
흡입 노즐(261)
흡입 모터(262)
배출 하우징(270)
물티슈 고정부(280)
물티슈 압축부(290)
압축부 바디(2901)
압축 샤프트(2902)
스프링(2903)
압축대(2904)

Claims (3)

  1. 다양한 초밥이 구성된 메뉴판을 표시하는 키오스크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
    를 포함하는,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서버를 통해 다양한 언어로 이루어진 각종 초밥의 명칭, 재료, 조리방법 및 맛을 포함한 초밥정보가 저장된 초밥정보부;
    상기 초밥정보부에서 선택한 초밥정보를 수신하여 주문 가능한 초밥 수량 정보가 저장된 주문수량부;
    상기 주문수량부에서 선택한 초밥의 수량 정보를 수신하여 테이블 세팅을 위한 인원 정보를 선택하는 인원정보부;
    상기 인원정보부에서 선택한 인원 정보를 수신하여 테이블 위치에 따른 번호를 선택하는 테이블번호선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키오스크에서 상기 초밥정보부, 상기 주문수량부, 상기 인원정보부, 및 상기 테이블번호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정보를 추출하여 음식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은,
    각 테두리가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칸막이 형상으로 구비된 사각형 형상의 테이블;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에 삽입되어 상기 서버를 통해 초밥 수량 정보, 초밥 정보, 테이블 번호, 물티슈 교체 신호 및 직원 호출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물티슈 교체 신호, 손가락 세정 신호, 물티슈 폐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 모듈;
    상기 테이블의 내부 일측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물티슈를 공급하는 물티슈 공급 모듈;
    상기 테이블의 측면에 내장되고 상기 물티슈를 투입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손가락을 세정하는 손가락 세정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 공급 모듈은,
    상기 테이블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의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에 안착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부;
    상기 물티슈 공급부가 안착된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서 연장 설치되는 물티슈 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잔존하는 물티슈를 파악하는 수량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물티슈 공급부는,
    양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이홈;
    양 말단부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홈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물티슈가 권취되어 권출 가능한 물티슈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 권출부는,
    일측에 물티슈를 지지하는 제 1 물티슈 지지부가 형성되는 제 1 바디;
    일측에 상기 제 1 바디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한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에 의해 결합된 영역의 타측에 상기 제 1 물티슈 지지부와 맞닿아 물티슈를 지지하는 제 2 물티슈 지지부가 형성되는 제 2 바디;
    상기 제 1 물티슈 지지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의 영역에 삽입된 회동 가능한 제 1 권출 롤러;
    상기 제 2 물티슈 지지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의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권출 롤러와 맞물려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 2 권출 롤러;
    상기 제 1 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 1 권출 롤러를 향해 삽입되는 노즐축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축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권출 롤러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노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 공급 모듈은,
    상기 테이블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물티슈 교체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모듈이 물티슈 공급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노즐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권출 롤러 및 상기 제 2 권출 롤러가 맞물려 돌아가 물티슈를 권출하고,
    상기 수량 센서에 의해 상기 물티슈 공급부에 남아 있는 물티슈의 개수를 파악하여 비어 있을 시 상기 제어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물티슈 개수 정보를 송수신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세정 모듈은,
    상기 테이블 측면에 내장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를 받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고, 복수 개의 통공이 회전하는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상기 복수 개의 통공 중 일 통공에 샤프트 축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가 후단부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상기 본체 측면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 가능한 고정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전후 방향 구동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샤프트;
    상기 제 2 샤프트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샤프트의 전후 방향 동작을 따라 동일한 동작을 하고 내부에 상기 물티슈를 흡입 고정이 가능한 흡입 노즐과 흡입 동작을 위해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 모터가 내장되는 푸쉬축;
    상기 푸쉬축과 상기 제 2 샤프트가 연결된 영역에서 상기 모듈 본체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물티슈를 배출 가능하게 통공된 배출 하우징;
    상기 모듈 본체의 전면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앙이 상기 푸쉬축의 머리 부분 형상과 대응되도록 통공되며, 내부에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투입된 상기 물티슈를 다각도에서 뭉쳐질 수 있도록 동시에 압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물티슈 압축부가 형성된 물티슈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 압축부는,
    원기둥 형상에 중앙이 통공된 압축부 바디;
    상기 압축부 바디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압축 동작을 위한 피스톤 운동이 가능한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
    상기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는 스프링;
    상기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의 일단부에서 상기 압축부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가능한 압축면이 형성된 압축대;
    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세정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이 손가락 세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푸쉬축이 상기 물티슈 고정부의 통공된 중앙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푸쉬축은 상기 제어 모듈이 물티슈 배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흡입 모터의 동작에 의해 뭉쳐진 상기 물티슈를 흡입 고정하여 상기 배출 하우징에서 통공된 하부로 배출하고,
    상기 물티슈 고정부의 상기 물티슈 압축부는 상기 제어 모듈의 손가락 세정 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압축 샤프트가 동시에 투입된 상기 물티슈를 압축하여 손가락을 세정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62377A 2022-05-20 2022-05-20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KR102444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377A KR102444653B1 (ko) 2022-05-20 2022-05-20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377A KR102444653B1 (ko) 2022-05-20 2022-05-20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653B1 true KR102444653B1 (ko) 2022-09-20

Family

ID=8344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377A KR102444653B1 (ko) 2022-05-20 2022-05-20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6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62B1 (ko) * 2023-02-11 2024-01-16 (주)유오더 전자 메뉴판 시스템
KR102666744B1 (ko) * 2024-01-09 2024-05-20 주식회사 패스트오더 스마트 음식점 메뉴판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032A (ja) * 1997-09-02 1999-03-23 Ishino Seisakusho:Kk 飲食物の発注、精算システム
KR101042155B1 (ko) * 2011-04-07 2011-06-21 박우진 물티슈 자동 공급장치
KR102090957B1 (ko) * 2018-04-18 2020-03-19 하창원 식당용 편의장치
KR102191103B1 (ko) * 2019-10-21 2020-12-15 주식회사 담다 듀얼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KR102313617B1 (ko) * 2021-04-01 2021-10-18 박상기 수저 한 벌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032A (ja) * 1997-09-02 1999-03-23 Ishino Seisakusho:Kk 飲食物の発注、精算システム
KR101042155B1 (ko) * 2011-04-07 2011-06-21 박우진 물티슈 자동 공급장치
KR102090957B1 (ko) * 2018-04-18 2020-03-19 하창원 식당용 편의장치
KR102191103B1 (ko) * 2019-10-21 2020-12-15 주식회사 담다 듀얼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KR102313617B1 (ko) * 2021-04-01 2021-10-18 박상기 수저 한 벌 자동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62B1 (ko) * 2023-02-11 2024-01-16 (주)유오더 전자 메뉴판 시스템
KR102666744B1 (ko) * 2024-01-09 2024-05-20 주식회사 패스트오더 스마트 음식점 메뉴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653B1 (ko)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US7258064B2 (en) Food product timing system
US4154027A (en) Store arrangement
US7907054B1 (en) Advanced food and/or drink organization and/or handling system
CN107942800B (zh) 控制装置、点餐装置、烹饪装置及智能烹饪系统
KR20010020970A (ko) 접객관리장치
JP2004283983A (ja) 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を用いた給仕サービススシステム
US71046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emperature of food
US6427806B1 (en) Food and drink conveying system
US8384000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service
CN108629897A (zh) 一种食品自动烤制售卖方法和装置
CN201322929Y (zh) 一种自主点菜装置及系统
JP2002207924A (ja) 宣伝販売システム、宣伝販売方法、宣伝販売装置、管理装置及び記憶媒体
US2006015148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service
WO2001035716A3 (en) Interactive menu system for restaurants
JP3018326B2 (ja) 飲食店の食事用カウンター
JP2002032863A (ja) オーダーシステム
CN110738797A (zh) 一种面馆全自动销售控制系统
CN211237019U (zh) 一种语音药品售货机器人
CN218074586U (zh) 烧烤系统
CN110148250A (zh) 包子、馒头自动售卖机
JP2986447B2 (ja) 飲食サービスシステム
CN209590964U (zh) 一种餐品自动售卖机器人
CN201497997U (zh) 一种自主点菜装置及系统
JP2632633B2 (ja) 飲食店用注文票の受付整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