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957B1 - 식당용 편의장치 - Google Patents

식당용 편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957B1
KR102090957B1 KR1020180044874A KR20180044874A KR102090957B1 KR 102090957 B1 KR102090957 B1 KR 102090957B1 KR 1020180044874 A KR1020180044874 A KR 1020180044874A KR 20180044874 A KR20180044874 A KR 20180044874A KR 102090957 B1 KR102090957 B1 KR 102090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aurant
unit
convenience device
storage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501A (ko
Inventor
하창원
Original Assignee
하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창원 filed Critical 하창원
Priority to KR102018004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9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08B1/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는 상부면에 레일 홈부가 구비된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테이블; 및 내부에 복수의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 홈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레일부로 구성되는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당용 편의장치{CONVENIENCE DEVICE FOR A RESTAURANT}
본 발명은 식당용 편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저통, 물컵, 티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테이블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테이블에 착석한 사용자 모두가 편리하게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상부면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식당용 편의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음식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과 테이블 주변에 의자를 배치하여 식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사를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테이블은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제작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테이블이 제공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은 대개 평편한 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손님이 테이블을 사용하기 전에는 테이블에 떨어진 먼지, 음식물 찌꺼기 등을 별도의 청소용 도구를 사용하여 닦아 내거나 청소가 용이한 행주 등을 이용하여 테이블의 상부를 청소하였다. 이러한 테이블 청소를 개선하기 위하여 테이블의 상부에 테이블보를 깔아 놓는 방식 등이 제안되었으나, 테이블에 테이블보가 깔려있는 경우 테이블보가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 테이블보를 세탁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테이블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에는 테이블의 상부에 먼지나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테이블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식사를 제공하는 음식점과 같은 곳에서는 테이블의 청소를 위한 불필요한 노동력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점에서 주문을 하는 경우, 종업원이 오기를 기다려서 메뉴판을 확인한 후 원하는 메뉴를 종업원에게 주문하게 되는데, 종업원이 바쁘거나 다른 이유로 손님에게 오지 못하는 경우에는 종업원이 올 때까지 기다린 후에야 주문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종업원에게 주문을 했다 하더라도 음식점이 바쁘거나 주문량이 많을 경우 종업원이 메뉴를 혼동하여 잘못된 메뉴가 나와 손님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음식점에 구비되는 테이블에는 일반적으로 수저통이나 컵 등이 일 측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수저통 등과 멀리 떨어진 위치에 착석한 사용자는 해당 도구를 이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제약이 있었다.
한편, 음식점을 포함한 일반 매장에서는 팔린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판매시점에서 즉시 기록함으로써, 판매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주문 등의 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시점정보관리 시스템으로도 지칭되는 포스(Point Of Sales)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문이 완료되어 주문한 메뉴 음식이 손님 테이블에 제공되고, 손님이 식사를 다 마치거나 주문된 메뉴에 대한 포장이 완료된 경우 손님이 입구에 있는 계산대 근처로 와서 카드 결제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손님이 직접 계산대까지 와서 결제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저통, 물컵, 티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테이블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테이블에 착석한 사용자 모두가 편리하게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상부면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식당용 편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님이 직접 카운터에 가지 않아도 앉은 자리에서 손쉽게 메뉴를 주문하고, 직접 결제까지 가능한 식당용 편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 내측에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안치시킴으로써, 테이블의 사용시 보다 넓게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식당용 편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는 상부면에 레일 홈부가 구비된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테이블; 및 내부에 복수의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 홈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레일부로 구성되는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수납 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부에 의한 상기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판부를 청소하는 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수납 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메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는 POS 단말이 구비된 카운터에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수납 케이스는 상기 선택된 메뉴의 금액을 결제 처리하기 위한 결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부에 의한 결제 정보는 무선으로 상기 카운터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숟가락 및 젓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보관하고, 내측에 살균 램프가 설치되는 수저 보관부; 상기 수저 보관부의 하측에 출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양념통을 보관하는 냉장 보관부; 상기 수저 보관부의 일 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물컵을 수용하는 물컵 보관부; 및 상기 수저 보관부의 타 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티슈를 보관하는 티슈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냉장 보관부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블은 상기 상판부의 상부면 하측에서 상기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은폐하여 수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에 의하면, 수저통, 물컵, 티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테이블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테이블에 착석한 사용자 모두가 편리하게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상부면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에 의하면, 손님이 직접 카운터에 가지 않아도 앉은 자리에서 손쉽게 메뉴를 주문하고, 직접 결제까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에 의하면, 테이블 내측에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안치시킴으로써, 테이블의 사용시 보다 넓게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식당용 편의장치(1000)는 테이블(100) 및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는 테이블(100)의 일 측에 은폐하여 수용될 수 있으며,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테이블(100)의 수납부(130)에 수납하거나 또는 수납부(130)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테이블(100)은 상판부(110), 다리부(120) 및 수납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부(110)는 상부면에 레일 홈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부(110)는 소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부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판부(110)의 둘레를 따라 트랙 형상의 레일 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는 상판부(110)의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수직으로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111)는 직선 및/또는 곡선의 슬라이딩 레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테이블(100)을 사용하기 전에 수납부(130)로부터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인출하여 레일 홈부(111)에 결합시킨 다음 레일 홈부(111)의 트랙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은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상판부(110) 및 레일 홈부(111)가 각각 직사각형과 타원형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을 갖는 상판부(110) 및 레일 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블(100)의 상판부(110)에 형성된 트랙 형상의 레일 홈부(111)를 통해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가 테이블(100)의 실질상 전체 영역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현되므로, 테이블(100)의 어느 위치에 착석한 사용자라도 편리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리부(120)는 상판부(110)의 하측에서 상판부(11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부(120)는 상판부(110)의 하부에 상판부(110)와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상판부(1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수(예를 들어,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다리부(120)는 상판부(110)와 각각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수납부(130)는 상판부(110)의 상부면 하측에서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은폐하여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130)는 상판부(110)의 상부면 외측에서 일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테이블(100)에 음식이 놓여질 때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납부(130)로부터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인출하여 식사에 필요한 용품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통해 메뉴를 선택한 다음 다시 수납부(130)에 수납함으로써, 테이블(100)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의 예에서는 수납부(130)가 레일 홈부(111)의 일 측에 형성되는 테이블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일 홈부(111)를 테이블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하고, 레일 홈부(111) 내측의 공간에 수납부(130)를 구비하는 구성 또한 구현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는 본체부(210), 레일부(220), 청소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결제부(250)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210)는 내부에 복수의 수납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210)는 내부에 숟가락 및 젓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보관하고 내측에 살균 램프(216)가 설치되는 수저 보관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저 보관부(211)는 본체부(210)의 내부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분리하여 수납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동시에 본체부(210)의 내측에 자외선을 방출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을 살균 소독하는 살균 램프(216)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210)의 일 측에는 살균 램프(21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예를 들어, 배터리 등)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10)는 수저 보관부(211)의 하측에 출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양념통을 보관하는 냉장 보관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 보관부(212)는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소스 등의 양념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 때, 본체부(2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냉장 보관부(212)의 내부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10)는 수저 보관부(211)의 일 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물컵을 수용하는 물컵 보관부(2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컵 보관부(213)는 본체부(2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물컵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물컵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10)는 수저 보관부(211)의 타 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티슈를 보관하는 티슈 보관부(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슈 보관부(214)는 내측에 티슈가 겹겹이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여기서 티슈는 휴지, 냅킨 및 물티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일부(220)는 본체부(2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레일 홈부(1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부(220)는 본체부(210)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레일 홈부(111)와 맞닿는 단부가 완만한 곡률로 형성되어 레일 홈부(111)에 슬라이딩하여 레일 홈부(111)의 형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220)는 롤러 등의 이동 부재로 구현되어 레일부(220)와 레일 홈부(111)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레일부(22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가 레일 홈부(111)를 따라 수직 이동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청소부(230)는 본체부(21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레일부(220)의 이동에 따라 상판부(110)를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부(230)는 테이블(100)의 상판부(110)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닦아주는 역할을 하며, 극세사를 포함한 부직포와 섬유 재질(예를 들어, 천 재질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부(230)는 본체부(210)의 하부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부(220)가 레일 홈부(11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판부(110)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본체부(2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메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메뉴를 주문하는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테이블(100)에 앉은 상태로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메뉴를 열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음식을 손쉽게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POS 단말(300)이 구비된 카운터에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부(2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금액을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부(250)는 사용자의 결제 요청에 의해 결제가 진행될 수 있으며, POS 단말(300)로부터 결제 금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결제부(250)는 사용자의 카드를 판독할 수 있는 카드 판독기, NFC 리더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결제부(250)는 판독된 카드 정보를 POS 단말(300)에 전송함으로써, 최종적인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문 결제 시스템은 각 테이블(100)에 마련된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과 카운터에 마련된 POS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POS 단말(300)은 음식점의 카운터에 마련된 단말기로서, 손님의 메뉴 주문 내용을 수신하며,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OS 단말(300)은 판매에 대한 매상 통계, 영수증의 발생 등의 사무 처리와 재고 조사 등의 종합적인 매장 관리를 가능하게 보조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테이블(100)에 비치된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통해 메뉴를 주문하거나, 또는,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통해 주문한 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뉴 주문 정보 및/또는 결제 정보를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통해 POS 단말(300)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뉴를 정확하게 주문하고, 계산 등을 위한 수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에 의하면, 수저통, 물컵, 티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테이블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테이블에 착석한 사용자 모두가 편리하게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상부면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에 의하면, 손님이 직접 카운터에 가지 않아도 앉은 자리에서 손쉽게 메뉴를 주문하고, 직접 결제까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편의장치에 의하면, 테이블 내측에 다기능 수납 케이스를 안치시킴으로써, 테이블의 사용시 보다 넓게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테이블 110: 상판부 111: 레일 홈부 120: 다리부 130: 수납부 200: 다기능 수납 케이스 210: 본체부 211: 수저 보관부 212: 냉장 보관부 213: 물컵 보관부 214: 티슈 보관부 215: 온도 조절부 216: 살균 램프 220: 레일부 230: 청소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결제부 300: POS 단말 1000: 식당용 편의장치

Claims (7)

  1. 식당용 편의장치(1000)로서,
    상부면에 레일 홈부(111)가 구비된 상판부(110) 및 상기 상판부(11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다리부(120)를 포함하는 테이블(100); 및
    내부에 복수의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210), 상기 본체부(2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 홈부(111)를 따라 상기 본체부(2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레일부(220) 및 상기 본체부(21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부(220)에 의한 상기 본체부(2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판부(110)를 청소하는 청소부(230)로 구성되는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홈부(111)는 상기 상판부(110)의 둘레를 따라 트랙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는 상기 트랙 형상의 레일 홈부(11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테이블(100)은, 상기 상판부(110)의 상부면 외측에서 일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일 홈부(111)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를 은폐하여 수용하는 수납부(130)를 더 포함하는,
    식당용 편의장치(100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는,
    상기 본체부(2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메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는 POS 단말(300)이 구비된 카운터에 무선으로 전송되는,
    식당용 편의장치(10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수납 케이스(200)는
    상기 선택된 메뉴의 금액을 결제 처리하기 위한 결제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부(250)에 의한 결제 정보는 무선으로 상기 카운터에 전달되는,
    식당용 편의장치(10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는,
    내부에 숟가락 및 젓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보관하고, 내측에 살균 램프(216)가 설치되는 수저 보관부(211);
    상기 수저 보관부(211)의 하측에 출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양념통을 보관하는 냉장 보관부(212);
    상기 수저 보관부(211)의 일 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물컵을 수용하는 물컵 보관부(213); 및
    상기 수저 보관부(211)의 타 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티슈를 보관하는 티슈 보관부(214)
    를 포함하는,
    식당용 편의장치(10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냉장 보관부(212)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215)를 더 포함하는,
    식당용 편의장치(1000).
  7. 삭제
KR1020180044874A 2018-04-18 2018-04-18 식당용 편의장치 KR102090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74A KR102090957B1 (ko) 2018-04-18 2018-04-18 식당용 편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74A KR102090957B1 (ko) 2018-04-18 2018-04-18 식당용 편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01A KR20190121501A (ko) 2019-10-28
KR102090957B1 true KR102090957B1 (ko) 2020-03-19

Family

ID=6842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74A KR102090957B1 (ko) 2018-04-18 2018-04-18 식당용 편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653B1 (ko) * 2022-05-20 2022-09-20 신조에프앤에스 주식회사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84B1 (ko) * 2007-01-30 2007-11-22 주식회사 대흥쿨러 열전소자 냉장고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45267Y1 (ko) * 2009-04-30 2009-07-14 김선중 당구대 자동청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438A (ja) * 1993-11-09 1995-08-01 Kiyoshi Taniguchi テーブル載置用移動キャビネット及び移動キャビネット付きテーブル
KR20170078294A (ko) * 2015-12-29 2017-07-07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식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84B1 (ko) * 2007-01-30 2007-11-22 주식회사 대흥쿨러 열전소자 냉장고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45267Y1 (ko) * 2009-04-30 2009-07-14 김선중 당구대 자동청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653B1 (ko) * 2022-05-20 2022-09-20 신조에프앤에스 주식회사 무인 회전초밥 식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01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3103B2 (ja) 喫食具用保持具
US8382053B2 (en) Modular beverage holder
JP2021074492A (ja) サービング装置
KR102090957B1 (ko) 식당용 편의장치
US20200214483A1 (en) Eating utensil support assembly
CN108447007A (zh) 一种自助餐厅服务系统
KR101103510B1 (ko) 일체형 다용도 식탁
KR102109625B1 (ko) 푸드코트용 음식 무인 배달시스템
KR102109624B1 (ko) 패스트푸드 무인 배달시스템
Inkeles Ergonomic Living: How to Create a User-Friendly Home & Officer
US6502733B1 (en) Service tray
CN209118354U (zh) 一种自助餐厅服务系统
KR20190062962A (ko) 주문 결제 기능을 가지는 식사도구 살균 보관장치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JP2002034681A (ja) 台所用流し台
KR200245989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479854Y1 (ko) 커버 분리형 밥상
CN102940427B (zh) 一种持盘器与相配合使用的餐具及使用方法
KR102323822B1 (ko) 상업용 판매대의 배치구조
KR101929797B1 (ko) 광고가 게재된 위생적인 일회용 수저받침대용 시트, 조립된 수저받침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Hayter et al. Preparing and clearing—table and tray
US20070069085A1 (en) Support for utensils and napkin holder
JP3050835U (ja) 食品、食器棚付カウンターワゴン
US20180084932A1 (en) Knife Rack
KR200282729Y1 (ko) 취식도구용 수납공간이 형성된 전기보온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