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799B1 -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799B1
KR102443799B1 KR1020190044250A KR20190044250A KR102443799B1 KR 102443799 B1 KR102443799 B1 KR 102443799B1 KR 1020190044250 A KR1020190044250 A KR 1020190044250A KR 20190044250 A KR20190044250 A KR 20190044250A KR 102443799 B1 KR102443799 B1 KR 10244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rap
seatback
frame body
rec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552A (ko
Inventor
송영훈
박상현
이승열
김희준
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79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2면을 관통 형성된 스트랩 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제1 면 또는 제2 면 측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를 폴딩하는 리클라이닝 모터; 및 스트랩 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스트랩 홀을 덮도록 마련된 스트랩 커버를 포함하는 시트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Seatback and Car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탑승자가 쾌적하게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면서 시트 쿠션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폴딩하게 설치되는 시트백,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백은 시트 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폴딩하도록 리클라이닝 기능이 마련되며, 이러한 기능은 수동 리클라이닝 장치 또는 자동 리클라이닝 장치로 구현된다.
도 1은 수동 리클라이닝 장치가 장착된 시트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수동 리클라이닝 장치는 프레임 본체(10), 스트랩 홀(20) 및 상기 스트랩 홀(20)을 통과하여 연결되는 스트랩(30)으로 구성되고, 스트랩(30)의 완급 조절을 통해 시트백이 폴딩된다. 반면, 자동 리클라이닝 장치는 프레임 본체, 리클라이닝 모터 및 모터와 프레임 본체를 연결하는 와이어 등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연결 부재가 완급되어 시트백이 폴딩하게 된다.
한편, 시트백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는 수동 리클라이닝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스트랩 홀(20)이 필요하지만, 자동 리클라이닝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스트랩 홀(20)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수동 리클라닝 장치가 적용 가능한 프레임 본체를 자동 리클라이닝 장치에 적용할 경우, 스트랩 홀(20)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심미감이 떨어져 그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제조사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 리클라이닝 장치를 시트백에 적용해야 하며, 이에 따라, 리클라이닝 장치의 사양에 따라 스트랩 홀(20)이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는 시트백을 제작하기 위한 복수 개의 금형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금형은 제작 비용이 비싸서 시트백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닝 장치의 사양과 무관하게 시트백의 제조에 필요한 금형을 일원화하여 시트백의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출원은 프레임 본체의 제작에 필요한 금형을 일원화시킬 수 있고, 이로써, 리클라이닝 장치의 사양 별 금형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2면을 관통 형성된 스트랩 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제1 면 또는 제2 면 측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를 폴딩하는 리클라이닝 모터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닝부; 및 스트랩 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스트랩 홀을 덮도록 마련된 스트랩 커버를 포함하는 시트백이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시트백은 스트랩 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에서 상기 스트랩 홀을 덮도록 마련된 스트랩 커버를 포함함에 따라, 리클라이닝 장치의 사양과 무관하게 시트백 제작에 필요한 금형을 일원화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수동 리클라이닝 장치가 장착된 시트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시트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레임 본체와 스트랩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도 2에 도시된 시트백의 A 부분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레임 본체와 스트랩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2에 도시된 시트백의 A 부분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스트랩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트랩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시트백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본체와 스트랩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시트백 단면도이다.
본 출원은 시트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트백은 수동 리클라이닝 장치가 적용 가능한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지만, 자동 리클라이닝 기능이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시트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레임 본체와 스트랩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도 2에 도시된 시트백의 A 부분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레임 본체와 스트랩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2에 도시된 시트백의 A 부분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스트랩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트랩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시트백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본체와 스트랩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시트백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백은 프레임 본체(100), 리클라이닝부(200) 및 스트랩 커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본체(100)는 제1 면(110) 및 상기 제1 면(110)과 반대 방향인 제2 면(120)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2면을 관통 형성된 스트랩 홀(130)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 홀(130)은 수동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스트랩이 연결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프레임 본체(100)는 수동 리클라이닝 장치가 구비된 시트백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리클라이닝부(200)는 제1 면(110) 또는 제2 면(120) 측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100)를 폴딩하는 리클라이닝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클라이닝부(200)는 리클라이닝모터와 프레임 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잇고,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부재는 와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클라이닝부(200)는 시트백에 자동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리클라이닝부(200)는 수동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상기 스트랩 홀(130)을 덮도록 마련된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에 의해 스트랩 홀(13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시트백의 외관에서 보여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시트백은 스트랩 홀(130)을 덮도록 마련된 스트랩 커버(300)를 포함함에 따라, 스트랩 홀(130)이 형성된 프레임 본체(100)에 자동 리클라이닝 기능을 적용하더라도 우수한 심미성이 구현되고, 이로써, 리클라이닝 사양별 시트백의 제작에 필요한 금형을 일원화하는 장점을 가진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리클라이닝 모터는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또는 제2 면(110, 120)에 고정되고, 스트랩 커버(300)는 리클라이닝 모터가 고정된 일면의 반대 반향에서 상기 스트랩 홀(130)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클라이닝 모터는 시트백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리클라이닝 모터는 탑승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커버(300)는 시트백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 커버(300)는 탑승자의 눈에 보이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시트백의 외부에 대응하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면을 제1 면(110)이라 부르고, 시트백의 내부에 대응하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면을 제2 면(120)으로 부르기로 한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착탈 가능하도록 프레임 본체(10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커버부(310); 상기 스트랩 홀(130)을 관통하도록 상기 커버부(310)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320); 및 상기 돌출부(320)의 일단에 소정 각도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100)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커버부(310)가 프레임 본체(100)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걸림부(330)가 프레임 본체(10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10), 돌출부(320) 및 걸림부(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320) 및 걸림부(330)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310)는 외부, 즉,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면(110)에서 스트랩 홀(130)이 노출되지 않도록 홀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310)는 스트랩 홀(130)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형상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돌출부(320)는 커버부(310)에 탄성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310)를 가압하면, 돌출부(320)는 돌출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며, 이에 따라 걸림부(330)는 스트랩 홀(130)을 통과하여 프레임 본체(10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20) 및 커버부(310)가 탄성 연결되는 스트랩 커버(300)의 재질은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돌출부(320)는 스트랩 홀(13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30)는 돌출부(320)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연장 현상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돌출부(320)에 각각 복수 개의 걸림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돌출부(320)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50)는 스트랩 커버(300)가 스트랩 홀(130)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되어 스트랩 커버(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350)는 돌출부(320)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걸림부(330)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스트랩 커버(300)의 걸림 결합 상태에서, 커버부(310)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부(310)는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면(110)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스트랩 커버(300)가 걸림 결합된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면(110)이 평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평평하다는 것은 동일 평면에 위치한 커버부(310)의 일면과 프레임 본체(100)의 일면의 높이 차이가 0.01 mm 이하, 0.001 mm 이하, 또는 0mm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 커버(300)의 걸림 결합 상태에서, 커버부(310)는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프레임 본체(100)와 제1 간격(31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참조). 상기 제1 간격(311)은 스트랩 커버(300)와 프레임 본체(100) 사이에 형성되는 일 종의 틈새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간격(311)은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면(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면(110)은 탑승자의 손이 닿거나 눈으로 보여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제1 간격(311)을 최소화하여 스트랩 커버(300)에 의한 이질적인 느낌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간격(311)은 1.0 mm, 0.8 mm, 0.6 mm, 또는 0.5 mm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걸림부의 길이(331)에 따라 프레임 본체(100)에 대한 걸림 결합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7 참조). 상기 걸림 결합력을 조절함으로써, 목적하는 스트랩 커버(300)의 고정력 및 조립성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의 길이(331)에 따라 스트랩 커버(300)를 결합할 때 필요한 힘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의 길이(331)가 길수록 걸림량이 증가하여 조립에 필요한 힘이 증가하고, 이러한 걸림량이 증가하게 되면 스트랩 커버(300)와 프레임 본체(100) 간 고정력이 높게 구현될 수 있다. 반면, 걸림부의 길이(331)가 짧으면 걸림량이 줄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100)는 스트랩 커버(300)의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는 예를 들어,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면(1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의 커버부는 마감재가 부착된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면(110)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는 예를 들어,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스트랩 홀(130)은 인접한 프레임 본체(100)의 일면에서 다른 일면 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참조). 예를 들어, 상기 함몰부는 프레임 본체(100)의 제1 면(110)에서 제2 면(120)측으로 함몰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함몰부(140)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의 커버부(310)는 함몰부(14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함몰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140)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걸림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340)만이 프레임 본체(100)와 접촉될 수 있고, 따라서, 스트랩 커버(300)와 프레임 본체(100)의 접촉 면적은 접촉부(3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랩 커버(300)는 접촉부(340)의 주변 영역에서 함몰부(140)와 제2 간격(31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참조). 상기 제2 간격(312)은 접촉부(340)와 함몰부(140)가 접촉되면서 스트랩 커버(300)와 함몰부(140) 사이에 형성된 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전술한 시트백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는 자동 리클라이닝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는 수동 리클라이닝 기능이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시트백은 전술한 구성 중 리클라이닝 모터 및 스트랩 커버(30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스트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100: 프레임 본체
200: 리클라이닝부
300: 스트랩 커버

Claims (13)

  1.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2면을 관통 형성된 스트랩 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제1 면 또는 제2 면 측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를 폴딩하는 리클라이닝 모터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닝부; 및
    상기 스트랩 홀을 덮도록 마련된 스트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클라이닝 모터는 프레임 본체의 제1 또는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랩 커버는 리클라이닝 모터가 고정된 일면의 반대 반향에서 상기 스트랩 홀을 덮도록 마련된 시트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랩 커버는 착탈 가능하도록 프레임 본체에 걸림 결합되는 시트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랩 커버는 커버부;
    상기 스트랩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커버부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 소정 각도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시트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커버의 걸림 결합 상태에서, 커버부는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일면을 포함하는 시트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커버의 걸림 결합 상태에서, 커버부는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프레임 본체와 제1 간격을 형성하는 시트백.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커버는 걸림부의 길이에 따라 프레임 본체에 대한 걸림 결합력이 조절되는 시트백.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스트랩 커버의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트백.
  9. 제 8 항에 있어서, 마감재는 부직포인 시트백.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홀은 인접한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서 다른 일면 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시트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스트랩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시트백.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커버는 접촉부의 주변 영역에서 함몰부와 제2 간격을 형성하는 시트백.
  13. 제 1 항의 시트백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90044250A 2019-04-16 2019-04-16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44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50A KR102443799B1 (ko) 2019-04-16 2019-04-16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50A KR102443799B1 (ko) 2019-04-16 2019-04-16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52A KR20200121552A (ko) 2020-10-26
KR102443799B1 true KR102443799B1 (ko) 2022-09-19

Family

ID=7300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250A KR102443799B1 (ko) 2019-04-16 2019-04-16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7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669A (ja) * 2000-04-14 2001-11-06 Britax Child-Care Products Pty Ltd 安全シート用のテザー・ストラップおよび安全シートに関してテザー・ストラップを取り付ける方法
KR101746457B1 (ko) * 2015-12-24 2017-06-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278B1 (ko) * 2015-07-29 2017-03-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등받이 각도 해제 장치
KR101771011B1 (ko) * 2015-12-04 2017-08-2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타입의 차량용 리어 시트백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669A (ja) * 2000-04-14 2001-11-06 Britax Child-Care Products Pty Ltd 安全シート用のテザー・ストラップおよび安全シートに関してテザー・ストラップを取り付ける方法
KR101746457B1 (ko) * 2015-12-24 2017-06-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52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126B2 (en) Seat-back frame and vehicle seat
JP5472474B2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車両用シート
EP2727765B1 (en) Vehicle seat
JP6357173B2 (ja) 車両用シート
JP5989706B2 (ja) 乗物用シート
CN104602957A (zh) 车用座椅
JP5829121B2 (ja) 乗物用シート
US9656579B2 (en) Headrest and vehicle seat
JP6144169B2 (ja) 乗物用シート
JPH11290154A (ja) 自動車車両シ―ト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
KR102443799B1 (ko) 시트백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8991918B2 (en) Child seat attachment structure
JP6683038B2 (ja) 乗物用シート
JP595210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装着部構造
JP3695161B2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構造
JP5958334B2 (ja) 車両用シート
JP647650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7128404B2 (ja) 乗物用シート
JP7381968B2 (ja) シート
JP7354812B2 (ja) 取付枠
JP739726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3091360A (ja) 車両用シート
JP6484307B2 (ja) 乗物用シート
JP6941554B2 (ja) シートパッド及び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JP3396093B2 (ja) ヘッドレストの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