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277B1 - 친환경 저자극성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저자극성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277B1
KR102443277B1 KR1020220087757A KR20220087757A KR102443277B1 KR 102443277 B1 KR102443277 B1 KR 102443277B1 KR 1020220087757 A KR1020220087757 A KR 1020220087757A KR 20220087757 A KR20220087757 A KR 20220087757A KR 102443277 B1 KR102443277 B1 KR 102443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omposition
water
polyhydric alcohol
orga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박세미
Original Assignee
이엘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엘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엘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유기산;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코코 글루코사이드 및/또는 데실 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및 유기산의 총합 : 물을 0.03:99.97 내지 5:95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저자극성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Multipurpose CLEANING SOLUTION COMPOSITION with Eco-friendly And Hypoallergenic Properties}
본 발명은 친환경 및 저자극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 세정제로는 세정 작용을 위하여 주로 합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합성 계면활성제는 인체 유해성이 높고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합성 계면활성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친환경, 저자극 세정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천연 계면활성제는 합성 계면활성제보다 세정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리모넨 또는 리모넨 성분이 함유된 오렌지, 레몬 등 감귤류 추출물과 같은 천연 추출물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모넨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로 제품 사용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최근 리모넨은 알레르기 유발물질로서 이를 함유하는 제품에 대한 물질 표시를 의무화할 정도로 리모넨에 대한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리모넨은 공기 중에서 오존과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로 변한다고 알려져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천연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피부자극성이 매우 낮은 반면 세정력이 약하다. 기존 제품들의 경우에는 세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리모넨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제품은 피부 자극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피부 자극성을 억제하고, 탁월한 세정 성능과 동시에 항균, 탈취 등의 상승효과를 갖는 천연 저자극 세정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집안 내부를 청소하는 세정제는 주방세제와 같은 일반 세정제와는 사용 방법이 다르며 집안 내부 청소 시 세정제를 사용 후 추가적인 물 청소를 하지 않으므로 세정제가 마른 표면 위에 직접적인 피부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일반 세정제와는 다르게 피부자극에 있어 더 안전해야 하며, 자연건조 후에도 끈적임이나 미끌거림 같은 잔여감이 남지 않아야 한다. 종래기술의 고농도 세정제를 단순 희석시키는 것만으로는 세정력, 항균력 및 잔여감을 목적하는 수준으로 달성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기술1(국내공개특허 10-2013-0060265), 선행기술2(국내등록특허 10-2295942), 선행기술3(국내등록특허 10-2266094)는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기술에 관한 것이나 조성물 내 계면활성제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므로 피부자극 및 잔여감을 개선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집안 내부를 청소하는 세정제 조성물로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집안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용도로서, 세정제 조성물 내 최소한의 유효성분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유기산 및 물을 포함하고, 이들 성분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다가 알코올의 최적 함량비를 적용하여 높은 세정력과 항균력을 구현하고 건조 후 잔여물이 남지 않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합성 계면활성제 성분 없이 천연 비이온성 성분인 데실 글루코사이드 및/또는 코코 글루코사이드만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성을 억제하고 탁월한 세정성능과 동시에 항균, 탈취 등의 상승효과를 갖는 저자극 세정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유기산;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코코 글루코사이드 및/또는 데실 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및 유기산의 총합 : 물을 0.03:99.97 내지 5:95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탄소수 6개 이하의 2~4가 알코올로서, 탄소수에 대한 수산기(OH)의 개수 비가 0.3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수 용해도가 50~100(g/100ml, 20℃)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다가 알코올을 1:0.5 내지 1:7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탄소수 6개 이하의 카르복실산으로서, 탄소수에 대한 카르복실기(COOH)의 개수 비가 0.3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수 용해도가 0.5~100(g/100ml, 20℃)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유기산을 1:0.5 내지 1:1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물의 극성도(polarity)를 1.0으로 한 경우, 상기 다가 알코올의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relative polarity) 및 상기 유기산의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가 0.85 내지 0.55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증점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3 중량%; 다가 알코올 0.01 내지 3 중량%; 유기산 0.01 내지 1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유효성분의 조합에 의해 세정력, 잔여감, 향, 탈취 및 항균력의 상승효과를 갖는 세정액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자극성이 높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리모넨을 사용하지 않고, 코코글루코사이드와 데실글루코사이드, 유기산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여 세정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나아가 우수한 항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물을 제외한 유효성분의 함량이 극히 낮기 때문에 자연건조 후 끈적임이나 미끌거림 같은 잔여감이 거의 없으며, 천연 성분만을 사용하므로 피부자극성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는 가정에서 바닥 청소 등에 활용 시 집안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여러 번 사용에도 잔여물이 전혀 남지 않고 방향성이 우수하여 소비자 사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세정제를 사용함에 있어서, 유해 성분이 없고, 잔여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아 바닥 물걸레 청소를 쉽게 대체할 수 있으며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는 피부 자극과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 천연 유래 물질들로 조성되어 유아, 노약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므로, 자동차 워셔액, 안경 및 콘텍트 렌즈 세정액 등의 특수 세정제로서뿐만 아니라 샴푸, 동물용 세정제, 실내 청소용, 주방 또는 식당용 손 세정제, 여성용 청결제 및 휴대용 물티슈 등의 다양한 생활용품의 주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1-1, 비교예1-2 및 비교예1-4에서 제조된 세정제의 세정력 평가 결과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을 설명한다.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유기산; 및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의 경우 최소한의 필수 유효성분만으로도 우수한 세정력과 항균력을 가지며, 피부자극성이 매우 낮아 안전하고, 자연건조 후에도 끈적임, 미끌거림과 같은 잔여감이 없기 때문에 집안 내부를 청소하는 세정제 등으로의 사용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코코 글루코사이드 및/또는 데실 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C8 내지 C18 분지형 또는 직쇄형 알킬기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8 내지 C16 분지형 또는 직쇄형 알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와 같은 천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피부자극성이 매우 낮은 반면 세정력이 약하다. 종래기술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세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나 리모넨 등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추가로 사용하고 있으나 피부자극성을 낮추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천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다가 알코올 및 유기산과 함께 특정 함량비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성을 억제하고, 탁월한 세정 성능과 동시에 항균, 탈취 등의 상승효과를 갖는 천연 저자극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코코 글루코사이드 및 데실 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며, 라우릴 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라우릴 글루코사이드는 상대적으로 세정력이 낮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유효성분을 극소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정력을 높이기 위해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의 함량을 높이거나 추가적인 첨가물이 더 요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조성물 내 다가 알코올, 유기산과 균일한 혼합이 어려워 층 분리 현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성물 내 유효성분들과의 조합된 상승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자연건조 후 일부 미끌거림이나 끈적임이 느껴지는 등 잔여물이 남아있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2~4가 알코올일 수 있다. 일 예로, 부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에틸렌 글라이콜 및 헥실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Hexanediol 등의 헥실렌 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은 하나의 분자 안에 적어도 두 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짧은 탄화수소 복합체로 높은 비점을 가지며 분자량은 적으나 친수성 및 친유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낮은 친유성을 가지는 잘 닦이지 않는 오염물질들을 세정하기에 적당하며 물로 헹구면 거의 완전히 제거가 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측면에서 안정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가 알코올은 탄소수 6개 이하의 2~4가 알코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소(C)수에 대한 수산기(OH)의 개수 비가 0.3 내지 1.5 또는 0.3 내지 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가 알코올은 수 용해도가 50~100(g/100ml, 20℃), 70~100(g/100ml, 20℃) 또는 90~100(g/100ml,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가 알코올은 물에 대한 친화도와 상대 극성도가 높기 때문에 다른 유효성분들과의 상용성이 좋고 혼합시 세정제 조성물 내 층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세정제를 오염부위에 사용한 후 잔여물 등이 거의 남지 않아 미끌거림이나 끈적임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 간 분산성이 뛰어나 극소량 포함되더라도 세정성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헵탄디올, 1,2-옥탄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은 OH/C 개수 비가 0.3 이하로 상대적으로 낮고, 수 용해도가 50g/100ml 이하 또는 1g/100ml 이하로 낮아서 극 소량이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성능이 다소 열화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종류 C (개수) OH (개수) OH/C (비율) 수 용해도 (g/100ml)
에틸렌 글라이콜 2 2 1 100
프로필렌 글라이콜 3 2 0.67 100
1,3-부탄디올 4 2 0.5 100
1,2-헥산디올 6 2 0.33 100
글리세린 3 3 1 100
1,2-헵탄디올 7 2 0.29 -
1,2-옥탄디올 8 2 0.25 0.3
에틸헥실글리세린 8 2 0.25 0.1
상기 조성물은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다가 알코올을 1:0.5 내지 1:7 중량비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5, 1:0.7 내지 1:5 또는 1:0.8 내지 1:4.5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대비 상기 다가 알코올의 중량비가 1:0.5 미만으로 현저히 낮은 경우에는 이물질의 제거능, 항균력 및 방부력을 포함한 기능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1.:7 초과인 경우 비휘발 잔유물이 발행할 수 있고,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떨어져 제품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아세트산(acet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말산(mal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고, 좋게는 아세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에 다른 성분들과 함께 유기산을 포함하여 항균 및 탈취 기능의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유기산은 무기산 대비 약산으로서, 건조후에도 피부와 접촉 시 덜 자극적이며, 가정에서 사용할 때 생활 용품에 부식을 일으킬 가능성을 낮출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천연물질로부터 추출가능하며, 폐기시에도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높아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산은 탄소수 6개 이하의 카르복실산으로서, 유기산 중에서도 저분자량이므로 수용해성이 높아 생산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다. 특히, 아세트산은 다른 유기산과 달리, 휘발성이 있는 액상으로서 건조후에도 피세정물에 잔존하지 않게 되어 여러 번 세정 후에도 남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량으로 포함된 아세트산이 휘발될 경우 탈취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아세트산은 사과식초나 현미식초 등 식초성분으로 대체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산은 탄소수 6개 이하의 카르복실산일 수 있고, 상기 유기산은 탄소(C)수에 대한 카르복실기(COOH)의 개수 비가 0.3 내지 1.5 또는 0.3 내지 0.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산은 수 용해도가 0.5~100(g/100ml, 20℃), 10~100(g/100ml, 20℃), 30~100(g/100ml, 20℃), 50~100(g/100ml, 20℃) 또는 65~100(g/100ml, 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말산, 숙신산 등의 다가 수 용해도가 60g/100ml 이하 또는 1g/100ml 이하로 다소 낮아서 극소량이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성능이 다소 열화될 수 있다.
유기 산 종류 C (개수) COOH (개수) COOH/C (비) 수 용해도 (g/100ml)
아세트산 2 1 0.5 100
시트르산 6 3 0.5 73
말산 4 2 0.5 55.8
숙신산 4 2 0.5 0.58
상기 조성물은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유기산을 1:0.4 내지 1:1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6 또는 1:1 내지 1:4 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대비 상기 유기산의 중량비가 설정범위 미만인 경우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설정범위 초과인 경우 유기산 자체의 악취와 강한 산성으로 세정용 조성물로 적용되기 어렵다.
상기 조성물은, 물의 극성도(polarity)를 1.0으로 한 경우, 상기 다가 알코올의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relative polarity) 및 상기 유기산의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가 0.85 내지 0.55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및 유기산은 수 용해성이 높고, 동시에 상대 극성도 차이가 크지 않아서 조성물 내 층 분리 없이 균일한 혼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여 물과 함께 건조 및 제거되기 용이하므로 피세정물에 잔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물의 극성도(polarity)를 1.0로 한 경우, 상기 다가 알코올의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relative polarity)가 0.85 내지 0.55의 범위 또는 0.85 내지 0.75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다가 알코올 중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1,3-부탄디올, 1,2-헥산디올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또는 1,2-헥산디올(relative polarity = 0.79~0.81)이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 지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물의 극성도(polarity)를 1.0로 한 경우, 상기 유기산의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가 0.85 내지 0.55의 범위 또는 0.70 내지 0.60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유기산 중 아세트산 및 시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아세트산(relative polarity =0.648)이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 지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에센셜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센셜 오일은 세정용 조성물의 향 및 항균력 등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에센셜 오일은 조성물 내 함량이 0.001 내지 0.0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상술한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고, 향이 미약하거나 상 분리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에센셜 오일은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케유풋 오일, 페퍼민트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증점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적어도 둘 또는 적어도 셋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며, 또한 증점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 세정용 조성물에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유기산 및 다가 알코올의 균일한 혼합이 어려워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특히 증점제의 경우 자연건조 후 미끌거림과 끈적임 등 잔여감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다가 알코올 및 상기 유기산의 총합 : 상기 물을 0.03:99.97 내지 5:9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03:99.97 내지 1:99 중량비, 0.05:99.95 내지 0.2:99.8 중량비 또는 0.05:99.95 내지 0.1:99.9로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다가 알코올 및 상기 유기산의 총합을 0.03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03 내지 1 중량%, 0.05 내지 0.2 중량% 또는 0.05 내지 0.1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집안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방세제와 같은 일반 세정제와는 기술 영역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경우 세정액을 오염된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한 후 추가적인 물 세척(청소)를 하지 않기 때문에 세정액을 자연건조된 표면 위에 직접적인 피부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추가 물 세척이 필수인 일반 세정제와는 다르게 피부자극성이 극히 낮아야 하며, 자연건조 후에 끈적임이나 미끌거림 같은 잔여감이 남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세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들을 최소한으로 사용해야만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일반 주방세제 등과 같은 고농도의 세정제를 단순 희석시키는 것만으로는 용이하게 달성될 수 없다.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1 중량%; 다가 알코올 0.01 내지 0.5 중량%; 유기산 0.01 내지 1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3 중량%, 0.015 내지 1 중량%, 0.025 내지 1 중량%, 0.1 내지 0.5 중량% 또는 0.15 내지 0.35 중량%; 다가 알코올 0.01 내지 3 중량%, 0.02 내지 1 중량%, 0.02 내지 0.5 중량%, 0.02 내지 0.3 중량% 또는 0.02 내지 0.2 중량%; 유기산 0.01 내지 1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02 내지 0.2 중량%, 0.02 내지 0.1 중량% 또는 0.02 내지 0.07 중량%; 및/또는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산 함량이 상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세정력이 감소할 수 있고, 반대로 초과인 경우 유기산 자체의 향으로 세정용 조성물의 냄새가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설정한 범위 미만인 경우 세정 효과가 감소하고, 반대로 상기 설정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자연건조 후 잔여감이 남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량이 수치 범위 내인 경우 세정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1 내지 7-2 및 비교예 1-1 내지 3-5)
하기 표 6~13에 기재된 조성으로 원료를 혼합하여 세정액 시료를 제조하고, 이를 후속 실험예에서 사용하였다(단위: 중량%).
실험예
제조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하기 측정방법을 적용하여 세정력, 잔여감, 향 및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1) 세정력 평가
넓이 1.5 cm의 피세정물에 1cm 높이로 오염물로 고추기름을 얇게 도포하여 스포이드로 세정제를 10회씩 뿌려 세정하였다. 피세정물을 완전 건조 후 0 내지 3 점을 10회 평가하여 평균점수를 계산하고 이에 따라 등급을 매겨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1, 비교예1-4 및 비교예1-2에서 제조된 세정제의 세정력 평가 결과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평가내용 (평가점수) 평가기준
미흡 (0.0~1.5점) 기름 오염이 넓게 분포하며 붉은 색 식별이 쉬운 상태
보통 (1.6~2.5점) 기름 오염이 국소적으로 분포하며, 붉은 색 식별이 어려운 상태
우수 (2.6~3.0점) 남아있는 기름 오염 식별이 힘들며, 붉은 색 식별이 불가능한 상태
2) 잔여감 평가
넓은 면적의 피세정물에 세정제를 묻힌 천으로 닦아내고 완전 건조 후, 손으로 직접 만져 하기 평가기준으로 10회 평가하여 평균점수로 잔여감을 평가하였다.
평가내용 평가기준
미흡 미끌거림이나 끈적거림이 강하게 느껴짐
보통 미끌거림이나 끈적거림이 약하게 느껴짐
우수 미끌거림이나 끈적거림이 느껴지지 않음
3) 향 평가
향은 세정제 자체의 향을 맡아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4) 항균력 평가
ASTM E2149 시험법(동적 접촉 조건 하에서 고정화 된 항균제의 항균 활성 측정)에 따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실험하였고, 하기 평가기준으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평가내용 평가기준
미흡 항균력 90.0% 미만
보통 항균력 90.0~95.0%
우수 항균력 95.0~99.0%
매우우수 항균력 99.0~99.9%
[실험예1] 세정용 조성물의 필수유효성분 포함 여부에 따른 성능 평가
성분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acetic acid 0.5 0.5 - 0.05 0.5 -
1,2-Hexanediol 0.25 0.25 0.027 - 0.25 0.025
코코글루코사이드 0.03 - 0.013 0.012 - 0.011
데실글루코사이드 - 0.03 0.016 0.015 - 0.015
라우릴글루코사이드 - - - - 0.25 -
리모넨 - - - - - 0.06
정제수 To 100
세정력 우수 우수 미흡 미흡 미흡 보통
잔여감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보통
무취 무취 무취 무취 무취 오렌지향
항균력 우수 우수 미흡 미흡 우수 우수
(상기 표 6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수치는 중량%를 의미한다)
상기 표 6에서, 실시예1-1 및 1-2의 세정용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및 유기산을 모두 포함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세정력, 잔여감, 향 및 항균력의 상승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1-1 및 1-2의 세정용 조성물은 유기산 또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아 실시예 대비 세정력과 항균력이 현저히 열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예 1-3의 세정용 조성물의 경우, 유효 성분들 간의 혼합 사용에 따른 세정력 개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의 자체 세정력이 낮고 1,2-Hexanediol, acetic acid와의 불균일한 혼합으로 조성물 내 층 분리 현상이 가속화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비교예 1-4의 세정용 조성물에 사용된 리모넨은 최근 알레르기 유발물질로서 이를 함유하는 제품에 대한 물질 표시를 의무화할 정도로 리모넨에 대한 관리가 강화되고 있으며, 공기 중에서 오존과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세정용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실험예2] 세정용 조성물의 희석 사용에 따른 성능 평가
성분 실시예2
농축액 100배 희석
acetic acid 10 0.1
1,2-Hexanediol 3 0.03
코코글루코사이드 1.2 0.012
데실글루코사이드 1.5 0.015
정제수 To 100 To 100
(세정액 성분 총합)/정제수
(중량비)
0.18624 0.0016
성능 평가
세정력 미흡 우수
잔여감 미흡 좋음
강한 아세트산냄새 무취
성분 비교예2
농축액 100배 희석
구연산 (pH 조정제) 소량 극소량
alcohol 0 0
코코글루코사이드 16.7 0.167
데실글루코사이드 33.3 0.333
정제수 To 100 To 100
(세정액 성분 총합)/정제수
(중량비)
50 0.005
성능 평가
세정력 미흡 미흡
잔여감 미흡 미흡
(상기 표 7 및 8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수치는 중량%를 의미한다)
상기 표 7 및 8에서,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세정액 성분 총합이 바람직한 수치범위에 해당될 수 있도록 희석 사용하는 경우 함유성분의 조합으로 우수한 세정력과 잔여감 등에서 상승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농도 세정액의 성능 평가로부터 희석 후 성능을 예측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일반 주방세제로 사용되는 비교예2의 세정액(농축액)은 세정력이 매우 우수하였으나 실시예2(100배 희석) 수준으로 희석시킨 후 측정한 세정 성능이 매우 열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 희석만으로는 자연건조 후 끈적임이나 미끌거림 같은 잔여감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즉, 비교예2의 고농도의 세정제를 단순 희석시키는 것만으로는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의 성능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3] 세정용 조성물 내 계면활성제 및 다가 알코올의 함량비 변경에 따른 성능 평가
성분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3-1 3-2 3-1 3-2 3-3 3-3 3-4 3-5
acetic acid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1,2-Hexanediol 0.005 0.01 0.025 0.03 0.12 0.2 0.3 0.5
코코글루코사이드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데실글루코사이드 0.015 0.015 0.015 0.015 0.015 0.015 0.015 0.015
정제수 To 100
알코올/계면활성제
(중량비)
0.18 0.37 0.92 1.1 4.4 7.4 11.1 18.5
성능평가
세정력 보통 보통 우수 우수 우수 보통 보통 미흡
(상기 표 9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수치는 중량%를 의미한다)
상기 표 9에서, 실시예3-1 내지 3-5의 세정용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와 다가 알코올의 중량비가 본 발명의 수치범위에 속하며, 그렇지 못한 비교예3-1 내지 3-4의 세정용 조성물 대비 우수한 세정 성능을 나타내었다.
비교예3-1 및 3-2의 세정용 조성물을 참조할 때 글루코사이드 대비 1,2-hexanediol의 중량비가 1:0.5 미만으로 현저히 낮은 경우에는 세정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분석되며, 비교예3-3 및 3-4의 세정용 조성물을 참조할 때 계면활성제 대비 알코올의 중량비가 1:7 초과하여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조성물 내 다른 유효성분들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세정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예4] 세정용 조성물 내 유기산 종류 변경에 따른 성능 최적화
실시예
4-1 4-2 4-3 4-4 4-5 4-6 4-7 4-8
성분 acetic acid 0.025 0.05 - - - - - -
citric acid - - 0.025 0.05 - - - -
Malic acid - - - - 0.025 0.05 - -
succinic acid - - - - - - 0.025 0.05
1,2-Hexanediol 0.025 0.025 0.025 0.025 0.025 0.025 0.025 0.025
코코글루코사이드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데실글루코사이드 0.015 0.015 0.015 0.015 0.015 0.015 0.015 0.015
정제수 To 100
평가 세정력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보통 미흡 우수 보통
pH 3.58 3.43 3.17 2.97 2.80 2.55 3.48 3.31
(상기 표 10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수치는 중량%를 의미한다)
상기 표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유기산을 포함하여 세정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말산, 숙신산은 아세트산 등 다른 유기산과 달리 수 용해성이 낮아서, 조성물 내 층 분리 발생, 조성물 내 혼합 균일성 저하, 그 결과로서 조성물 내 유효성분들과의 조합된 세정력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예5] 세정용 조성물 내 유기산 농도에 따른 성능 최적화
실시예
5-1 5-2 5-3 5-4 5-5 5-6
성분 acetic acid 0.025 0.05 0.10 0.15 0.4 1
1,2-Hexanediol 0.025 0.25 0.5 0.5 0.5 0.5
코코글루코사이드 0.012 0.012 0.011 0.011 0.011 0.01
데실글루코사이드 0.015 0.015 0.015 0.015 0.015 0.015
정제수 To 100
유기산/계면활성제
(중량비)
0.92 1.85 3.85 5.77 15.38 40.00
평가 세정력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보통 우수
pH 3.58 3.43 3.27 3.19 2.97 2.77
- - - - 약간냄새 심한냄새
(상기 표 11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수치는 중량%를 의미한다)
상기 표 11을 참조하면, 실시예5-5 및 5-6의 경우 유기산/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다소 높고, 유기산 자체로부터 악취가 발생되었다.
[실험예6] 세정용 조성물 내 이종의 다가 알코올 추가 포함에 따른 성능 최적화
실시예6-1 실시예6-2 실시예6-3
성분 코코글루코사이드 0.01 0.01 0.01
데실글루코사이드 0.015 0.015 0.015
acetic acid 0.05 0.05 0.05
1,2-Hexanediol 0.025 0.025 0.025
글리세린 - 0.5 -
부틸렌글라이콜 - - 0.5
정제수 To 100
평가 세정력 우수 우수 보통
항균력 보통 보통 우수
(상기 표 12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수치는 중량%를 의미한다)
상기 표 12에서, 실시예6-2 및 6-3의 경우 글리세린 또는 부틸렌글라이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여 항균 성능이 소폭 개선되었으나 세정력은 동등 또는 일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7] 세정용 조성물 내 에센셜 오일 추가 포함에 따른 성능 최적화
실시예7-1 실시예7-2
코코글루코사이드 0.01 0.01
데실글루코사이드 0.015 0.015
acetic acid 0.05 0.05
1,2-Hexanediol 0.025 0.025
케유풋 오일 - 0.001
페퍼민트오일 - 0.002
정제수 To 100 To 100
성능평가
세정력 우수 우수
기타 아세트산냄새 민트,나무향
(상기 표 13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수치는 중량%를 의미한다)
상기 표 13에서, 실시예7-2의 세정용 조성물은 에센셜 오일 성분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사용시 향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0)

  1.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유기산;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코코 글루코사이드 및/또는 데실 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산은 수 용해도가 65~100(g/100ml, 20℃)이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다가 알코올을 1:0.5 내지 1:7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및 유기산의 총합 : 물을 0.03:99.97 내지 5:95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탄소수 6개 이하의 2~4가 알코올로서, 탄소수에 대한 수산기(OH)의 개수 비가 0.3 내지 1.5인 세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수 용해도가 50~100(g/100ml, 20℃)인 세정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탄소수 6개 이하의 카르복실산으로서, 탄소수에 대한 카르복실기(COOH)의 개수 비가 0.3 내지 1.5인 세정용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유기산을 1:0.5 내지 1: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의 극성도(polarity)를 1.0으로 한 경우, 상기 다가 알코올의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relative polarity) 및 상기 유기산의 물에 대한 상대 극성도가 0.85 내지 0.5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증점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3 중량%; 다가 알코올 0.01 내지 3 중량%; 유기산 0.01 내지 1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정용 조성물.
KR1020220087757A 2022-07-15 2022-07-15 친환경 저자극성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 KR102443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57A KR102443277B1 (ko) 2022-07-15 2022-07-15 친환경 저자극성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57A KR102443277B1 (ko) 2022-07-15 2022-07-15 친환경 저자극성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277B1 true KR102443277B1 (ko) 2022-09-15

Family

ID=8328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757A KR102443277B1 (ko) 2022-07-15 2022-07-15 친환경 저자극성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2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734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수계 세정제 조성물
KR101875375B1 (ko) * 2010-12-21 2018-07-06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79992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케이씨텍 세정액 조성물
KR102019008B1 (ko) * 2019-01-31 2019-09-05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 융합 단백질을 이용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검출 방법
KR20210032993A (ko) * 2018-07-18 2021-03-25 시므라이즈 아게 세제 조성물
KR102266094B1 (ko) * 2020-12-01 2021-06-17 (주)다래월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734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수계 세정제 조성물
KR101875375B1 (ko) * 2010-12-21 2018-07-06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79992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케이씨텍 세정액 조성물
KR20210032993A (ko) * 2018-07-18 2021-03-25 시므라이즈 아게 세제 조성물
KR102019008B1 (ko) * 2019-01-31 2019-09-05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 융합 단백질을 이용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검출 방법
KR102266094B1 (ko) * 2020-12-01 2021-06-17 (주)다래월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0376B2 (ja) 硬質表面用酸性抗菌洗浄剤
JP4346682B2 (ja) 農産物、例えば、果物および野菜用のクリーニング/消毒法、組成物および/または物品
US10696930B2 (en) Solvent containing anitmicrobial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US6316399B1 (en) Surfactants based aqueous compositions with D-limonene and hydrogen peroxide and methods using the same
CZ408597A3 (cs) Čistící/ozdravovací způsoby, prostředky a/nebo výrobky pro zemědělské plodiny
JP2001504467A (ja) 消毒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
US20180371377A1 (en) Polymer containing antimicrobial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JPH11508620A (ja) 布地用のクリーニング/消毒法、組成物および/または物品
US5439610A (en) Carpet cleaner containing fluorinated surfactant and styrene maleic anhydride polymer
CA2333749C (en) A cleaning solution and method
EP0648834B1 (en) Carpet cleaner
JP2010248452A (ja) 洗浄剤組成物及び洗浄用具
CZ412097A3 (cs) Čistící/asanační způsoby, prostředky a/nebo výrobky pro nepotravinářské a neživé povrchy
JP2015500818A (ja) 表面を消毒する方法
EP2892991B1 (en) Soap composition
KR102443277B1 (ko) 친환경 저자극성 특성을 가지는 다목적 세정용 조성물
Sabharwal Health issues and environmental impact of cleaning agents
EA024105B1 (ru) Жидкая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чищения твердой поверхности
WO200604018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 hop extract benefit agent
US7592303B2 (en) Multi-purpose cleaning compositions and method
CN114032148A (zh) 一种抗菌型油烟清洁剂
CN103242972A (zh) 一种厨房日常护理用清洁乳液及其制备方法
CN109554250A (zh) 一种杀菌抑菌的洗衣液及其制备工艺
JP7264735B2 (ja) 硬質表面用処理剤組成物
CN117821176A (zh) 一种厨房湿巾复配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