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705B1 -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705B1
KR102442705B1 KR1020200066157A KR20200066157A KR102442705B1 KR 102442705 B1 KR102442705 B1 KR 102442705B1 KR 1020200066157 A KR1020200066157 A KR 1020200066157A KR 20200066157 A KR20200066157 A KR 20200066157A KR 102442705 B1 KR102442705 B1 KR 102442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lower plate
support rod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9305A (ko
Inventor
김종섭
Original Assignee
김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섭 filed Critical 김종섭
Priority to KR102020006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7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을 짓기 위하여 기초공사를 하고 H빔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앵커볼트는 평판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평판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중앙부위에는 상부중앙관통홀과 하부중앙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중앙관통홀과 상기 하부중앙관통홀에는 기준봉이 관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공사 현장에 따라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배설된 철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기준봉에 의하여 H-빔이 설치되는 정확한 위치에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앵커볼트를 매립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ANCHOR BOLT FOR USE OF A CONSTRUCTING BUILDING}
본 발명은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짓기 위하여 기초공사를 하고 H빔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그 건축물의 기초공사 및 건축물의 지하를 시설하기 위하여 소정의 너비와 깊이로 땅을 파내게 된다.
위와 같이 터파기한 지점의 흙을 다지고, 그위에 잡석과 비닐을 깐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설한다.
그리고 철근이 배설한 지점에 수직 H-빔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 H-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배설된 철근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정확한 위치에 미리 앵커볼트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기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수직 H-빔을 고정하고, 그후에 수평 H-빔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그 위에 골조공사를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249129호(2013.04.02. 공고) "나사산 철근을 이용한 기초 앵커볼트"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217호(2012.07.10. 공개) "기기 기초 시공 방법" 문헌3: 등록특허공보 제10-1050271호(2011.07.19. 공고) "기초공사 시공방법" 문헌4: 등록특허공보 제10-0237346호(2000.01.15. 공고) "해체가능한 타설앵커 및 가설지반앵커시공법"
본 발명은 H-빔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가 서로 다른 건설 현장에서도 적응할 수 있고, 특히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립될 수 있으며,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는, 평판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평판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은 십자형(+)이며, 상기 하부판을 관통하는 상기 지지봉에 한 쌍의 너트가 체결되어서, 상기 하부판과 상기 지지봉을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상부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이 상기 상부판과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판의 중앙부위에는 상부중앙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중앙관통홀에는 기준봉이 관통되며, 상기 하부판의 중앙부위에는 하부중앙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중앙관통홀에는 상기 기준봉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공사 현장에 따라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배설된 철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기준봉에 의하여 H-빔이 설치되는 정확한 위치에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앵커볼트를 매립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중간판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견고하게 매설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앵커볼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상부판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의 사시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의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판의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상기 앵커볼트의 분리 사시도와 상부판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는 하부판(20) 상부판(40) 지지봉(50) 및 기준봉(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20)은 평판의 판재로 이루어지는데 십자(+) 형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상부판(40)은 상기 하부판(20)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평판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20)과 동일한 형상인 십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50)은 상기 하부판(20)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판(40)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봉(棒) 형상이다.
상기 지지봉(50)은 외주면에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볼트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50)이 콘크리트(5)에 매설되며, 외주면에 전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하여 표면적이 증대되므로, 상기 지지봉)50)은 상기 콘크리트(5)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0)에는 4개의 하부관통홀(21)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관통홀(21)은 모서리가 형성된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하부관통홀(21)에는 상기 지지봉(50)이 관통되며, 상기 지지봉(50)은 한 쌍의 너트(7)에 의하여 상기 하부판(20)과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봉(50)이 관통되는 상기 하부판(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상기 지지봉(50)에 각각 너트(7)가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40)에도 상기 하부관통홀(21)과 대응되는 부위에 4개의 상부관통홀(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관통홀(41)을 관통하는 상기 지지봉(60)에도 한 쌍의 너트(7)가 체결되어서 상기 지지봉(50)이 상기 상부판(4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공사 현장에 따라서 타설되는 콘크리트(5)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40)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40)의 중앙부위에는 상부중앙관통홀(4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20)의 중심에도 상부중앙관통홀(45)에 대응되는 하부중앙관통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중앙관통홀(45)과 상기 하부중앙관통홀(25)에는 하나의 기준봉(60)이 관통되게 안착된다.
상기 기준봉(60)의 상기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40)의 중심에 위치하여 기준이 되는 봉(棒)이다.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그 건축물의 기초공사 및 건축물의 지하를 시설하기 위하여 소정의 너비와 깊이로 땅을 파내게 된다.
위와 같이 터파기한 지점의 흙을 다지고, 그 위에 잡석과 비닐을 깐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설한다.
그리고 철근이 배설한 지점에 수직 H-빔(3)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 H-빔(3)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배설된 철근에 콘크리트(5)를 타설할 때, 정확한 위치에 미리 상기 앵커볼트(10)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측량장치에 의하여 수직의 H-빔(3)을 설치할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에 본 발명에 의한 앵커불트(10)를 매설하게 되는데, 설치될 H-빔(3)의 중심과 일치하는 정확한 위치에 상기 기준봉(60)이 위치하도록 하여서, 철근을 이용하여서 고정시킨다.
상기 콘크리트(5)가 타설되고, 상기 앵커볼트(10)가 정확한 위치에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기준봉(60)은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기준봉(60)을 이용하여서 정확한 위치에 H-빔(3)이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40)은 타설된 콘크리트(5)에 매설되고, 4개의 상기 지지봉(50)의 상부는 노출된 상태가 되게 된다.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5)가 양생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볼트 형상의 상기 지지봉(50)을 이용하여서 수직 H-빔(3)이 너트(7)에 의하여 체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40)이 사각형 모양을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40)은 터파기한 지점의 흙을 다지고, 그위에 잡석과 비닐을 깐 다음 그 위에 배설한 철근의 형상에 의하여 여러 모양으로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40) 사이에는 평판의 중간판(30)이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중간판(30)에는 중간관통홀(3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50)은 상기 중간관통홀(31)을 관통하며, 상기 지지봉(50)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7)에 의하여 상기 중간판(30)이 상기 지지봉(50)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판(30)의 중앙부위에는 중간중앙관통홀(35)이 형성되어 상기 기준봉(60)이 관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0)의 중앙부위에는 하부중앙관통홀(25)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중앙관통홀(25)에는 상기 기준봉(60)이 관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판(30)이 추가로 장착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앵커볼트(10)가 콘크리트(5)에 매설되는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10)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40)은 외곽 테두리를 이루는 ㅁ자 형상의 상부외곽판(46)과 상기 상부외곽판(46)의 내측에 일체로 이루어지는 X자 형상의 상부경사판(48)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외곽판(46)에는 8개의 상기 상부관통홀(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사판(48)의 중앙에는 상기 기준봉(60)이 관통되는 상부중앙관통홀(45)이 형성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상기 하부판(20)은 상기 상부외곽판(46)과 동일한 형상의 하부외곽판(26)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사판(48)과 동일하게 하부경사판(28)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는 중간판(30)이 추가되는데, 상기 중간판(30)도 상기 상부외곽판(46)과 동일한 형상의 중간외곽판(36)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사판(48)과 동일하게 중간경사판(38)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10)는 H-빔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부판(40), 상기 중간판(30) 및 상기 하부판(20)은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고, 장착되는 상기 지지봉(50)의 갯수도 증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10)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앵커볼트, 20: 하부판,
21: 하부관통홀, 25: 하부중앙관통홀,
30: 중간판, 31: 중간관통홀,
35: 중간중앙관통홀, 40: 상부판,
41: 상부관통홀, 45: 상부중앙관통홀,
50: 지지봉, 60: 기준봉

Claims (10)

  1. 평판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평판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은 십자형(+)이며,
    상기 하부판을 관통하는 상기 지지봉에 한 쌍의 너트가 체결되어서, 상기 하부판과 상기 지지봉을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상부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이 상기 상부판과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판의 중앙부위에는 상부중앙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중앙관통홀에는 기준봉이 관통되며,
    상기 하부판의 중앙부위에는 하부중앙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중앙관통홀에는 상기 기준봉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66157A 2020-06-02 2020-06-02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KR102442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157A KR102442705B1 (ko) 2020-06-02 2020-06-02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157A KR102442705B1 (ko) 2020-06-02 2020-06-02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05A KR20210149305A (ko) 2021-12-09
KR102442705B1 true KR102442705B1 (ko) 2022-09-13

Family

ID=7886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157A KR102442705B1 (ko) 2020-06-02 2020-06-02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7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500A (ja) * 2000-06-19 2002-01-09 Kenji Ueda コンクリート天端スペーサー
JP2004019303A (ja) * 2002-06-18 2004-01-22 Sadao Yoshida アンカーボルト固定装置
JP4722201B2 (ja) * 2009-06-30 2011-07-13 株式会社アクト アンカー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6934A (ja) * 1988-03-04 1989-09-11 Natl House Ind Co Ltd アンカーボルト装置
KR100237346B1 (ko) 1994-03-04 2000-01-15 이창훈 해체가능한 타설앵커 및 가설지반앵커시공법
KR101050271B1 (ko) 2008-08-20 2011-07-19 (유)선일건설 기초공사 시공방법
KR20120078217A (ko) 2010-12-31 2012-07-10 (주)정토지오텍 기기 기초 시공 방법
KR101249129B1 (ko) 2012-03-12 2013-04-02 태연기계주식회사 나사산 철근을 이용한 기초 앵커 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500A (ja) * 2000-06-19 2002-01-09 Kenji Ueda コンクリート天端スペーサー
JP2004019303A (ja) * 2002-06-18 2004-01-22 Sadao Yoshida アンカーボルト固定装置
JP4722201B2 (ja) * 2009-06-30 2011-07-13 株式会社アクト アンカー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05A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6832C (en) Pinned foundation system
JP2013221396A (ja) 多杭基礎固定システム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US4627205A (en) Building foundations invention
KR101849766B1 (ko)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콘크리트 줄기초 시공 방법
JP2017061841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体
KR102442705B1 (ko)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KR102197107B1 (ko) 임플란트식 파일압입구가 이식된 슬래브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기둥 시공방법
KR102112575B1 (ko) 펜스 지주용 받침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200282684Y1 (ko)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KR101967425B1 (ko) 부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JP6283906B2 (ja) 支柱基礎
JP2023011057A (ja) 基礎構造及び基礎構築方法
KR20100007721A (ko)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KR20190077888A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102104964B1 (ko) 안전난간 휀스지주의 수평조절장치
KR102059375B1 (ko) 펜스 지주용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KR102059470B1 (ko) 기초 보강용 다각 팽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구조물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090066562A (ko) 수직 프리스트레싱 프리캐스트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JP2007100412A (ja) 張り出し歩道の構造体
KR101013028B1 (ko) 콘크리트말뚝용 두부보강물
KR102319672B1 (ko) 스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