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820B1 - 슬래브 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820B1
KR102439820B1 KR1020220022439A KR20220022439A KR102439820B1 KR 102439820 B1 KR102439820 B1 KR 102439820B1 KR 1020220022439 A KR1020220022439 A KR 1020220022439A KR 20220022439 A KR20220022439 A KR 20220022439A KR 102439820 B1 KR102439820 B1 KR 10243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lab
joint
pair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예림
김용민
김선희
서제호
최정이
이미현
주유진
김길성
최재현
원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22002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도로 구조물의 분할된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슬래브 및 상기 제2 슬래브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유동하는 이음부; 및 상기 이음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는, 신축 이음 구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슬래브 이음 장치{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도로 구조물의 무소음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예를 들어 다수의 교각을 가지는 비교적 길이가 긴 교량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분할된 상판 슬래브 사이에는 신축 이음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분할된 교량 상판부의 대면하는 단부에 상호 맞물림 결합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 작용하는 상부 상판 판과, 그 상부 상판판을 후타 콘크리트에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 볼트와 후타 콘크리트의 결속력 증대 및 후타 콘크리트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철근과, 상기 양측 후타 콘크리트에 그 단부가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된 우수 및 이물질 수거용 고무방수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상판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유연하게 신축되기는 하나, 물의 침투를 저지하는 데는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에 슬래브가 수축됨에 따라 한 쌍의 신축단 사이가 벌어지고, 이에 따라 차량이 주행할 때 큰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며, 이는 운전자의 불쾌감을 유발시키고, 야간 주행 시 충격으로 인한 극심한 소음에 의하여 인근 주민들로부터 민원발생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슬래브의 신축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물의 침투를 저지함과 동시에 침투가 이루어지는 경우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고, 슬래브와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차량이 주행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신축 이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 장치는 도로 구조물의 분할된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슬래브 및 상기 제2 슬래브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유동하는 이음부; 및 상기 이음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음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이음 바아; 복수 개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이음 바아; 및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이음 바아의 타단부를 체결 고정하는 이음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음 바아는, 타단부의 상부면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이음 바아는,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타단부와 상호 끼움 맞춤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타단부의 하부면에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단턱과 대응하는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소정 두께의 바아 형태로 형성되되,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 상기 이음부의 설치를 위한 설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슬래브 및 상기 제2 슬래브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슬래브 및 상기 제2 슬래브에 각각 설치하는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금속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를 U자 형으로 성형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 사이로의 빗물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일단부가 보강 프레임과 맞닿아 설치됨으로써 내구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배수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판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교량에 대한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 장치(1000)는 도로 구조물의 분할된 슬래브 사이를 신축 이음하는 장치로, 베이스 플레이트(10), 앵커(30), 이음부(40) 및 배수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로 구조물의 분할된 제1 슬래브(1) 및 제2 슬래브(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래브(1) 및 제2 슬래브(2)는 마주하는 단부에 단차지게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착면에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각각 안착 설치될 수 있다.
앵커(30)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제1 슬래브(1) 및 제2 슬래브(2)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앵커(30)가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의 안착면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의 안착면에 타설되는 몰탈에 의해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일체로 합성될 수 있다.
이음부(40)는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이음 바아(4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음 바아(42)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중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이음 바아(42)는 각각 복수의 제1 이음 바아(41) 간의 간격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음부(40)는 차량이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슬래브(1) 및 제2 슬래브(2)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판(50)은 금속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를 U자 형으로 성형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판(50)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사이에 설치되어, 이음부(4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이음 바아(41) 간의 공간 및 복수의 제2 이음 바아(42) 간의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배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 장치(1000)는 도로 구조물의 분할된 슬래브 사이를 신축 이음하는 장치로, 베이스 플레이트(10), 보강 프레임(20), 앵커(30), 이음부(40) 및 배수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로 구조물의 분할된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는 마주하는 단부에 단차지게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착면에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각각 안착 설치될 수 있다.
보강 프레임(20)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보강 프레임(20)에 의해 상호 마주하는 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것이다.
보강 프레임(20)은 소정 두께의 바아 형태로 형성되되,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 후술하는 이음부(40)의 설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앵커(30)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앵커(30)가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의 안착면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의 안착면에 타설되는 몰탈에 의해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일체로 합성될 수 있다.
이음부(40)는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1 이음 바아(41), 제2 이음 바아(42) 및 이음 볼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음 바아(4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음 바아(41)는 일단부가 보강 프레임(20)에 형성되는 설치 홈에 맞닿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음 바아(42)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중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음 바아(42)는 일단부가 보강 프레임(20)에 형성되는 설치 홈에 맞닿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이음 바아(41) 및 제2 이음 바아(42)는 일단부가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이음 바아(41) 및 제2 이음 바아(42)의 타단부는 상호 맞닿을 수 있다. 이때, 제1 이음 바아(41)의 타단부는 상부면에 단턱을 형성하고, 제2 이음 바아(42)의 타단부는 하부면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상호 끼움 맞춤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음 볼트(43)는 제1 이음 바아(41) 및 제2 이음 바아(42)의 결합된 타단부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음부(40)는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의 수축 팽창에 따라 제1 이음 바아(41) 및 제2 이음 바아(42)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절첩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도로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 사이로의 빗물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일단부가 보강 프레임(20)과 맞닿아 설치됨으로써 내구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보강 프레임(20) 및 이음부(40)는 차량이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판(50)은 금속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를 U자 형으로 성형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판(50)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사이에 설치되어, 이음부(4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이음 바아(41) 간의 공간 및 복수의 제2 이음 바아(42) 간의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배수할 수 있다.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는 교량의 상부 슬래브(8)와 슬래브(8)의 사이(유간)에 설치되며, 고정받침대(10)와 고정대(20) 및 신축부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받침대(10)는 고정홈(10a)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슬래브(8)의 측면에 상기 고정홈(10a)을 유간에 노출하는 상태로 매립된다. 그리고, 각 고정받침대(10)의 고정홈(10a)에 고정대(20)가 끼워져 고정되며, 이러한 각 고정대(20)에 신축부재(22)의 양단이 결합되므로서, 신축부재(22)가 슬래브(8)와 슬래브(8) 사이의 유간에서 "U"자형으로 설치되어 누수가 방지되게 한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15호는 슬래브에 매립되는 철근을 나타낸 것이고, 30은 슬래브(8)와 슬래브(8)의 사이 공간인 유간(이하의 설명에서 "유간"이라 함) 상부에 설치되는 강판덮개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는 그 신축부재가 고무 재질로 형성되므로, 통상 외부에 시공되는 교량의 특성상, 상기 신축부재는 일광(日光)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신축부재는 최초 설치 후 비교적 이른 시기에 노화에 따른 내구성 저하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노화된 신축부재는 그 정상적인 기능 수행을 위해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종래의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는 그 신축부재의 교체 주기가 비교적 빠르며, 따라서 관리자가 유지보수에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동시에, 잦은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 및 비용 지출이 초래된다. 또한, 신축부재에 대한 일광의 복사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유간의 상부를 가리는 강판덮개를 슬래브의 상부에 유간마다 설치하게 되며, 이는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는 물론 그를 포함하는 교량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동시에, 교량의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나 단체의 예산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서로 다른 슬래브(slab:170)의 사이 공간인 유간(180)에 설치되며, 고정프레임(110)과 배수판(1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10)은 계속 이어서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고, 배수판은 연속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이음 없이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구성이며, 하나의 고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그 구성을 설명한다.
고정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개방구(114)가 폭 방향의 일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의 폭 방향 일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개방구(114)를 형성하는 동시에 개방구(114) 상,하측의 폐쇄된 면은 거푸집과의 고정을 위한 플랜지(111,112)를 이루는 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프레임(110)의 폭 방향 일면의 전체가 개방되어 개방구를 형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10)에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 형태의 고정부(112)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의 개방구(114)를 형성하는 폭 방향의 일면 중, 개방구(114)의 하측에 위치하여 플랜지(112)를 형성하는 폐쇄된 면이 고정부(112)을 이루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프레임(110)의 내,외측에 별도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은 서로 다른 슬래브(17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각각 매립 설치된다.
상기 배수판(120)은 폭 방향의 양단에 외측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후크 형태의 체결부(121)가 형성된 "U"자형 단면의 구조이며, 상기 체결부(121)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부(112)에 걸려 지지되는 용도로써, 이에 따라 배수판(120)은 그 폭 방향의 양단을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에 각각 지지시키면서 고정프레임(11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유간(180)에 띄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수판(1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일 예로써 배수판(120)은 철판을 "U"자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판(120)은 "U"자형 단면의 형태인 동시에 폭 방향의 양단에 외측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후크 형태의 체결부를 갖는 형태의 수지 성형물일 수 있으며, 여기서 수지로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배수판(120)은 유간(180)의 측면 방향에서 그 체결부(121)를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부(112)에 걸어 지지시키면서 고정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유간(180)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고,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유간(18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그 체결부(121)를 고정프레임(110)의 걸림턱(112)에 걸어 지지시키면서 유간(180)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배수판(120)은 폭 방향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U"자 형의 삽입부(122)를 구비하되, 배수판(120)이 유간(180)에 띄워져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삽입부(122)는 고정프레임(110)의 개방구(114) 외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배수판(120)의 삽입부(122)는 배수유도판(130)의 하단을 삽입시켜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써, 즉 상기 배수유도판(130)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 하부를 상반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킨 형태로 이루어져, 배수유도판(130)의 상부는 개방구(114)를 통해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개방구(114)의 내측 주연에 지지되며, 배수유도판(130)의 하부는 배수판(120)의 삽입부(12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배수유도판(130)은 슬래브(170)의 상면에서 유간(180)으로 배수되는 물이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수판(120)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고정프레임(110)의 폭 방향 타면, 다시 말해 고정프레임(110)의 개방구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면에 너트레일(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너트레일(113)은 고정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양측을 개방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너트가 너트레일(113)의 길이 방향의 개방 측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삽입된 너트는 너트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너트에 볼트(140)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트(140)는 슬래브(170)의 철근(160)에 고정되는 용도이다. 따라서, 너트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볼트(140)가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철근(160)과 볼트(140)의 용접 결합시, 볼트(14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면서 철근이나 기타 다른 구성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위치에서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유간(180)의 상부가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슬래브(170)의 상면에 강판덮개(150)가 볼트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 따라, 배수판(120)이 금속 재질의 특성상 교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광으로 인한 변형 및 노화가 잘 방지될 수 있다. 이는, 배수판(120)이 교량에 설치된 후 잦은 교체나 보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전체 신축이음장치의 유지관리를 비교적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결과로 나타난다.
또한, 배수판(120)이 상기와 같이 일광으로 인한 변형 및 노화가 잘 방지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유간(180) 상부의 강판덮개(150)를 전체 유간(180) 중 필요한 최소의 개소에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교량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210)과 배수판(2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다른 슬래브(270)의 사이 공간인 유간(28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개방구(212)가 폭 방향의 일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구(212)의 상단으로부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 방향으로 고정부(213)가 후크 형태를 이루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2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러한 한 쌍의 고정프레임(210)이 서로 다른 슬래브(27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각각 매립 설치된다.
상기 배수판(220)은 고정프레임(210)의 고정부(213)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후크형의 체결부(221)가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이러한 배수판(220)은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배수판(220)은 고정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의 개방 측을 통해서 그 하향 후크형의 체결부(221)를 고정프레임(210)의 상향 후크형의 고정부(213)에 끼워 지지시키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고, 따라서 배수판(220)은 고정프레임(2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유간(280)에 띄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판(22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11은 고정프레임의 거푸집에 대한 고정 용도의 플랜지를 나타낸 것이고, 250은 강판덮개, 260은 철근, 240은 볼트, 213은 너트레일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과 유사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310)과 배수판(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다른 슬래브(370)의 사이 공간인 유간(38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3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개방구(313)가 폭 방향의 일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프레임(310)의 개방구(313) 반대쪽 내면에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 형태의 고정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3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러한 한쌍의 고정프레임(310)이 서로 다른 슬래브(37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각각 매립 설치된다.
상기 배수판(320)은 고정프레임(310)의 고정부(312)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후크형의 체결부(321)가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이러한 배수판(320)은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배수판(320)은 고정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의 개방 측을 통해서 그 하향 후크형의 체결부(321)를 고정프레임(310)의 상향 후크형의 고정부(312)에 끼워 지지시키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고, 따라서 배수판(320)은 고정프레임(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유간(380)에 띄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판(320)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311은 고정프레임(310)의 거푸집에 대한 고정 용도의 플랜지를 나타낸 것이고, 350은 강판덮개, 360은 철근, 340은 볼트, 314는 너트레일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과 유사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110)과 배수판(4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배수판(42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배수판(420)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수판(420)은 고정부(421)와 배수유도부(422) 및 배수부(423)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여기서 고정부(421)와 배수유도부(422) 및 배수부(42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일 예로, 배수판(420)은 단일의 철판을 고정부(421)와 배수유도부(422) 및 배수부(423)를 갖는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421)는 상, 하 방향의 폭이 고정프레임(110)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개방구(114)의 상부까지의 높이보다 큰 형태로 형성되며, 배수판(420)의 폭 방향의 양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고정부(421)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는 동시에 그 일면이 개방구(414)의 내주연에 지지되어 고정프레임(4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배수유도부(422)는 고정부(421)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절곡된 선단이 고정프레임(410)의 개방구(114)를 통해 유간(480)에 노출된다. 이러한 배수유도부(422)는 슬래브(470)의 상면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고정프레임(4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배수부(423)로 유도한다.
상기 배수부(423)는 폭 방향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배수판(420)에 형성되는 배수유도부(422)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배수판(420)은 그 고정부(421)가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개방구(114)의 내주연에 지지되면서 그 배수부(423)가 유간(180)에 띄워져 설치되며, 여기서 배수판(420)은 유간(180)의 측면 방향에서 그 고정부(421)를 고정프레임(410)의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면서 고정프레임(4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판(42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411과 412는 고정프레임(410)의 거푸집에 대한 고정 용도의 상측플랜지와 하측플랜지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413은 너트레일, 440은 볼트, 450은 강판덮개, 460은 철근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과 유사하다.
즉, 배수판(420)이 금속 재질의 특성상 교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광으로 인한 변형 및 노화가 잘 방지될 수 있다. 이는, 배수판(420)이 교량에 설치된 후 잦은 교체나 보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전체 신축이음장치의 유지관리를 비교적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결과로 나타난다.
또한, 배수판(420)이 상기와 같이 일광으로 인한 변형 및 노화가 잘 방지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유간(480) 상부의 강판덮개(450)를 전체 유간(480) 중 필요한 최소의 개소에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교량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한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510)과 배수판(5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프레임(5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개방구(513)가 폭 방향의 일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510)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레일부(512)가 서로 간에 슬롯을 형성하는 상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5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슬래브(57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각각 매립 설치된다.
상기 배수판(520)은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져 폭 방향의 양측이 한 쌍의 레일부(512) 사이의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배수판(520)의 폭 방향의 양단에 상기 슬롯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지지부(52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521)는 배수판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일자형 구조이다. 이에 따라, 배수판(520)은 고정프레임(510)의 길이 방향의 개방구(513)을 통해서 그 폭 방향의 양측을 한 쌍의 레일부(512) 사이의 슬롯에 삽입시키는 동시에 그 지지부(521)를 한 쌍의 레일부(512) 상면에 지지시키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배수판(520)은 고정프레임(5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유간(580)에 띄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판(52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511은 레일부(512)를 고정프레임(510)의 본체에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고정프레임(510)을 거푸집에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의 플랜지를 나타낸 것이며, 513은 너트레일, 540은 볼트, 550은 강판덮개, 560은 철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과 유사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610)과 배수판(620)을 포함하여형성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상술한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배수판의 지부(621)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배수판(520)의 지지부(621)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부(621)는 배수판(620)의 폭 방향 양단이 각각 원형의 형태로 말려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수판(620)은 고정프레임(610)의 길이 방향의 개방 측을 통해서 그 폭 방향 양측을 레일부(612)의 슬롯에 삽입시키는 동시에 배수판(620)의 지지부(621)를 한 쌍의 레일부(612) 상면에 지지시키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고, 따라서 배수판(620)은 고정프레임(6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유간(680)에 띄워져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과 유사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710)과 배수판(7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프레임(710)은 길이 방향의 양측을 개방한 원통형 구조인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형태의 개방구(711)를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7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고정프레임(710)은 서로 다른 슬래브(77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매립 상태로 설치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고정프레임(710)은 그 개방구(711)를 유간(780)쪽으로 위치시키는 상태로, 서로 다른 슬래브(770)의 마주하는 측면에 매립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배수판(720)은 폭 방향의 양단에 원형 가이드부(721)를 구비하는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원형 가이드부(721)는 원통형 고정프레임(710)의 길이 방향의 개방 측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원통형 고정프레임(710)의 내측에 지지되며, 이에 따라 배수판(720)은 그 폭 방향의 양단이 한 쌍의 고정프레임(710)에 각각 지지되면서 유간(180)에 띄워져 설치된다. 또한, 배수판(7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원형 가이드부(721)는 배수판(720)의 폭 방향 양단이 각각 원형으로 말려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판(72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740은 볼트이며, 760은 철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과 유사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810)과 배수판(8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배수판(820)의 구성이 다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배수판(820)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동시에,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수판(820)은 폭 방향의 양단에 원형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형 가이드부는 원형관(821)의 내측에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822)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부가 상기 원통형 고정프레임(810)의 길이 방향의 개방 측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유간(180)에 띄워져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811은 고정프레임(810)의 개방구를 나타낸 것이며, 840은 볼트, 850은 강판덮개, 860은 철근을 나타낸다.
다음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슬래브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슬래브에 고정프레임이 매립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따른 슬래브의 고정프레임에 배수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와 같이 교량은 통상 그 슬래브(970)의 상면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서 좌, 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여기서 슬래브(970)의 상면의 기울기가 조금씩 차이를 보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슬래브(970) 상면의 기울기가 비교적 큰 교량에 적용되는 형태를 예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910)과 주배수판(921,922) 및 보조배수판(9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910)은 길이 방향의 양측이 개방되고 폭 방향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개방구(911)가 형성된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슬래브(970)의 유간(980)쪽 측면에 매립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910)은 유간(980)은 중심으로 서로 다른 슬래브(97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매립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배수판(921,922)은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져 그 폭 방향의 양단이 상기 고정프레임(910)의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주배수판(921)은 슬래브(97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프레임(910)의 좌측에서 삽입되며, 다른 하나의 주배수판(922)은 고정프레임(910)의 우측에서 삽입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한 쌍의 주배수판(921,922)은 슬래브(970)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배수판(930)은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져 그 폭 방향의 양단이 상기 고정프레임(910)의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주배수판(921,922)이 인접하는 상기 슬래브(970)의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주배수판(921,92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주배수판(921,922)와 보조배수판(93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따라, 슬래브(97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슬래브(970)의 중앙에서 배수되는 물이 우선적으로 보조배수판(930)에 유입되고, 이렇게 보조배수판(93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주배수판(921,922)으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다시 말해, 슬래브(97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슬래브(970)의 중앙에 형성되는 두 주배수판(921,922) 간의 이격 부분이 보조배수판(930)에 의해 차단되며, 따라서 슬래브(970)의 중앙에서 배수되는 물이 상기한 주배수판(921,922) 간의 이격 부분을 통해 누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주배수판(921,922)은, 하나의 주배수판(921)이 다른 하나의 주배수판(922)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긴 주배수판(921)이 상기 고정프레임(9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 이상까지 연장되어 연장된 선단이 다른 하나의 주배수판(922)의 일단에 적층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보조배수판(930)을 생략할 수 있으면서도, 두 주배수판(921,922)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에 고정프레임이 매립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슬래브의 고정프레임에 배수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는 도 13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970)와 반대되는 형태로써, 즉 본 실시예의 슬래브(1070)는 그 상면의 형상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서 중앙쪽으로 각각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1010)과 주배수판(1021,1022) 및 보조 배수판(10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10)은 길이 방향의 양측이 개방되고 폭 방향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개방구(1011)가 형성된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슬래브(1070)의 유간(1080)쪽 측면에 매립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010)은 유간(1080)은 중심으로 서로 다른 슬래브(107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매립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배수판(1021,1022)은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져 그 폭 방향의 양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10)의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주배수판(1021)은 슬래브(107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프레임(1010)의 좌측에서 삽입되며, 다른 하나의 주배수판(1022)은 고정프레임(1010)의 우측에서 삽입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한 쌍의 주배수판(1021,1022)은 슬래브(1070)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배수판(1030)은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져 그 폭 방향의 양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10)의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주배수판(1021,1022)이 인접하는 상기 슬래브(1070)의 폭 방향중앙에 상기 주배수판(1021,1022)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주배수판(1021,1022)과 보조배수판(103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따라, 슬래브(1070)의 상면에서 유간으로 배수되는 물이 주배수판(1021,1022)으로 유입되어 슬래브(107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한 중앙쪽으로 유도되며, 두 주배수판(1021,1022)은 슬래브(107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한 중앙에서 그 일단을 서로 이격하는 상태로 인접하므로, 주배수판(1021,1022)을 따라 유도된 물은 두 주배수판(1021,1022)의 이격 부분을 통해 아래쪽의 보조배수판(103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보조배수판(1030)은 배수관(1031)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관(1031)을 통해 물이 적정 위치로 유도되어 배수된다.
다음은 도 18 내지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판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교량에 대한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프레임(1110)과 배수판(11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여기서 고정프레임(1110)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10)과 동일한 형태이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고정프레임(1110)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에 해당하는 배수판(1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배수판(1120)은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폭 방향의 양단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는 상술한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과 동일한 구조이다. 다시 말해, 배수판(1120)의 고정부는 가이드편(1122a)과 1차절곡편(1122b) 및 2차절곡편(1122c)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배수판(1120)은 이러한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110)에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배수판(1120)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중앙에 비해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 배수관(1121)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판(112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및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중 어느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170은 슬래브를 나타내며, 1180은 유간, 1113은 너트레일, 1160은 철근, 1140은 볼트, 1114는 고정프레임(1110)의 개방구, 1111과 1112는 고정프레임(1110)을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상측플랜지와 하측플랜지를 나타낸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참조하면 될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배수판(1120)의 중앙을 통해 배수되는 방식에서, 고정프레임의 구배가 매우 작아 거의 수평의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배수판(1120)으로 유입되는 물은 배수판(1120) 양측의 경사면을 통해 배수판(1120)의 중앙으로 유되되면서 배수관(1121)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수판(1120)으로 유도되는 물이 배수판(1120)의 좌, 우 양측으로 유도되면서 배수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40)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제1 이음 바아(41) 및 제2 이음 바아(42)의 구성에 더하여 보조 블록(44)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블록(44)은 제1 이음 바아(41)의 일측면 또는 제2 이음 바아(4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이음 바아(41)의 일측면 또는 제2 이음 바아(42)의 일측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이웃하여 배치된 제1 이음 바아(41)의 타측면 또는 제2 이음 바아(42)의 타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하 제1 이음 바아(41)를 대표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이음 바아(41)의 일측면은 내측으로 인입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블록(44)은 힌지 바아(45)를 통해 제1 이음 바아(41)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 바아(45)는 일단이 제1 이음 바아(41)의 일측면에 다수단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바아(45)는 회동에 의해 제1 이음 바아(41)의 홈에 수납되거나 제1 이음 바아(4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보조 블록(44)은 일단부가 힌지 바아(45)의 타단에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블록(44)은 회동에 의해 힌지 바아(45)의 하부면에 수납되거나 힌지 바아(45)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힌지 바아(45)는 상부면에 끼움 돌기(44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 돌기(44a)는 인접한 힌지 바아(45)로부터 인출되는 보조 블록(44)의 타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힌지 바아(45)는 제1 이음 바아(41)의 상부면으로부터 체결되는 체결 핀(44b)의 관통에 의해 제1 이음 바아(41)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블록(44) 및 힌지 바아(45)는 필요에 따라 제1 이음 바아(41)의 일측면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인접한 제2 이음 바아(42)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이음 바아(41) 또는 제2 이음 바아(42)와 격자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크기가 큰 이물질의 통과를 제한할 수 있다.
모든 콘크리트 구조물은 외기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도로구조물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정 길이(약 10m∼100m)마다 일정한 간극을 두고 설치하며, 그 간극 위에 신축이음부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부(3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슬래브(10)의 상부에 도로포장재(20)가 포설된 교량의 도로구조물에서, 슬래브(10)끼리의 연결부 상부에 포설된 도로포장재(20)를 일정 폭으로 절단하여 도로포장재 절단부(21)를 형성하고, 도로포장재 절단부(21)에 탄성이음재(37)를 충진 및 포설하여 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구조는, 슬래브 사이의 간극(11)에 삽입되는 백업재(31), 백업재(31)의 상부에 충진되는 제1탄성봉함재(32),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벽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33), 프라이머(33)에 부착되는 보강섬유(34), 보강섬유(34)의 표면에 도포되는 제2탄성봉함재(32'),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제2탄성봉함재(32') 내측에 충진되는 탄성이음재(37), 탄성이음재(37)에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형성된 유도줄눈(37a)에 주입되는 실란트(38), 신축이음부(30)의 표면에 도포되는 마감재(39)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백업재(31)는 우레탄이나 폴리우레탄 등을 발포시킨 것으로, 단면(斷面)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며, 슬래브(10)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간극(11)의 일정 깊이에 삽입되고, 그 상부에 있는 공간에 충진되는 제1탄성봉함재(32)가 고화되기 전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주게 된다.
제1탄성봉함재(32)는 간극(11)에 삽입된 백업재(31)의 상부에 충진되게 되는데, 탄성봉함재(elastic sealant)는 아스팔트 AP제, 고무, 오일, 혼화제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것인데, 고체상태로 있다가 사용시 220℃ 정도의 열을 가하여 겔(gel)상태('죽'과 같은 상태)로 만들어서 도포하는 일종의 접착제 기능을 하는 물질로, 탄성봉함재는 탄성복원력을 갖고 있어서 신축시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어서 신축이음 역할을 하게 되며, 교량 신축이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ASTM K6297의 규격에서 제시한 규격에 합격한 제품을 사용하면 되는데 이 제품은 시중에 다양한 회사 제품군을 상품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고, 본 발명의 발명 대상이 탄성봉함재가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프라이머(33)는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양측 수직벽과 바닥면 모두에 도포되는 일종의 접착제이다. 보강섬유(34)는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난연섬유, 부직포, 지오그리드, 아라미드그리드 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양측 수직벽과 바닥면 및 제1탄성봉함재(32) 상부 전체에 걸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수직벽까지 보강섬유(34)를 부착시키고 그 상부인 보강섬유(34) 표면에 제2탄성봉함재(32')를 도포하므로,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수직벽에서도 도포된 탄성봉함재가 흘러내리지 않고 규정된 두께 이상으로 탄성봉함재가 도포되게 되어, 도로포장재(20)와 탄성이음재(37)에서 각각 서로 다른 신축량이 발생하더라도 탄성봉함재가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이들 사이의 접착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신축이음부와 도로포장재 사이에 균열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탄성이음재(37)는 골재와 용해된 열가소성수지를 혼합기에서 혼합한 것으로,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제2탄성봉함재(32') 내측에 포설한 다음 콤펙터 등으로 상당한 하중과 압력을 가하여 다짐작업을 하여 도로포장재 절단부(21)에 충진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 및 제2탄성봉함재(32, 32')와 보강섬유(34)는 도로포장재(20)와 신축이음부(30) 사이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은, 슬래브(1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과 진동으로 인하여 신축이음부의 탄성이음재(37)에 종방향(수직방향)으로 발생하게 되는 균열과 파손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이음재(37)에 종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방향(수직방향)으로 가장 균열 및 파손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 종방향(수직방향)으로 실란트(38)를 주입한 것이다.
실란트(38)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탄성이음재(37)에 유도줄눈(37a)을 형성해야 한다. 유도줄눈(37a)은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간극(11)의 상방에서 교량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탄성이음재(37)에 일정 깊이를 갖도록 홈을 형성한 다음, 유도줄눈(37a)의 홈에 실링재(38)를 주입한다.
유도줄눈(37a)은 탄성이음재(37)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면 탄성이음재(37)가 유도줄눈(37a)을 중심으로 분할되어 조각으로 분리되면서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탄성이음재(37)의 표면으로부터 70∼90% 깊이까지만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데, 유도줄눈(37a)을 형성하는 방법은 충진 및 포설된 탄성이음재(37)를 장비를 사용하여 컷팅을 할수도 있고, 충진 및 포설할 때 유도줄눈(37a)을 형성할 부분에 미리 판상(板狀)의 부재를 설치하고 시공한 다음 판상의 부재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란트(38)는 방수기능을 구비하고 신축률이 매우 양호할 뿐만 아니라 접착력이 있는 재질이어야 하는데, 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하여 고무와 가소제 및 연화제 등을 첨가하여 신장률 400% 이상이고 원상회복률 80% 이상으로, 연성과 원상회복률이 매우 우수한 고무개질아스팔트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40∼60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중합체 10∼20중량부, 천연아스팔트 5∼15중량부; 무기충진제 2∼10중량부, 나프탄계 합성오일 10∼15중량부, DOP(Di-Octyl-Phthalate) 5∼20중량부, PA(phenyl-α-naphthylamine), DCD(Substituted diphenylamine) 및 RD(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산화방지제 3∼5중량부, 윤활제 3∼10중량부, 광안정제 3∼5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한 것과 같은 신장률과 원상회복률을 가진 제품이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문제는 없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실란트의 주성분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AP-3 또는 AP-5를 예로 들 수 있다. 스트레이트아스팔트의 함량은 40∼60중량부를 사용하는데, 그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으로 되면 융점이 높아져 유동성이 감소하고 가소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6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감소되고, 경도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e-Styrene) 중합체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게 도와준다.
탄성이음재(37) 및 실란트(38)의 상부에는 마감재(39)를 도포하는데, 마감재(39)는 탄성봉함재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탄성봉함재로 신축이음부(30) 상부를 코팅하여 마무리함으로써 방수 및 배수 문제를 해결하고, 신축이음부에서의 도로포장재(20) 노면과 연속성을 유지하여 노면의 평탄성을 현저하게 개선시켜 차량통행시 진동이나 소음 발생을 억제하며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콘크리트 절단부(12)는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수직벽 하부에 위치하는 교량 상판인 슬래브(10)을 컷팅하여 형성한 것으로, 도로포장재(20)로 빗물이 침투하게 되면 도로의 구배(기울기)에 따라 빗물이 슬래브(10) 상면을 타고 흘러서 신축이음부에 다다르게 되는데, 신축이음부에 다다른 물은 도로포장재(20) 표층으로 올라오고, 물을 머금고 있는 도로포장재(20)는 골재의 결집력이 약해져 골재가 하나씩 분리되는 포트홀로 진행되어 차량의 파손과 주행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결로를 형성하게 되어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므로, 이러한 물을 슬래브에 형성한 콘크리트 절단부(12)에 삽입 설치한 유공관(13)을 통해 신속하게 측구쪽으로 배수시켜야 한다.
콘크리트 절단부(12)는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수직벽 하부 일측에만 형성해도 되지만, 도로구조가 경사지지 않고 평평한 부분에 신축이음부가 시공되는 곳에서는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수직벽 하부 양측 모두에 콘크리트 절단부(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도로구조가 경사진 부분에 신축이음부가 시공되는 곳에서는 물의 흐름을 고려하여 경사가 높은 쪽(우기시 포장층을 침투한 빗물이 고이는 방향)에 콘크리트 절단부(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교량의 기울기가 중앙을 기점으로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우기시 도로포장재로 침투한 침투수가 교량 종방향 신축이음 자리로 내려오지 않고 양쪽 가장자리로 신속하게 유도배수 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절단부(12)와 유공관(13)을 설치 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유공관(13)은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수지로 된 선상(線狀)의 부재를 엮어서 일정 직경의 관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콘크리트 절단부(12)에 삽입 설치되어, 빗물이 유공관(13)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유공관(13)에 유입되어 도로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된 측구로 배출되게 된다.
커버(14)는 유공관(13)이 삽입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절단부(12)의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구성인데, 탄성봉함재 도포시 또는 탄성이음재(37) 충진시 탄성봉함재나 탄성이음재(37)가 콘크리트 절단부(12)에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재나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폭을 갖고 약간의 접착력이 있는 테이프이면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소정 간극으로이격 설치된 슬래브(10) 상부에 포설된 도로포장재(20)를 절단하여 간극(11) 상부를 중심으로 도로포장재 절단부(21)를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도로포장재 절단부(21)의 수직벽 하부에 슬래브를 폭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절단하여 콘크리트 절단부(21)를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슬래브 사이의 간극에 일정 깊이로 백업재(31)를삽입하고, 콘크리트 절단부에 유공관(13)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S3); 상기 콘크리트 절단부에 삽입 설치된 유공관(13) 상부에 커버(14)를 부착하여 개방된 콘크리트 절단부 상부를 폐쇄시키는 단계(S4); 상기 백업재 상부의 간극에 제1탄성봉함재(32)를 충진시키는 단계(S5); 상기 도로포장재 절단부의 바닥면과 양측 수직벽에 프라이머(33)를 도포하는 단계(S6); 상기 프라이머 상부 및 제1탄성봉함재 상부에 보강섬유(34)를 부착시키는 단계(S7); 상기 보강섬유 상부에 제2탄성봉함재(32')를 도포하는 단계(S8); 상기 도로포장재 절단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37)를 충진 및 포설시키는 단계(S9); 상기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간극의 상방에서, 교량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탄성이음재에 일정 깊이를 갖도록 컷팅하여 유도줄눈(37a)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유도줄눈에 실란트(38)를 주입하는 단계(S11); 상기 탄성이음재 및 실란트의 상부에 마감재(39)를 도포하는 단계(S12)를 거쳐서 시공한다.
여기서, 탄성이음재(37)에 밸생하는 수직방향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스페이스(35)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백업재(31) 상부의 간극에 제1탄성봉함재(32)를 충진시키는 단계(S5)에서 제1탄성봉함재(32)는 슬래브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일정 깊이까지만 형성하여, 그 상부에 에어스페이스(35)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에어스페이스(35) 상부에는 테이프(36)를 접착시켜 상방으로 개방된 에어스페이스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거쳐서 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신축 이음 장치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보강 프레임
30: 앵커
40: 이음부
41: 제1 이음 바아
42: 제2 이음 바아
43: 이음 볼트
50: 배수판

Claims (2)

  1. 도로 구조물의 분할된 제1 슬래브 및 제2 슬래브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슬래브 및 상기 제2 슬래브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유동하는 이음부; 및
    상기 이음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이음 바아;
    복수 개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이음 바아; 및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이음 바아의 타단부를 체결 고정하는 이음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음 바아는,
    타단부의 상부면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이음 바아는,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타단부와 상호 끼움 맞춤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타단부의 하부면에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단턱과 대응하는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소정 두께의 바아 형태로 형성되되,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 상기 이음부의 설치를 위한 설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슬래브 및 상기 제2 슬래브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일측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이웃하여 배치된 제2 이음 바아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보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은,
    힌지 바아를 통해 상기 제1 이음 바아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 바아는,
    일단이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일측면에 다수단으로 힌지 결합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홈에 수납되거나 상기 제1 이음 바아로부터 인출되며, 상부면에 끼움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이음 바아의 상부면으로부터 체결되는 체결핀의 관통에 의해 상기 제1 이음 바아에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보조 블록은,
    일단부가 상기 힌지 바아의 타단에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 결합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힌지 바아의 하부면에 수납되거나 상기 힌지 바아로부터 인출되며, 타단부가 인접한 힌지 바아의 끼움 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는, 슬래브 이음 장치.

  2. 삭제
KR1020220022439A 2021-09-09 2022-02-21 슬래브 이음 장치 KR10243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439A KR102439820B1 (ko) 2021-09-09 2022-02-21 슬래브 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0328 2021-09-09
KR1020220005914A KR102411349B1 (ko) 2021-09-09 2022-01-14 도로 구조물의 무소음 신축 이음 장치
KR1020220022439A KR102439820B1 (ko) 2021-09-09 2022-02-21 슬래브 이음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914A Division KR102411349B1 (ko) 2021-09-09 2022-01-14 도로 구조물의 무소음 신축 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820B1 true KR102439820B1 (ko) 2022-09-05

Family

ID=822219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914A KR102411349B1 (ko) 2021-09-09 2022-01-14 도로 구조물의 무소음 신축 이음 장치
KR1020220022439A KR102439820B1 (ko) 2021-09-09 2022-02-21 슬래브 이음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914A KR102411349B1 (ko) 2021-09-09 2022-01-14 도로 구조물의 무소음 신축 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13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15B1 (ko) * 2008-12-24 2009-10-14 진형건설(주)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1610141B1 (ko) * 2015-09-15 2016-04-08 진형건설(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06B1 (ko) * 2012-07-04 2014-03-17 진형건설(주)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20150026297A (ko) * 2013-09-02 2015-03-11 (주)유안개발 연결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967387B1 (ko) * 2018-06-08 2019-04-10 이현준 힌지형 교량상판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15B1 (ko) * 2008-12-24 2009-10-14 진형건설(주)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1610141B1 (ko) * 2015-09-15 2016-04-08 진형건설(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349B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399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94070B1 (ko) 교량 상판 연결부의 종방향 균열방지를 위한 신축이음구조
KR101761476B1 (ko) 조인트 교량 신축이음 장치를 무조인트 방식으로 급속 시공하는 교체 공사 방법
US20160348322A1 (en) Method for waterproofing railway bridges and waterproofing material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07435547A (zh) 支护用波纹板组件和隧道支护方法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58180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KR102048803B1 (ko) 압축 고정형 고탄성 재료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KR102439820B1 (ko) 슬래브 이음 장치
KR20100089616A (ko) 보강망을 구비한 신축이음
KR101002718B1 (ko) 콘크리트 포장도로와 아스팔트 노견의 접속부 사전시공방법 및 그 접속부재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11163079A (ja) 道路橋用伸縮継手の漏水誘導装置
JP5452416B2 (ja) 橋梁ジョイント構造
KR102220544B1 (ko)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27873B1 (ko) 콘크리트 포장용 프리캐스트 패널 보수를 위한 평탄성 확보 유닛 및 그 보수 방법
JP2011074742A (ja) 道路橋継ぎ目部からの漏水誘導装置
KR102261661B1 (ko) 폴리우레아 유도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유도배수 시공 방법
KR100954597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2019073937A (ja) 橋梁補強構造体の施工方法
KR101886744B1 (ko) 도로용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JP2004169375A (ja) 排水溝構造
FR2717512A1 (fr) Joint de chaussée à feuilles.
RU156213U1 (ru) Деформационный шов автодорожного моста
US20050036834A1 (en) Monolithic pour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