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051B1 -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051B1
KR102439051B1 KR1020180121747A KR20180121747A KR102439051B1 KR 102439051 B1 KR102439051 B1 KR 102439051B1 KR 1020180121747 A KR1020180121747 A KR 1020180121747A KR 20180121747 A KR20180121747 A KR 20180121747A KR 102439051 B1 KR102439051 B1 KR 102439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up
data
error
similar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559A (ko
Inventor
최영수
강태선
박인하
박정서
이정훈
최성인
황인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0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을 통해 도면 오작을 방지하는 장치는, 제1 도면을 출력하는 도면 출력부; 상기 제1 도면에 대해 오작 발생 시 오작 관련 마크업을 등록하는 마크업 등록부;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이 등록된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 오작 발생 사실을 알리는 태그를 태깅하는 NC 데이터 태깅부; 상기 태그가 태깅된 NC 데이터와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을 상기 신규 도면에 가시화하는 마크업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Drawing error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through markup}
본 발명은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 작업 등을 위해서는 다수의 설계도면이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종이도면을 출력하고 작업현장에 들고 가 필요한 도면을 일일이 찾는 작업이 병행되었다. 출력된 종이도면 위에 직접 펜으로 작업지시 및 특이사항을 기입한다. 만약 오작(誤作)이 발생하면 종이 위에 "오작 발생"이라고 적은 후 해당 도면을 보관한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세스는 추후 시리즈 선박과 같이 비슷한 형상을 작업할 때에 설계자가 해당 도면에 대해 오작 내용을 수정해 놓지 않거나, 작업자가 기억을 하고 있지 못하면 동일한 오류가 그대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4743호 (도면 수정 장치 및 도면 수정 방법)
본 발명은 종이도면을 대신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로 도면을 조회하면서 도면 내의 객체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시리즈 호선과 같은 도면에 대해서는 오작 발생 여부를 알려주어 새로 생성되는 도면에서는 추가적인 오작을 방지할 수 있는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크업을 통해 도면 오작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제1 도면을 출력하는 도면 출력부; 상기 제1 도면에 대해 오작 발생 시 오작 관련 마크업을 등록하는 마크업 등록부;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이 등록된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 오작 발생 사실을 알리는 태그를 태깅하는 NC 데이터 태깅부; 상기 태그가 태깅된 NC 데이터와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을 상기 신규 도면에 가시화하는 마크업 표시부를 포함하는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와 상기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 변곡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변곡점끼리 정합하는 단계; 정합 상태에서 한 쌍의 NC 데이터 간에 겹치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겹치는 픽셀 수가 가장 많을 때를 유사도 판단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도 판단 기준 하에서 픽셀 수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유사도 계산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100600516-pat00001
여기서, A도면(NC)는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 B도면(NC)은 상기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임.
상기 마크업 표시부는, 상기 제1 도면에서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 라인 추출한 도면과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정합된 변곡점을 기준 변곡점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변곡점을 원점으로 하여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까지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규 도면에서 상기 좌표만큼 이동한 위치에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을 표시되게 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면은 본 호선 도면이고, 상기 신규 도면은 시리즈 호선 도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크업을 통해 도면 오작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도면 출력부에서 제1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 마크업 등록부에서 상기 제1 도면에 대해 오작 발생 시 오작 관련 마크업을 등록하는 단계; NC 데이터 태깅부에서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이 등록된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 오작 발생 사실을 알리는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 데이터 비교부에서 상기 태그가 태깅된 NC 데이터와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마크업 표시부에서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을 상기 신규 도면에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도면을 대신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로 도면을 조회하면서 도면 내의 객체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시리즈 호선과 같은 도면에 대해서는 오작 발생 여부를 알려주어 새로 생성되는 도면에서는 추가적인 오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의 개념도,
도 4는 시리즈 호선 원본 도면과 시리즈 호선 마크업 도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비교부에서 NC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데이터 유사도 판단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 표시부에서 유사한 NC 데이터를 가지는 도면에 마크업 코멘트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8은 신규 도면에 마크업 코멘트를 표시하는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4는 시리즈 호선 원본 도면과 시리즈 호선 마크업 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100)는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건조 과정에서 모바일 기기로 도면 조회 시 본 호선에 대한 오작에 대해 마크업을 등록하면 NC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리즈 호선에 대해서도 오작에 관한 마크업이 표시되어 신규 생성되는 도면에 대한 추가적인 오작을 방지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100)는 도면 출력부(110), 마크업 등록부(120), NC 데이터 태깅부(130), 데이터 비교부(140), 마크업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도면 출력부(110)는 도면 DB(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도면들을 조회하여 출력한다(S200). 사용자의 입력에 상응하는 도면을 도면 DB에서 검색하여 도면 오작 방지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가시화함으로써 시각적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 출력부(110)를 통해 본 호선 도면이 출력되고, 이후 본 호선에 연관된 시리즈 호선에 관한 도면들(시리즈 호선 도면)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마크업 등록부(120)는 도면 출력부(110)를 통해 가시화된 도면(예컨대, 본 호선 도면)에 대해 오작이 발생한 경우 오작 정보를 기입함으로써 해당 도면에 오작 정보에 관한 마크업을 등록한다(단계 S210).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터치 입력에 의해, 혹은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 키보드를 이용한 좌표 입력 등의 입력 방식에 의해 마크업 위치를 입력받고, 해당 마크업 위치에 오작 발생 여부, 오작 내용 등에 대한 오작 정보가 마크업되게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호선 원본 도면과 이에 대해 오작 관련 마크업(10)이 등록된 본 호선 마크업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마크업 등록부(120)에 의해 오작 정보가 마크업된 경우 NC 데이터 태깅부(130)는 오작 정보가 마크업된 도면에 연관된 NC 데이터(본 호선 NC 데이터)에 대해서는 오작 관련 마크업이 있음을 알리는 태그를 기록하는 태깅을 수행한다(단계 S220).
NC 데이터는 실제 작업 현장에서 가공에 필요한 수치 제어(Numerical Control) 데이터로서,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각 파트를 가공하기 위한 공작물에 대한 공구 경로, 그 밖의 가공에 필요한 작업 공정 등을 그것에 대응하는 수치 정보로 지령하는 제어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비교부(140)에서 도면 비교가 아닌 NC 데이터 비교를 수행한다(단계 S230). 도면을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최근 3차원 모델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에서 유사성 비교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고 복잡하여 높은 연산능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비해 NC 데이터는 수치 제어를 위해 정리된 데이터 포맷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연산능력으로도 충분히 유사도 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40)에서는 후술할 유사도 판단 로직을 통해서 오작 관련 마크업이 태깅된 본 호선 NC 데이터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시리즈 호선 NC 데이터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유사도 판단 로직에 대해서는 추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크업 표시부(150)는 데이터 비교부(140)에서 찾은 유사도 높은 시리즈 호선의 NC 데이터에 대응되는 신규 도면(시리즈 호선 도면)에 대해서 동일한 오작 관련 마크업을 가시화시킨다(단계 S240). 도 4를 참조하면, 시리즈 호선 원본 도면과 마크업 코멘트(15)가 반영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오작 관련 마크업의 가시화를 통해 사용자는 시리즈 호선에 대해서도 기존에 문제가 발생했던 부분에 대해서 누락 없이 확인함으로써 추가적인 오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신규 도면에 마크업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비교부에서 NC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6은 데이터 유사도 판단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비교부(140)는 비교하고자 하는 한 쌍의 NC 데이터에 대해 변곡점을 추출한다(단계 S231). 한 쌍의 NC 데이터에는 시리즈 호선 NC 데이터 중 하나와 도면이 마크업이 등록된 것으로 태깅된 본 호선 NC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NC 데이터에 대해서 각 변곡점끼리 정합한다(단계 S232).
변곡점끼리 정합한 상태에서 한 쌍의 NC 데이터 간에 겹치는 픽셀의 수를 카운트한다. 겹치는 픽셀의 수가 가장 많을 때를 유사도 판단 기준으로 설정한다(단계 S233).
도 6을 참조하면, 본 호선 NC 데이터와 시리즈 호선 NC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좌하단의 변곡점끼리 정합하는 경우 겹치는 픽셀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사도 판단 기준이 설정된 경우, 유사도 판단 기준 상황(즉, 최적의 변곡점을 정합시킨 상태) 하에서 픽셀 수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계산한다(단계 S234).
유사도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8100600516-pat00002
여기서, A도면(NC)는 본 호선 NC 데이터, B도면(NC)는 시리즈 호선 NC 데이터이다.
유사도 계산 결과 유사도가 100%이면 데이터가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계산한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비교된 한 쌍의 NC 데이터가 서로 유사한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단계 S235). 여기서, 기준값은 예를 들어 80% 일 수 있다.
이러한 유사도 판단에 따를 때, 도 6에 도시된 예시에서 시리즈 호선 NC 데이터들 중에서 상측의 NC 데이터는 본 호선 NC 데이터와 겹치는 픽셀 수가 많아 유사한 NC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시리즈 호선 NC 데이터 중에서 하측의 NC 데이터는 본 호선 NC 데이터와 겹치는 픽셀 수가 적어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 표시부에서 유사한 NC 데이터를 가지는 도면에 마크업 코멘트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8은 신규 도면에 마크업 코멘트를 표시하는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크업 표시부(150)에는 본 호선 마크업 도면에서 라인(Line)을 추출한다(단계 S241). 이는 도면에는 제품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에 제품 형상에 관련된 데이터를 찾기 위함이다.
라인 추출한 도면과 NC 데이터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정합된 변곡점을 기준으로 선정한다(단계 S242). 전술한 것과 같이 다수의 변곡점끼리 정합시킨 상태에서 겹치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여 가장 많은 겹침 픽셀 수를 가지는 변곡점을 기준 변곡점으로 선정할 수 있다.
정합성이 가장 높은 변곡점(즉, 기준 변곡점)을 원점으로 하여 마크업까지의 좌표를 계산한다(단계 S243). 도 8의 경우 좌하단 변곡점이 원점이 되고, 원점을 기준으로 '6mm 수정'을 나타내는 마크업까지의 좌표 (6, 13)가 계산될 수 있다.
신규 도면에서 앞서 계산한 좌표만큼 이동하여 동일한 마크업이 표시되게 한다(단계 S244). 도 8의 경우 신규 도면(시리즈 호선 도면)에 대해서 좌하단 변곡점을 원점으로 하여 (6, 13)만큼 이동한 위치에 동일한 마크업 '6mm 수정'을 가시화할 수 있다.
전술한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110: 도면 출력부 120: 마크업 등록부
130: NC 데이터 태깅부 140: 데이터 비교부
150: 마크업 표시부

Claims (6)

  1. 마크업을 통해 도면 오작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제1 도면을 출력하는 도면 출력부;
    상기 제1 도면에 대해 오작 발생 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오작 관련 마크업을 등록하는 마크업 등록부;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이 등록된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 오작 발생 사실을 알리는 태그를 태깅하는 NC 데이터 태깅부;
    상기 태그가 태깅된 NC 데이터와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을 상기 신규 도면에 가시화하는 마크업 표시부를 포함하는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와 상기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 변곡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변곡점끼리 정합하는 단계;
    정합 상태에서 한 쌍의 NC 데이터 간에 겹치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겹치는 픽셀 수가 가장 많을 때를 유사도 판단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도 판단 기준 하에서 픽셀 수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유사도 계산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계산되는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Figure 112018100600516-pat00003

    여기서, A도면(NC)는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 B도면(NC)은 상기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표시부는,
    상기 제1 도면에서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
    라인 추출한 도면과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정합된 변곡점을 기준 변곡점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변곡점을 원점으로 하여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까지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규 도면에서 상기 좌표만큼 이동한 위치에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을 표시되게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5. 삭제
  6. 마크업을 통해 도면 오작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도면 출력부에서 제1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
    마크업 등록부에서 상기 제1 도면에 대해 오작 발생 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오작 관련 마크업을 등록하는 단계;
    NC 데이터 태깅부에서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이 등록된 상기 제1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 오작 발생 사실을 알리는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
    데이터 비교부에서 상기 태그가 태깅된 NC 데이터와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마크업 표시부에서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신규 도면의 NC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오작 관련 마크업을 상기 신규 도면에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방법.
KR1020180121747A 2018-10-12 2018-10-12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439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47A KR102439051B1 (ko) 2018-10-12 2018-10-12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47A KR102439051B1 (ko) 2018-10-12 2018-10-12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59A KR20200041559A (ko) 2020-04-22
KR102439051B1 true KR102439051B1 (ko) 2022-08-31

Family

ID=7047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747A KR102439051B1 (ko) 2018-10-12 2018-10-12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0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4484A (ja) 2011-11-29 2013-06-10 Hitachi Ltd 類似設計構造検索装置、および類似設計構造検索方法
JP2019057113A (ja) 2017-09-21 2019-04-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図面管理装置、図面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174A (ko) * 2000-08-29 2002-03-07 최태헌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도면 공유 방법
KR100554642B1 (ko) * 2003-07-11 2006-02-22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Nc가공 시뮬레이션을 통한 nc 가공데이터의 처리방법
KR100697359B1 (ko) * 2005-05-30 2007-03-20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오토캐드의 도각에 기재될 내용 및 파일명을 자동으로기록하는 방법
KR20170139239A (ko) * 2016-06-09 2017-12-19 주식회사 에스에이티정보 도면변환을 활용한 건설현장의 모바일기반 현장협업솔루션 제공방법
KR101864743B1 (ko) 2016-12-02 2018-06-07 삼성중공업(주) 도면 수정 장치 및 도면 수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4484A (ja) 2011-11-29 2013-06-10 Hitachi Ltd 類似設計構造検索装置、および類似設計構造検索方法
JP2019057113A (ja) 2017-09-21 2019-04-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図面管理装置、図面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59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0004B2 (ja) 3次元モデル生成装置、3次元モデル生成方法及び3次元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
US20170160716A1 (en) Numerical controller
WO2012114457A1 (ja) 解析モデル情報引き渡し装置及び解析モデル情報引き渡しプログラム
US118099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495054B2 (en) Logic diagram search device
CN112100167A (zh) 一种生态保护红线数据的质检方法及装置
CN108140059B (zh) 用于基于布局的检查的分析过程参数的可视化
KR102439051B1 (ko) 마크업을 통한 도면 오작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10267083A (ja) 帳票検索装置、帳票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帳票検索方法
CN110717576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和设备
US20060087506A1 (en) Three-dimensional design supporting program and three dimensional design supporting apparatus
JP4915522B2 (ja) 図形処理装置
Ricci et al. PMI: a PLM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geometrical and dimensional controls in modern industries
TWI673647B (zh) 自動產生結構化圖形的專利申請專利範圍顯示設備
JP6526488B2 (ja) 3次元モデル生成装置、構成部材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9725B1 (ko) Pdf 문서 파일을 자동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54266B1 (ko) 작업 정보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US8468481B2 (en) Support program, design support system, and design support method
WO2023145177A1 (ja) 設計支援デバイス、設計支援デバイスを備える設計支援装置、及び設計支援方法
CN103309910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7081503B2 (ja) 設計装置
US10394943B2 (en) Numerical controller
KR102269144B1 (ko) 공작기계 진동 특징 추출 장치 및 방법
JP6344921B2 (ja) 作図装置及び作図方法
JP2018060477A (ja) 見積装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