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529B1 - 배관 뚫기용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뚫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529B1
KR102438529B1 KR1020200158207A KR20200158207A KR102438529B1 KR 102438529 B1 KR102438529 B1 KR 102438529B1 KR 1020200158207 A KR1020200158207 A KR 1020200158207A KR 20200158207 A KR20200158207 A KR 20200158207A KR 102438529 B1 KR102438529 B1 KR 102438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container
presen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020A (ko
Inventor
박경재
Original Assignee
박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재 filed Critical 박경재
Priority to KR102020015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5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뚫기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변기 뚫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변기 등의 배관 뚫기용 장치에 있어서, 흡입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100)과, 상기 수거통(100)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장치(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며 수거통(100)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흡입팬(220)과; 상기 흡입팬(22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230)와; 상기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와; 상기 모터(230) 및 제어부(2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50)와; 상기 흡입팬(220)이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60)와; 상기 흡입팬(220)의 회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추가적인 공기흐름의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270); 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통(100)은, 배관에 접하여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300)과, 상기 흡입관(300)이 체결되기 위한 소켓(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뚫기용 장치.

Description

배관 뚫기용 장치{Device for pipe cleaning}
본 발명은 변기등의 배관 뚫기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변기등의 배관 뚫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기 배수관은 대변, 휴지 등의 고체물질 외에도 실수로 떨어뜨리게 되는 칫솔 등의 이물질 들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변기가 막히게 되면 다시 뚫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들을 소개한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432호 '변기 뚫는 장치'는 변기 뚫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하게 밴딩되는 호스; 상기 호스 안에 삽입되는 와이어; 상기 호스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를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된 손잡이; 상기 호스 타단에 결합된 가이드링;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와이어 당김에 의해 오므려지는 집게; 및 상기 집게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를 벌리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집게가 연결된 호스를 변기 및 배관에 넣어 변기 및 배관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오물이 튀지 않아 위생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위생적으로도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984호 '변기의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는 막힌 변기의 배수구를 용수를 압축하여 뚫기 위한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착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용수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수제어부는 상하방향 및 어느 한 측면방향으로 서로 관통되게 관통공간부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관통공간부의 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부에 체결되어 용수제어밸브를 통해 압착부재에 유입된 용수에 대한 압축을 가하여 주기 위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된 체결단부와 대향하여 관통공간부의 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용수제어밸브를 통해 관통공간부에 유입된 용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용수토출구; 및 상기 관통공간부의 어느 한 측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부에 체결되어 용수의 유입과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제20-0486432호는 배수관이 막힌 원인이 배수관 깊은 곳에 위치할 경우 제거가 용이하지 아니하며, 제10-1329984호는 배수관이 막힌 원인을 제거하지 아니하고 밀어내어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432호 '변기 뚫는 장치' 공고일자 2018년05월1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984호 '변기의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공고일자 2013년11월15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변기 등의 배수관이 막힌 원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변기 뚫기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은 배관 뚫기용 장치에 있어서, 흡입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100)과, 상기 수거통(100)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장치(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며 수거통(100)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흡입팬(220)과; 상기 흡입팬(22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230)와; 상기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와; 상기 모터(230) 및 제어부(2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50)와; 상기 흡입팬(220)이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60)와; 상기 흡입팬(220)의 회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추가적인 공기흐름의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270); 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통(100)은, 배관에 접하여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300)과, 상기 흡입관(300)이 체결되기 위한 소켓(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뚫기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기 등의 배수관의 이물질을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흡입함으로써 이물질을 밀어내는 경우 초래할 수 있는 극단적인 상황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배수관을 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스위치를 구비하여 흡입시 수거통이 넘치거나 팬에 오물이 닿지 않게 하며, 흡입관이 막힌 경우 밸브가 추가적인 공기통로를 개방하고, 호각이 울리게 함으로써 흡입관의 막힘의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배관 뚫기용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2는 본원발명의 배관 뚫기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의 배관 뚫기용 장치의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배관 뚫기용 장치의 시제품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변기 등의 배수관이 막히게 되면 통상 막힌 이물질을 압력으로 밀어내어 뚫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배관의 보다 깊은 곳에서 이물질이 걸릴 수 있으며, 나아가 이물질이 보다 더 단단히 스태킹(stacking)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원발명은 이물질을 압력으로 밀어내는 것에 갈음하여 흡입으로 빼는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배관 뚫기용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관 뚫기용 장치에 있어서,
흡입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100)과, 상기 수거통(100)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장치(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며 수거통(100)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흡입팬(220)과;
상기 흡입팬(22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230)와;
상기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와;
상기 모터(230) 및 제어부(2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50)와;
상기 흡입팬(220)이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60)와;
상기 흡입팬(220)의 회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추가적인 공기흐름의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270);
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통(100)은,
배관에 접하여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300)과,
상기 흡입관(300)이 체결되기 위한 소켓(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뚫기용 장치를 제공한다.
도2는 본원발명의 배관 뚫기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압력으로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흡입하여 빨아들임으로써 이물지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100)은 충분한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거통(100)의 소켓(110)에는 흡입관(300)이 플러그(310)를 통해 체결되며, 상기 흡입관(300)의 말단에는 흡입될 위치에 적합한 어플리케이터(320)가 설치된다.
상기 플러그(310)에는 배출구(311)가 저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흡입된 물과 이물질이 흡입팬(220)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구(311)의 방향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110)과 플러그(310)는 돌기 등의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상기 어플리케이터(320)는 흡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탄성이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특히 그 말단부가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에서는 발포성 합성수지를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새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높은 흡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흡입장치(200)는 상기 수거통(100)의 덮개의 역할을 겸하며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며 수거통(100)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흡입팬(220)은 모터(230)에 의해 고속회전하며 수거통(100) 내의 압력을 낮추게 된다. 상기 모터(230)는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되며, 전원부(25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흡입된 공기는 배출구(26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어부(240)는 스위치조작패널, 타이머 등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끈(241)과 부력체(242)를 구비한 부력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스위치는 수거통(100)내 오물이 일정높이까지 차게되면 모터(230)를 정지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즉, 끈(241)의 하단엔 부력체(242)가 설치되며, 끈(241)의 상단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수거통(1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구성한다. 수거통(100)의 수위가 높아지게되면, 상기 부력스위치가 모터(230)를 정지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수거통(100)을 비운 후 다시 작업을 개시하게 된다.
도3은 본원발명의 배관 뚫기용 장치의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밸브(270)의 공기흐름통로(271)에 밸브가 열려 공기가 흐르는 것을 알리기 위한 호각(272)이 설치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3의 (A)에서는 흡입관임 막히지 아니하여 원활하게 흡입되는 정상적인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밸브(270)내의 스프링(273)은 피스톤(274)을 밀어내고, 상기 피스톤(274)는 흡입구(275)를 막게 된다.
그러나, 흡입관(300)이 막히게 되어 수거통(100)내로의 흡입이 어려운 경우, 상기 수거통(100) 내의 압력이 더욱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흡입구(275)의 대기압이 상기 스프링(273)의 힘을 넘어서 상기 피스톤(274)을 내측으로 밀게되며, 이에 따라 공기흐름통로(271)가 개방된다. 즉, 상기 흡입구(275)로부터의 공기가 공기흐름통로(271)로 유입되게 되며 이에 따라 모터(230)의 과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공기흐름통로(271)에 설치된 호각(272)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는 흡입관(300)이 막히게된 상태를 청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상기 밸브(270)위로 투명창(280)을 설치하여 상기 피스톤(274)의 위치에 따른 밸브(270)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274)은 적색, 형광색 등의 식별하기 용이한 색으로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본원발명의 배관 뚫기용 장치의 시제품의 사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는 체결을 위한 구성요소, 손잡이 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수거통
110. 소켓
200. 흡입장치
210. 하우징
220. 흡입팬
230. 모터
240. 제어부
241. 끈
242. 부력체
250. 전원부
260. 배출구
270. 밸브
271. 공기흐름통로
272. 호각
273. 스프링
274. 피스톤
275. 흡기구
280. 투명창
300. 흡입관
310. 플러그
311. 배출구
320, 어플리케이터

Claims (3)

  1. 배관 뚫기용 장치에 있어서,
    흡입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100)과, 상기 수거통(100)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장치(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며 수거통(100)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흡입팬(220)과;
    상기 흡입팬(22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230)와;
    상기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와;
    상기 모터(230) 및 제어부(2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50)와;
    상기 흡입팬(220)이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60)와;
    상기 흡입팬(220)의 회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추가적인 공기흐름의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270);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270)의 공기흐름통로(271)에 밸브가 열려 공기가 흐르는 것을 알리기 위한 호각(272)이 설치되고,

    상기 수거통(100)은,
    배관에 접하여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300)과,
    상기 흡입관(300)이 체결되기 위한 소켓(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뚫기용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58207A 2020-11-23 2020-11-23 배관 뚫기용 장치 KR10243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207A KR102438529B1 (ko) 2020-11-23 2020-11-23 배관 뚫기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207A KR102438529B1 (ko) 2020-11-23 2020-11-23 배관 뚫기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020A KR20220071020A (ko) 2022-05-31
KR102438529B1 true KR102438529B1 (ko) 2022-08-30

Family

ID=8178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207A KR102438529B1 (ko) 2020-11-23 2020-11-23 배관 뚫기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5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83Y1 (ko) * 2013-08-14 2013-11-25 김동진 배관용 진공 청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88B1 (ko) * 1997-10-21 2000-04-01 송유진 진공 청소기용 밴 타입 물흡입 키트
KR101329984B1 (ko) 2012-08-09 2013-11-15 유문종 변기의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KR200486432Y1 (ko) 2018-02-19 2018-05-16 이장한 변기 뚫는 장치
KR102101570B1 (ko) * 2018-05-30 2020-04-17 이인지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83Y1 (ko) * 2013-08-14 2013-11-25 김동진 배관용 진공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020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467B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JP4950203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GB2246284A (en) Motor controll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JP4659039B2 (ja) 水を使用する家庭用器具における排水導管用の導管換気装置
KR102438529B1 (ko) 배관 뚫기용 장치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JP4925889B2 (ja) 洋風水洗式便器
WO2012146616A1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 water filter and a cyclone unit
KR102095211B1 (ko) 자동 유체펌프
US8595868B2 (en) Air suction device for toilet drain passage
KR100491641B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2008240402A (ja) 洋風水洗式便器
AU2798101A (en) Vacuum cleaner attachments for vacuuming liquids
JP5242073B2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及び吸気装置の吸気方法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CN208988696U (zh) 立式吸尘器
JPH09296495A (ja) 真空水洗便器
JP2009114836A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CA2456232A1 (en) Wet attachment apparatus for vacuum cleaners
JP3338696B2 (ja) 流体ポンプ
KR200151726Y1 (ko) 진공청소기(버큠펌프)의 오물자동 배출장치
GB2589304A (en) Toilet system
CN212427388U (zh) 一种用于下水管疏通的真空抽吸装置
CN219250023U (zh) 清洁装置
JP4281519B2 (ja) 便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