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570B1 -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570B1
KR102101570B1 KR1020180149588A KR20180149588A KR102101570B1 KR 102101570 B1 KR102101570 B1 KR 102101570B1 KR 1020180149588 A KR1020180149588 A KR 1020180149588A KR 20180149588 A KR20180149588 A KR 20180149588A KR 102101570 B1 KR102101570 B1 KR 10210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t
suction
vacuum
vacuum suction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668A (ko
Inventor
이인지
Original Assignee
이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지 filed Critical 이인지
Publication of KR2019013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변기 막힘은 물론 싱크대나 세면대 막힘 발생 시 막힘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흡입에 의해 막힌 오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막힘 제거시에 오물이 주변에 튀거나 신체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물수거부에 오물을 수거한 후 수거된 오물을 버리고 오물수거부를 세척하여 재 사용할 수 있으며 막힌 오물 제거작업을 할 때 역겨운 불쾌감 및 냄새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Device for boring clogged drain for water closet}
본 발명은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 용변이 막히거나 하수구 또는 배수로에 오물이 막힐 경우 진공을 이용하여 강하게 막힌 용변이나 오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한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 특히 앉은 상태에서 소변은 물론 대변을 같이 볼 수 있는 변기는 상부의 물탱크와 하부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변기 내에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의 내부구조가 S자형 배수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변기는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려보내는 과정에서 상부의 물탱크에서 중력과 수량의 힘으로 내려오는 물의 수압으로 인해 용변이 상기 S자형 배수로를 타고 정화조로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변기에 앉아 용변을 본 후 화장지를 휴지통에 집어넣지 않고 변기 내에 직접 버리거나 또는 용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변기가 막히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변기가 막힐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1회에서 2회 정도 물을 더 내려 보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기 때문에, 오히려 물이 역류하게 되어 더 좋지 않은 불편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변기가 막힐 경우, 종래에는 일명 '뚫어뻥'이라 불리우는 고무로 만들어진 흡착구를 이용하여 막힌 변기를 뚫거나 또는 일명 '트래펑'이라 불리우는 약품을 이용하거나 심할 경우에는 업체를 통하여 변기의 막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변기의 막힘 문제 해결을 위해 흡착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막힘 문제를 해결한 후 기구에 묻은 이물질을 2차적으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사용 중에 오는 불쾌감 및 냄새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고, 약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장시간의 약품이 반응할 시간이 필요한 단점 및 약품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며, 전문 업체를 통할 경우에는 비용부담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들이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54684호인 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반 가정 및 공공장소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처리수용 물을 등받이 물탱크에 보관하여 용변을 본 후에 레버나 버튼을 눌러 중력 및 압력으로 인하여 용변을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S자관을 통해 정화조로 이동시키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앉는 부분에 있는 개구부의 주변을 따라 접착테이프로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상면에 일체 형성되어 손을 끼울 수 있는 손끼움부로 이루어져 변기의 막힘 시 변기 주변에 커버를 씌운 후 손으로 누르는 압력을 이용하여 막힌 변기를 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손으로 누르는 압력이 약하기 때문에 S자 형으로 구부러진 변기의 배수로측으로 압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버의 상면을 손으로 압박하여 누르는 과정에서 커버의 접착테이프가 변기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는 커버는 물론 커버를 누르는 손까지 변기속으로 그대로 빠지게 되어 커버는 물론 손에 용변이 섞인 오물이 묻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다른 예로, 공개특허 10-2018-0045263호인 양변기 막힘 제거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이물질로 막힌 양변기의 배수로를 뚫어내기 위한 양변기 막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막힘 제거장치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로드 형태의 그립부재와, 상기 그립부재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양변기의 배수로를 따라 진출입이 가능한 가요성 세장부재와, 상기 가요성 세장부재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양변기의 배수로를 용이하게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볼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헤드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립부재를 잡고서 가요성 세장부재(또는 관절형-세장부재)를 양변기의 배수로로 직접 진입시켜 이물질을 밀어내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막힌 양변기 배수로를 용이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그립부재를 파지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가요성 세장부재를 양변기 배수로측으로 밀어주고 빼내는 동작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역겨운 불쾌감 및 냄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4684호(2011.07.12.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8-0045263호(2018.05.04. 공개)
본 발명은 막힌 양변기 배수로 입구에 진공흡입부를 삽입한 후 진공압에 의해 막힌 용변이나 오물이 흡입 배출되도록 하여 막힌 변기는 물론 싱크대 배수로 또는 세면대 배수로를 쉽고 간단하게 뚫어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물이 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역겨운 불쾌감 및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는, 배수로 입구에 일측이 꽂아지는 오물흡입부와; 오물흡입부를 통해 오물이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흡입발생부와; 상기 오물흡입부의 타측과 상기 진공흡입발생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발생부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오물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오물이 모아져 수거되는 오물수거부를 포함하는 막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부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몸체와; 상기 개방된 통형몸체의 상부를 덮고 제1연결구멍과 제2연결구멍과 제3연결구멍을 갖는 뚜껑체와; 상기 제1연결구멍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진공흡입발생부와 연결되는 흡입연결부를 갖는 진공흡입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구멍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오물흡입부가 연결되는 오물흡입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구멍에 연결되되 상기 제3연결구멍을 개방하거나 또는 차단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 타측에 연결된 진공흡입발생부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오물흡입부를 통해 오물이 흡입되어 상기 통형몸체 내부에 수용될 때 통형몸체 내부의 진공압을 외부측으로 배출하거나 통형몸체 내부의 진공압 배출을 차단하여 상기 통형몸체 내부의 진공압을 가변시키는 진공압조절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변기 막힘은 물론 싱크대나 세면대 막힘 발생 시 막힘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흡입에 의해 막힌 오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막힘 제거시에 오물이 주변에 튀거나 신체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물수거부에 오물을 수거한 후 수거된 오물을 버리고 오물수거부를 세척하여 재 사용할 수 있으며 막힌 오물 제거작업을 할 때 역겨운 불쾌감 및 냄새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가 진공흡입발생부와 연결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인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는, 배수로 입구에 일측이 꽂아지는 오물흡입부(100)와, 오물흡입부(100)를 통해 오물이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흡입발생부(200)와, 상기 오물흡입부(100)의 타측과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오물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오물이 모아져 수거되는 오물수거부(300)를 포함하는 막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물흡입부(100)는, 일측이 변기의 배수로 입구 또는 싱크대의 배수로 입구 또는 세면대 배수로 입구에 끼워지는 것으로 주름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는, 진공흡입압력이 발생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진공청소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로 진공흡입발생부(200)가 구비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가정이나 사무실에서의 변기 막힘이나 싱크대 막힘 또는 세면대 막힘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가정이나 사무실의 변기가 막힐 경우 상기 오물흡입부(100)의 일측을 변기의 배수로 입구에 꽂아준 다음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를 작동시켜 막힌 오물이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오물흡입부(10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오물수거부(300) 내부로 유입되어 수거되도록 하면 쉽고 용이하게 변기의 막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막힘을 제거한 후에는 상기 오물수거부(300) 내부에 수거된 오물을 버리고 오물수거부(300)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면 된다.
본 발명의 오물수거부(300)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몸체(310)와, 상기 개방된 통형몸체(310)의 상부를 덮고 제1연결구멍(321)과 제2연결구멍(322)과 제3연결구멍(323)을 갖는 뚜껑체(320)와, 상기 제1연결구멍(321)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진공흡입발생부(200)와 연결되는 흡입연결부(330a)를 갖는 진공흡입연결부(330)와, 상기 제2연결구멍(322)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오물흡입부(100)가 연결되는 오물흡입연결부(340)와, 상기 제3연결구멍(323)에 연결되되 상기 제3연결구멍(323)을 개방하거나 또는 차단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 타측에 연결된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오물흡입부(100)를 통해 오물이 흡입되어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에 수용될 때 통형몸체(310) 내부의 진공압을 외부측으로 배출하거나 통형몸체(310) 내부의 진공압 배출을 차단하여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의 진공압을 가변시키는 진공압조절구(3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통형몸체(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형몸체(310)의 외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통형몸체(310) 내부에 오물을 흡입 수거한 상태에서 통형몸체(31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뚜껑체(320)는, 상기 통형몸체(310)의 상부에 대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에 의해 오물 흡입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통형몸체(310)의 상부를 덮어 통형몸체(310) 내부에 진공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오물 흡입 후에는 통형몸체(310) 상부를 개방하여 통형몸체(310)의 내부에 흡입되어 모아진 오물을 버리도록 한다.
상기 진공압조절구(350)는 상기 뚜껑체(320)에 구비되는 제3연결구멍(323)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뚜껑체(320)가 통형몸체(310)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통형몸체(310) 내부에 진공압이 작용될 때, 통형몸체(310) 내부의 진공압을 일시적으로 밖으로 빼내주면서 진공압을 가변시킨다.
즉,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오물수거부(100)를 통해 오물이 통형몸체(310) 내부로 수거되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체(320)의 제3연결구멍(323)을 일시적으로 개방시켜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의 진공흡입압력이 순간적으로 제3구멍(323)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통형몸체(310)의 내부 진공압이 가변되기 때문에 배수로 입구에 꽂아진 오물수거부(100)측으로 진공흡입압력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발생되는 동작이 반복되어 막힌 배수로 입구에 순차적으로 진공흡입압력을 전달하게 되어 막힌 배수로 입구에 울컥거리는 순간적인 진공흡입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막힘 제거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와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에는,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를 통해 오물이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로 투입될 때 물기나 이물질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측으로 유입되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형 오물유입차단부(3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오물유입차단부(3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의 하단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로 진공흡입연결부(33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측으로 진공압이 흡입되는 것을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와 같이 판형 오물유입차단부(36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를 통해 오물이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로 투입될 때 물기나 이물질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측으로 유입되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와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에는,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를 통해 오물이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로 투입될 때 물기나 이물질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측으로 유입되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물유입차단망(37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물유입차단망(370)이 진공흡입연결부(330) 하단 둘레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로 오물이 흡입되는 과정에서 흡입된 오물 찌꺼기가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측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구멍(321)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에는 제1나사돌부(3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나사돌부(331)가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구멍(321)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제1나사홈부(332)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구멍(321)과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나사돌부(331)와 제1나사홈부(332)가 나사체결된 후 상기 제1연결구멍(321)으로부터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가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제1고정너트(333)이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구멍(322)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에는 제2나사돌부(3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나사돌부(341)가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제2연결구멍(322)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제2나사홈부(342)가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구멍(322)과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나사돌부(341)와 제2나사홈부(342)가 나사체결된 후 상기 제2연결구멍(322)으로부터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가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제2고정너트(343)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구멍(3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나사홈부(332)에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의 제1나사돌부(331)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오물흡입 도중에 진공흡입연결부(330)가 제1연결구멍(321)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세척할 때 상기 제1고정너트(333)를 먼저 풀어준 다음, 상기 제1연결구멍(321)으로부터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깨끗하고 깔끔한 세척이 가능하며 보관 및 휴대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제2연결구멍(32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나사홈부(342)에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의 제2나사돌부(341)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오물흡입 도중에 오물흡입연결부(340)가 제2연결구멍(3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세척할 때 상기 제2고정너트(343)를 먼저 풀어준 다음, 상기 제2연결구멍(322)으로부터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깨끗하고 깔끔한 세척이 가능하며 보관 및 휴대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오물흡입부(100)에는, 배수로 입구에 상기 오물흡입부(100)가 꽂아진 후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배수로 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오물흡입부(100) 밖으로 새어나옴을 방지하도록 새어나옴방지부(1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새어나옴방지부(130)는,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이 상기 오물흡입부(100)측으로 전달될 때 배수로 입구에 강하게 밀착되어 배수로 입구를 덮어 차단하도록, 비닐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새어나옴방지부(13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로 입구에 상기 오물흡입부(100)가 꽂아진 후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배수로 입구를 통해 흡입될 때 상기 새어나옴방지부(130)가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오물흡입부(100)가 꽂아진 배수로 입구에 강하게 밀착됨에 따라 오물이 오물흡입부(100) 밖으로 새어나옴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통형몸체(310)와 상기 뚜껑체(320)를 견고하게 체결하는 탈착체결구(38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체결구(380)는, 상기 통형몸체(310)의 상단(311)에 걸어지는 걸림부(381)와, 상기 걸림부(38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381)를 당겨주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부(381)의 걸어짐을 해제하는 당김부(382)와, 상기 뚜껑체(320)와 상기 체결돌부(311) 사이에 구비되는 밀폐차단부(38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탈착체결구(380)를 이용하여 뚜껑체(320)를 통형몸체(310) 상단에 덮어 견고하게 체결하여 오물을 진공흡입하거나 뚜껑체(320)를 통형몸체(310)로부터 분리하여 통형몸체(310) 상단을 개방한 후 통형몸체(310) 내부에 수거된 오물을 버린 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체(320)와 상기 통형몸체(310) 상단(311) 사이에 밀폐차단부(38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오물이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이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역겨운 냄새가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오물흡입부 130 : 새어나옴방지부
200 : 진공흡입발생부 300 : 오물수거부
310 : 통형몸체 320 : 뚜껑체
321 : 제1연결구멍 322 : 제2연결구멍
323 : 제3연결구멍 330 : 진공흡입연결부
331 : 제1나사돌부 332 : 제1나사홈부
333 : 제1고정너트 340 : 오물흡입연결부
341 : 제2나사돌부 342 : 제2나사홈부
343 : 제2고정너트 350 : 진공압조절구
360 : 오물유입차단부 370 : 오물유입차단망
380 : 탈착체결구 381 : 걸림부
382 : 당김부 383 : 밀폐차단부

Claims (6)

  1. 배수로 입구에 일측이 꽂아지는 오물흡입부(100)와 오물흡입부(100)를 통해 오물이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흡입발생부(200)와 상기 오물흡입부(100)의 타측과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오물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오물이 모아져 수거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형몸체(310)와 상기 개방된 통형몸체(310)의 상부를 덮고 제1연결구멍(321)과 제2연결구멍(322)과 제3연결구멍(323)을 갖는 뚜껑체(320)와 상기 제1연결구멍(321)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진공흡입발생부(200)와 연결되는 흡입연결부(330a)를 갖는 진공흡입연결부(330)와 상기 제2연결구멍(322)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오물흡입부(100)가 연결되는 오물흡입연결부(340)를 갖는 오물수거부(300)를 포함하는 막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구멍(323)에 연결되되 상기 제3연결구멍(323)을 개방하거나 또는 차단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 타측에 연결된 진공흡입발생부(2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오물흡입부(100)를 통해 오물이 흡입되어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에 수용될 때 통형몸체(310) 내부의 진공압을 외부측으로 배출하거나 통형몸체(310) 내부의 진공압 배출을 차단하여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의 진공압을 가변시키는 진공압조절구(3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구멍(321)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에는 제1나사돌부(3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나사돌부(331)가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구멍(321)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제1나사홈부(332)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구멍(321)과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나사돌부(331)와 제1나사홈부(332)가 나사체결된 후 상기 제1연결구멍(321)으로부터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가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제1고정너트(333)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구멍(322)에 일측이 끼워져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에는 제2나사돌부(34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나사돌부(341)가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제2연결구멍(322)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제2나사홈부(342)가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구멍(322)과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나사돌부(341)와 제2나사홈부(342)가 나사체결된 후 상기 제2연결구멍(322)으로부터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가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제2고정너트(343)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와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에는,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를 통해 오물이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로 투입될 때 물기나 이물질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측으로 유입되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형 오물유입차단부(3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발생부(200)와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에는,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오물흡입연결부(340)를 통해 오물이 상기 통형몸체(310) 내부로 투입될 때 물기나 이물질이 상기 진공흡입연결부(330)측으로 유입되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물유입차단망(370)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49588A 2018-05-30 2018-11-28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KR102101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2199 2018-05-30
KR1020180062199 201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668A KR20190137668A (ko) 2019-12-11
KR102101570B1 true KR102101570B1 (ko) 2020-04-17

Family

ID=6900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588A KR102101570B1 (ko) 2018-05-30 2018-11-28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500A (ko) 2021-01-28 2022-08-05 이인지 개향형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529B1 (ko) * 2020-11-23 2022-08-30 박경재 배관 뚫기용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407A (ja) * 1999-05-31 2000-12-05 Tokyo Gas Co Ltd 吸引排水装置
JP2003514662A (ja) * 1999-11-23 2003-04-22 オイ リファ イアク リミテッド 空調および他の用途用の通路を清掃するための装置
KR200395508Y1 (ko) * 2005-06-16 2005-09-13 장두희 엘보관절을 갖는 압축흡입식 배수구 청소기
KR200469983Y1 (ko) * 2013-08-14 2013-11-25 김동진 배관용 진공 청소장치
KR101777390B1 (ko) 2014-12-24 2017-09-12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진공 흡입 배출기
KR101778973B1 (ko) 2016-06-09 2017-09-27 산하토건(주) 터널 내 배수관로 유지관리용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84Y1 (ko) 2008-08-05 2011-07-20 민경옥 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KR20180045263A (ko) 2016-10-25 2018-05-04 이상윤 양변기 막힘 제거장치
KR101934693B1 (ko) * 2017-03-28 2019-01-03 이지혜 개폐가 용이한 캔 용기용 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407A (ja) * 1999-05-31 2000-12-05 Tokyo Gas Co Ltd 吸引排水装置
JP2003514662A (ja) * 1999-11-23 2003-04-22 オイ リファ イアク リミテッド 空調および他の用途用の通路を清掃するための装置
KR200395508Y1 (ko) * 2005-06-16 2005-09-13 장두희 엘보관절을 갖는 압축흡입식 배수구 청소기
KR200469983Y1 (ko) * 2013-08-14 2013-11-25 김동진 배관용 진공 청소장치
KR101777390B1 (ko) 2014-12-24 2017-09-12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진공 흡입 배출기
KR101778973B1 (ko) 2016-06-09 2017-09-27 산하토건(주) 터널 내 배수관로 유지관리용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500A (ko) 2021-01-28 2022-08-05 이인지 개향형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668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570B1 (ko)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US20170009440A1 (en)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JP4064994B2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
JP2005529646A (ja) 排泄物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60225192A1 (en) Apparatus for dislodging a plumb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346091B2 (en) Plunger sanitation device
KR20180047315A (ko) 양변기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
KR20180010723A (ko) 저수조가 부착된 위생 소변기
JP2002165821A (ja) 排泄物処理装置
JP3916557B2 (ja) ペット汚物の廃棄処理設備
JPH1121982A (ja) 排便装置
KR10096323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KR200484438Y1 (ko)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KR101726293B1 (ko)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WO2017094295A1 (ja) 便器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US20240191489A1 (en) Water dispensing unisex urinal funnel for a toilet and method therefor
KR100899460B1 (ko) 좌변기용 배출관의 막힘상태 뚫음장치
US20240026670A1 (en) Blockage clearing device
JP7231149B2 (ja) 手洗器
KR20130002511A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20220109500A (ko) 개향형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EP4382684A1 (en) Water dispensing unisex urinal funnel for a toilet and method therefor
JP2000139769A (ja) バキューム装置等の吸込管切り換え構造及びバキューム式トイレ
EP2545834A1 (en) Device for cleaning sanitary equipment
KR101715000B1 (ko) 양변기용 냄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