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180B1 -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180B1
KR102438180B1 KR1020220034382A KR20220034382A KR102438180B1 KR 102438180 B1 KR102438180 B1 KR 102438180B1 KR 1020220034382 A KR1020220034382 A KR 1020220034382A KR 20220034382 A KR20220034382 A KR 20220034382A KR 102438180 B1 KR102438180 B1 KR 10243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ocket
pipe
supply pipe
film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준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팩
Priority to KR102022003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2039/009Multipl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22Interconnected packages concurrently produced from the same web, the packages not being separated from one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종(異種)의 내용물을 동시에 스틱형 포장용기의 분할공간(제1포켓, 제2포켓)에 각각 공급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Automatic packing machine for heterogeneous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종(異種)의 내용물을 동시에 스틱형 포장용기의 분할공간(제1포켓, 제2포켓)에 각각 공급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약제는 분말이나 정제약(錠劑藥)과 같은 고형제와 시럽과 같은 액상의 액상제이 있다.
상기 고형제와 액상제로 분류되는 약제의 종류에 있어서, 특정한 처방에 의하여 상기 고형제와 액상제를 동시에 처방받았을 때, 이를 따로 따로 포장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복용을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의 휴대 및 보관뿐만 아니라, 가루 과립과 같은 고형제와 액상제를 동시에 포장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1회용 포장용기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45546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제를 내용물로 밀봉하는 공간을 갖는 제1수용부(110) 및 액상제를 내용물로 밀봉하는 공간의 제2수용부(120)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장용기는 2개의 분할공간(110)(120)이 직렬형태로 순차적으로 나뉘어지므로, 각각의 분할공간(110)(120)에 내용물 순차적으로 투입공급하여야 하므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포장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투입공정이 2개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지게 되므로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등록번호 10-0521719호, 특허등록번호 10-0996580호 및 특허등록번호 10-1521627호에는 약제 자동포장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하나의 포장용기내에 이종(異種)의 내용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기술에 대하여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공개특허 제10-2021-0145546호 특허등록번호 10-0521719호 특허등록번호 10-0996580호 특허등록번호 10-1521627호
본 발명은 이종(異種)의 내용물을 패키지의 분할공간에 각각 동시에 공급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고체상의 제1내용물과 액상의 제2내용물을 제1포켓과 제2포켓이 형성되는 포장용기에 각각 수용시키기 위한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필름원단이 말아진 공급롤과;
상기 제1내용물을 수용하는 제1저장통과;
상기 제1저장통으로부터 제1내용물을 일정량 배출하는 제1정량공급부와;
상기 제2내용물을 수용하는 제2저장통과;
상기 제2저장통으로부터 제2내용물을 일정량 배출하는 제2정량공급부와;
일정폭의 상기 필름원단이 진입되어 통형으로 말아지도록 안내되며 측면에 슬릿공이 형성된 중공의 포밍블럭과;
상기 포밍블럭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통형으로 말아지는 필름원단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노즐안내관과;
상단부가 상기 제1정량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안내관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포밍블럭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안내관에 고정되는 제1공급관과;
상단부가 상기 제2정량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안내관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포밍블럭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안내관에 고정되는 제2공급관과;
말아진 필름원단의 양측 종방향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센터실링부를 형성시키며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실블럭과;
통형으로 말아진 필름원단을 횡방향으로 열융착하여 엔드실링부를 형성시키도록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필름원단을 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주행시키며 상하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엔드실블럭과;
상기 센터실링부와 엔드실링부가 형성된 통형의 필름원단에 열융착하여 상기 제1포켓과 제2포켓으로 분할되도록 분할실링부를 형성하며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분할실블럭과;
상기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의 하단부가 상기 제1포켓과 제2포켓에 진입되도록 상기 노즐안내관을 하강시키고, 상기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공급되었을때 상기 노즐안내관을 상승시키는 제1승강수단과;
상기 엔드실링부의 중간부분을 절단하며 왕복 이동가능학 배치되는 커팅블럭;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관은 중공의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상단부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2정량공급부와 연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관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메인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액튜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의 하부측은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은 하단부가 상기 제1포켓에 진입되는 경질의 엔드관과, 하단이 상기 엔드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1정량공급부에 연결되는 유연한 유연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엔드관은 상기 제2공급관과 이격되고 상기 제1포켓에 진입되는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에서 상기 제2공급관 측으로 절곡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연관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공급관의 하부측에 암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부의 상부측에 상기 암연결부에 헐겁게 결합되는 숫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 실시예의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는 정제약 및 물약과 같은 이종(異種)의 내용물을 동시에 스틱형 포장용기의 분할공간(제1포켓, 제2포켓)에 각각 공급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유연한 재질의 포장용기(10)가 하향으로 주행될때 장치의 구동에 따른 약간의 흔들림이나 직하방 주행이 아닌 약간의 경사주행이 발생되어도 제1공급관(120)이 요동되면서 제1포켓(11)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원할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한다.
세째, 고체상의 제1내용물(1)과 공급 부피가 큰 액상의 제2내용물(2)의 공속속도 차이를 밸브 액튜에이터와 개폐밸브를 채용함으로써, 제1내용물(1)과 제2내용물(2)을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에 공급하는 속도를 유사하게 맞춤으로써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자동포장장치의 개략적 시스템 도면,
도 8은 센터실링부를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포밍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횡단면도,
도 10은 제1포켓과 제2포켓에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2내용물의 공급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는 정제약 및 물약과 같은 이종(異種)의 내용물을 동시에 스틱형 포장용기의 분할공간(제1포켓, 제2포켓)에 각각 공급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자동포장장치에 의해서 형성되는 포장용기(10)는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가 합체되어 실링된 센터실링부(15)와 양 단부의 엔드실링부(13)(14)를 형성하며, 분할실링부(16)에 의해서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으로 분할공간을 가진다.
상기 제1포켓(11)에는 분말, 정제약과 같은 고체상의 제1내용물(1)이 공급되고, 제2포켓(12)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장용기(10)를 생산해내는 자동포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 자동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자동포장장치의 개략적 시스템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포장장치는 상기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필름원단(10b)이 말아진 공급롤(10a)과; 상기 제1내용물(1)을 수용하는 제1저장통(100)과; 상기 제1저장통(100)으로부터 제1내용물(1)을 일정량 배출하는 제1정량공급부(110)와; 상기 제2내용물(2)을 수용하는 제2저장통(200)과; 상기 제2저장통(200)으로부터 제2내용물(2)을 일정량 배출하는 제2정량공급부(210)와; 일정폭의 상기 필름원단(10b)이 진입되어 통형으로 말아지도록 안내되며 측면에 슬릿공(401)이 형성된 중공의 포밍블럭(400)과; 상기 포밍블럭(4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통형으로 말아지는 필름원단(10b)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노즐안내관(300)과; 상단부가 상기 제1정량공급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안내관(300)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포밍블럭(4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안내관(300)에 고정되는 제1공급관(120)과; 상단부가 상기 제2정량공급부(210)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안내관(300)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포밍블럭(4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안내관(300)에 고정되는 제2공급관(220)과; 말아진 필름원단(10b)의 양측 종방향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센터실링부(15)를 형성시키며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실블럭(510)과; 통형으로 말아진 필름원단(10b)을 횡방향으로 열융착하여 엔드실링부(13)(14)를 형성시키도록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필름원단(10b)을 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주행시키며 상하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엔드실블럭(530)와; 상기 센터실링부(15)와 엔드실링부(13)(14)가 형성된 통형의 필름원단(10b)에 열융착하여 상기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으로 분할되도록 분할실링부(16)를 형성하며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분할실블럭(520)과; 상기 제1공급관(120)과 제2공급관(220)의 하단부가 상기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에 진입되도록 상기 노즐안내관(300)을 하강시키고, 상기 제1내용물(1)과 제2내용물(2)이 공급되었을때 상기 노즐안내관(300)을 상승시키는 제1승강수단과; 상기 엔드실링부(13)(14)의 중간부분을 절단하며 왕복 이동가능학 배치되는 커팅블럭(54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정량공급부(110)와 제2정량공급부(210)는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분할실블럭(520)은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ㄴ"형상의 돌출부(521)가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공급관(220)은 중공의 메인관(221)과, 상기 메인관(221)의 상단부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2정량공급부(210)와 연결되는 분기관(222)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관(221)에는 하단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23)와, 상기 메인관(221)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밸브(223)를 작동시키는 밸브 액튜에이터(224)를 구비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공급관(120)과 상기 제2공급관(220)의 하부측은 요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공급관(120)은 하단부가 상기 제1포켓(11)에 진입되는 경질의 엔드관(121)과, 하단이 상기 엔드관(12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1정량공급부(110)에 연결되는 유연한 유연관(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엔드관(121)은 상기 제2공급관(220)과 이격되고 상기 제1포켓(11)에 진입되는 진입부(121a)와, 상기 진입부(121a)에서 상기 제2공급관(220) 측으로 절곡되는 경사부(121b)와, 상기 경사부(121b)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연관(122)이 연결되는 연결부(121c)를 구비한다.
상기 제2공급관(220)의 하부측에는 암연결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부(121a)의 상부측에는 상기 암연결부(225)에 헐겁게 결합되는 숫연결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공급관(120)과 제2공급관(220)는 상기 제1승강수단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상기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에 진입되어 각각 제1내용물(1)과 제2내용물(2)을 공급한 후 상승하며, 동시에 포장용기(10)는 엔드실블럭(530)에 의해서 하부로 견인되어 주행하게 된다.
이때 유연한 재질의 포장용기(10)가 하향으로 주행될때 장치의 구동에 따른 약간의 흔들림이나 직하방 주행이 아닌 약간의 경사주행이 발생되어도 제1공급관(120)이 요동되면서 제1포켓(11)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원할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자동포장장치의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공급롤(10a)로부터 필름원단(10b)이 펼쳐진 상태로 주행되고, 상기 포밍블럭(400) 내부로 진입되면서 둥글게 말아지며, 필름원단(10b)의 양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포밍블럭(400)의 슬릿공(401)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필름원단(10b)의 주행은 후술하는 엔드실블럭(530)의 견인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필름원단(10b)의 주행은 일시적으로 정지되게 되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실블럭(510)이 전진되어 필름원단(10b)의 양단부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포장용기(10)의 센터실링부(15)를 형성한다.
이어서 센터실링부(16)가 형성된 필름원단(10b)이 일정 스텝 하강 주행되어 정지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실블럭(520)이 필름원단(10b)을 열압착하여 분할실링부(16)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안내관(300)이 제1승강수단에 의해서 하강되어, 상기 제1공급관(120)과 제2공급관(220)의 하단부는 상기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에 각각 진입되어 제1내용물(1)과 제2내용물(2)을 공급한 후 상승한다.
상기 제1포켓(11)에는 제1내용물(1)로서 정제약이 공급되고, 제2포켓(12)에는 액상의 제2내용물(2)이 공급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액상의 제2내용물(2)은 상기 밸브 액튜이터(224)의 작동에 의해서 개폐밸브(223)가 개폐되어 정량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2정량공급부(210)에서 일정량의 제2내용물(2)이 제2공급관(220)을 통하여 공급되더라도 길이가 긴 제2공급관(220)을 따라 낙하되어 수용되어 있게 되며, 제2공급관(220)의 단부에서 개폐밸브(223)의 개폐에 의해서 정량이 제2포켓(12)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센터실링부(15) 및 분할실링부(16)를 형성한 후 내용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상기 포밍블럭(400)의 상부측에서 제1내용물(1)과 제2내용물(2)을 투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서 고체상의 제1내용물(1)의 낙하속도와 액상의 제2내용물(2)의 낙하속도에 차이가 발생되게 되는 바, 공급 부피가 큰 액상의 제2내용물(2)은 상기 제2공급관(220) 내부에 수용하였다가 상기 개폐밸브(223)의 개폐작동으로 상기 제1내용물(1)과의 공급속도를 줄일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제1내용물(1)과 제2내용물(2)을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에 공급하는 속도를 유사하게 맞춤으로써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에 내용물이 공급된 후, 상기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의 입구를 상기 엔드실블럭(530)에 의해서 열실링하여 엔드실링부(13)를 형성하면서 엔드실블럭(530)의 하향 견인력에 의해서 하강 주행된다.
이때 유연한 재질의 포장용기(10)가 하향으로 주행될때 장치의 구동에 따른 약간의 흔들림이나 직하방 주행이 아닌 약간의 경사주행이 발생되어도 제1공급관(120)이 요동되면서 제1포켓(11)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원할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노즐안내관(300)이 제1승강수단에 의해서 하강되어, 상기 제1공급관(120)의 하단부가 입구폭이 좁은 상기 제1포켓(11)에 진입될때에도 원할하게 진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엔드실링부(13)(14)가 형성된 포장용기(10)는 커팅블럭(540)에 의해서 커팅되어 배출슈트(600)를 총하여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는 정제약 및 물약과 같은 이종(異種)의 내용물을 동시에 스틱형 포장용기의 분할공간(제1포켓, 제2포켓)에 각각 공급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연한 재질의 포장용기(10)가 하향으로 주행될때 장치의 구동에 따른 약간의 흔들림이나 직하방 주행이 아닌 약간의 경사주행이 발생되어도 제1공급관(120)이 요동되면서 입구폭이 좁은 제1포켓(11)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원할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한다.
1...제1내용물 2...제2내용물
10...포장용기 11...제1포켓
12...제2포켓 13,14...엔드실링부
15...센터실링부 16...분할실링부
100...제1저장통 120...제1공급관
200...제2저장통 220...제2공급관

Claims (4)

  1. 고체상의 제1내용물(1)과 액상의 제2내용물(2)을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이 형성되는 포장용기에 각각 수용시키기 위한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필름원단(10b)이 말아진 공급롤(10a)과;
    상기 제1내용물(1)을 수용하는 제1저장통(100)과;
    상기 제1저장통(100)으로부터 제1내용물(1)을 일정량 배출하는 제1정량공급부(110)와;
    상기 제2내용물(2)을 수용하는 제2저장통(200)과;
    상기 제2저장통(200)으로부터 제2내용물(2)을 일정량 배출하는 제2정량공급부(210)와;
    일정폭의 상기 필름원단(10b)이 진입되어 통형으로 말아지도록 안내되며 측면에 슬릿공(401)이 형성된 중공의 포밍블럭(400)과,
    상기 포밍블럭(4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통형으로 말아지는 필름원단(10b)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노즐안내관(300)과;
    상단부가 상기 제1정량공급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안내관(300)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포밍블럭(4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안내관(300)에 고정되는 제1공급관(120)과;
    상단부가 상기 제2정량공급부(210)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안내관(300)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포밍블럭(4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안내관(300)에 고정되는 제2공급관(220)과;
    말아진 필름원단(10b)의 양측 종방향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센터실링부(15)를 형성시키며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실블럭(510)과;
    통형으로 말아진 필름원단(10b)을 횡방향으로 열융착하여 엔드실링부(13)(14)를 형성시키도록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필름원단(10b)을 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주행시키며 상하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엔드실블럭(530)와;
    상기 센터실링부(15)와 엔드실링부(13)(14)가 형성된 통형의 필름원단(10b)에 열융착하여 상기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으로 분할되도록 분할실링부(16)를 형성하며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분할실블럭(520)과;
    상기 제1공급관(120)과 제2공급관(220)의 하단부가 상기 제1포켓(11)과 제2포켓(12)에 진입되도록 상기 노즐안내관(300)을 하강시키고, 상기 제1내용물(1)과 제2내용물(2)이 공급되었을때 상기 노즐안내관(300)을 상승시키는 제1승강수단과;
    상기 엔드실링부(13)(14)의 중간부분을 절단하며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커팅블럭(54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관(220)은 중공의 메인관(221)과, 상기 메인관(221)의 상단부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2정량공급부(210)와 연결되는 분기관(222)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관(221)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23)와, 상기 메인관(221)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밸브(223)를 작동시키는 밸브 액튜에이터(2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120)과 상기 제2공급관(220)의 하부측은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120)은 하단부가 상기 제1포켓(11)에 진입되는 경질의 엔드관(121)과, 하단이 상기 엔드관(12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1정량공급부(110)에 연결되는 유연한 유연관(1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엔드관(121)은 상기 제2공급관(220)과 이격되고 상기 제1포켓(11)에 진입되는 진입부(121a)와, 상기 진입부(121a)에서 상기 제2공급관(220) 측으로 절곡되는 경사부(121b)와, 상기 경사부(121b)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연관(122)이 연결되는 연결부(121c)를 구비하며,
    상기 제2공급관(220)의 하부측에 암연결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부(121a)의 상부측에 상기 암연결부(225)에 헐겁게 결합되는 숫연결부(1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KR1020220034382A 2022-03-20 2022-03-20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KR10243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82A KR102438180B1 (ko) 2022-03-20 2022-03-20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82A KR102438180B1 (ko) 2022-03-20 2022-03-20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180B1 true KR102438180B1 (ko) 2022-08-30

Family

ID=8311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82A KR102438180B1 (ko) 2022-03-20 2022-03-20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1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719B1 (ko) 2003-11-25 2005-10-17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약 자동포장기의 알약 자동공급장치
KR20060114812A (ko) * 2005-05-03 2006-11-08 장한석 설탕 및 프림의 일회용 포장대
JP2010516568A (ja) * 2007-01-24 2010-05-20 シュ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イ/エス 封入物充填済みパッキング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996580B1 (ko) 2010-05-28 2010-11-25 (주)제이브이엠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521627B1 (ko) 2013-03-20 2015-05-21 하진희 스틱형 포장용기 자동 포장장치
KR20210145546A (ko) 2020-05-25 2021-12-02 박은규 고형제와 액상을 분리하여 포장하는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719B1 (ko) 2003-11-25 2005-10-17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약 자동포장기의 알약 자동공급장치
KR20060114812A (ko) * 2005-05-03 2006-11-08 장한석 설탕 및 프림의 일회용 포장대
JP2010516568A (ja) * 2007-01-24 2010-05-20 シュ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イ/エス 封入物充填済みパッキング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996580B1 (ko) 2010-05-28 2010-11-25 (주)제이브이엠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521627B1 (ko) 2013-03-20 2015-05-21 하진희 스틱형 포장용기 자동 포장장치
KR20210145546A (ko) 2020-05-25 2021-12-02 박은규 고형제와 액상을 분리하여 포장하는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021B1 (en) Method of applying reclosable zipper to package
US66880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US7140162B2 (en) Unit for feeding products to a blistering machine
KR20010077818A (ko) 수평 성형-충진-밀봉 기계 상에서 슬라이드-지퍼를 갖는재밀폐 가능 패키지를 제작하는 방법
EP0287789A1 (en) Packaging device
US20020152720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US6820393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US763489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closable packaging having tamper-evident feature
CN101712384A (zh) 药品包装机
JPH08169405A (ja) パッケージ方法および装置
CN102791581B (zh) 包装机及包装产品的方法
KR102532860B1 (ko) 약제 포장을 위한 장치
CN100429122C (zh) 药剂包装机
EP16812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reclosable packages having slider actuated string zippers
KR102438180B1 (ko) 이종 내용물 자동포장장치
KR102438177B1 (ko) 2개의 포켓을 가지는 스틱형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
KR100271332B1 (ko) 포장장치
KR101447545B1 (ko) 캡슐포장장치
JP2006089136A (ja) 縦型多列自動包装機における袋ガイド機構
EP1345812B1 (en) Method of making dual chamber sachet
US20030172622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fasteners and for filling through the slide fasteners
CN109606832B (zh) 内袋折叠机构、内袋成型装置、包装机及内袋成型工艺
EP1060991A1 (en) Device for arranging gelatine capsules for loading in blister packs
KR101620086B1 (ko) 포장 효율성이 증진된 삼면포장기
CN211996434U (zh) 一种粉体包装机用装袋真空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