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008B1 -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008B1
KR102436008B1 KR1020200146301A KR20200146301A KR102436008B1 KR 102436008 B1 KR102436008 B1 KR 102436008B1 KR 1020200146301 A KR1020200146301 A KR 1020200146301A KR 20200146301 A KR20200146301 A KR 20200146301A KR 102436008 B1 KR102436008 B1 KR 10243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ow
adhesive layer
decorative pane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629A (ko
Inventor
김용재
권동주
송종율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0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식패널은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의 배면에 형성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디자인이 구현된 디지털프린팅층, 상기 디지털프린팅층 배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평활도가 우수한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이 필름층의 일면에 저굴절층이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층 상에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복수 적층된 저반사 코팅막이 형성되어 표면 반사율을 낮춤으로써, 주변 조명광의 빛 반사에 의한 색상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건축물 인테리어 내·외장재나 포토패널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DECORATIVE PANEL WITH IMPROVED VIS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의 배면에 형성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디자인이 구현된 디지털프린팅층, 상기 디지털프린팅층 배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평활도가 우수한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이 필름층의 일면에 형성된 저굴절층, 상기 저굴절층 상에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복수 적층된 저반사 코팅막이 형성되어 표면 반사율을 낮춤으로써, 주변광에 의한 패널표면의 빛 반사를 저감시켜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리나 하드코팅 필름의 투명소재를 활용한 포토패널 및 건축 내·외장재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단순한 색유리, 판유리나 접합유리, 식각유리 또는 그라비아 인쇄로 단순한 문향을 갖는 유리자재의 건축시공을 넘어서 고급의 포토패널과 건축물 내·외장에 건축물의 목적지향적인 이미지를 연출하려는 수요자의 요구가 생겨나고 있다.
수요자는 포토패널이나 건축물 인테리어를 지향하는 목적에 알맞은 고급인쇄를 요구하지만, 종래의 그라비아 인쇄물이나 문향의 필름을 유리에 부착하는 방식은 표현 다양성의 한계와 이미지 인쇄필름과 유리의 합지에서 내구성 및 색상의 보존성에서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하는 유리나 아크릴과 같은 투명소재는 가공성이나 시공에서 어려운 점이 있었다.
기존의 시공은 패널에 탈부착이 가능한 걸이를 달거나 실리콘점착 등의 시공 또는 틀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매우 전문적이고 복잡한 시공방법이 필요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건축 외부에 시공할 경우, 필름 표면에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등이 조사되어 내구성 및 색상의 보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평활도 및 색상의 보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편리한 건축물 인테리어 내외장재나 포토패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광학 디스플레이분야에서의 반사방지필름은 디스플레이 하부에서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복수개의 광학층을 통과할 때 반사되는 빛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투과되는 광량을 높여 저전력, 고휘도 발현을 목표로 설계된다.
반면에, 건축물 인테리어 및 내ㆍ외장재 또는 포토패널의 장식패널의 경우, 하방에서 인위적으로 조사하는 광원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즉, 조명광 또는 자연광이 패널의 상부에 조사된다. 이때, 입사되는 빛의 방향과 반대방향의 빛 반사가 클 경우, 이미지 색상 시인성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노력한 결과, 주변 조명 광에 의한 빛 반사를 최소화하여 장식패널의 시인성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을 디지털인쇄된 디자인필름과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점착층으로 합지한 장식패널을 제공하고, 상기 장식패널을 이미지 표면에 부착하여 주변 조명광의 빛 반사에 의한 색상 시인성 저하 방지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특허 제1526649호(2015.06.05 공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8-0064610호(2018.06.1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반사율을 낮춰 시인성을 향상시킨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 상기 투명보호층의 배면에 형성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디자인이 구현된 디지털프린팅층, 상기 디지털프린팅층 배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평활도가 우수한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에 의해 주변광에 의한 패널표면의 빛 반사를 저감시켜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필름과 맞닿는 제1저굴절층은 웨트 코팅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제1저굴절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코팅층은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복수 적층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굴절률층은 Nb2O5로 이루어지고, 저굴절률층이 SiO2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에서 저굴절층은 웨트 코팅방식에 의해 두께 200 내지 400nm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장식패널에서,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은 초산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단독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에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이 에폭시계 수지의 단독중합체인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 10 내지 25 중량부, 황산칼륨 60 내지 70 중량부 및 호박산이나트륨 35 내지 5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식패널은 디지털인쇄된 디자인필름과 합지된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프린팅층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정면에 형성되어, 디지털프린팅으로 디자인이 구현되는 인쇄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패널은 상기 판넬 배면에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름층의 일면에 웨트 코팅방식으로 저굴절층을 형성하고, 상기 저굴절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으로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복수 적층된 저반사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층의 이면에 제1점착층을 형성하고, 디지털프린팅층 일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 배면에 판넬로 이루어진 디자인필름을 준비하되, 제1점착층과 디지털프린팅층을 합지하여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식패널에 따르면,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과 디지털프린팅층을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점착층으로 합지함으로써, 이미지 표면에 부착하여 주변 조명광의 빛 반사에 의한 색상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고, 인쇄된 디자인의 색상 보존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구성되어 건축물 인테리어 내·외장재나 포토패널로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으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장식패널의 구성 중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장식패널의 구성 중 디지털프린팅층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패널에서 프레임이 더 포함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장식패널의 시인성 향상에 대한 개략적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의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 상기 투명보호층의 배면에 형성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점착층(200), 상기 제1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디자인이 구현된 디지털프린팅층(300), 상기 디지털프린팅층 배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400) 및 상기 제2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평활도가 우수한 판넬(500)을 포함할 수 있다.
1.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
도 2는 장식패널의 구성 중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의 단면도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은 필름층(110)과 맞닿은 일면에 저굴절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층 상에 저반사 코팅막(130)이 형성되어 주변 조명광에 노출되고, 상기 필름층의 배면에 제1점착층(20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장식패널에 있어서,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의 기재에 해당되는 필름층(110)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PC) 및 (메타)아크릴나이트릴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다이아세틸렌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셀룰로오스 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름층(1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 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TPAE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성형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혼용성이 떨어져 필름층(110)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필름층(110)은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에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표면이 수분을 배척하는 소수성을 형성하며, 통기성이 좋지 못한 플라스틱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에 세라믹을 첨가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은 이산화규소, 이산화 타이타늄, 운모, 점토, 황토, 제올라이트 중 하나의 입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 세라믹, 상용화제의 비율은 8:1:1 내지 5:4: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상용화제는 항상 1의 비율을 유지하며, 5:4:1의 비율로 근접할수록 친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또한, 세라믹은 항균성을 가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의 혼합 전에 은이 함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항균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름층(110)에 하드코팅층(120)이 보다 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층(110)은 10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장식패널은 상기 필름층(110)의 일면에 저굴절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층 상에 저반사 코팅막(130)이 형성된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이 합지됨에 따라, 광원이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 표면에 부착하여 주변광의 조명의 빛 반사에 의한 색상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고, 인쇄된 디자인의 색상 보존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120)은 웨트 코팅방식에 의해 두께 200 내지 400nm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굴절률 재료의 도포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웨트 코팅방식에 의해 저굴절층을 형성함에 따라, 스퍼터링 방식으로 올려야 할 코팅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통상, 스퍼터링 방식의 공정 특성상 200nm 이상의 두께를 올리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며, 스퍼터링 공정에서 200nm의 두께를 올리게 되면, 생산 속도 2m/min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층(120)상에 형성된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저반사 코팅막(130)을 형성하는데, 상기 저반사 코팅막(130)은 저굴절층 상에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구성 요소로 하여 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때, 4층의 합계 두께가 약 200㎚이 되도록 형성된다.
고굴절률층(131, 133)은 굴절률 1.7 내지 2.4 인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기 굴절률이 1.7 내지 2.4 인 금속 산화물은 전이금속 산화물, 전이후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Nb2O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Nb2O5) 또는 금속 질화물의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되며 다른 실시형태로는, 산소를 도입하여 금속을 산화시키면서 스퍼터링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굴절률층의 두께가 매우 작기 때문에 막 두께 제어가 중요하며, 적절한 스퍼터링법에 의해 대응 가능하다.
상기 고굴절률층(131, 133)상에 저굴절률층(132, 134)을 형성하며, 저굴절률층(50)은 드라이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1.3∼1.5를 가지는 산화 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SiO2)의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저반사 코팅막이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교대로 복수 적층함으로써, 상기 적층되는 층의 굴절률과 막 두께를 바꿈으로써 특정 색상 광을 반사하고 그 이외의 색상 광을 투과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상의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은 필름층(110)과 맞닿은 일면에 저굴절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층 상에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교대로 복수 적층된 저반사 코팅막(130)으로 완성되며 비로소 표면 보호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2.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점착층(200)
제1점착층(200)은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 배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차단 기능 및 점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디지털프린팅층(300)에 구현된 디자인의 변색, 황변 등을 방지하여, 장식패널의 색상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점착층(200)은 초산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단독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인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점착층(200)은 에폭시계 단독중합체인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 10 내지 2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은 메탈로센 촉매(metallocene catalyst)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성물로, 우수한 방습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방습효과를 가지므로 배면의 디지털프린팅층(300)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방습성이 낮아 습기가 침투될 수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1점착층(200)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점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점착층(200)은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황산칼륨은 제1점착층(200)의 경화시간을 단축하고 강도를 높여줄 수 있으며, 호박산이나트륨은 제1점착층(200)과 보호층(100) 및 디지털프린팅층(300)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은 제1점착층(200)에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70 중량부 및 35 내지 55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황산칼륨이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화시간 단축 및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7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호박산이나트륨이 3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5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시 주름 등 컬이 발생하여, 디지털프린팅층(300)의 디자인에 영향을 수 있다.
또한, 제1점착층(200)은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및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인 점착촉진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착촉진제는 점착제 100 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9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점착촉진제가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1점착층(200)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촉진제가 변질되거나 석출되어 이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즉, 점착기능을 하는 제1점착층(200)에 점착촉진제가 더 포함되어, 제1점착층(20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보호층(100)과 디지털프린팅층(300)과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점착층(200)은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점착층(200)의 유연성 및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점착층(20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10N/10mm 이상의 바람직한 접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접착강도가 10N/10mm 미만일 경우 보호층(100)과 디지 털프린팅소재(300)를 부착시키는 점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점착층(200)은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25㎛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점착층(200)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보호층(100)과 디지털프린팅층(300)을 부착시키는 점착력이 저하되며, 50㎛를 초과할 경우 디지털프린팅층(300)에 프린팅된 디자인의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3. 디지털프린팅층(300)
도 3은 장식패널의 구성 중 디지털프린팅층(300)의 단면도로서, 디지털프린팅층(300)은 제1점착층(200) 배면에 부착되며, 디지털 프린팅에 의해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프린팅층(300)은 기재층(310) 및 인쇄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310)은 실질적으로 필름층(11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통기성, 항균성이 향상되어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층(110)에서 설명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기재층(310)은 15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쇄층(320)은 기재층(310) 정면에 형성되고, 디지털프린팅에 의해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를 흡수하여 디자인을 형성하고, 디자인의 건조속도, 색상 표현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잉크는 Latex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유해 물질이 방출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색상 보존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320)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중 1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층(320)은 대전 방지제, 가소제, 자외선 안정제, 분산제, 소포제, 습윤제, 라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인산 에스테르, 알킬 아민옥사이드(alkyl amineoxide), 알킬 포스핀옥사이드(alkylphosphineoxide), 알킬설폭사이드 (alkylsulfoxide), 4차 알킬 암모늄 할라이드(alkyl quaternary ammonium halide), 알킬 이미다졸염할라이드(alkyl imidazolium halide), 알킬 피리디늄 할라이드 (alkyl pyridinium halide), 알킬 설포니움 할라이드(alkyl sulfonium halide) 및 알킬 포스포늄할라이드(alkyl phosphonium hal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가소제는 인쇄층(320)에 포함됨으로써, 인쇄층(320)이 형성된 후 또는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층(320)에 인쇄한 후 건조 과정에서 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는 프탈산 에스테르, 벤조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 에스테르, 시트르산 에스테르, 아디프산 에스테르, 에폭시 38-18 2019-03-08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소성을 갖는 용매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는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소제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방지 기능 및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인쇄층(320)의 물성이 저하되어 잉크 부 착력 및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인쇄층(320)이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인쇄되는 이미지가 자외선에 의해 탈색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안정제(UV stabilizers)는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소포제는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소포제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인쇄층(320) 소포 효과가 저하되어 코팅 시 기포층이 발생할 수 있으며, 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바인더의 레벨링성을 저하시켜 인쇄층(320) 표면의 크레이터, 핀홀 등의 조막 특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라벨링제는 인쇄층(320)의 표면장력을 낮춰 조막특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라벨링제가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조막 특성을 해칠 수 있으며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재층(310)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인쇄 시 잉크 흡수를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320)은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선형 구조를 가지며,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15℃일 수 있다. 이러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단량체인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에, 비닐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이소부 틸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에틸렌(Ethylene) 등의 공단량 체를 중합하여 선형의 중합구조를 지니도록 합성된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인쇄층(320)의 점도를 조절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쇄층(320)의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코팅 후 또는 인쇄 후 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 도(Tg)가 -5℃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인쇄층(320)의 경화 및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를 초과할 경우 컬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가 1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현상 방지 기능이 미미하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할 수 있다.
인쇄층(320)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인쇄층(320)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고, 내마모성,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가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용성 향상 후 안전성이 떨어지며,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 과할 경우 내수성,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층(320)은 3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프린팅층(300)은 180 내지 3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지털프린팅층(300)의 두께가 180㎛미만일 경우 디지털프린팅층(300)의 강도가 낮아 작업성이 저하되며, 350㎛를 초과할 경우 장식패널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벽면 부착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4. 제2점착층(400)
제2점착층(400)은 디지털프린팅층(300) 배면에 형성되어, 디지털 프린팅소재(300)와 판넬(50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점착층(400)은 디지털프린팅층(300과 판넬(500) 사이에 형성되어 디지털프린팅층(300)과 판넬(500)을 부착시킨 후, 건식타입 고압력합지기를 통해 가압되는 것으로, 디지털프린팅층(300)과 판넬(500)을 합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점착층(400)은 초산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단독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인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점착층(400)은 에폭시계 단독중합체인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 10 내지 2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은 메탈로센 촉매(metallocene catalyst)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성물로, 우수한 방습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방습효과를 가지므로 정면의 디지털프린팅층(300)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방습성이 낮아 습기가 침투될 수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2점착층(400)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점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점착층(400)은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황산칼륨은 제2점착층(400)의 경화시간을 단축하고 강도를 높여줄 수 있으며, 호박산이나트륨은 제2점착층(400)과 디지털프린팅층(300) 및 판넬 (500)간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은 제2점착층(400)에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70 중량부 및 35 내지 55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황산칼륨이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화시간 단축 및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7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호박산이나트륨이 3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5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시 주름 등 컬이 발생하여, 디지털프린팅 소재(300)의 디자인에 영향을 수 있다. 또한, 제2점착층(400)은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및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인 점착촉진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착촉진제는 점착제 100 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9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점착촉진제가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2점착층(400)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촉진제가 변질되거나 석출되어 이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점착기능을 하는 제2점착층(400)에 점착촉진제가 더 포함되어, 제2점착층(40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디지털프린팅층(300) 및 판넬 (500)과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점착층(400)은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 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점착층(400)의 유연성 및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점착층(40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10N/10mm 이상의 바람직한 접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접착강도가 10N/10mm 미만일 경우 디지털프린팅층(300)과 판넬(500)을 부착시키는 점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점착층(400)은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25㎛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점착층(400)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디지털프린팅층(300)과 판넬(500)을 부착시키는 점착력이 저하되며, 50㎛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5. 판넬(500)
판넬(500)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점착층(400) 배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장식패널의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판넬(500)은 경량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알루미늄 복합 패널, 마그네슘 보드, 알루미늄 시트 및 철판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알루미늄 복합 패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판넬(500)은 2.5 내지 3.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3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판넬(500)의 두께가 2.5mm 미만일 경우 패널의 강도가 낮아 파손의 위험이 발생하고 평활도 제공 효과가 저하되며, 3.5mm를 초과할 경우 장식 패널의 무게가 무거워져 벽면 부착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6. 프레임(6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패널에서 프레임(600)이 더 포함된 단면도로서, 프레임(600)은 판넬(500) 배면에 설치되어 판넬(500)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량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600)은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넬(500)에 부착됨으로써, 장식패널에 두께감을 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이때, 프레임(600)은 10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1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600)의 두께가 10mm 미만일 경우 내구성 향상효과가 저하되며, 15mm를 초과할 경우 장식패널의 무게와 두께가 너무 무거워지고 두꺼워져 벽면 부착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름층(110)의 일면에 웨트 코팅방식으로 저굴절층(120)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저굴절층(120) 상에 고굴절률층(131, 133) 및 저굴절률층(132, 134)이 교대로 복수 적층하여 저반사 코팅막(130)으로 이루어진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층(110)의 이면에 제1점착층(200)을 형성하고,
디지털프린팅층(300) 일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400) 및 상기 제2점착층 배면에 판넬(500)로 이루어진 디자인필름을 준비하되, 제1점착층(200)과 디지털프린팅층(300)을 합지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합지는 라미네이팅 방법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열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수행함으로써, 소재간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합지 이후 판넬(500)에 프레임(600)을 합지하여 최종 장식패널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장식패널의 제조방법은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과 디자인필름을 합지방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고생산성 또한 저비용으로 장식패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층의 굴절률과 두께를 최적화함으로써, 광대역에 있어서 우수한 반사 특성(저반사성) 또한 뉴트럴에 가까운 우수한 반사 색상을 가지며, 더욱 우수한 기계 특성을 갖는 반사 방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장식패널의 시인성 향상에 대한 개략적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 실시예 1의 장식패널은 필름층의 일면에 저굴절층이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층 상에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적층된 저반사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이 형성되어 표면 반사율을 낮춤으로써, 주변 조명광의 빛 반사에 의한 색상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없이 형성된 비교예 1의 장식패널은 입사되는 빛의 방향과 반대방향의 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 이미지 색상 시인성이 저하된다[표 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30㎛ 두께의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에 20㎛ 두께로 제1점착층(200)을 형성한 후 250㎛ 두께의 디지털프린팅층(300)을 부착한 후 합지기로 합지시킨 다음, 디지털프린팅층 배면에 50㎛ 두께로 제2점착층(400)을 형성한 후 3mm 두께의 알루미늄 복합판넬(500)을 부착한 후 건식타입 고압력합지기로 합지시켰다. 그 후 판넬 배면에 15mm의 두께인 알루미늄 프레임(600)을 설치하여 장식패널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를 제조공정은 필름층(110)으로서 하드코트가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였다. 한편, 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굴절률 재료를 함유한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도포액을, 바코터를 사용하여 상기 필름층(110)상에 도포하고, 60℃에서 1 분간 건조 후,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저굴절층(굴절률: 1.53, 두께: 30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저굴절층 상에 Nb2O5를 스퍼터링하여 고굴절률층(굴절률: 2.33, 두께: 12㎚)을 형성하고, 상기 고굴절률층 상에 SiO2를 스퍼터링하여 저굴절률층(굴절률: 1.47, 두께: 88㎚)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반복하여 총 두께 200㎚인 4층의 저반사 코팅막을 형성하여,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 제조공정에서 저굴절층 제조용 도포액을 200nm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면 반사율을 낮춰 시인성을 향상시킨 장식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저굴절층의 두께를 400nm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면 반사율을 낮춰 시인성을 향상시킨 장식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저굴절층 상에 고굴절률층(굴절률: 2.33, 두께: 12㎚)을 형성하고, 상기 고굴절률층 상에 SiO2를 스퍼터링하여 저굴절률층(굴절률: 1.47, 두께: 110㎚)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반복하여 총 두께 244㎚인 4층의 저반사 코팅막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면 반사율을 낮춰 시인성을 향상시킨 장식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1점착층 및 제2점착층이 예폭시계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탈 로센폴리에틸렌(m-PE)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1점착층 및 제2점착층이 예폭시계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 칼륨 60 중량부 및 호박산이나트륨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 대신에, PET 필름의 필름층 상에 아크릴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실리카계 필러 10중량부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 대신에, PET 필름인 필름층으로만 형성된 보호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 대신에, PET 필름의 필름층 상에 저굴절층(굴절률: 1.53, 두께: 300㎚)만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100) 대신에, PET 필름의 필름층 상에 아크릴계 화합물 100중량부에 실리카계 필러 10중량부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과 저굴절층(굴절률: 1.53, 두께: 300㎚)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비교예 4에서 제1점착층의 두께가 50㎛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비교예 4에서 저굴절층 상에 고굴절률층(굴절률: 2.33, 두께: 12㎚)을 형성하고, 상기 고굴절률층 상에 SiO2를 스퍼터링하여 저굴절률층(굴절률: 1.47, 두께: 110㎚)을 형성하여 2층의 저반사 코팅막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면 반사율을 낮춰 시인성을 향상시킨 장식패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해상도 및 반사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장식패널에 대하여 해상도(잉크발색정도) 및 반사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해상도는 Gretag Macbeth사의 Spectroscan 장비를 이용하여 반사 스팩트럼을 측정하여 optical density 값으로 비교하였다(평가기준은 ◎(우수), ○(양호), △(보통), ×(미흡)으로 표기하였음).
반사도는 정면 및 측면 반사도를 측정하였고, LCD master(Shintech 사)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측정하였다.
Figure 112020117899618-pat00001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6의 해상도가 비교예 1 내지 5의 해상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의 반사도가 비교예 1 내지 6의 반사도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
110: 필름층
120: 저굴절층
130: 저반사 코팅막
131, 133: 고굴절률층
132, 134: 저굴절률층
200: 제1점착층
300: 디지털프린팅층
310: 기재층
320: 인쇄층
400: 제2점착층
500: 판넬
600: 프레임

Claims (10)

  1.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
    상기 투명보호층의 배면에 형성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디자인이 구현된 디지털프린팅층,
    상기 디지털프린팅층 배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평활도가 우수한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의 필름층 일면에 저굴절층이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층 상에 저반사 코팅막이 형성되어 주변 조명광에 노출되고,
    상기 저굴절층이 웨트 코팅방식에 의해 두께 200 내지 400nm로 형성되며,
    상기 저반사 코팅막이 상기 저굴절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형성되되,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복수 적층되어 두께 200 nm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층이 Nb2O5로 이루어지고, 저굴절률층이 SiO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이 초산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단독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이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이 에폭시계 수지의 단독중합체인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 10 내지 25중량부, 황산칼륨 60 내지 70중량부 및 호박산이나트륨 35 내지 55중량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프린팅층이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정면에 형성되어, 디지털프린팅으로 디자인이 구현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10. 필름층의 일면에 웨트 코팅방식으로 두께 200 내지 400nm의 저굴절층을 형성하고,
    상기 저굴절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으로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복수 적층된 두께 200 nm이하의 저반사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저반사 기능을 가지는 투명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층의 이면에 제1점착층을 형성하고,
    디지털프린팅층 일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 배면에 판넬로 이루어진 디자인필름을 준비하되, 제1점착층과 디지털프린팅층을 합지하여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의 제조방법.
KR1020200146301A 2020-11-04 2020-11-04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3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01A KR102436008B1 (ko) 2020-11-04 2020-11-04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01A KR102436008B1 (ko) 2020-11-04 2020-11-04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629A KR20220060629A (ko) 2022-05-12
KR102436008B1 true KR102436008B1 (ko) 2022-08-25

Family

ID=8159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301A KR102436008B1 (ko) 2020-11-04 2020-11-04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0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205A (ja) * 2000-05-09 2001-11-16 Bridgestone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13092551A (ja) * 2011-10-24 2013-05-16 Aisin Seiki Co Ltd 樹脂ガラス
KR102008261B1 (ko) * 2019-03-08 2019-08-07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78B1 (ko) * 2001-04-12 2002-03-23 김순택 기능성 필름을 채용하는 음극선관
KR101526649B1 (ko) 2012-11-21 2015-06-05 (주)엘지하우시스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광특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KR102386505B1 (ko) 2016-12-05 2022-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205A (ja) * 2000-05-09 2001-11-16 Bridgestone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13092551A (ja) * 2011-10-24 2013-05-16 Aisin Seiki Co Ltd 樹脂ガラス
KR102008261B1 (ko) * 2019-03-08 2019-08-07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629A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4725B (zh) 光學積層膜
KR20100127954A (ko)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01522415A (zh) 含聚碳酸酯树脂的层叠体
KR102097604B1 (ko) 곡면부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데코레이션 필름
KR102008261B1 (ko)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KR102197747B1 (ko)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187503A1 (en) Anti-reflection circular polaris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14119505A1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4199872A1 (ja) 赤外遮蔽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赤外遮蔽体および熱線反射合わせガラス
WO2015198762A1 (ja) 光学反射フィルム、光学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光学反射体
WO2019202942A1 (ja) 反射防止板
KR101598191B1 (ko) 리버스백릿 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2125941B1 (en)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nanoparticles
JP2013254118A (ja) 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
KR102436008B1 (ko)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06798A (ko) 비산방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및 전자장치
CN104285168B (zh) 偏振板
KR101821773B1 (ko) 글리스비드를 겸비하는 잉크젯 출력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재귀반사 잉크젯 출력소재
KR20090020494A (ko) 광학 적층체
KR102135510B1 (ko)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JP2007193323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
JP6520015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971452B1 (ko) 메탈릭한 느낌의 이미지를 구현 가능한 잉크젯 출력소재
JP6288666B2 (ja) ハードコート転写媒体
JP6892002B2 (ja) 樹脂パネル及び赤外線セ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