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61B1 -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 Google Patents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61B1
KR102008261B1 KR1020190026989A KR20190026989A KR102008261B1 KR 102008261 B1 KR102008261 B1 KR 102008261B1 KR 1020190026989 A KR1020190026989 A KR 1020190026989A KR 20190026989 A KR20190026989 A KR 20190026989A KR 102008261 B1 KR102008261 B1 KR 10200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gital printing
printing material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섭
이문선
최성환
송종율
김범창
Original Assignee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61B1/ko
Priority to PCT/KR2019/004538 priority patent/WO202018477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평탄도와 투명도가 우수한 보호층; 상기 보호층 배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 점착층; 상기 제1 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디자인이 구현된 디지털프린팅소재; 상기 디지털프린팅소재 배면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평활도가 우수한 판넬을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Decorative panel with digital printing material}
본 발명은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발수 및 방오기능을 갖는 보호층과 디지털프린팅소재를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점착층으로 합지함으로써 색상의 보존성이 우수하고, 건축물 인테리어 내·외장재나 포토패널로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리나 하드코팅 필름의 투명소재를 활용한 포토패널 및 건축내·외장재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단순한 색유리, 판유리나 접합유리, 식각유리 또는 그라비아 인쇄로 단순한 문향을 갖는 유리자재의 건축시공을 넘어서 고급의 포토패널과 건축물 내·외장에 건축물의 목적지향적인 이미지를 연출하려는 수요자의 요구가 생겨나고 있다.
수요자는 포토패널이나 건축물 인테리어를 지향하는 목적에 알맞은 고급인쇄를 요구하지만, 종래의 그라비아 인쇄물이나 문향의 필름을 유리에 부착하는 방식은 표현 다양성의 한계와 이미지 인쇄필름과 유리의 합지에서 내구성 및 색상의 보존성에서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하는 유리나 아크릴과 같은 투명소재는 가공성이나 시공에서 어려운 점이 있었다.
기존의 시공은 패널에 탈부착이 가능한 걸이를 달거나 실리콘점착 등의 시공 또는 틀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매우 전문적이고 복잡한 시공방법이 필요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건축 외부에 시공할 경우, 필름 표면에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등이 조사되어 내구성 및 색상의 보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평활도 및 색상의 보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편리한 건축물 인테리어 내외장재나 포토패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발수 및 방오기능을 갖는 보호층과 디지털프린팅소재를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점착층으로 합지함으로써 색상의 보존성이 우수하고, 건축물 인테리어 내·외장재나 포토패널로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은 표면 평탄도와 투명도가 우수한 보호층; 상기 보호층 배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 점착층; 상기 제1 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디자인이 구현된 디지털프린팅소재; 상기 디지털프린팅소재 배면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평활도가 우수한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은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 정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은 아크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실록산계 폴리머 및 실록산계 올리고머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은 실리카계 필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점착층은 초산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단독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프린팅소재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정면에 형성되어, 디지털프린팅으로 디자인이 구현되는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은 알루미늄 복합패널, 마그네슘 보드, 알루미늄 시트 및 철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식패널은 상기 판넬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알루미늄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식패널은 상기 보호층 정면에 형성되며, 빛 반사를 방지하는 방지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지코팅층은 칼슘 플루오라이드(CaF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점착층은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은 발수 및 방오기능을 갖는 보호층과 디지털프린팅소재를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점착층으로 합지함으로써 인쇄된 디자인의 색상 보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구성되어 건축물 인테리어 내·외장재나 포토패널로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으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보호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개략적으로 도사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에서 프레임이 더 포함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개략적으로 도사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에서 프레임이 더 포함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은 보호층(100), 제1 점착층(200), 디지털프린팅소재(300), 제2 점착층(400) 및 판넬(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보호층(100)은 표면 평탄도와 경도, 투명도가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일반유리, 강화유리, 열처리 및 표면처리가 된 특수유리, 저철분 강화유리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저철분 강화유리는 철분이 적게 들어가 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광의 투과율이 우수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층(100)은 표면 평탄도와 경도, 투명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발수성과 방오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필름층(110) 및 하드코팅층(12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필름층(110)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형성될 수 있는데, 폴리에터설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터케톤, 폴리술폰,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PC) 및 (메타)아크릴나이트릴 필름 중 하나 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다이아세틸렌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셀룰로오스 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TPAE의 배합량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성형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혼용성이 떨어져 필름층(110)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필름층(110)은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에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표면이 수분을 배척하는 소수성을 형성하며, 통기성이 좋지 못한 플라스틱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에 세라믹을 첨가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은 이산화규소, 이산화 타이타늄, 운모, 점토, 황토, 제올라이트 중 하나의 입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 세라믹, 상용화제의 비율은 8:1:1 내지 5:4: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용화제는 항상 1의 비율을 유지하며, 5:4:1의 비율로 근접할수록 친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또한, 세라믹은 항균성을 가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의 혼합 전에 은이 함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항균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름층(110)에 하드코팅층(120)이 보다 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층(110)은 10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드코팅층(120)은 필름층(110) 정면에 형성되어 보호층(100)의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경도 등을 향상시키며 보호층(100)이 발수성 및 방오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코팅층(120)은 아크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실록산계 폴리머 및 실록산계 올리고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층(120)은 자외선 경화 수지에 실리카계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리카계 필러는 하드코팅층(120)의 경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드코팅층(120)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리카계 필러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도 증가 효과가 미미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도가 충분히 증가된 상태로 함량 대비 효과가 저하되어 제조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층(120)은 하드코팅층(120)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전방지입자 3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하드코팅층(120) 상에 대기 오염 물질의 유착, 정전기마크(Static mark)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층(120)은 자외선 경화 수지에 불포화 칼슘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불포화 칼슘은 하드코팅층(120)의 경도를 높여 내스크레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드코팅층(120)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부가 포함될 있다.
이때, 불포화 칼슘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도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며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드코팅층(120)은 10 내지 3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보호층(100)은 100 내지 6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33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호층(100)의 두께가 100㎛ 미만일 경우 보호층(100)의 경도가 저하되며, 600㎛를 초과할 경우 보호층(100)의 투과율이 감소되어 빛 반사율이 증가하고, 장식패널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져 벽면 부착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100)을 통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잔기스 등에 이해 장식패널의 표면 손상, 오염 등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빛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점착층(200)은 보호층(100) 배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차단 기능 및 점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디지털프린팅소재(300)에 구현된 디자인의 변색, 황변 등을 방지하여, 장식패널의 색상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호층(100)에 금이 가거나 파손될 경우 파편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점착층(200)은 초산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단독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인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점착층(200)은 에폭시계 단독중합체인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 10 내지 25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은 메탈로센 촉매(metallocene catalyst)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성물로, 우수한 방습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방습효과를 가지므로 배면의 디지털프린팅소재(300)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방습성이 낮아 습기가 침투될 수 있으며, 2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1 점착층(200)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점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점착층(200)은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황산칼륨은 제1 점착층(200)의 경화시간을 단축하고 강도를 높여줄 수 있으며, 호박산이나트륨은 제1 점착층(200)과 보호층(100) 및 디지털프린팅소재(300)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은 제1 점착층(200)에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70중량부 및 35 내지 55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황산칼륨이 60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화시간 단축 및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7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호박산이나트륨이 35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5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시 주름 등 컬이 발생하여, 디지털프린팅소재(300)의 디자인에 영향을 수 있다.
또한, 제1 점착층(200)은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및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인 점착촉진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착촉진제는 점착제 100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9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점착촉진제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1 점착층(200)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9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촉진제가 변질되거나 석출되어 이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점착기능을 하는 제1 점착층(200)에 점착촉진제가 더 포함되어, 제1 점착층(20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보호층(100)과 디지털프린팅소재(300)와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점착층(200)은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점착층(200)의 유연성 및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점착층(20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10N/10mm 이상의 바람직한 접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접착강도가 10N/10mm 미만일 경우 보호층(100)과 디지털프린팅소재(300)를 부착시키는 점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점착층(200)은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25㎛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점착층(200)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보호층(100)과 디지털프린팅소재(300)를 부착시키는 점착력이 저하되며, 50㎛를 초과할 경우 디지털프린팅소재(300)에 프린팅된 디자인의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디지털프린팅소재(300)는 제1 점착층(200) 배면에 부착되며, 디지털프린팅에 의해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프린팅소재(300)는 기재층(310) 및 인쇄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310)은 실질적으로 필름층(11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통기성, 항균성이 향상되어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층(110)에서 설명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기재층(310)은 15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쇄층(320)은 기재층(310) 정면에 형성되고, 디지털프린팅에 의해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를 흡수하여 디자인을 형성하고, 디자인의 건조속도, 색상 표현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잉크는 Latex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색상 보존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320)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중 1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층(320)은 대전 방지제, 가소제, 자외선 안정제, 분산제, 소포제, 습윤제, 라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는 인산 에스테르, 알킬 아민옥사이드(alkyl amineoxide), 알킬 포스핀옥사이드(alkylphosphineoxide), 알킬설폭사이드(alkylsulfoxide), 4차 알킬 암모늄 할라이드(alkyl quaternary ammonium halide), 알킬 이미다졸염할라이드(alkyl imidazolium halide), 알킬 피리디늄 할라이드(alkyl pyridinium halide), 알킬 설포니움 할라이드(alkyl sulfonium halide) 및 알킬 포스포늄 할라이드(alkyl phosphonium hal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제는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가소제는 인쇄층(320)에 포함됨으로써, 인쇄층(320)이 형성된 후 또는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층(320)에 인쇄한 후 건조 과정에서 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는 프탈산 에스테르, 벤조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 에스테르, 시트르산 에스테르, 아디프산 에스테르, 에폭시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소성을 갖는 용매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는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소제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방지 기능 및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인쇄층(320)의 물성이 저하되어 잉크 부착력 및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인쇄층(320)이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인쇄되는 이미지가 자외선에 의해 탈색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안정제(UV stabilizers)는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1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소포제는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소포제가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인쇄층(320) 소포 효과가 저하되어 코팅 시 기포층이 발생할 수 있으며, 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바인더의 레벨링성을 저하시켜 인쇄층(320) 표면의 크레이터, 핀홀 등의 조막특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라벨링제는 인쇄층(320)의 표면장력을 낮춰 조막특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라벨링제가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조막특성을 해칠 수 있으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재층(310)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인쇄 시 잉크 흡수를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320)은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선형 구조를 가지며,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15℃일 수 있다.
이러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단량체인 비닐아세테이트(Vinyl <21> acetate)에, 비닐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에틸렌(Ethylene) 등의 공단량체를 중합하여 선형의 중합구조를 지니도록 합성된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인쇄층(320)의 점도를 조절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쇄층(320)의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코팅 후 또는 인쇄 후 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가 -5℃ 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인쇄층(320)의 경화 및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를 초과할 경우 컬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3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가 13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현상 방지 기능이 미미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320)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인쇄층(320)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고, 내마모성,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용성 향상 후 안전성이 떨어지며,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수성,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층(320)은 3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프린팅소재(300)는 180 내지 3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2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지털프린팅소재(300)의 두께가 180㎛미만일 경우 디지털프린팅소재(300)의 강도가 낮아 작업성이 저하되며, 350㎛를 초과할 경우 장식패널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벽면 부착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점착층(400)은 디지털프린팅소재(300) 배면에 형성되어, 디지털프린팅소재(300)와 판넬(50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점착층(400)은 디지털프린팅소재(300)와 판넬(500)사이에 형성되어 디지털프린팅소재(300)와 판넬(500)을 부착시킨 후, 건식타입 고압력합지기를 통해 가압되는 것으로, 디지털프린팅소재(300)와 판넬(500)을 합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점착층(400)은 초산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단독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인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400)은 에폭시계 단독중합체인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 10 내지 25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은 메탈로센 촉매(metallocene catalyst)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성물로, 우수한 방습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방습효과를 가지므로 정면의 디지털프린팅소재(300)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방습성이 낮아 습기가 침투될 수 있으며, 2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2 점착층(400)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점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400)은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황산칼륨은 제2 점착층(400)의 경화시간을 단축하고 강도를 높여줄 수 있으며, 호박산이나트륨은 제2 점착층(400)과 디지털프린팅소재(300) 및 판넬(500)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은 제2 점착층(400)에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70중량부 및 35 내지 55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황산칼륨이 60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화시간 단축 및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7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호박산이나트륨이 35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5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시 주름 등 컬이 발생하여, 디지털프린팅소재(300)의 디자인에 영향을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400)은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및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인 점착촉진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착촉진제는 점착제 100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9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점착촉진제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2 점착층(400)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9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촉진제가 변질되거나 석출되어 이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점착기능을 하는 제2 점착층(400)에 점착촉진제가 더 포함되어, 제2 점착층(40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디지털프린팅소재(300) 및 판넬(500)과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400)은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점착층(400)의 유연성 및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점착층(40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10N/10mm 이상의 바람직한 접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접착강도가 10N/10mm 미만일 경우 디지털프린팅소재(300)와 판넬(500)을 부착시키는 점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점착층(400)은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25㎛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점착층(400)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디지털프린팅소재(300)과 판넬(500)을 부착시키는 점착력이 저하되며, 50㎛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판넬(500)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점착층(400) 배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장식패널의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판넬(500)은 경량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알루미늄 복합패널, 마그네슘 보드, 알루미늄 시트 및 철판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알루미늄 복합패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판넬(500)은 2.5 내지 3.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3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판넬(500)의 두께가 2.5mm 미만일 경우 패널의 강도가 낮아 파손의 위험이 발생하고 평활도 제공 효과가 저하되며, 3.5mm를 초과할 경우 장식패널의 무게가 무거워져 벽면 부착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은 프레임(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600)은 판넬(500) 배면에 설치되어 판넬(500)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량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600)은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넬(500)에 부착됨으로써, 장식패널에 두께감을 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이때, 프레임(600)은 10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1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600)의 두께가 10mm미만일 경우 내구성 향상효과가 저하되며, 15mm를 초과할 경우 장식패널의 무게와 두께가 너무 무거워지고 두꺼워져 벽면 부착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은 방지코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지코팅층(미도시)은 보호층(100) 정면에 형성되며, 빛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칼슘 플루오라이드(CaF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지코팅층(미도시)는 500㎛ 내지 900㎛의 두께로 형성되며, 8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지코팅층(미도시)의 두께가 500㎛ 미만일 경우 빛 반사 방지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900㎛를 초과할 경우 디지털프린팅소재(300)에 프린팅된 디자인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은 발수 및 방오기능을 갖는 보호층과 디지털프린팅소재를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점착층으로 합지함으로써 인쇄된 디자인의 색상 보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구성되어 건축물 인테리어 내·외장재나 포토패널로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으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330㎛ 두께의 보호층에 50㎛ 두께로 제1 점착층을 형성한 후 250㎛ 두께의 디지털프린팅소재를 부착한 후 합지기로 합지시킨 다음, 디지털프린팅소재 배면에 50㎛ 두께로 제2 점착층을 형성한 후 3mm 두께의 알루미늄 복합판넬을 부착한 후 건식타입 고압력합지기로 합지시켰다. 그 후 판넬 배면에 15mm의 두께인 알루미늄 프레임을 설치하여 장식패널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보호층은 PET 필름인 필름층, 아크릴계 화합물 100중량부에 실리카계 필러 10중량부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프린팅소재는 PET 필름인 기재층, 잉크젯 프린터로 프린팅되어 디자인이 구현되고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점착층은 폴리우레탄계 단독중합체이다.
[실시예 2]
제1 및 제2 점착층이 예폭시계 단독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1 및 제2 점착층이 예폭시계 단독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칼륨 60중량부 및 호박산이나트륨 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보호층 정면에 칼슘 플루오라이드(CaF2)로 800㎛ 두께의 방지코팅층을 더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보호층이 PET 필름인 필름층으로만 형성된 것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보호층의 두께가 610㎛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1 점착층의 두께가 100㎛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방오성 및 내스크래치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의 장식패널의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내지문성은 하드 코팅층에 시험자 5명에 대해 지문의 자국을 실시 후 클린 페이퍼(clean paper) (제품명:ULTIMA Ⅱ, 한송社)로 10회 가볍게 닦아 내지문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A: 지문이 남지 않았음, B: 지문 자국이 조금 남았음, C: 닦은 자국이 많이 남았음).
내스크래치성은 마찰시험기에 강철솜(#0000)을 장착하여 하드 코팅층에 대해 0.5kg의 하중으로 400회 왕복한 후,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였는지 유무를 평가하였다.
내지문성 내스크래치성
실시예 1 A
실시예 2 A
실시예 3 A
실시예 4 A
비교예 1 C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는 지문이 남지 않고 스크레치가 발생하지 않아 방오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면 비교예는 지문이 많이 남고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방오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해상도 및 반사도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3의 해상도(잉크발색정도) 및 반사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해상도는 Gretag Macbeth사의 Spectroscan 장비를 이용하여 반사 스팩트럼을 측정하여 optical density 값으로 비교하였다(평가기준은 ◎(우수) ○(양호) △(보통) Ⅹ(미흡)으로 하였음).
반사도는 정면 및 측면 반사도를 측정하였고, LCD master(Shintech 사)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측정하였다.
해상도 반사도(%)
정면 측면(60°)
실시예 1 0.11 0.54
실시예 2 0.117 0.55
실시예 3 0.12 0.59
실시예 4 0.10 0.42
비교예 1 0.129 0.65
비교예 2 0.133 0.72
비교예 3 0.138 0.78
표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해상도가 비교예 1 내지 3의 해상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반사도가 비교예 1 내지 3의 반사도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실시예 4의 반사도가 실시예 중 가장 낮은 반사도를 보이므로 방지코팅층이 반사방지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방습성 평가
실시예 1 및 2의 방습성을 확인하기 위해 투습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투습도는 JIS Z 0208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에 의해 실시예 1 및 2를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투습도(g/m2*24hr)
실시예 1 0.5
실시예 2 0.2
표 3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가 실시예 1보다 투습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따라서, 제1 및 제2 점착층에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이 포함됨으로써, 방습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보호층
110: 필름층
120: 하드코팅층
200: 제1 점착층
300: 디지털프린팅소재
310: 기재층
320: 인쇄층
400: 제2 점착층
500: 판넬
600: 프레임

Claims (9)

  1. 표면 평탄도와 투명도가 우수한 보호층;
    상기 보호층 배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제1 점착층;
    상기 제1 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디자인이 구현된 디지털프린팅소재;
    상기 디지털프린팅소재 배면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배면에 부착되며, 평활도가 우수한 판넬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은,
    에폭시계 수지의 단독중합체인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탈로센폴리에틸렌(m-PE) 10 내지 25중량부, 황산칼륨 60 내지 70중량부 및 호박산이나트륨 35 내지 55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프린팅소재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정면에 형성되어, 디지털프린팅으로 디자인이 구현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 13 내지 15중량부 및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 10 내지 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 정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아크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실록산계 폴리머 및 실록산계 올리고머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알루미늄 복합패널, 마그네슘 보드, 알루미늄 시트 및 철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은,
    상기 판넬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9. 삭제
KR1020190026989A 2019-03-08 2019-03-08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KR102008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89A KR102008261B1 (ko) 2019-03-08 2019-03-08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PCT/KR2019/004538 WO2020184778A1 (ko) 2019-03-08 2019-04-16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89A KR102008261B1 (ko) 2019-03-08 2019-03-08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61B1 true KR102008261B1 (ko) 2019-08-07

Family

ID=6762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989A KR102008261B1 (ko) 2019-03-08 2019-03-08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8261B1 (ko)
WO (1) WO20201847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960B1 (ko) * 2020-03-18 2020-10-28 윤태호 발열기능이 구비된 탄성포장재
KR20220060629A (ko) * 2020-11-04 2022-05-12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2206B (zh) * 2020-11-13 2022-07-1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板及led面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107A (ko) * 2008-06-12 2009-12-16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코팅층을 구비하는 장식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4669A (ko) * 2015-06-09 2016-12-19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고경도 코팅층을 겸비하는 잉크젯 출력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출력용 필름
KR20160144668A (ko) * 2015-06-09 2016-12-19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백릿 기능이 있는 디지털글라스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369B1 (ko) * 2009-10-16 2012-07-02 나투라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 인쇄층을 구비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투명 장식 패널
KR20150116767A (ko) * 2015-01-06 2015-10-16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장식 필름이 부착된 창유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107A (ko) * 2008-06-12 2009-12-16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코팅층을 구비하는 장식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4669A (ko) * 2015-06-09 2016-12-19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고경도 코팅층을 겸비하는 잉크젯 출력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출력용 필름
KR20160144668A (ko) * 2015-06-09 2016-12-19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백릿 기능이 있는 디지털글라스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960B1 (ko) * 2020-03-18 2020-10-28 윤태호 발열기능이 구비된 탄성포장재
KR20220060629A (ko) * 2020-11-04 2022-05-12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36008B1 (ko) * 2020-11-04 2022-08-25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778A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261B1 (ko)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JP6791282B2 (ja) 床用化粧材の製造方法
US6767630B2 (en) Adhesive sheet and floor surface covered structure
KR101161369B1 (ko) 디지털 인쇄층을 구비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투명 장식 패널
WO2006035880A1 (ja) 化粧材
WO2006093165A1 (ja) 高光沢化粧シート
KR102097604B1 (ko) 곡면부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데코레이션 필름
JP5824725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5298582B2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JP2014088026A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JP5447105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KR101398786B1 (ko) 인쇄가능한 글래스 비산 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870799B2 (ja) 化粧シート
KR100511575B1 (ko) 임시 표시층을 가진 인쇄용 적층체 및 이것을 이용한 인쇄 방법
KR101283927B1 (ko) 데코시트 표면보호용 코팅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데코시트
JP5012106B2 (ja) 化粧シート
KR101338322B1 (ko) 데코시트 표면보호용 코팅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데코시트
KR101933892B1 (ko) 멤브레인 스위치용 필름
KR102436008B1 (ko)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6888726B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KR101946804B1 (ko) 내스크래치성 프린팅 소재
JP2013075441A (ja) 床材表面用積層体
JP7275763B2 (ja) 粘着層付き化粧シート
KR101971452B1 (ko) 메탈릭한 느낌의 이미지를 구현 가능한 잉크젯 출력소재
KR102106162B1 (ko)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자석부착 방식의 글라스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