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591B1 - 가축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 Google Patents

가축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591B1
KR102434591B1 KR1020200091456A KR20200091456A KR102434591B1 KR 102434591 B1 KR102434591 B1 KR 102434591B1 KR 1020200091456 A KR1020200091456 A KR 1020200091456A KR 20200091456 A KR20200091456 A KR 20200091456A KR 102434591 B1 KR102434591 B1 KR 102434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ich
tmr
control unit
growth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553A (ko
Inventor
오헌식
유연수
최중해
Original Assignee
오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헌식 filed Critical 오헌식
Priority to KR102020009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5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는,
지상을 무인으로 주행하는 주행부(100);
적재된 이종의 농후사료(B, C, D)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사료공급부(200);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
상기 사료공급부(200)는 동물의 성장단계에 따라 상이한 농후사료(B, C, D)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축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TMR and Concentrated fodder Mixture Feeder that can supply Customized Feeds According to the Cow Growth Stage}
본 발명은 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우의 성장단계에 맞는 최적의 배합사료를 공급하는 한편, 각 축사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로부터 축우의 개체 수와 성장단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사료공급량과 사료 배합비율을 자동으로 조정 가능함과 동시에,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우 농가에서는 소, 젖소를 사육하기 위해서 볏짚 등의 건초를 단독으로 급여하거나, 볏짚에 사료를 혼합하여 공급하였다.
볏짚 등으로 이뤄지는 TMR사료에 첨가되는 사료를 통상 농후사료라 하는데, 농후사료는 영양소 농도가 높은 사료를 말한다. 주로 비육하는 가축과 우유 등을 생산하는 축우에게 많이 쓰인다.
현재 축사에서 TMR사료는 급이기를 통하여 공급하고 농후사료는 별도의 운송장비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공급이 필요 했다.
작업자가 일일이 농후사료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경우, 작업속도가 느리고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운송수단으로 공급하는 경우, 이를 운전해야 하는 인력이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운송장비를 구축하기 위해서 막대한 초기 장비 투자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에는 동물 개체수 및 동물의 성장단계가 반영되지 않고 동일한 사료가 공급되었다. 이종의 사료를 혼합하여 공급 가능했지만, 작업자가 직접 많은 양을 혼합하고, 직접 공급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에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동물들에게 공급되는 사료의 양이 적절하지 못하면 동물의 발육상태나 영양상태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혼합된 사료를 공급할 경우, 작업자의 눈대중이나 감에 의존하여 혼합되며, 축사의 동물들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공급량을 적기에 정확하게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동물의 성장단계에 따른 최적의 배합 사료의 공급이 가능하며, 동물의 성장단계를 고려한 배합 비율과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정 가능한 한편, 무인으로 이송되는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배합 사료 공급작업의 편의성을 높인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831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성장단계에 따른 최적의 배합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축사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로부터 가축의 개체 수와 성장단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사료공급량과 사료 배합비율을 자동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주행방식을 채택하여 작업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는,
지상을 무인으로 주행하는 주행부(100);
TMR사료인 주사료(A)와 이종의 농후사료(B, C, D)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사료공급부(200);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공급부(200)는 동물의 성장단계에 따라 상이한 비율로 주사료(A)와 농후사료(B, C, D)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사료공급부(200)는,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적재된 농후사료(B, C, D)를 스크류(221)의 회전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제1 공급구(222)를 통해 배출하는 복수 개의 농후사료통(220);
상기 농후사료통(220)의 하부에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농후사료통(220)으로부터 공급된 농후사료(B, C, D)가 혼합되어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급구(231)를 통해 배출하는 혼합부;
투입되는 주사료(A)를 상기 혼합부의 제2 공급구(231) 하부로 이송하는 주사료 트래드밀(210);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된 농후사료(B, C, D)와 상기 주사료 트래드밀(210)로부터 공급된 주사료(A)를 축사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트래드밀(2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사료 트래드밀(210)의 이송속도와 상기 복수 개의 농후사료통(220)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22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각 사료의 배합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221)에 부가되는 토크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토크센서(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송된 토크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크류(221)를 소정 시간동안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배합사료의 끼임을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주행부(100)는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전방부에 지면에 접촉하도록 전방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삼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주행 시 바닥에 공급된 사료가 축사방향으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여 사료의 섭취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의 성장단계, 사료 배합 비율, 동물 개체수 등의 정보가 저장되며 축사에 부착되는 RFID 전자태그(400)로 전파를 송신한 후, 상기 RFID 전자태그(400)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RFID 리더기(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류(22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농후사료(B, C, D)의 배합 비율과 배합사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열화상카메라(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동물의 체온이 기설정된 정상체온범위을 초과하는 경우 질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작업자단말기(5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농후사료통(220) 내측에 설치되어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료잔량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료가 일정량 이하로 감지되면 경고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는 성장단계에 따른 최적의 배합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축사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로부터 가축의 개체 수와 성장단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사료공급량과 사료 배합비율을 자동으로 조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주행방식을 채택하여 작업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사료공급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가 축사를 주행하며 사료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사료공급부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가 축사를 주행하며 사료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는 주행부(100), 사료공급부(200),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주행부(100)는 하부에 다수의 바퀴가 설치되어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가 축사 내부를 무인으로 주행하도록 한다.
주행부(100) 전방부에는 가이드부재(110)가 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10)는 주행부(100)의 전방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삼각형 형상으로 설치된다.
축사 내 동물들이 이전에 공급된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들은 흩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료는 동물이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축사 케이지 바로 앞에 공급되는데, 흩어진 사료는 동물이 섭취하기 어렵고 결국 사료를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110)는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가 주행 시, 바닥에 공급된 사료가 축사방향으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여, 동물의 사료 섭취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사료공급부(200)는 투입되는 TMR사료인 주사료(A)와 이종의 농후사료(B, C, D)를 혼합하여 공급한다.
사료공급부(200)는 주사료 트래드밀(210), 농후사료통(220), 혼합부(230), 배출 트래드밀(2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농후사료(B, C, D)는 그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적재된다.
주사료 트래드밀(210)은 투입되는 주사료(A)를 후술할 혼합부의 하부로 이송한다.
주사료(A)는 주사료 트래드밀(210) 상면에 적재되며, 주사료 트래드밀(210)은 제1 구동모터(도면 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통상적으로 주사료(A)로는 볏짚이 사용된다.
주사료(A)는 동물 개체수당 배합사료의 종류별로 기설정된 공급량으로 공급된다.
제어부는 주사료 트래드밀(210)의 이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주사료(A)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한편, 농후사료(B, C, D)는 영양소 농도가 높은 사료를 말한다.
농후사료(B, C, D)는 종류가 다양하며 동물의 성장단계에 맞도록 주사료(A)와 혼합되어 동물들에게 공급된다.
동물은 성장단계에 따라 필요한 영양소가 상이하다.
그러나 종래의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는 동일한 레시피로만 사료를 공급할 수 있어, 성장단계에 최적의 사료를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물의 성장단계에 맞는 레시피로 농후사료(B, C, D)를 주사료(A)와 배합하여 공급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농후사료통(220)은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주사료(A)에 첨가하는 농후사료(B, C, D)를 적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후사료통(220)은 복수 개로 설치되어, 여러 종류의 농후 사료를 각각 적재한다.
농후사료통(220)의 하부에는 스크류(221)와 제1 공급구(222)가 형성된다.
농후사료(B, C, D)는 스크류(221)에 의해 동물 개체수당 배합사료의 종류별로 기설정된 공급량이 제1 공급구(222)를 통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혼합부(230)는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농후사료통(220) 하부에 설치된다.
혼합부(230)의 하부에는 제2 공급구(231)가 형성된다.
혼합부(230)에서는 복수 개의 농후사료통(220)으로부터 공급된 농후사료(B, C, D)가 혼합되어 제2 공급구(231)를 통해 배출된다.
제2 구동모터(도면 미도시)는 복수 개의 농후사료통(220)에 배치된 각각의 스크류(22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스크류(22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2 구동모터가 구비된다.
제어부는 제2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각 스크류(221)의 회전 속도에 따라 배출되는 사료량을 설정 가능하다.
한편, 각 농후사료(B, C, D)는 각 스크류(221)에 의해 배출되는데, 이 때 국부적으로 많은 양의 농후사료(B, C, D)가 스크류(221) 사이에 끼여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배합사료를 빼내기 어렵고, 작업자가 다칠 우려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토크센서를 구비하여 스크류(221)에 부가되는 토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하였다.
제어부는 전송된 토크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크류(221)를 소정 시간동안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배합사료의 끼임을 해소하도록 하였다.
배출 트래드밀(240)은 혼합부(230) 아래에 설치되어, 혼합부로부터 공급된 농후사료(B, C, D)와 주사료 트래드밀(210)로부터 공급된 주사료(A)를 축사방향으로 배출시킨다.
다시 말해, 수직방향으로 배출된 배합사료가 배출 트래드밀(240) 위로 적재되며, 배출 트래드밀(240)의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트래드밀(240) 표면에는 미끄러짐이 없이 배합사료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된다.
배출 트래드밀(240)은 제3 구동모터(도면 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제어부는 배출 트래드밀(240)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여 최종 배합 사료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후사료통(220)의 내측에 사료잔량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한다.
사료잔량감지센서(250)는 적재된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사료가 일정량 이하로 감지되면 경고신호를 작업자단말기(500)로 전송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사료를 보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카메라(300)를 더 포함한다.
열화상카메라(300)를 통해 동물의 질병 여부를 손쉽게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체온이 높은 동물은 질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다.
제어부는 측정된 동물의 체온이 기설정된 정상체온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질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단말기(500)로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게다가, 야간에도 동물의 체온감지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자는 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는 소 같은 동물을 구분된 구역에 기설정된 수만큼 나누어 사육한다.
예시적으로 소를 사육한다고 가정한다.
a구역에는 송아지와 어미 소, b구역에는 우유를 생산하는 소, c구역에는 단기간에 살을 찌워야 하는 소로 구분한다.
즉, a구역에는 송아지가 튼튼하게 성장하도록 그에 맞는 농후사료(B, C, D)가 공급될 것이고, b구역에는 고품질의 우유를 생산하도록 하는 농후사료(B, C, D)가 공급될 것이며, c구역에는 소의 체중 증가의 도움이 되는 농후사료(B, C, D)가 공급될 것이다.
작업자는 축사의 각 구역 입구부에 동물의 성장단계, 사료 배합 비율, 동물 개체수 등의 정보가 저장된 RFID 전자태그(400)를 설치할 수 있다.
각 구역을 구분하는 기준은 작업자의 관리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작업자는 구분된 각 구역에 맞는 농후사료(B, C, D)를 적절한 양으로 공급해주어야 한다.
c구역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c구역 입구부에 설치된 RFID 전자태그(400)에 저장된 정보를 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 들인다.
c구역 소에게 맞는 농후사료(B, C, D) 배합 비율은 주사료(A) 60%, 농후사료 B 30%, 농후사료 C 10%이다.
제어부는 60%의 주사료(A)를 배출하도록 주사료 트래드밀(210)의 이송 속도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는 30%의 농후사료 B와 10%의 농후사료 C를 배출하도록 농후사료통(220)의 각 스크류(22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RFID 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RFID 전자태그(4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사료 트래드밀(210)의 이송속도와 각 스크류(22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농후사료(B, C, D)의 배합 비율과 배합사료의 공급량을 조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의 성장단계에 맞는 최적의 배합사료를 공급하는 한편, 각 축사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로부터 가축의 개체 수와 성장단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사료공급량과 사료 배합비율을 자동으로 조정 가능함과 동시에,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주행부
110 : 가이드부재
200 : 사료공급부
210 : 주사료 트래드밀
220 : 농후사료통
221 : 스크류
222 : 제1 공급구
230 : 혼합부
231 : 제2 공급구
240 : 배출 트래드밀
250 : 사료잔량감지센서
300 : 열화상카메라
400 : RFID 전자태그
500 : 작업자단말기
A : 주사료
B, C, D : 농후사료

Claims (7)

  1. 지상을 주행하는 주행부(100);
    TMR사료인 주사료(A)와 이종의 농후사료(B, C, D)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사료공급부(200);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공급부(200)는 동물의 성장단계에 따라 상이한 비율로 주사료(A)와 농후사료(B, C, D)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료공급부(200)는,
    함체형으로 형성되되 적재된 농후사료(B, C, D)를 스크류(221)의 회전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제1 공급구(222)를 통해 배출하는 복수 개의 농후사료통(220);
    상기 농후사료통(220)의 하부에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농후사료통(220)으로부터 공급된 농후사료(B, C, D)가 혼합되어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급구(231)를 통해 배출하는 혼합부;
    투입되는 주사료(A)를 상기 혼합부의 제2 공급구(231) 하부로 이송하는 주사료 트래드밀(210);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된 농후사료(B, C, D)와 상기 주사료 트래드밀(210)로부터 공급된 주사료(A)를 축사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트래드밀(2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사료 트래드밀(210)의 이송속도와 상기 복수 개의 농후사료통(220)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22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각 사료의 배합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류(221)에 부가되는 토크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토크센서(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송된 토크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크류(221)를 소정 시간동안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배합사료의 끼임을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의 전방부에 지면에 접촉하도록 전방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삼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주행 시 바닥에 공급된 사료가 축사방향으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여 사료의 섭취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동물의 성장단계, 사료 배합 비율, 동물 개체수 등의 정보가 저장되며 축사에 부착되는 RFID 전자태그(400)로 전파를 송신한 후, 상기 RFID 전자태그(400)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RFID 리더기(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류(22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농후사료(B, C, D)의 배합 비율과 배합사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6. 제1항에 있어서,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열화상카메라(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동물의 체온이 기설정된 정상체온범위을 초과하는 경우 질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작업자단말기(5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통(220) 내측에 설치되어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료잔량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료가 일정량 이하로 감지되면 경고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KR1020200091456A 2020-07-23 2020-07-23 가축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KR10243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56A KR102434591B1 (ko) 2020-07-23 2020-07-23 가축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56A KR102434591B1 (ko) 2020-07-23 2020-07-23 가축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553A KR20220012553A (ko) 2022-02-04
KR102434591B1 true KR102434591B1 (ko) 2022-08-19

Family

ID=8026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456A KR102434591B1 (ko) 2020-07-23 2020-07-23 가축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5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8366A (ja) * 2008-12-24 2010-07-08 Kitahara Denboku Kk 混合機能付き自動給餌機及びその給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05B1 (ko) 2002-04-19 2005-03-21 주식회사 린도 배합사료 운송 급여용 차량
KR101614884B1 (ko) * 2013-11-27 2016-04-22 (주)송현 축사용 이동식 무인 사료 공급 장치
KR101577971B1 (ko) * 2013-12-12 2015-12-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사료 공급장치
KR20160129366A (ko) * 2015-04-30 2016-11-09 (유)두창산업 사료 급이기
KR101886666B1 (ko) * 2016-09-19 2018-08-09 장영수 축사용 이동식 무인사료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2142785B1 (ko) * 2018-11-30 2020-08-10 주)엠트리센 가축 사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8366A (ja) * 2008-12-24 2010-07-08 Kitahara Denboku Kk 混合機能付き自動給餌機及びその給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553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ingoethe A 100-Year Review: Total mixed ration feeding of dairy cows
DE60205556T2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Zuführen einer vorgegebenen Futtermenge zu einem Tier in einem vorgegebenen Zeitraum
US6651585B2 (en) Device for supplying feed to an animal
US6631695B2 (en) Fodder mixing and feeding the fodder,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odder using the same
US20100263345A1 (en) Cutter-mixer-feeder
KR101197554B1 (ko) 모돈의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3826B1 (ko)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KR101577971B1 (ko) 무인 사료 공급장치
EP2134161B1 (en) Feeding system and method
DE60216685T2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Zuführen von Futter zu Tieren
JP2010506589A (ja) 乳生成動物によって消費される消費可能な物質の供給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889407B1 (ko) 가축용 사료 급이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가축용 사료 급이 시스템
Komlatsky et al. Technological process intensification trends in livestock
KR102434591B1 (ko) 가축축우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사료의 공급이 가능한 tmr사료 및 농후사료 혼합급이기
JP2009112207A (ja) 繋留牛舎の乳牛飼養管理方法
CN110934078B (zh) 一种自动投料装置及猪舍
KR101886666B1 (ko) 축사용 이동식 무인사료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1401897B1 (ko) 수냉식 사료급이장치
CN211721453U (zh) 一种奶牛精准补饲装置
JPH0722474B2 (ja) 家畜の群管理機能付自動給餌装置
CN206713741U (zh) 一种羊舍撒料车用喂料箱
KR20190054733A (ko) 원형볏짚 자동 급이장치
KR200201909Y1 (ko) 사료 혼합 공급 장치
KR100640088B1 (ko) 자주이동형 완전혼합사료 급이기
KR20020007615A (ko) 우사용 자동급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