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21B1 - 선박용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선박용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21B1
KR102434121B1 KR1020220064670A KR20220064670A KR102434121B1 KR 102434121 B1 KR102434121 B1 KR 102434121B1 KR 1020220064670 A KR1020220064670 A KR 1020220064670A KR 20220064670 A KR20220064670 A KR 20220064670A KR 102434121 B1 KR102434121 B1 KR 10243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hoistway
floor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카즈 사쿠라이
야스유키 혼다
Original Assignee
모리야 유소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야 유소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야 유소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4Latera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4Power supply or signal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Abstract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각 구성 부재의 배치 영역과 탈출 영역을 승강로 내에서 구분함과 함께 당해 승강로의 단면적을 작게 하여, 선박 내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선박용 엘리베이터이며, 승강로와, 천장에 탈출 도어를 갖는 케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의 전방부 벽면에 인접하는 한쪽의 승강로 측면은 당해 케이지의 운전에 필요한 구성 부재가 집중적으로 배치된 집약 측면으로서 마련되고, 상기 집약 측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에는, 한 쌍의 지지 부재와, 카운터 웨이트와, 승강 도어 인입 영역과, 케이블 이동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로의 후방부 벽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 및 상기 집약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로의 측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에는, 상기 케이지로부터 상기 탈출 도어를 통해 탈출한 탑승자가 각 층으로 이동할 때에 이용하는 승강로 사다리를 배치 가능한 탈출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Description

선박용 엘리베이터 {ELEVATOR FOR SHIPS}
본 발명은, 탱커, 화물선, 객선 등의 선박 내에 있어서, 탑승객이나 승무원 등의 탑승자를 각 층의 홀에 수송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탑승객이나 승무원 등의 탑승자를 태우는 선박에는 각 층의 홀에 대하여 탑승자를 수송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박 내의 탑승자는, 계단 외에,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내에 마련된 임의의 행선지 층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각 층으로의 이동을 할 수 있다. 선박용 엘리베이터는, 수상을 항해하는 선박 내에서 작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흔들림이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특수한 설계로 되어 있다.
선박용 엘리베이터는 각 층을 연통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다.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구성 부재, 예를 들어 케이지, 카운터 웨이트 등은 상기 승강로 내의 4면의 측벽에 대하여 분산되어 마련되어 있다. 각 구성 부재의 설치는 측벽에 대하여 용접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어, 승강로의 측벽에 대하여 복수의 브래킷을 용접 고정하고, 당해 브래킷에 대하여 케이지, 카운터 웨이트 등을 설치한다.
그렇지만, 상기 승강로 내에 용접 공사를 할 때에는, 용접한 승강로 내의 벽면이 고열이 되어, 당해 벽면으로부터 열전도된 이측의 벽면까지 고열이 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열이 전도된 벽면의 도장이 녹아 버려, 재도장할 필요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선박 내의 도장은 특수 도장으로 몇 겹이나 겹쳐져 있고, 이러한 도장에 대해서도 선박용 엘리베이터 특유의 일정한 기준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설치 공사 시에는, 승강로 내의 벽면, 즉 4측면분의 상기 특수 도장에 관한 재도장을 행할 필요가 발생해 버림으로써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는,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선박용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의 사방의 벽면 중 하나의 벽면에 대하여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케이지 및 카운터 웨이트를 승강로 내에서 보유 지지함과 함께 상기 승강로 내의 상하에 대하여 케이지 및 카운터 웨이트를 안내하는 것이다. 케이지에는, 상기 벽면을 향해 돌출된 외팔보 암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외팔보 암의 선단에 마련된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체인을 통해 상기 케이지에 접속된 카운터 웨이트의 주행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점으로부터, 당해 선박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케이지 및 카운터 웨이트를 승강로 내의 일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선박용 엘리베이터는, 케이지,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 등의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구성 부재를 승강로 내의 하나의 벽면에 집약시키고 있어, 승강로에 대한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설치 공사 시에 1벽면분의 재도장밖에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56348호
그렇지만, 수상을 항해하는 선박에서는 선박 내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있고, 엘리베이터에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의 단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선박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육상의 엘리베이터와는 달리, 케이지 내의 탑승자가 승강로 내에 대하여 탈출하기 위한 탈출 도어를 상기 케이지 내에 설치함과 함께 상기 케이지로부터 탈출한 탑승자가 승강로로부터 각 층 플로어에 대하여 자력으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 영역을 승강로 내에 마련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박용 엘리베이터에는, 승강로의 단면적을 가급적 작게 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케이지로부터 탈출한 탑승자가 각 층 플로어로 이동할 수 있는 탈출 영역을 승강로 내에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탈출 영역 내에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각 구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케이지로부터 탈출한 탑승자가 상기 각 구성 부재에 대하여 접촉할 위험성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승강로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으로부터, 선박용 엘리베이터에는, 승강로의 단면적을 가급적 작게 할 필요가 있는 한편,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상기 각 구성 부재의 배치 영역과 탈출 영역의 위치 관계로부터, 승강로의 단면적을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각 구성 부재의 배치 영역과 탈출 영역을 승강로 내에서 구분함과 함께 당해 승강로의 단면적을 작게 하여, 선박 내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선박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선박 내에서 탑승자를 각 층으로 수송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이며, 각 층을 연통함과 함께 전방부 벽면에는 각 층의 승강구가 마련된 승강로와, 상기 승강구에 면하여 마련된 케이지 도어를 가짐과 함께 천장에는 탈출 도어를 갖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여 탑승자를 각 층으로 수송하는 케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의 전방부 벽면에 인접하는 한쪽의 승강로 측면은 당해 케이지의 운전에 필요한 구성 부재가 집중적으로 배치된 집약 측면으로서 마련되고, 상기 집약 측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집약 측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승강로 내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주행함과 함께 상기 케이지를 외팔보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안내 부재와, 시브에 감긴 복수의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와 접속되고, 당해 케이지의 승강에 수반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의 사이에 마련된 주행로를 상하 이동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전방부 벽면과 한쪽의 지지 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지 도어를 수용하는 승강 도어 인입 영역과, 다른 쪽의 지지 부재와 상기 승강로의 후방부 벽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지에 급전하는 케이블이 당해 케이지의 승강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케이블 이동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로의 후방부 벽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 및 상기 집약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로의 측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에는, 상기 케이지로부터 상기 탈출 도어를 통해 탈출한 탑승자가 각 층으로 이동할 때에 이용하는 승강로 사다리를 배치 가능한 탈출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용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케이지, 카운터 웨이트 등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각 구성 부재, 승강 도어 인입 영역, 및 케이블 이동 영역을 케이지와 집약 측면 사이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있음과 함께, 후방부 벽면과 케이지 사이, 및 집약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과 케이지 사이에 탈출 영역을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는, 상기 각 구성 부재의 배치 영역과 탈출 영역을 승강로 내에서 구분함과 함께 승강로의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엘리베이터는, 케이지, 카운터 웨이트 등의 각 구성 부재를 집약 측면에 고정된 지지 부재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에, 집약 측면의 1면에만 용접 공사를 행하면 된다. 그 때문에,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설치 공사에 있어서, 용접에 의한 재도장을 1측면분만으로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로 내의 전방부 벽면과 한쪽의 지지 부재 사이에는 승강 도어 인입 영역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지의 승강 도어를 크게 개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승강로의 단면적을 작게 하면서도 승강 도어를 크게 개방할 수 있어, 가로 폭이 큰 짐이라도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에 의해 반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지지 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케이지의 내측으로부터 케이지 도어를 관찰하였을 때의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선박용 엘리베이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실시 형태의 승강로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케이지의 내측으로부터 케이지 도어를 관찰하였을 때의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1)는 탱커, 화물선, 객선 등의 선박 내에서 탑승자를 각 층으로 수송할 때에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1)는 승강로(10) 내에 케이지(50)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지(50)는 상기 승강로(10)를 승강한다. 상기 승강로(10)는 단면 대략 직사각 형상이며, 사방이 벽면에 둘러싸여 있다. 상기 승강로(10)는 각 층 플로어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연통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10)의 최상부에는, 모터에 접속된 시브(8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지(50)는, 상기 시브(80)에 감긴 6개의 로프(8)의 일단부에 접속됨으로써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로프(8)의 타단부에는 카운터 웨이트(40)가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지(50)는 상기 로프(8)를 통해 카운터 웨이트(40)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케이지(50)는, 상기 승강로(10)의 최상부에 마련된 시브(80)에 감겨올려짐으로써 상기 승강로(10) 내를 승강한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40)는, 상기 케이지(50)가 승강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상기 케이지(50)와는 역방향으로 승강한다. 즉, 상기 케이지(50)가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40)가 하강하는 한편, 상기 케이지(50)가 하강한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40)가 상승한다. 상기 승강로(10)의 최저변에는 스프링(1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5)은, 선박의 비상 시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상기 케이지(50), 카운터 웨이트(40)가 낙하하였을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승강로(10)의 전방부 벽면(11)에는 승강구(100)가 개구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100)는 각 층의 플로어와 승강로(10)를 연통하고 있고, 상기 각 층의 플로어마다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100)에는 플로어 도어(110)가 마련되어 있다. 탑승자는 플로어 도어(110), 및 케이지 도어(52)가 개방되면 상기 케이지(50)에 탈 수 있다.
탑승자는, 케이지 도어(52)로부터 상기 케이지(50)에 타고, 상기 케이지(50) 내의 조작반(53)에 의해 임의의 행선지 층 버튼을 눌러서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1)를 조작한다. 행선지 층 버튼이 눌리면, 제어반에 의해 시브에 마련된 모터 등이 제어되어, 상기 케이지(50)가 임의의 층까지 승강한다. 임의의 층에 도착하면, 상기 케이지(50) 내의 케이지 도어(52)가 개방되어, 각 층의 플로어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1)는 탑승자를 각 층까지 수송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10)의 전방부 벽면(11)에 인접하는 한쪽의 승강로 측면에는 상기 케이지(50)의 운전에 필요한 각 구성 부재가 집중적으로 배치된 집약 측면(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집약 측면(12)에는 상기 승강로(10)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설치부(24)가 용접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설치부(24)는 상기 집약 측면(12)의 폭 방향에 대하여 연장된 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설치부(24)에는 한 쌍의 지지 부재(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20)는 상기 전방부 벽면(11)측에 마련된 지지 부재(20a)와, 상기 전방부 벽면(11)과 대향하는 후방부 벽면(14)측에 마련된 지지 부재(2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a와 20b)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는 상기 승강로(1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의 중심부에는 칸막이판(30)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판(30)은, 후술하는 상기 케이지(50)에 마련된 안내 부재(25)가 주행하는 제2 주행로(5), 및 상기 카운터 웨이트(40)가 주행하는 제1 주행로(4)를 구획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주행로(4)는 상기 칸막이판(30)과 상기 집약 측면(1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주행로(5)는 상기 칸막이판(30)과 상기 케이지(5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주행로(4)에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2)은 상기 승강로(10)의 상하 방향을 따른 긴 레일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2)의 길이는, 상기 승강로(10)의 전체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2)은 상기 지지 부재(20)에 대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2)은 단면 대략 T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주행로(4)에는, 평형추로서의 카운터 웨이트(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40)는 케이지(50)를 상하 이동시킬 때에 적은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시브(80)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40)는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22)에 조립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카운터 웨이트(40)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2)에 안내되어 상기 제1 주행로(4)를 상기 승강로(10)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40)의 중량은 케이지(50)와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1)의 정격 적재량의 절반의 합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2 주행로(5)에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1)은 상기 승강로(10)의 상하 방향을 따른 긴 레일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1)의 길이는 상기 승강로(10)의 전체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1)은 상기 지지 부재(20)에 대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1)은 단면 대략 T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21)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주행로(5)를 승강하는 안내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 부재(25)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2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3)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1)에 조립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안내 부재(25)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1)에 안내되어 상기 제2 주행로(5)를 상기 승강로(10)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25)에는, 상기 승강로(10)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케이지(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지(50)는 시브(80)에 감긴 로프(8)를 통해 카운터 웨이트(40)에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케이지(50)는 상기 집약 측면(12)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 부재(20)를 통해 외팔보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50)는, 상기 안내 부재(25)의 슬라이더(23)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1)에 조립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5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케이지(50)가 흔들리는 일 없이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지(50)는 상기 승강로(10)의 전방부 벽면(11)측에 케이지 도어(52)를 갖고 있다. 상기 케이지 도어(52)가 개방되면, 상기 케이지 도어(52)는 한 쌍의 지지 부재(20) 중 전방부 벽면(11)측에 마련된 상기 지지 부재(20a)와 상기 전방부 벽면(11) 사이에 마련된 승강 도어 인입 영역(120)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승강 도어(52)를 크게 개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50) 내에는 조작반(5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작반(53)은 탑승자가 상기 케이지(50)에 타고, 임의의 목적층을 지정할 때에 조작한다. 이에 의해, 탑승자는 임의의 층의 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지(50)에 마련된 케이지 도어(52)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탈출용 사다리(5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탈출용 사다리(51)는 상기 케이지(50) 내의 상방을 향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지(50) 내의 탑승자는, 상기 케이지(50)가 비상 사태에 의해 긴급 정지한 경우 등, 탈출을 요할 때에는, 상기 탈출용 사다리(51)를 올라가, 상기 케이지(50)의 천장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탈출 도어로부터 상기 케이지(5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또한, 탈출 도어를 마련하는 위치는, 반드시 케이지(50)의 천장일 필요는 없고, 시공하는 엘리베이터나 승강로의 환경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기 케이지(50)에는, 상기 케이지, 제어반, 모터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지(50)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은 도 4에 나타내는 풀리(6)에 감겨 있다. 상기 풀리(6)는 상기 케이블을 늘임으로써, 상시 텐션을 걸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풀리(6)는, 풀리 본체(61)와, 상기 풀리 본체(61)의 상하에 마련된 롤러(6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풀리(6)는, 상기 지지 부재(20a)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 부재(20b)와, 상기 전방부 벽면(11)과 대향하는 후방부 벽면(14) 사이에 마련된 케이블 이동 영역(60)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풀리(6)는, 상기 케이블 이동 영역(60) 내에 마련된 풀리용 가이드 레일(63)에 대하여 상기 롤러(62)를 접촉시켜 상기 승강로(10) 내를 주행한다.
상기 풀리(6)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케이지(50)에 접속된 동활차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풀리(6)는, 상기 케이지(50)의 승강과 함께 상기 케이지(50)의 절반의 속도로 승강한다. 즉, 상기 풀리(6)는, 상기 케이지(50)가 최하층까지 하강하였을 때는, 상기 승강로(10)의 최하층에 머무르는 한편, 상기 케이지(50)가 최상층까지 승강하였을 때는, 상기 승강로(10)의 절반 정도의 높이에서 머무르게 된다.
상기 승강로(10) 중, 상기 케이지(50)와 상기 후방부 벽면(14) 사이, 및 상기 케이지(50)와 상기 집약 측면(12)과 대향하는 측벽 사이는, 탈출 영역(70)으로 구성되어 있다. 탈출 영역(70)은 케이지(50)의 주위를 따라서 대략 L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10)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공간이다. 탈출 영역(70)은, 선박용 엘리베이터(1)의 운전에 지장이 발생하는 어떠한 긴급 시에 당해 선박용 엘리베이터(1)를 이용하고 있는 탑승자가 승강로 내에서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공간이다. 이 탈출 영역(70)은, 케이지(50), 카운터 웨이트(40) 등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각 구성 부재, 승강 도어 인입 영역(120), 및 케이블 이동 영역(60)이 집약 측면(14)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구성 부재 및 영역과 구분된 비교적 안전한 영역으로 되어 있다. 상기 탈출 영역(70) 중, 상기 집약 측면(12)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승강로 사다리(7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 사다리(71)는 승강로(10)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각 층 플로어에 연통하기 위한 통로(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케이지(50)로부터 탈출한 탑승자를 안내한다. 그 때문에, 선박용 엘리베이터(1)를 이용하는 탑승자는, 상기 긴급 시에 상기 케이지(50) 내로부터의 탈출 및 상기 승강로 사다리(71)를 이용한 안전한 피난을 자력으로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승강로 사다리(71)는 상기 집약 측면(12)과 대향하는 측면에 마련되어 있지만, 탈출 영역(70) 내에 마련되어 있으면,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1)의 운전에 필요한 구성 부재, 케이블 이동 영역(60), 또는 승강 도어 인입 영역(120)과 배치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박용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케이지(50), 카운터 웨이트(40) 등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각 구성 부재, 승강 도어 인입 영역(120) 및 케이블 이동 영역(60)을 상기 케이지(50)와 집약 측면(12) 사이에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부 벽면(14)과 상기 케이지(50) 사이, 및 상기 집약 측면(12)과 대향하는 측면과 상기 케이지(50) 사이, 즉 탈출 영역(70)에 상기 각 구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박용 엘리베이터(1)는 상기 각 구성 부재의 배치 영역과 탈출 영역(70)을 구분함과 함께, 승강로(10)의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 영역과 탈출 영역(70)을 구분함으로써 케이지(50) 내로부터 각 층 플로어에 대하여 자력으로 탈출하는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엘리베이터(1)는, 상기 케이지(50), 상기 카운터 웨이트(40) 등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구성 부재를 상기 집약 측면(12)에 마련한 지지 부재(20)에 의해 외팔보 상태로 보유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선박용 엘리베이터(1)의 설치 시에, 상기 승강로(10)의 사방의 벽면 중, 상기 집약 측면(12)에 대해서만 용접 공사를 행하면 된다. 따라서, 승강로(10)의 벽면에 대한 용접에 의해 발생하는 재도장을 1측면분만으로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1)의 설치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로(10) 내의 전방부 벽면(11)과 지지 부재(20a)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지(50)에 마련되어 있는 케이지 도어(52)를 수용하기 위한 승강 도어 인입 영역(120)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박용 엘리베이터(1)는 상기 승강로(10)의 단면적을 작게 하면서도, 상기 케이지 도어(52)를 크게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 폭이 큰 짐이라도 반송할 수 있다.
1: 선박용 엘리베이터
11: 전방부 벽면
12: 집약 측면
14: 후방부 벽면
20: 지지 부재
21: 제2 가이드 레일
22: 제1 가이드 레일
24: 설치부
40: 카운터 웨이트
50: 케이지
60: 케이블 이동 영역
70: 탈출 영역
80: 시브
120: 승강 도어 인입 영역

Claims (1)

  1. 선박 내에서 탑승자를 각 층으로 수송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이며,
    각 층을 연통함과 함께 전방부 벽면에는 각 층의 승강구가 마련된 승강로와,
    상기 승강구에 면하여 마련된 케이지 도어를 가짐과 함께 천장에는 탈출 도어를 갖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여 탑승자를 각 층으로 수송하는 케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의 전방부 벽면에 인접하는 한쪽의 승강로 측면은 당해 케이지의 운전에 필요한 구성 부재가 집중적으로 배치된 집약 측면으로서 마련되고,
    상기 집약 측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집약 측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승강로 내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주행함과 함께 상기 케이지를 외팔보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안내 부재와,
    시브에 감긴 복수의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와 접속되고, 당해 케이지의 승강에 수반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의 사이에 마련된 주행로를 상하 이동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전방부 벽면과 한쪽의 지지 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지 도어를 수용하는 승강 도어 인입 영역과,
    다른 쪽의 지지 부재와 상기 승강로의 후방부 벽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지에 급전하는 케이블이 당해 케이지의 승강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케이블 이동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로의 후방부 벽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 및 상기 집약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로의 측면과 상기 케이지 사이에는, 상기 케이지로부터 상기 탈출 도어를 통해 탈출한 탑승자가 각 층으로 이동할 때에 이용하는 승강로 사다리를 배치 가능한 탈출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KR1020220064670A 2021-06-02 2022-05-26 선박용 엘리베이터 KR102434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3055A JP7081896B1 (ja) 2021-06-02 2021-06-02 船舶用エレベータ
JPJP-P-2021-093055 2021-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121B1 true KR102434121B1 (ko) 2022-08-19

Family

ID=8192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70A KR102434121B1 (ko) 2021-06-02 2022-05-26 선박용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81896B1 (ko)
KR (1) KR102434121B1 (ko)
CN (1) CN1154325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6348A (ja) 2012-06-11 2013-12-26 Shimonoseki Ryoju Engineering Kk 船舶用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3008318A1 (ja) * 2001-07-11 2004-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4352377A (ja) * 2003-05-27 2004-12-16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
JP2006027808A (ja) * 2004-07-15 2006-02-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CN203558681U (zh) * 2013-11-05 2014-04-23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设置有逃生装置的电梯轿厢
CN204727393U (zh) * 2015-06-24 2015-10-28 吴江骏达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带逃生通道的电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6348A (ja) 2012-06-11 2013-12-26 Shimonoseki Ryoju Engineering Kk 船舶用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85398A (ja) 2022-12-14
CN115432538A (zh) 2022-12-06
JP7081896B1 (ja)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34425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EP2939971B1 (en) A travelling cable clamp assembly, an elevator arrangement, and a method
JP20062567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166947A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KR1005723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11834298B2 (en) Method for modernizing elevator system
EA005334B1 (ru) Лифт с тяговым шкивом без машинного отделения
JP49922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JP5715490B2 (ja) 機械式駐車設備
KR100870389B1 (ko) 승강기 장치
EP1396457B1 (en) Elevator device
KR102434121B1 (ko) 선박용 엘리베이터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KR20220023120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JP2004010174A (ja)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US11254540B2 (en) Machine-room-less elevator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551228A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181982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5173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352884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WO2023119548A1 (ja) エレベーター
WO2024003438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WO2023119547A1 (ja) 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