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842B1 - 해양구조물용 펜더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용 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842B1
KR102433842B1 KR1020220045678A KR20220045678A KR102433842B1 KR 102433842 B1 KR102433842 B1 KR 102433842B1 KR 1020220045678 A KR1020220045678 A KR 1020220045678A KR 20220045678 A KR20220045678 A KR 20220045678A KR 102433842 B1 KR102433842 B1 KR 102433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ender
offshore structure
suppor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알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알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알엠피
Priority to KR102022004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대상물의 일면에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의 타단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부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결합부 및 하부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제2 결합부는 고정부에 고정되고 제1 결합부는 제2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주를 그리며 이동하도록 구성된 지지부; 및 지지부에 관통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완충부재로 구성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용 펜더{Fender for Offshore Structure}
본 개시는 해양구조물용 펜더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해양구조물과 선박 등의 접안(berthing) 상황에서 해수면의 유동으로 인해 해양구조물과 선박 사이에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펜더(fender)를 이용할 수 있다. 펜더는 해양구조물 또는 선박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펜더는 일반적으로 고무(rubber)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고무 재질의 경우 충격이나 열 등에 의하여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교체 및 보수가 빈번하므로 펜더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무의 경우 폐기물로 분류되어 소각 처리되므로 자원 낭비가 심하고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펜더는 지지부의 일단이 고정부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함으로써 완충부를 쉽게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펜더는 완충부에 폐타이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대상물의 일면에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의 타단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부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결합부 및 하부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제2 결합부는 고정부에 고정되고 제1 결합부는 제2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주를 그리며 이동하도록 구성된 지지부; 및 지지부에 관통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완충부재로 구성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해양구조물용 펜더는 지지부의 일단이 이동함으로써 해양구조물용 펜더의 교체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해양구조물용 펜더는 완충부에 폐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펜더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펜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펜더를 x 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보수 및 교체 상황에서의 해양구조물용 펜더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해양구조물용 펜더에 선박이 접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펜더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펜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해양구조물용 펜더(offshore structure fender, 1)는 고정부(fixed unit, 11), 지지부(support unit, 12), 완충부(buffer unit, 13) 및 와이어(wire, 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는 고정판(fixed face, 111), 상부프레임(upper frame, 112), 하부프레임(lower frame, 113) 및 결합부재(coupling member, 1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는 부두(pier) 및 해양구조물 등과 같은 설치대상물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판(111)은 설치대상물의 일면에 접하여 설치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판(111)은 설치대상물에 삽입되거나 설치대상물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2)은 고정판(111)의 일단에 y 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13)은 상부프레임(112)과 z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판(111)의 타단에 x 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2)은 고정판(111)에 수직하고 x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면(112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3)은 고정판(111)에 수직하고 x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 결합면(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y 축은 고정판(111)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방향을 말하고, x 축은 y 축과 수직한 고정판(111)의 폭방향을 말하고, z 축은 x 축 및 y 축에 수직한 고정판(111)의 길이방향을 뜻한다.
지지부(12)는 제1 결합부(first coupling part, 121), 제2 결합부(second coupling part, 123), 걸림턱(chin, 123) 및 와이어고리(wire ring, 12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는 z 축 방향으로 이격된 상부프레임(112) 및 하부프레임(113)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결합부(121)는 지지부(12)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부프레임(1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2)는 지지부(12)의 타단에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13)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 및 지지부(12) 사이의 결합관계를 자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제1 결합면(112a)의 사이에는 지지부(12)의 제1 결합부(121)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한 쌍의 제2 결합면(113a)의 사이에는 지지부(12)의 제2 결합부(122)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면(112a) 및 제1 결합부(121)에는 결합부재(114)가 관통되도록 구성된 결합구멍(114a)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면(113a) 및 제2 결합부(122)에는 결합부재(114)가 관통되도록 구성된 결합구멍(114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14)는 고정부(11) 및 지지부(12)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한 쌍의 볼트(bolt) 및 너트(nut)일 수 있다. 결합부재(114)의 볼트가 결합구멍(114a)을 관통하고 결합부재(114)의 너트가 볼트와 결합하여 고정부(11) 및 지지부(12)를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11) 및 지지부(12)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할 수 있다.
걸림턱(123)은 제1 결합부(121)와 인접한 위치에, 지지부(12)의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23)은 완충부(13)가 지지부(1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턱(123)은 완충부(13)의 내경에 대응하거나, 완충부(13)의 내경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해양구조물용 펜더(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걸림턱(123)에 의해 완충부(13)의 수직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2)는 하나 이상의 완충부재(131)를 포함하는 완충부(13)를 관통하여 완충부(13)와 결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완충부재(131)는 지지부(1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밀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부(12)의 높이에 대응하여 7 개의 완충부재(131)가 지지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2)의 높이에 따라 지지부(12)에 결합되는 완충부재(131)의 개수는 변화할 수 있다. 완충부(13)는 지지부(12)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완충부(13)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완충부(13)는 외력을 흡수하여 해양구조물 또는 선박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1)의 단부에는 와이어고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고리(124)에는 와이어(14)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4)의 타단은 설치대상물에 부착된 고리에 연결되어 지지부(1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부(12)의 이동에 관한 설명은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펜더를 x 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해양구조물용 펜더(1)의 완충부(13)는 완충부재(buffer member, 131), 충진재(filler, 132) 및 베어링(bearing, 133)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해양구조물용 펜더(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을 흡수하여 해양구조물 또는 선박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하기 위하여, 완충부(13)는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해양구조물용 펜더(1)는 완충부재(131)로 폐타이어(waste tire)를 이용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폐타이어를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타이어의 경우 고무재질로서 해양구조물용 펜더(1)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해양구조물 또는 선박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완충부재(131)의 내측 빈 공간에는 충진재(132)가 채워질 수 있다. 충진재(132)는 완충부재(131)와 함께 외력을 흡수하여 해양구조물 또는 선박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충진재(132)는 고무(rubber), 우레탄(urethane) 또는 강화스티로폼(reinforced styrofoam)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베어링(133)은 지지부(12) 및 충진재(132)와 결합할 수 있다. 완충부재(131)의 내측에 충진재(132)가 채워지고, 충진재(132)의 내측에 베어링(133)이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133)은 완충부재(131)가 지지부(12)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즉, 베어링(133)의 내경은 지지부(12)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133)은 철(iron), 동(copper),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또는 고밀도 합성수지(high density synthetic resin)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보수 및 교체 상황에서 해양구조물용 펜더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지지부(12)는 일단이 고정부(11)로부터 분리되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22)는 제2 결합면(11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21)는 제1 결합면(112a)으로부터 분리되어 원주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1)는 yz 평면 상에서 원주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1)가 원주를 그리며 이동가능하도록 제2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면(113b)은 힌지(hinge) 구조를 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21)는 지지부(12)가 고정부(11)에 수직인 상태(y 축에 평행한 상태)가 될 때까지 원주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1)가 원주를 그리며 이동할 때, 와이어(14)에 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 와이어(14)는 와이어고리(124)에 연결되어, 제1 결합부(121)가 이동할 때 제1 결합부(121)를 당길 수 있다. 즉, 와이어(14)는 제1 결합부(121)가 원주를 그리며 이동할 때 제1 결합부(121)에 저항을 일으킴으로써 제1 결합부(121)가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1)의 빠른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제2 결합부(122)와 제2 결합면(113a) 사이의 결합이 약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해양구조물용 펜더(1)는 지지부(12)가 고정부(11)에 수직인 상태에서 완충부(13)가 해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고정부(11)의 하부프레임(113)이 해수면에 인접하거나 하부프레임(113)의 일부가 해수면에 잠기도록 해양구조물용 펜더(1)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12)가 고정부(11)에 수직인 상태에서는 완충부(13)를 쉽게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
지지부(12)가 고정부(11)에 수직인 상태에서 완충부(13)를 분리하고, 새로운 완충부(13)를 결합함으로써 완충부(13)를 교체할 수 있다. 완충부(13)가 바다에 부유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완충부(13)를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해양구조물용 펜더(1)의 교체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해양구조물용 펜더에 선박이 접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나 이상의 해양구조물용 펜더(1)가 설치대상물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해양구조물용 펜더(1)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완충부(13)를 교체하거나 보수할 때 용이하도록 해양구조물용 펜더(1)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다. 구조 및 크기가 동일한 하나 이상의 해양구조물용 펜더(1)가 설치됨으로써 선박 등이 설치대상물에 충돌할 때 선박 또는 설치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해양구조물용 펜더
11: 고정부
12: 지지부
13: 완충부
14: 와이어

Claims (13)

  1. 설치대상물의 일면에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뿔대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의 타단에 뿔대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상부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결합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주를 그리며 이동하도록 구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관통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부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차량용 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외면이 상기 충진재와 결합하고 내면이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에 수직이 될 때까지 상기 제2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주를 그리며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고정판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고정판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 결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면 및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완충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결합부에 인접하고, 상기 지지부의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상물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단부에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와이어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펜더.
KR1020220045678A 2022-04-13 2022-04-13 해양구조물용 펜더 KR102433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78A KR102433842B1 (ko) 2022-04-13 2022-04-13 해양구조물용 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78A KR102433842B1 (ko) 2022-04-13 2022-04-13 해양구조물용 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842B1 true KR102433842B1 (ko) 2022-08-18

Family

ID=8311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678A KR102433842B1 (ko) 2022-04-13 2022-04-13 해양구조물용 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8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23A (ja) * 1992-03-18 1993-12-21 Nippon Solid Co Ltd 緩衝材を取り付けた壁面構造体
KR100749340B1 (ko) * 2006-10-13 2007-08-14 김지현 완충효과가 뛰어난 플로팅 펜더
KR20130015389A (ko) * 2011-08-03 2013-02-14 한명숙 방현재
KR101625543B1 (ko) * 2014-02-13 2016-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탈출장치
KR101898657B1 (ko) * 2017-09-21 2018-09-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구조물 충격 분산용 펜더 및 이의 운용방법과 설치방법
KR20210115676A (ko) * 2020-03-16 2021-09-27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23A (ja) * 1992-03-18 1993-12-21 Nippon Solid Co Ltd 緩衝材を取り付けた壁面構造体
KR100749340B1 (ko) * 2006-10-13 2007-08-14 김지현 완충효과가 뛰어난 플로팅 펜더
KR20130015389A (ko) * 2011-08-03 2013-02-14 한명숙 방현재
KR101625543B1 (ko) * 2014-02-13 2016-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탈출장치
KR101898657B1 (ko) * 2017-09-21 2018-09-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구조물 충격 분산용 펜더 및 이의 운용방법과 설치방법
KR20210115676A (ko) * 2020-03-16 2021-09-27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44412Y (zh) 一种桥梁防撞装置
CN101215826A (zh) 一种桥梁防撞装置
CN111593691A (zh) 一种基于frp和聚氨酯泡沫填充蜂窝状橡胶混凝土的桥墩防撞构件
KR102030139B1 (ko) 항로 표시용 등부표
KR102433842B1 (ko) 해양구조물용 펜더
US3600896A (en) Marine fender assembly
CN104278619A (zh) 用于桥梁承台的复合材料防撞围堰
CN212612173U (zh) 一种基于frp和聚氨酯泡沫填充蜂窝状橡胶混凝土的桥墩防撞构件
CN212612299U (zh) 桥梁防撞装置及桥梁
CN217378537U (zh) 桥墩防撞系统
CN113737731B (zh) 一种桥墩钢套箱防撞结构
CN214245599U (zh) 一种新型结构桥梁防船撞装置
CN108953469B (zh) 一种吸收多方向高频高强度振动的减振装置
CN111576344A (zh) 桥梁防撞装置及桥梁
US4058984A (en) Marine cushioning unit
KR101833532B1 (ko) 볼트 매립형 볼트커버
KR102490231B1 (ko) 충격 완충장치가 형성된 부유식 수상구조물
US11230357B2 (en) Marine fender
KR102516386B1 (ko)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KR102541211B1 (ko) 파손 방지 구조를 갖는 선박
CN114802638B (zh) 一种减震式抗碰撞护舷装置
US11084672B2 (en) Dock bumpers and/or vehicles bumpers
CN217997982U (zh) 一种防撞码头
KR200455216Y1 (ko) 부력보강을 위한 계류구조물용 튜브홀더
CN214363304U (zh) 一种钢覆复合材料自浮式桥墩防撞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