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86B1 -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386B1
KR102516386B1 KR1020220074666A KR20220074666A KR102516386B1 KR 102516386 B1 KR102516386 B1 KR 102516386B1 KR 1020220074666 A KR1020220074666 A KR 1020220074666A KR 20220074666 A KR20220074666 A KR 20220074666A KR 102516386 B1 KR102516386 B1 KR 102516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unit
bracket part
shock absorb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상
정찬섭
Original Assignee
동보체인공업주식회사
정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보체인공업주식회사, 정찬섭 filed Critical 동보체인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1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어 항만의 부두로 접안하는 선박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에 있어서,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후면플레이트로부터 전면을 향해 이격되며, 상기 선박과의 충돌이 가능하도록 접촉면적을 가지는 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에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1전면브라켓부, 제2전면브라켓부 및 제3전면브라켓부를 포함하는 전면브라켓유닛;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상기 전면브라켓유닛의 배치와 어긋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후면브라켓부, 제2후면브라켓부 및 제3후면브라켓부를 포함하는 후면브라켓유닛; 상기 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후면브라켓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하고, 수축 상태에서 천천히 안정적으로 복원되는 충격흡수유닛; 및 상기 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충격흡수유닛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충격흡수유닛의 타단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유니버설조인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선박이 부두에 접안할 때 선박과 부두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충격흡수유닛을 통해 흡수하여 충격흡수유닛이 수축하며, 충격흡수유닛은 수축 상태에서 천천히 안정적으로 복원되어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각도 및 다방향으로 설치된 충격흡수유닛 및 충격흡수유닛의 양단부에 설치된 유니버설조인트유닛에 의해 선박이 어떠한 방향으로 접근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충격 흡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Fender device for docking ships}
본 발명은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이 부두에 접안할 때 선박과 부두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선박 및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부두에 접안할 때 선박과 부두의 충돌을 방지하여 선박 및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재로써의 선박 접안용 펜더(fender) 장치는 주로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어진다. 즉, 항만의 부두에는 화물의 하역과 여객의 승하선을 위한 안벽이나 잔교 및 부잔교 등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펜더는 부두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선박의 충격으로부터 부두 구조물과 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펜더는 선박의 접안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 접안용 펜더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부두의 안벽에 설치된 앵커볼트를 통해 안벽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박 접안용 펜더는 선박의 접안시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선박과 부두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여 선박과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하지만 조수차가 작은 부두에서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형 펜더로 충분하지만, 조수차가 심한 부두의 경우 수면이 낮아지게 되면 부두의 안벽에 설치된 고정형 펜더에서 선박이 벗어나게 되어 선박의 전복 등의 대형사고를 유발할 위험성도 있다. 또한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펜더와는 별도로 갑문 등을 설치할 경우 설치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213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박이 부두에 접안할 때 선박과 부두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선박 및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은,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어 항만의 부두로 접안하는 선박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에 있어서,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후면플레이트로부터 전면을 향해 이격되며, 상기 선박과의 충돌이 가능하도록 접촉면적을 가지는 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에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1전면브라켓부, 제2전면브라켓부 및 제3전면브라켓부를 포함하는 전면브라켓유닛;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상기 전면브라켓유닛의 배치와 어긋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후면브라켓부, 제2후면브라켓부 및 제3후면브라켓부를 포함하는 후면브라켓유닛; 상기 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후면브라켓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하고, 수축 상태에서 천천히 안정적으로 복원되는 충격흡수유닛; 및 상기 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충격흡수유닛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충격흡수유닛의 타단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유니버설조인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일단은 상기 제1전면브라켓부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후면브라켓부 및 상기 제3후면브라켓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와, 일단은 상기 제2전면브라켓부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후면브라켓부 및 상기 제3후면브라켓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와, 일단은 상기 제3전면브라켓부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후면브라켓부 및 상기 제2후면브라켓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3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는 내부튜브와, 상기 내부튜브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고 역류를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내부튜브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박과의 충돌에 의해 피스톤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피스톤운동에 의해 상기 내부튜브를 빠져나가는 상기 유체를 저장하여 상기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실린더본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과의 탄성적 충돌이 가능하도록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탄성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텐션체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이 부두에 접안할 때 선박과 부두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충격흡수유닛을 통해 흡수하여 충격흡수유닛이 수축하며, 충격흡수유닛은 수축 상태에서 천천히 안정적으로 복원되어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각도 및 다방향으로 설치된 충격흡수유닛 및 충격흡수유닛의 양단부에 설치된 유니버설조인트유닛에 의해 선박이 어떠한 방향으로 접근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충격 흡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의 상면도이고,
도4는 전면브라켓유닛, 후면브라켓유닛, 충격흡수유닛 및 유니버설조인트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전면브라켓유닛, 후면브라켓유닛, 충격흡수유닛 및 유니버설조인트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충격흡수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충격흡수유닛 및 유니버설조인트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의 상면도이고, 도4는 전면브라켓유닛, 후면브라켓유닛, 충격흡수유닛 및 유니버설조인트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전면브라켓유닛, 후면브라켓유닛, 충격흡수유닛 및 유니버설조인트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충격흡수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충격흡수유닛 및 유니버설조인트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어 항만의 부두로 접안하는 선박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선박 또는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플레이트(100), 전면플레이트(200), 탄성플레이트(300), 전면브라켓유닛(400), 후면브라켓유닛(500), 충격흡수유닛(600), 유니버설조인트유닛(700) 및 텐션체인(800)을 포함한다.
후면플레이트(100)는, 부두에 안벽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선박 접안용 펜더(10)가 부두의 안벽에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선박 접안용 펜더(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면플레이트(100)는 다수 개의 앵커볼트(anchor bolt)를 이용하여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면플레이트(200)는, 후면플레이트(100)로부터 전면을 향해 이격되며, 선박과의 충돌이 가능하도록 접촉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면플레이트(200)는 부두의 안벽 및 후면플레이트(100)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과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 전면플레이트(200)가 후면플레이트(100)를 향해 일정거리만큼 밀려들어가면서 선박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면플레이트(200)가 후면플레이트(100)와 이격됨에 의해 선박이 직접적으로 부두의 안벽에 충돌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선박 또는 부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플레이트(300)는, 전면플레이트(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선박과의 탄성적 충돌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무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탄성플레이트(300)를 전면플레이트(200)에 설치함에 의해 선박과의 탄성적 충돌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를 통해 선박을 통해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10) 및 부두의 안벽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면브라켓유닛(400)은, 전면플레이트(200)의 후면에 설치되어 후술할 충격흡수유닛(6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1전면브라켓부(410), 제2전면브라켓부(420), 제3전면브라켓부(430) 및 전면브라켓연결부(440)를 포함한다.
제1전면브라켓부(410)는, 전면은 전면플레이트(200)에 결합되고 후면은 후술할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의 일단이 결합되어 전면플레이트(200)와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전면브라켓부(420)는, 제1전면브라켓부(410)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전면은 전면플레이트(200)에 결합되고, 후면은 후술할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20a, 620b)의 일단이 결합되어 전면플레이트(200)와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20a, 620b)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3전면브라켓부(430)는, 제1전면브라켓부(410) 및 제2전면브라켓부(420)로부터 동일 간격만큼 각각 이격되어 전면은 전면플레이트(200)에 결합되고, 후면은 후술할 한 쌍의 제3충격흡수부(630a, 630b)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1전면브라켓부(410), 제2전면브라켓부(420) 및 제3전면브라켓부(430)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의해 각각이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형상으로 설치됨에 의해 전면플레이트(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전면브라켓연결부(440)는, 제1전면브라켓부(410), 제2전면브라켓부(420) 및 제3전면브라켓부(430)를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서로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정삼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제1전면브라켓부(410), 제2전면브라켓부(420) 및 제3전면브라켓부(430)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면브라켓연결부(440)에 의해 전면브라켓유닛(400)이 전면플레이트(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지지가능하다.
후면브라켓유닛(500)은, 후면플레이트(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후술할 충격흡수유닛(6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전면브라켓유닛(400)의 배치와 어긋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후면브라켓부(510), 제2후면브라켓부(520), 제3후면브라켓부(530) 및 후면브라켓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제1후면브라켓부(510)는, 후면은 후면플레이트(100)와 결합되고 전면은 후술할 제2충격흡수부(620a) 및 제3충격흡수부(630a)의 타단이 하나씩 각각 결합되어 후면플레이트(100)와 제2충격흡수부(620a) 및 제3충격흡수부(630a)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후면브라켓부(510)는 전면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정면으로 투시할 경우 제1전면브라켓부(410), 제2전면브라켓부(420) 및 제3전면브라켓부(430) 중 어느 구성과도 겹치지 않고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제1후면브라켓부(510)는 제2전면브라켓부(420) 및 제3전면브라켓부(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후면브라켓부(520)는, 제1후면브라켓부(510)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후면은 후면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전면은 후술할 제1충격흡수부(610a) 및 제3충격흡수부(630b)의 타단이 하나씩 각각 결합되어 후면플레이트(100)와 제1충격흡수부(610a) 및 제3충격흡수부(630b)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후면브라켓부(520)는 제1전면브라켓부(410) 및 제3전면브라켓부(430) 사이에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후면브라켓부(530)는, 제1후면브라켓부(510) 및 제2후면브라켓부(520)로부터 동일 간격만큼 각각 이격되어 후면은 후면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전면은 후술할 제1충격흡수부(610b) 및 제2충격흡수부(620b)의 타단이 하나씩 각각 결합되어 후면플레이트(100)와 제1충격흡수부(610b) 및 제2충격흡수부(620b)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3후면브라켓부(530)는 제1전면브라켓부(410) 및 제2전면브라켓부(420) 사이에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전면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정면으로 전면브라켓유닛(400) 및 후면브라켓유닛(500)을 투시할 경우 제1전면브라켓부(410), 제2전면브라켓부(420) 및 제3전면브라켓부(430)가 정삼각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정점에 배치된 경우, 제1후면브라켓부(510), 제2후면브라켓부(520) 및 제3후면브라켓부(530)는 역삼각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정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브라켓연결부(540)는, 제1후면브라켓부(510), 제2후면브라켓부(520) 및 제3후면브라켓부(530)를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서로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정삼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제1후면브라켓부(510), 제2후면브라켓부(520) 및 제3후면브라켓부(530)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면브라켓연결부(540)에 의해 후면브라켓유닛(500)이 후면플레이트(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지지가능하다.
충격흡수유닛(600)은, 전면브라켓유닛(400)과 후면브라켓유닛(5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면플레이트(200)와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하고, 수축 상태에서 천천히 안정적으로 복원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충격흡수유닛(600)은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20a, 620b) 및 한 쌍의 제3충격흡수부(630a, 630b)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은 서로 간 결합되는 배치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는, 일단은 제1전면브라켓부(410)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제2후면브라켓부(520) 및 제3후면브라켓부(530)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제1충격흡수부(610a)의 경우 일단은 제1전면브라켓부(4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후면브라켓부(520)에 연결되며, 다른 제1충격흡수부(610b)의 경우 일단은 제1전면브라켓부(4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후면브라켓부(530)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짐에 의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20a, 620b)는, 일단은 제2전면브라켓부(420)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제1후면브라켓부(510) 및 제3후면브라켓부(530)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제2충격흡수부(620a)의 경우 일단은 제2전면브라켓부(4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후면브라켓부(510)에 연결되며, 다른 제2충격흡수부(620b)의 경우 일단은 제2전면브라켓부(4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후면브라켓부(530)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20a, 620b)는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와 마찬가지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짐에 의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 쌍의 제3충격흡수부(630a, 630b)는, 일단은 제3전면브라켓부(430)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제1후면브라켓부(510) 및 제2후면브라켓부(520)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제3충격흡수부(630a)의 경우 일단은 제3전면브라켓부(4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후면브라켓부(510)에 연결되며, 다른 제3충격흡수부(630b)의 경우 일단은 제3전면브라켓부(4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후면브라켓부(520)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30a, 630b)는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 및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20a, 620b)와 마찬가지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짐에 의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유닛(600)에 해당하는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20a, 620b) 및 한 쌍의 제3충격흡수부(630a, 630b) 각각은 서로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충격흡수유닛(600)의 구성은 실린더본체(601), 내부튜브(602), 체크밸브(603), 피스톤(604), 어큐뮬레이터(605) 및 스프링(606)을 포함한다.
실린더본체(60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에 해당하는 충격흡수유닛(600)의 본체에 해당하며, 내부는 균일한 표면으로 이루어지나 외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실린더본체(601)의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충격 흡수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내부튜브(602)는, 실린더본체(601)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는 튜브 형상의 구성에 해당한다. 여기서 유체는 유압실린더의 경우 기름이 될 수 있으며, 공압실린더의 경우 기체가 될 수 있다.
체크밸브(603)는, 내부튜브(602)의 일단에 배치되어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고 역류를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피스톤(604)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체크밸브(603)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피스톤(604)은, 내부튜브(602)의 타단에 배치되어 선박과의 충돌에 의해 피스톤운동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피스톤(604)은 선박과의 충돌을 통해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내부튜브(602)의 내부를 향해 진입하게 되면 체크밸브(603)가 폐쇄되고, 피스톤(602)의 진입에 의해 내부튜브를 빠져나가게 되는 유체는 후술할 어큐뮬레이터(605)에 저장된다.
어큐뮬레이터(605)는, 피스톤(604)의 피스톤운동에 의해 내부튜브(602)를 빠져나가는 유체를 저장하여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와 같이 유체가 내부튜브(602)에서 어큐뮬레이터(60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충격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외부로 발산되면서 에너지를 소멸하게 된다.
스프링(606)은, 실린더본체(601)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어큐뮬레이터(605)와 함께 선박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선박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 후 충격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외부로 발산함에 의해 선박, 부두의 안벽 및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흡수유닛(600)은 선박과의 충돌이 일어날 경우 피스톤(604)이 내부튜브(602) 내로 밀려들어가는 방식으로 수축하고, 이후 밀려들어간 피스톤(604)이 다시 되돌아가 스프링(606)의 탄성력에 의해 천천히 안정적으로 복원되어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10)로 접안되는 선박의 경우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접안되는 것이 아닌, 선박의 종류 및 해수면의 높이 등에 따라 다양한 각도와 높이로 접안된다. 이에 본 발명의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10)는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설치된 제1충격흡수부(610a, 610b), 제2충격흡수부(620a, 620b) 및 제3충격흡수부(630a, 630b)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유닛(600)을 통해 선박이 어느 방향으로 접안하더라도 선박에 의한 충돌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는 서로 간 점진적으로 이격되는 구조를 통해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 간의 각도는 제1충격흡수부(610a)와 제2후면브라켓부(520) 간의 각도 및 제1충격흡수부(610b)와 제3후면브라켓부(530) 간의 각도보다 작은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620a, 620b) 및 한 쌍의 제3충격흡수부(630a, 630b)도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610a, 610b)와 동일하게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면플레이트(200)와 후면플레이트(100) 간의 간격을 증가시켜 선박의 충돌에 의해 전면플레이트(100)가 밀려들어가더라도 후면플레이트(100)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충분한 이격 간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 흡수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에 해당한다.
유니버설조인트유닛(700)은, 전면브라켓유닛(400)과 충격흡수유닛(600)의 일단을 연결하고, 후면브라켓유닛(500)과 충격흡수유닛(600)의 타단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선박의 경우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접안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비스듬하게 접안되는 경우도 흔히 발생한다. 이에 다양한 각도와 높이로 접안되는 선박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안정적으로 받기 위해 충격흡수유닛(600)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수축 및 복원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동이 가능하도록 충격흡수유닛(600)의 양단부에는 각각 유니버설조인트유닛(70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니버설조인트유닛(700)을 충격흡수유닛(600)의 양단부에 적용할 경우 각도의 변화가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선박에 의한 충격을 충격흡수유닛(600)이 받아 수축할 수 있으며, 수축 후 복원될 때에도 해당 구동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전면플레이트(200)가 제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게 된다.
텐션체인(800)은, 일단은 전면플레이트(20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면플레이트(100)의 상단에 연결되어 전면플레이트(200)를 지지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텐션체인(800)이 존재함에 의해 선박이 전면플레이트(200)의 상단 부분에만 접안될 경우 텐션체인(800)의 길이가 연장되면서 전면플레이트(200)가 안정적으로 기울어지며, 이후에 선박이 전면플레이트(200)로부터 벗어날 경우 텐션체인(800)이 수축되면서 전면플레이트(200)가 제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10)를 부두의 안벽에 설치할 경우, 선박이 부두에 접안할 때 선박과 부두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충격흡수유닛(600)을 통해 흡수하여 충격흡수유닛(600)이 수축하며, 충격흡수유닛(600)은 수축 상태에서 천천히 안정적으로 복원되어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각도 및 다방향으로 설치된 충격흡수유닛(600) 및 충격흡수유닛(600)의 양단부에 설치된 유니버설조인트유닛(700)에 의해 선박이 어떠한 방향으로 접근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충격 흡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선박 접안용 펜더
100: 후면플레이트
200: 전면플레이트
300: 탄성플레이트
400: 전면브라켓유닛
410: 제1전면브라켓부
420: 제2전면브라켓부
430: 제3전면브라켓부
440: 전면브라켓연결부
500: 후면브라켓유닛
510: 제1후면브라켓부
520: 제2후면브라켓부
530: 제3후면브라켓부
540: 후면브라켓연결부
600: 충격흡수유닛
601: 실린더본체
602: 내부튜브
603: 체크밸브
604: 피스톤
605: 어큐뮬레이터
606: 스프링
610a: 610b: 제1충격흡수부
620a: 620b: 제2충격흡수부
630a, 630b: 제3충격흡수부
700: 유니버설조인트유닛
800: 텐션체인

Claims (5)

  1.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어 항만의 부두로 접안하는 선박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에 있어서,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후면플레이트로부터 전면을 향해 이격되며, 상기 선박과의 충돌이 가능하도록 접촉면적을 가지는 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에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1전면브라켓부, 제2전면브라켓부 및 제3전면브라켓부를 포함하는 전면브라켓유닛;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정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상기 전면브라켓유닛의 배치와 어긋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후면브라켓부, 제2후면브라켓부 및 제3후면브라켓부를 포함하는 후면브라켓유닛;
    상기 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후면브라켓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수축하고, 수축 상태에서 천천히 안정적으로 복원되는 충격흡수유닛;
    상기 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충격흡수유닛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후면브라켓유닛과 상기 충격흡수유닛의 타단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유니버설조인트유닛;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과의 탄성적 충돌이 가능하도록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도록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표면적을 넓힌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는 내부튜브와, 상기 내부튜브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고 역류를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내부튜브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박과의 충돌에 의해 피스톤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피스톤운동에 의해 상기 내부튜브를 빠져나가는 상기 유체를 저장하여 상기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로 발산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실린더본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일단은 상기 제1전면브라켓부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후면브라켓부 및 상기 제3후면브라켓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충격흡수부와,
    일단은 상기 제2전면브라켓부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후면브라켓부 및 상기 제3후면브라켓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2충격흡수부와,
    일단은 상기 제3전면브라켓부에 함께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후면브라켓부 및 상기 제2후면브라켓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3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텐션체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KR1020220074666A 2022-06-20 2022-06-20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KR10251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66A KR102516386B1 (ko) 2022-06-20 2022-06-20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66A KR102516386B1 (ko) 2022-06-20 2022-06-20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386B1 true KR102516386B1 (ko) 2023-03-31

Family

ID=8600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666A KR102516386B1 (ko) 2022-06-20 2022-06-20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3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491Y1 (ko) * 2000-11-23 2001-05-15 김종학 부두용 충격흡수재
KR101321300B1 (ko) 2013-05-06 2013-10-28 주식회사 삼안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KR200478363Y1 (ko) * 2014-04-21 2015-09-24 근로복지공단 체어형 모노스키의 양방향 유압충격흡수장치
KR20180133117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6자유도 운동 및 360도 무한회전이 가능한 모션 플랫폼
KR20220010091A (ko) * 2020-07-17 2022-01-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두용 펜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491Y1 (ko) * 2000-11-23 2001-05-15 김종학 부두용 충격흡수재
KR101321300B1 (ko) 2013-05-06 2013-10-28 주식회사 삼안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KR200478363Y1 (ko) * 2014-04-21 2015-09-24 근로복지공단 체어형 모노스키의 양방향 유압충격흡수장치
KR20180133117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6자유도 운동 및 360도 무한회전이 가능한 모션 플랫폼
KR20220010091A (ko) * 2020-07-17 2022-01-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두용 펜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3600A (en) Liquid shock absorbing buffer
US8739343B2 (en) Fenders for pier protection against vessel collision
US6910435B2 (en) Mooring device
US20120114422A1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KR20190131700A (ko) 방충 장치
CN101215826A (zh) 一种桥梁防撞装置
CN112591015A (zh) 拦截水面大型移动物体的防护装置
US8087371B1 (en) Deployable and inflatable fende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516386B1 (ko)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AU2014276621B2 (en) Cradle assembly for boats
US7730844B2 (en) Bumper system
EP3755616B1 (en) A mooring device and a floating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mooring device
NL8004237A (nl) Landingsconstructie met in alle richtingen energie- absorberende eigenschappen.
WO2019158710A1 (en) A mooring device and a floating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mooring device
JP5619333B2 (ja) 防舷材
AU2001236248B2 (en) Mooring device
KR102027218B1 (ko) 접이식 펜더
US4399764A (en) Passive shock mitigation system with sea water metering shock absorber
CN217267280U (zh) 一种码头防撞缓冲装置
CN220721353U (zh) 一种船舶防撞器
AU2001236248A1 (en) Mooring device
CN210975729U (zh) 一种防碰撞保护船舶用橡胶护舷
NO343522B1 (en) Universal Transfer System
CN114802638A (zh) 一种减震式抗碰撞护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