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676A -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676A
KR20210115676A KR1020200031793A KR20200031793A KR20210115676A KR 20210115676 A KR20210115676 A KR 20210115676A KR 1020200031793 A KR1020200031793 A KR 1020200031793A KR 20200031793 A KR20200031793 A KR 20200031793A KR 20210115676 A KR20210115676 A KR 20210115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unit
ship
center
buffer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861B1 (ko
Inventor
심욱보
Original Assignee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심욱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심욱보 filed Critical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86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완충부의 전체면을 골고루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완충부의 한쪽으로 편중되어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완충부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완충부의 변형되는 형태에 따라 거리가 가변되고,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의 중심에서 완충부가 축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선박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부의 일부분만 특정하여 충격흡수가 일어나지 않고 완충부가 회전하면서 완충부의 전체면이 골고루 면접촉이 이루어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롤러에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을 구성하여 회전축의 중심이 가변된 후 완충부가 원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Marine structure to prevent rotating function and damage to ships}
본 발명은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완충부의 전체면을 골고루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완충부의 한쪽으로 편중되어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완충부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완충부의 변형되는 형태에 따라 거리가 가변되고,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구조물은 선박을 부두에 묶어둘 때 또는 다른 배의 옆에 댈 때 접안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선박 또는 항만 시설물을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해상구조물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2012호와 같이 선박이 부두로 접안하는 과정에서 충격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로 제작된 몸체를 형성하고, 부두의 안벽에 설치된 체인을 상기 몸체의 양측에 연결하여 고정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상구조물은 체인에 의해 매달린 형태로, 몸체의 한쪽면은 안벽에 접촉되고 다른 쪽은 선박의 현측과 접촉되면서 선박의 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몸체의 양측면만 사용하기 때문에 몸체의 양측으로 편중되게 마모가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형태이고, 전체면을 고루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해상구조물의 사용수명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상구조물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497호와 같이 대상물의 결합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된 지지부에 결합되고,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축과 다른 제 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대상물에 인접한 선박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를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해상구조물은 선박이 접안될 시 완충부의 한쪽면이 선박의 현측과 접촉되고 선박의 가압력에 의해 완충부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충격이 흡수되며, 완충부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제 2 축의 중심에서 회전이 이루어져 완충부의 전체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선박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가 선박에 의해 완충부의 한쪽면만 접하고, 완충부의 반대쪽면은 회전부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완충부에 선박이 가압할 경우 완충부를 축 설치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축에 무리하게 힘이 전달되고, 이로 인해 완충부를 지지하지 못하고 제 2 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지지부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해상구조물은 완충부의 한쪽면이 선박과 접촉된 상태로 파도에 의해 선박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완충부가 접촉되므로 완충부가 약간의 회전만 이루어지고 완충부의 전체면을 사용할 수 없으며, 이 또한 완충부를 고루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해상구조물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32012 B1 2013.11.25. KR 10-1741497 B1 2017.01.25.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해상구조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해상구조물의 전체면을 골고루 사용할 수 있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선박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선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완충되는 과정에서 완충부의 회전축에 무리하게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해상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해상구조물의 사용수명 연장과 유지보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완충부의 중앙에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축과; 2개의 실린더를 '>'형상으로 회전축에 축 설치하여 각운동되게 형성한 가변지지수단과; 상기 가변지지수단을 전면의 양측에 설치한 고정설치판;을 포함한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완충부의 중앙에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축과; 2개의 지지바를 '>'형상으로 연결하여 각운동되게 형성하고, 전방 측면에 회전축이 축 설치될 수 있도록 축공을 형성하며, 완충부가 선박과 면 접촉될 시 완충부가 안벽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방 끝단부에 이동롤러가 구성된 가변지지수단과; 전면의 양측에 상기 이동롤러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공간을 형성한 고정설치판;을 포함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에어 펜더의 구조로된 완충부는 양측 중앙에 회전축이 축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결합턱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은 양측에 상기 회전축결합턱과 체결수단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플랜지를 형성하고, 중간에 공기홀을 형성하며, 일측 단부에 내부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에어 게이지를 형성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이동롤러와 이동롤러 사이에는 선박의 압착력이 해제될 경우 완충부의 중심이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을 더 설치 구성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이동롤러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완충부의 중심이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압착스프링을 더 구성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회전축의 중심에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완충부의 방향으로 에어, 물 또는 청소액이 분사되도록 수개의 청소노즐을 구성한 청소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축의 중심에서 완충부가 축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선박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부의 일부분만 특정하여 충격흡수가 일어나지 않고 완충부가 회전하면서 완충부의 전체면이 골고루 면접촉이 이루어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충부가 선박에 의해 압착될 시 완충부가 변형되는 형태로 완충부의 뒷부분이 고정설치판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중심이 가변될 수 있게 각운동되는 가변지지수단을 구성하여 선박의 현측과 접촉된 완충부의 면을 한정하여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완충부의 양측면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회전축에 무리하게 힘이 전달되지 않고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축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상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변지지수단의 끝단에 이동롤러를 구성하여 회전축의 중심이 원활하게 가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롤러에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을 구성하여 회전축의 중심이 가변된 후 완충부가 원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설치판에 보조롤러를 구성하여 선박에 의해 압착된 완충부가 고정부착판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고 완충부의 뒷면이 보조롤러에 면접촉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에어 펜더에 회전축을 결합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가변지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가변지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가변지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가변지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가변지지수단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가변지지수단의 제4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가변지지수단의 제5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가변지지수단의 제5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항만 시설물을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설치판(500)과 이 고정설치판(500)에 설치하여 선박의 현측에 의해 압착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완충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200)는 폼으로 채워진 폼 필드 펜더와 여러 개의 고무판을 겹겹이 적층하여 내부에 공기가 저장된 에어 펜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완충부(200)의 양측 중앙에는 회전축(300)이 축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로 함몰된 회전축결합턱(210)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축(300)은 양측에 상기 회전축결합턱(210)과 체결수단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플랜지(310)를 형성하고, 양끝단부에 가변지지수단(400)을 축 설치한다. 이때 체결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너트 등이 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것들이 제안될 수 있다.
도 3은 에어 펜더에 회전축을 결합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에어 펜더의 구조로된 완충부(200)가 설치될 경우의 회전축(300)은 양측에 상기 회전축결합턱(210)과 체결수단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플랜지(310)를 형성하고, 중간에 내부 공기가 회전축(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홀(320)을 형성하고, 일측 단부에는 내부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에어 게이지(330)를 설치하며, 양끝단부에 가변지지수단(400)을 축 설치한다.
도 4는 가변지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가변지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가변지지수단(400)은 2개의 실린더(410A) 일단이 회전축(300)에 끼워져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각운동되게 고정설치판(500)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가변지지수단(400)은 선박의 현측과 완충부가 면 접촉되어 완충부(200)의 형태에 따라 회전축(300)의 중심이 실린더(410A)의 작동으로 고정설치판(500)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설치판(500)은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의 양측에 이동공간(510)을 형성하고, 전면에 압착되는 완충부(200)가 축 회전될 수 있도록 보조롤러(520)를 한 개 또는 수개 형성한다.
도 6은 가변지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가변지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가변지지수단(400)은 2개의 지지바(410) 일단이 회전축(300)에 끼워져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각운동되게 형성한 것이다. 즉, 일측으로 회전축(300)이 축 설치될 수 있도록 축공(420)이 형성되며, 완충부(200)가 선박의 현측과 면 접촉되어 완충부(200)가 측면상 원형형태에서 타원형태로 변형될 시 완충부(200)가 안벽쪽으로 이동하여 완충부(200)의 뒷면이 고정설치판(500)쪽으로 면 접할 수 있도록 회전축(300)의 중심이 가변될 수 있게 타측 끝단부에 이동롤러(430)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설치판(500)은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의 양측에 이동롤러(430)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공간(510)을 형성하고, 전면에 압착된 완충부(200)의 뒷면이 고정설치판(500)의 전면에 밀착되지 않고 완충부(200)가 원활하게 회전축(300)의 중심에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전면의 상하부에 보조롤러(520)를 한 개 또는 수개 형성한다.
도 8은 가변지지수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변지지수단(400)은 2개의 지지바(410) 일단이 회전축(300)에 끼워져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각운동되게 형성한 것으로, 일측으로 회전축(300)이 축 설치될 수 있도록 축공(420)이 형성되며, 후방 끝단부에 이동롤러(430)가 구성된다.
상기 가변지지수단(400)의 전면에는 가변지지수단(400)과 선박의 현측이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완충패드(440)를 부착한다.
이동롤러(430)와 이동롤러(430) 사이에는 완충부(200)가 선박에 의해 압착된 형태에서 선박의 압착력이 해제될 경우 완충부(200)의 중심이 원 위치로 이동하여 복원될 수 있게 보조역할을 수행하도록 인장스프링(60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인장스프링(600)을 지지바(410)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롤러(430)에 설치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박이 접안되면서 완충부(200)를 가압하는데, 이때 2개의 지지바(410)는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해서 각운동이 이루어므로 양측 지지바(410)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롤러(430) 사이 간격이 멀어질때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스프링(600)이 늘어나게 되고, 반대로 선박에 의한 완충부(20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늘아난 인장스프링(600)이 복원되면서 2개의 지지바(410)는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해서 각운동이 이루어져 양측 지지바(410)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롤러(430) 사이 간격이 가까워져 완충부(200)를 외향으로 밀어 내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가변지지수단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변지지수단(400)의 후방 끝단부에는 고정설치판(500)의 이동공간(510)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롤러(430)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롤러(43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완충부(200)의 중심이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가변지지수단(400)이 각운동될 수 있도록 압착스프링(700)을 구성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10과 도 11은 가변지지수단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5실시예는 회전축(300)의 단부에는 완충부(200)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청소구(800)를 설치한다.
상기 청소구(800)는 회전축(300)의 중심에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완충부(200)의 방향으로 수개의 청소노즐(810)을 구성하여 에어, 물 또는 청소액을 분사시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상구조물(100)은 선박 또는 항만 시설물을 보호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축(300)의 중심에서 완충부(200)가 축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선박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선박의 현측과 접하는 완충부(200)의 일부분만 특정하여 충격흡수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측면상 원형으로 된 완충부(200)가 가압되는 선박의 압력에 완충부(200)가 타원형상으로 변형되고, 이 변형된 완충부(200)의 중심이 고정되지 않고 가변지지수단(400)의 각운동으로 완충부(200)의 중심이 안벽쪽으로 이동하여 완충부(200)에 무리하게 힘이 가해지지 않고, 이와 더불어 완충부(200)의 중심에 구성된 회전축(300)에 무리하게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회전축(300)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회전축(300)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선박에 의해 타원형상으로 압착된 완충부(200)의 뒷면이 고정설치판(500)의 전면에 밀착된 후 원 상태로 완충부(200)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완충부(200)가 회전축(300)의 중심에서 축 회전하기 때문에 완충부(200)의 전체면이 선박의 현측과 골고루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선박 현측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해상구조물(10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설치판(500)에 보조롤러(520)를 구성하여, 완충부(200)가 고정설치판(500)의 전면에 면접촉되어 마찰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완충부(200)가 원 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회전축(300)에서 완충부(200)가 회전함과 동시에 보조롤러(520)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완충부(200)의 전체면이 골고루 접촉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롤러(430)에 인장스프링(600) 또는 압축스프링(700)을 구성하여 회전축(300)의 중심이 가변된 후 완충부(200)가 원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약간의 개선점으로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으로,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선점에 대하여 실시한 동등한 변화 또는 등가의 변화,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해상구조물
200: 완충부 210: 회전축결합턱
300: 회전축 310: 연결플랜지 320: 공기홀 330: 에어 게이지
400: 가변지지수단 410: 지지바 410A: 실린더
420: 축공 430: 이동롤러
440: 완충패드
500: 고정설치판 510: 이동공간 520: 보조롤러
600: 인장스프링
700: 압착스프링
800: 청소구 810: 청소노즐

Claims (8)

  1. 완충부(200)의 중앙에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축(300)과;
    2개의 실린더(410A)를 '>'형상으로 회전축(300)에 축 설치하여 각운동되게 형성한 가변지지수단(400)과;
    상기 가변지지수단(400)을 전면의 양측에 설치한 고정설치판(500);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2. 완충부(200)의 중앙에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축(300)과;
    2개의 지지바(410)를 '>'형상으로 연결하여 각운동되게 형성하고, 전방 측면에 회전축(300)이 축 설치될 수 있도록 축공(420)을 형성하며, 완충부(200)가 선박과 면 접촉될 시 완충부(200)가 안벽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방 끝단부에 이동롤러(430)가 구성된 가변지지수단(400)과;
    전면의 양측에 상기 이동롤러(430)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공간(510)을 형성한 고정설치판(50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에어 펜더의 구조로된 완충부(200)는 양측 중앙에 회전축(300)이 축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결합턱(210)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300)은 양측에 상기 회전축결합턱(210)과 체결수단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플랜지(310)를 형성하고, 중간에 공기홀(320)을 형성하며, 일측 단부에 내부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에어 게이지(3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설치판(500)의 전면 상·하부에는 보조롤러(520)를 한 개 이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동롤러(430)와 이동롤러(430) 사이에는 선박의 압착력이 해제될 경우 완충부(200)의 중심이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600)을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43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완충부(200)의 중심이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압착스프링(700)을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의 중심에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완충부(200)의 방향으로 에어, 물 또는 청소액이 분사되도록 수개의 청소노즐(810)을 구성한 청소구(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수단(400)의 전면에는 가변지지수단(400)이 선박의 현측과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완충패드(440)를 부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KR1020200031793A 2020-03-16 2020-03-16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KR10242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93A KR102420861B1 (ko) 2020-03-16 2020-03-16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93A KR102420861B1 (ko) 2020-03-16 2020-03-16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676A true KR20210115676A (ko) 2021-09-27
KR102420861B1 KR102420861B1 (ko) 2022-07-14

Family

ID=7792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793A KR102420861B1 (ko) 2020-03-16 2020-03-16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4351A (zh) * 2021-12-20 2022-03-18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舶防撞蓄能回弹滑动缓冲消能装置
KR102433842B1 (ko) * 2022-04-13 2022-08-18 주식회사 동양알엠피 해양구조물용 펜더
EP4197896A1 (en) * 2021-12-17 2023-06-21 Ørsted Wind Power A/S Marine fender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body between a vessel and an offshore structur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63447Y (zh) * 2000-12-14 2001-12-05 刘曾凡 转动型橡胶护舷
JP2009235782A (ja) * 2008-03-27 2009-10-15 Taisei Corp 防舷材及び防舷材の補強方法
KR20120047658A (ko) * 2010-11-04 2012-05-14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
KR20130063259A (ko) * 2011-12-06 2013-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안벽 펜더로 인한 호선 도장 손상 방지장치
KR101332012B1 (ko) 2012-09-13 2013-11-25 용마산업(주) 에어 펜더용 난연성 고무커버
KR101741497B1 (ko) 2015-07-17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보호용 펜더
KR102020858B1 (ko) * 2019-07-04 2019-09-11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공기식 네오 방현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63447Y (zh) * 2000-12-14 2001-12-05 刘曾凡 转动型橡胶护舷
JP2009235782A (ja) * 2008-03-27 2009-10-15 Taisei Corp 防舷材及び防舷材の補強方法
KR20120047658A (ko) * 2010-11-04 2012-05-14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
KR20130063259A (ko) * 2011-12-06 2013-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안벽 펜더로 인한 호선 도장 손상 방지장치
KR101332012B1 (ko) 2012-09-13 2013-11-25 용마산업(주) 에어 펜더용 난연성 고무커버
KR101741497B1 (ko) 2015-07-17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보호용 펜더
KR102020858B1 (ko) * 2019-07-04 2019-09-11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공기식 네오 방현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7896A1 (en) * 2021-12-17 2023-06-21 Ørsted Wind Power A/S Marine fender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body between a vessel and an offshore structure
CN114194351A (zh) * 2021-12-20 2022-03-18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舶防撞蓄能回弹滑动缓冲消能装置
CN114194351B (zh) * 2021-12-20 2023-09-22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舶防撞蓄能回弹滑动缓冲消能装置
KR102433842B1 (ko) * 2022-04-13 2022-08-18 주식회사 동양알엠피 해양구조물용 펜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861B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861B1 (ko) 회전기능과 선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GB2575700A (en) Quickly-detachable airbag-type floating breakwater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CN202595704U (zh) 一种防船撞组件
CN103600811A (zh) 一种止链装置及锚机
US9453317B2 (en) Marine fender and method of assembly of components of same
ES2808942T3 (es) Disposición de defensa para atracar una embarcación marina en un desembarcadero de una estructura marina en alta mar
US6196150B1 (en) Fender for protecting boat hulls against wear
JP3547032B2 (ja) 係留索の緩衝装置
US3684272A (en) Conformable fender
US20100224115A1 (en) Bumper system
KR101140922B1 (ko) 접안 시설용 방충 패널
KR20120011751A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슬래밍 충격 하중 흡수 장치
JP2001030987A (ja) 船体着岸装置
JP2012107409A (ja) 浮桟橋
CN216636779U (zh) 一种漂浮式的护舷
CN203420256U (zh) 一种用于自升式平台桩腿的护舷
JP3495095B2 (ja) 弾性緩衝材付き浮体構造物の係留ロ−ラ−
CN114212206A (zh) 一种漂浮式的护舷
KR20160000614U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101443688B1 (ko) 연결도교를 이용한 함선의 연결구조
CN215367105U (zh) 一种柔性变形液压阻尼消能靠船缓冲装置
CN210338238U (zh) 一种防撞护舷
NL2018349B1 (en) Marine fender
KR102460210B1 (ko) 구조물의 방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