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677B1 -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677B1
KR102433677B1 KR1020220002209A KR20220002209A KR102433677B1 KR 102433677 B1 KR102433677 B1 KR 102433677B1 KR 1020220002209 A KR1020220002209 A KR 1020220002209A KR 20220002209 A KR20220002209 A KR 20220002209A KR 102433677 B1 KR102433677 B1 KR 102433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ase substrate
distribution
distribution cab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220002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2055/173Crown gears, i.e. gears have axially arranged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는 공동주택의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과 대응되는 구조로 'ㄷ'자 구조를 가지며 개방된 부분이 상기 베이스 기판의 개방된 부분과 마주한 상태로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변환되는 길이 변환암; 및 배전케이블의 일부가 개재되고, 상기 길이 변환암의 길이 변환으로 개재된 상기 배전케이블을 고정시켜 배선되도록 하는 케이블 배선부재;를 포함하여 배전케이블을 안저적으로 배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DISTRIBUTION CABLE WIRING DEVICE FOR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의 변압기에서 공동주택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배전케이블을 통해 각 가정으로 재분배하여야 하는데, 이때 각 가정으로 전력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배하기 위해 필요한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전케이블이 벽체 또는 천정에 미리 배선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배전케이블이 단선되거나, 새로 배선을 해야할 경우에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벽체나 천정의 외부에 배전케이블을 배선하였다.
배전케이블을 배선을 위한 장치의 일례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6680호(2014.11.4.공고)에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는 공동주택의 천정과 벽체가 연계하는 모서리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배선 공간이 구비되어 전기 통신 케이블이 배선되는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기 통신 케이블이 안착 배선되는 복수의 배선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에 탄성패드를 통해 지지되는 천정 지지부, 상기 천정 지지부의 일측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에 탄성패드를 통해 지지되는 벽체 지지부, 일측은 상기 벽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천정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천정 지지부 및 벽체 지지부와 함께 배선 공간을 마련하면서 상기 배선 공간을 개폐하는 경사형 커버부, 상기 천정 지지부의 단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경사형 커버부를 구속하여 상기 배선 공간을 폐쇄하거나 상기 경사형 커버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배선 공간을 개방토록 하는 록커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형 커버부는, 상기 벽체 지지부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이 구비된 제1커버판, 상기 제1커버판의 스프링 장착홈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일측이 상기 제1 커버판의 스프링 장착홈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록커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선 공간을 폐쇄하는 제2커버판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는 실내 천정의 모서리부를 케이블(전기, 통신, 방송 등)의 배선 공간으로 활용하여 모서리부의 미관도 개선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다수의 케이블을 신속하게 확인 가능하고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는 벽체측 배선구가 걸쳐지는 케이블을 떠 받치는 구조로 상단부를 통해 쉽게 케이블이 벽체 배선구에서 이탈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배선 공간 내부에서 케이블간 꼬여 뒤엉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꼬인 케이블들간에 합선이 일어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0170호(2002.05.28)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배전케이블을 고정부재에 위치시킨 후, 중앙에 형성된 크라운기어를 육각렌츠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와 연동하여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로 가압함으로써 해당 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배선시킬 수 있는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는 공동주택의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과 대응되는 구조로 'ㄷ'자 구조를 가지며 개방된 부분이 상기 베이스 기판의 개방된 부분과 마주한 상태로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변환되는 길이 변환암; 및 배전케이블의 일부가 개재되고, 상기 길이 변환암의 길이 변환으로 개재된 상기 배전케이블을 고정시켜 배선되도록 하는 케이블 배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의 회전부재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회전자가 고정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해당 회전자에 끼움결합되고 기립되게 형성되어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 및 일측면 중심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측면 중심으로 렌츠 삽입홀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렌츠로 회전시키는 크라운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의 길이 변환암은 일단에 피니어 기어가 결합되고, 타단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크라운 기어와 치합하여, 해당 크라운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암; 내부 일부분이 중공되고 중공된 내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암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사산과 볼트너트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암이 회전함에 따라 직선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암; 및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 고정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로 삽입관통 되는 상기 이동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의 케이블 배선부재는 판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암의 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베이스 기판에 길이방향 부분이 기립되어 고정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암이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해당 이동암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이 판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처럼 판 구조로 이루어져 판 하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상기 이동암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개수만큼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고정결합되어 상기 이동암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선되는 배전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는 복수의 배전케이블을 고정부재에 위치시킨 후, 중앙에 형성된 크라운기어를 육각렌츠로 회전시킴으로써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로 가압함으로써 한번에 안정적으로 배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가 설치되어 배전케이블이 배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의 내부 구조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의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의 이동부재의 이동으로 배전케이블이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에 슬롯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위치 변경을 통해 상이한 두께의 배전케이블 배선이 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1)는 소정 간격으로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되어 배선되는 배전케이블(2)을 지지하면서 용이하게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의 케이스가 열린 상태이고, B는 케이스가 닫힌 상태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는 베이스 기판(100), 케이스(200), 회전부재(300), 길이 변환암(400), 케이블 배선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100)는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면이나 천정면에 나사, 피스, 또는 앙카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해당 나사, 피스, 또는 앙카가 삽입될 수 있게 복수의 고정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판(100)은 단면이 ㄷ자 구조로 양측면이 폐쇄되어 있고, 이와 수직한 양측면이 개방되어 인입된 케이블이 인출되어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0)과 대응되는 구조로 ㄷ자 구조를 가지며, 개방된 부분이 상호 마주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ㄷ자 구조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개방된 부분과 상기 케이스(200)의 개방된 부분 중, 어느 하나의 개방된 부분이 더 크게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개방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이 1차로 결합된 후, 나사로 고정되어 2차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재(300)는 회전축(310), 크라운 기어(320)을 포함하는데, 상기 회전축(310)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에 베어링 등과 같은 회전자가 고정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해당 회전자에 끼움결합되어 기립되게 형성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크라운 기어(320)는 일측면 중심이 상기 회전축(310)과 연결되고, 타측면 중심으로 육각렌츠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상기 크라운 기어(320)는 사용자가 육각렌츠를 상기 육각렌츠 삽입홀에 삽입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310)의 지지를 받아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크라운 기어(320)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기어 이빨이 형성되고, 해당 기어 이빨이 하방을 향하게 상기 회전축(310)에 결합되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0)과 결합하는 경우 상기 크라운 기어(320)의 육각렌츠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육각렌츠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해당 육각렌츠 관통홀(210)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복수의 육각렌츠 고정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육각렌츠(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구조로 개방된 부분 양단에 육각블록이 형성되고, 타측 육각블록이 소정각도만큼 회동하능하게 형성되되, 일측의 육각블록은 상기 육각렌츠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상기 크라운 기어(320)의 육각렌츠 삽입홀에 삽입되어 해당 크라운 기어(320)를 회전시키고, 타측의 육각블록은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육각렌츠 고정홀(220)에 고정되어 회전시킨 상기 크라운 기어(32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길이 변환암(400)은 회전암(410), 이동암(420), 및 지지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암(410)은 일단에 피니언 기어(411)가 형성되어 타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암(410)은 일단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411)가 상기 크라운 기어(320)와 치합하여, 해당 크라운 기어(32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동암(420)은 내부 일부분이 중공되고 중공된 내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공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회전암(410)과 결합된다.
상기 이동암(420)은 중공된 중공공간으로 상기 회전암(410)이 삽입됨에 따라 내주면의 나사산과 외주면의 나사산이 치합되어 볼트너트방식으로 상기 회전암(410)이 회전하는 경우 전진하고, 반대로 상기 회전암(41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후진하여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430)는 베이스 기판(100)상에 고정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로 삽입관통 되는 상기 이동암(420)을 지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10)와 이동부재(520)로 구성되는 상기 케이블 배선부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0)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5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암(420)의 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베이스 기판(100)에 고정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510)는 직선으로 왕복운동하는 상기 이동암(42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부에 해당 이동암(420)의 직경보다 큰 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52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암(420)이 상기 고정홀(5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암(420)의 외주면과 고정홀(521)의 내주면이 용접 접합됨에 따라 상기 이동암(420)과 고정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520)와 상기 이동암(420)의 고정결합은 용접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520)는 상기 이동암(420)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이동암(420)의 이동과 연동되어 왕복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510)와 이동부재(520)는 하부에 상기 관통홀(511)과 고정홀(521)이 형성되어 있다면, 상부에 배전케이블(2)를 가압하여 고정시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배전케이블(2)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오목한 구조의 수용홈(512, 5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케이블(2)은 상기 고정부재(510)의 수용홈에 안착된 후, 상이 이동부재(520)가 상기 이동암(42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510)와 상기 이동부재(520)에 배선되게 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크라운 기어(3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411)가 회전하고, 해당 피니어 기어(411)에 결합된 상기 회전암(410)이 회전한다.
상기 회전암(410)의 회전으로 나사 결합된 이동암(420)이 상부로 이동하고, 해당 이동암(420)에 결합된 이동부재(520)도 함께 상부로 이동하여 고정부재(510)와의 간격을 넓힌다.
상기 이동부재(520)와 고정부재(510)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2)을 상기 고정부재(510) 상에 거치시키고, 작업자가 상기 크라운 기어(3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520)가 다시 하부로 이동한 후, 상기 배전케이블(2)을 가압하여 해당 배전케이블의 배선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상기 크라운 기어(320)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이 각각 상부와 하부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해 한정되지 않고 하부와 상부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기판(100) 하부에는 슬롯(1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케이블 배선부재(500)는 상기 고정부재(510)가 고정되는 슬롯(120)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고정부재(510)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두께의 배전케이블(2)을 배선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롯(120)은 배선되는 상기 배전케이블(2)의 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하부에 상기 고정부재(510)의 관통홀(511)이 형성된 높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배선부재(500)는 복수의 상기 이동부재(520)가 상기 이동암(420)에 결합된 상태로 모두 동일한 간격만큼 이동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10)의 상기 슬롯(120)에 대한 고정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이한 두께의 배전케이블(2)을 배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2 : 배전케이블
3 : 육각렌츠
100 : 베이스 기판
110 : 고정홀
200 : 케이스
210 : 육각렌츠 관통홀
220 : 육각렌츠 고정홀
300 : 회전부재
310 : 회전축
320 : 크라운 기어
400 : 길이 변환암
410 : 회전암
411 : 피니언 기어
420 : 이동암
430 : 지지부재
500 : 케이블 배선부재
510 : 고정부재
511 : 관통홀
520 : 이동부재
521 : 고정홀
512, 522 : 수용홈

Claims (4)

  1.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과 대응되는 구조로 'ㄷ'자 구조를 가지며 개방된 부분이 상기 베이스 기판의 개방된 부분과 마주한 상태로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변환되는 길이 변환암; 및
    배전케이블의 일부가 개재되고, 상기 길이 변환암의 길이 변환으로 개재된 상기 배전케이블을 고정시켜 배선되도록 하는 케이블 배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회전자가 고정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해당 회전자에 끼움결합되고 기립되게 형성되어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 및
    일측면 중심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측면 중심으로 렌츠 삽입홀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렌츠로 회전시키는 크라운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변환암은
    일단에 피니어 기어가 결합되고, 타단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크라운 기어와 치합하여, 해당 크라운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암;
    내부 일부분이 중공되고 중공된 내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암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사산과 볼트너트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암이 회전함에 따라 직선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암; 및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 고정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로 삽입관통 되는 상기 이동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배선부재는
    판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암의 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베이스 기판에 길이방향 부분이 기립되어 고정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암이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해당 이동암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이 판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처럼 판 구조로 이루어져 판 하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상기 이동암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개수만큼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고정결합되어 상기 이동암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선되는 배전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KR1020220002209A 2022-01-06 2022-01-06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KR102433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09A KR102433677B1 (ko) 2022-01-06 2022-01-06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09A KR102433677B1 (ko) 2022-01-06 2022-01-06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677B1 true KR102433677B1 (ko) 2022-08-18

Family

ID=8311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209A KR102433677B1 (ko) 2022-01-06 2022-01-06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6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70B1 (ko) 2000-06-16 2002-06-12 김정수 케이블 배선장치
KR100667006B1 (ko) * 2006-09-22 2007-01-1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공동구내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앵글 수평유지 장치
KR101352050B1 (ko) * 2013-09-27 2014-01-15 (주)반석기술단 특고압 전기 송배전선 전용 지중전선 고정대
KR102078706B1 (ko) * 2019-07-15 2020-02-19 민영석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작업용 안정장치
CN211480823U (zh) * 2020-04-01 2020-09-11 李天龙 继电保护屏电缆固定装置
KR102158588B1 (ko) * 2020-04-28 2020-09-2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CN212063293U (zh) * 2020-04-24 2020-12-01 张晔 继电保护屏电缆固定装置
KR102256155B1 (ko) * 2020-11-27 2021-05-26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70B1 (ko) 2000-06-16 2002-06-12 김정수 케이블 배선장치
KR100667006B1 (ko) * 2006-09-22 2007-01-1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공동구내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앵글 수평유지 장치
KR101352050B1 (ko) * 2013-09-27 2014-01-15 (주)반석기술단 특고압 전기 송배전선 전용 지중전선 고정대
KR102078706B1 (ko) * 2019-07-15 2020-02-19 민영석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작업용 안정장치
CN211480823U (zh) * 2020-04-01 2020-09-11 李天龙 继电保护屏电缆固定装置
CN212063293U (zh) * 2020-04-24 2020-12-01 张晔 继电保护屏电缆固定装置
KR102158588B1 (ko) * 2020-04-28 2020-09-2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256155B1 (ko) * 2020-11-27 2021-05-26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3496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moveable communication panels
KR101116862B1 (ko) 양방향 회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100658661B1 (ko) 공동주택용 경량 케이블 트레이
KR102433677B1 (ko)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CN111478185A (zh) 一种便于内置元件排线的低压开关柜
JP2010273396A (ja)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KR102148630B1 (ko) 회전과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거치대
US8246179B2 (en) Projector with lens height adjusting function
CN211089091U (zh) 一种计算机网络机房用布线结构
KR101597195B1 (ko)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CN212136900U (zh) 一种便于内置元件排线的低压开关柜
KR102355905B1 (ko) 공동주택의 내진 통합단자함
KR20220063665A (ko) 무타공 벽체 고정장치
KR101762562B1 (ko) 회전이 가능한 전력구용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2511478B1 (ko)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KR101768033B1 (ko) 적치 및 회전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케이블 지지고정판
KR20090095324A (ko) 방폭형 배전함
KR200313761Y1 (ko) 전기스탠드의 각도조절장치
CN209545045U (zh) 通信槽道
CN220456639U (zh) 一种路由器用4g天线结构
CN214034581U (zh) 一种网络地板用可调节支架
CN219633837U (zh) 一种机器人巡检导轨装置
CN212543094U (zh) 一种配电箱安装板
CN216215716U (zh) 一种装配式建筑用的简易型固线装置
CN211313046U (zh) 一种吊装万向电源装置及具有该装置的吊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