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170B1 - 케이블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170B1
KR100340170B1 KR1020000033300A KR20000033300A KR100340170B1 KR 100340170 B1 KR100340170 B1 KR 100340170B1 KR 1020000033300 A KR1020000033300 A KR 1020000033300A KR 20000033300 A KR20000033300 A KR 20000033300A KR 100340170 B1 KR100340170 B1 KR 10034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ller
wire
build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155A (ko
Inventor
이대봉
Original Assignee
김정수
단지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단지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00003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170B1/ko
Publication of KR2001011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각 층으로 공급되는 케이블들을 벽체에 집선정리하고, 이들 집선된 케이블 각각을 롤러에 의해 이동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건물 각 층으로 공급하여, 건물 외벽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케이블 공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케이블 배선장치는 건물 벽체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양측 롤러에 감기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 상기 이동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수단; 터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롤러 및 와이어를 감싸게 설치될 수 있도록 건물벽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된 케이블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 소정위치에 도어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이동시킬 때 상기 와이어에 고정된 케이블들이 운반되고, 상기 운반된 케이블들을 상기 프레임의 도어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켜키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배선장치{Cable wiring device}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각 층으로 공급되는 케이블들을 건물 벽체에 집선정리하고, 이들 집선된 케이블 각각을 롤러에 의해 이동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건물 각 층으로 공급하여, 건물 외벽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케이블 공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또는 빌딩과 같은 건물의 각 층내부에는 전기 및 전화용 케이블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케이블들이 배선된다.
이러한 케이블들은 건물 각 층에 공급되기 때문에 정리되지 않을 경우 서로 얽히게 되어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고, 건물 저층의 공급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고층의 공급에는 어려움이 있어 설치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 고층건물의 각 층에 새로운 케이블을 배선할 때는 케이블 전체를 옥상으로 이동하여 옥상에서부터 하층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층에 케이블을 배선하였고, 또한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각 층으로 공급할 때는 케이블의 단부에 노끈을 연결하여 이 노끈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각 층에 케이블을 배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케이블 배선방법은 케이블이 정리되지 않아 배선된 여러 가닥의 케이블들이 건물 외벽 여러 곳에 방치되어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고, 케이블들을 고층으로 공급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배선공수가 증가되어 배선능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 내부의 각 층으로 공급되는 케이블들을 건물 벽체에 집선정리하고, 이들 집선된 케이블 각각을 롤러에 의해 이동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건물 각 층으로 공급하여, 건물 외벽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케이블 공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케이블 배선장치는 건물 벽체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양측 롤러에 감기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 상기 이동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수단; 터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롤러 및 와이어를 감싸게 설치될 수 있도록 건물벽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된 케이블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 소정위치에 도어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이동시킬 때 상기 와이어에 고정된 케이블이 운반되고, 상기 운반된 케이블을 상기 프레임의 도어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켜 건물 각 층에 케이블을 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건물 외벽에 본 발명의 케이블 배선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열상태를 타나내는 프레임 내부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프레임 내부 정면도,
도 4 는 도 3 의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케이블이 정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수단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는 도 3 의 B-B선을 따라 단면하여 연결부재에 케이블들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C-C선을 따라 단면하여 연결부재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프레임 4 : 롤러
5 : 와이어 6 : 장력조절수단
12 : 도어 15 : 연결부재
19 : 홀더 21 : 장력조절보울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케이블 배선장치가 건물 외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있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블(1)을 감싼 프레임(2)이 건물 벽체(3)에 고정되는 데, 상기 프레임(2)은 건물 높이에 따라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케이블(1)을 감싸 보호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건물 벽체(3)에 한 쌍의 롤러(4a)(4b)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양측 롤러(4a)(4b)에는 와이어(5)가 감기어 상기 롤러(4a)(4b)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하는 와이어(5)를 이용하여 각종 케이블(1)을 운반할 수 있도록 와이어(5)에 케이블(1)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이 고정되거나 또는 착탈되고, 터널형상으로 구성되는 상기 프레임(2)이 그 내부에 상기 롤러(4a)(4b) 및 와이어(5)를 감싼 상태로 건물벽체(3)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4a)(4b)에 감겨진 와이어(5)가 이완될 때 롤러(4a)(4b)의 위치를 이동시켜 와이어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6)이 어느 일측 롤러(4a)에 더 고정된다.
또한, 상기 롤러(4a)와 연결되어 그 롤러(4a)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수단이 더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롤러(4a)(4b)는 케이블(1)을 운반할 수 있도록 감겨진 와이어(5)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어느 일측이 구동롤러가 되는 데, 도면에서는 하부의 롤러(4a)가 구동롤러가 된다. 여기서, 상부의 롤러(4b)는 벽체(3)에 돌출되게 고정된 샤프트(7)에 고정되고, 하부의 롤러(4a)는 상기 장력조절수단(6)에 고정되어 와이어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5)는 상기 한 쌍의 롤러(4a)(4b)에 감겨져 그 롤러(4a)(4b)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블(1)을 건물 상층으로 운반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5)에는 케이블(1)을 상기 와이어(5)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수단이 고정 또는 체결되는 데,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은 여러 가지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은 그 일 실시예로써 띠형상의 몸체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원형으로 감았을 때 스톱퍼에 톱니가 걸림되어 원형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통상의 타이(tie)(미도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은 도 3 에서와 같이 와이어(5) 외측에 케이블(1)을 고정하는 고정구(8)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구(8)는 도 5 와 같이 케이블(1)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이격되고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1)을 넓은 면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양측 몸체에 대략 반원형상으로 파지부(9)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8)는 상기 실시예 외에도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고정구(8)들은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것이다.
상기 프레임(2)은 상기 롤러(4a)(4b) 및 와이어(5) 그리고 장력조절수단(6) 등을 감싼 상태로 건물 벽체(3)에 고정되어 이들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2)은 몸체가 터널형상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 단부에 벽체(3)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11)가 돌출되고, 몸체의 소정위치에는 내부의 케이블(1)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12)가 설치되는 데, 상기 도어(12)는 프레임 크기에 따라 적절한 수량을 갖는다. 상기 도어(12)에는 케이블(1)이 관통되는 구멍(13)이 통공되는 데, 상기 구멍(13)에는 기밀유지용 실(14)이 장착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은 건물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높은 건물일 경우 복수개를 일렬로, 즉 길이방향으로 조립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각 프레임(2)은 도 1 및 도 7 과 같이 연결부재(15)를 이용하여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이음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5)는 도 6 과 같이 프레임(2)과 같이 터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2)이 조립되는 양측단면에 프레임(2)을 수용하는 수용홈(16)이 요입되며, 터널 내측벽에는 케이블(1)을 감싸 정리할 수 있도록 원형상의 단부에 개구부(17)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19)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19)의 수량은 연결부재(15)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되나 바람직하게는 2-4개가 좋을 것이다.
상기 홀더(19)는 상기 프레임(2)의 내측벽에도 형성되어 케이블(1)을 수용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와이어(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6)은 벽체(3)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20)과 상기 고정브래킷(20)에 가변가능하게 체결되는 장력조절보울트(21)로 구성되는 데, 상기 장력조절보울트(21)는 어느 일측 롤러(4a)에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장력조절보울트(21)가 하부 롤러(4a)에 고정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롤러(4a),(4b)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롤러(4a)와 연결되어 전기적인 동력으로 구동롤러(4a)를 회전시키는 핸드드릴(미도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핸드드릴은 통상과 같이 선단부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어가 상기 구동롤러(4a)(4b)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와 치합되게 연결하여 구동롤러(4a)를 회전시켜 케이블(1)을 운반시키게 되는 것으로, 작업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모터(미도시)의 샤프트를 구동롤러(4a)와 연결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구동롤러(4a)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구동롤러(4a)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도 8 과 같이 상기 구동롤러(4a) 일측에 핸들(22)을 장착하여 상기 핸들(22)을 회전시켜 구동롤러(4a)를 회전시켜 와이어(5)를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핸들(22)과 상기 롤러(4a) 사이에는 핸들(22)의 회전속도보다 롤러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는 가속수단(24)이 더 장착되어 롤러(4a)(4b)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가속수단(24)는 지름이 다른 2개의 기어를 치합시켜 상기 롤러(4a)와 핸들(22) 사이에 설치되게 구성할 수 있를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케이블(1)을 건물에 배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한 쌍의 롤러(4a)(4b)를 건물 벽체(3) 상하 적당위치에 설치한다. 이 때 상부 롤러(4b)는 벽체(3)에 고정된 샤프트(7)에 고정하고, 하부롤러(4a)는 장력조절수단(6)의 장력조절보울트(2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으로 상기 롤러(4a)(4b)와 와이어(5)를 감싸도록 건물 벽체(3)에 고정한다. 이 때 상기 프레임(2)은 건물의 높이에 따라 연결부재(15)를 이용하여 적절할 수량을 조립하게 되는데, 와이어(5)에 케이블(1)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롤러(4a) 상부 적당위치까지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하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상에 있는 케이블(1)을 케이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와이어(5)에 고정시키고, 이후 상기 롤러(4a)(4b)를 수작업 또는 핸들(22)을 이용하거나 핸드드릴과 또는 모터를 이용한 전기적인 동력으로 회전시켜 케이블(1)을 건물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와이어(5)에 고정된 케이블(1)이 건물 각층으로 이동하여 프레임(2)의 도어(12)에 위치되면 상기 롤러(4a)(4b)가 정지되고, 이후에 상기 운반된 케이블(1)을 고정하는 케이블(1) 고정수단에서 케이블(1)을 분리시키고 이 분리된 케이블(1)을 상기 도어(12)에 통공된 구멍(13)을 통해 프레임(2) 외부로 인출시켜 배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2)의 구멍(13)에는 기밀유지용 실(14)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실(14)이 케이블(1)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케이블(1)들을 건물 하부에서 상층으로 순차적으로 운반하여 각층에 배선하게 되는데, 상기 홀더(19)에는 도 6 과 같이 운반된 각 케이블(1)들이 수납정리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가 케이블(1)을 자주 배선하여 이완되면 상기 장력조절수단(6)의 장력조절보울트(21)를 조절하여 와이어(5)를 긴장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건물 각 층에 케이블(1)을 배선한 다음에 상기 프레임(2)을 이용하여 장력조절수단(6)을 씌워 내부에 수납된 케이블(1)을 보호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각 층으로 공급되는 케이블들을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 내부로 집선정리하여 건물 외부를 정리할 수 있으며, 이들 집선된 케이블 각각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시키고 이동된 케이블을 도어 외부로 인출시켜 건물 각 층으로 배선하여 배선공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7)

  1. 건물 벽체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양측 롤러에 감기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
    상기 이동하는 와이어에 케이블을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수단;
    터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롤러 및 와이어를 감싸 설치될 수 있도록 건물벽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된 케이블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 소정위치에 도어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이동시킬 때 상기 와이어에 고정된 케이블이 운반되고, 상기 운반된 케이블을 상기 프레임의 도어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 감겨진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어느 일측 롤러의 외부 건물 벽체에 고정브래킷이 고정되고, 이 고정브래킷에 상기 롤러와 연결되는 장력조절보울트가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연결부재에 끼움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터널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단부면에 상기 양측 프레임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요입되고, 케이블을 감싸 정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원형상의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롤러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롤러의 기어와 치합되는 핸드드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장치.
KR1020000033300A 2000-06-16 2000-06-16 케이블 배선장치 KR10034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300A KR100340170B1 (ko) 2000-06-16 2000-06-16 케이블 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300A KR100340170B1 (ko) 2000-06-16 2000-06-16 케이블 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155A KR20010113155A (ko) 2001-12-28
KR100340170B1 true KR100340170B1 (ko) 2002-06-12

Family

ID=1967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300A KR100340170B1 (ko) 2000-06-16 2000-06-16 케이블 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677B1 (ko) 2022-01-06 2022-08-18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358B1 (ko) * 2013-11-28 2015-04-09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가입자 분배를 위한 케이블 층간 분기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9240B1 (ko)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6494A (en) * 1977-10-21 1978-07-29 Hitachi Cable Ltd Cable lay out ducts
EP0024050A1 (de) * 1979-08-14 1981-02-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bfangschelle für schirmlose Kabel
JPH066926A (ja) * 1992-04-23 1994-01-1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嵌合体のけん引装置
JPH06141429A (ja) * 1992-10-27 1994-05-20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の布設装置及び器具
JPH07123558A (ja) * 1993-10-25 1995-05-12 Mirai Ind Co Ltd 懸吊車走行路を備えた配線・配管材用の管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懸吊車、並びに配線・配管装置
JPH07193954A (ja) * 1993-12-28 1995-07-28 Tec Corp 給電装置
JPH08275334A (ja) * 1995-02-01 1996-10-18 Noji Tec Kk ケーブルボックス
JPH10327524A (ja) * 1997-03-25 1998-12-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加入者系屋外設置型キャビネットへのケーブル引込み構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6494A (en) * 1977-10-21 1978-07-29 Hitachi Cable Ltd Cable lay out ducts
EP0024050A1 (de) * 1979-08-14 1981-02-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bfangschelle für schirmlose Kabel
JPH066926A (ja) * 1992-04-23 1994-01-1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嵌合体のけん引装置
JPH06141429A (ja) * 1992-10-27 1994-05-20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の布設装置及び器具
JPH07123558A (ja) * 1993-10-25 1995-05-12 Mirai Ind Co Ltd 懸吊車走行路を備えた配線・配管材用の管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懸吊車、並びに配線・配管装置
JPH07193954A (ja) * 1993-12-28 1995-07-28 Tec Corp 給電装置
JPH08275334A (ja) * 1995-02-01 1996-10-18 Noji Tec Kk ケーブルボックス
JPH10327524A (ja) * 1997-03-25 1998-12-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加入者系屋外設置型キャビネットへのケーブル引込み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677B1 (ko) 2022-01-06 2022-08-18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배전용 배전케이블 배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155A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170B1 (ko) 케이블 배선장치
CN210502954U (zh) 爬杆机器人
KR200391548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347730B1 (ko)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보온용 부직포 권취용 베어링 틀을 이용한 부직포 개폐장치
KR200385952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0805363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의 로프덮개구
KR200359293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용 로프 권취장치
EP0744253B1 (en) Industrial robot with lead wire processing device
JP7433732B2 (ja) 架空線自走機
KR101018540B1 (ko) 비닐하우스의 내부 보온덮개 개폐용 구동장치
KR100341367B1 (ko) 비닐하우스보온커텐개폐장치구조
KR100847701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정리 및 승강장치
JP2659641B2 (ja) 電動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駆動装置
KR200367816Y1 (ko)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WO2018192397A1 (zh) 幕墙机器人同步升降控制系统及其卷扬机、缆绳与滑轮架
CN107565743A (zh) 一种引出线固定防水结构
CN220306047U (zh) 一种线缆绝缘层包覆装置
KR20070016937A (ko) 친환경 광케이블 정리기
JPH0717215Y2 (ja) ケーブルクランプ機構
JP4007171B2 (ja) ケーブル接続構造
JP2000214362A (ja) 架空線への光ケ―ブル巻付け布設工法
JPS62264007A (ja) 架空線巻付型光フアイバケ−ブルの架設方法
JPH0538239Y2 (ko)
KR200324536Y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자동 이송장치
JP3792530B2 (ja)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