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478B1 -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478B1
KR102511478B1 KR1020220027457A KR20220027457A KR102511478B1 KR 102511478 B1 KR102511478 B1 KR 102511478B1 KR 1020220027457 A KR1020220027457 A KR 1020220027457A KR 20220027457 A KR20220027457 A KR 20220027457A KR 102511478 B1 KR102511478 B1 KR 102511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ort
hollow
lin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국주
Original Assignee
이수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기술단(주) filed Critical 이수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22002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3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gravity-loaded or spring-load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3Arrangements for combining access network resources elements, e.g. channel bonding
    • H04L12/2867Physical combin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Remote access server, e.g. BRAS
    • H04L12/2874Processing of data for distribution to the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 회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배선이 용이한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통전라인이 2열 종대로 배치된 기판; 상기 통전라인의 양단에 각각 입설되고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나선형태로 감기고, 다수의 상기 통전라인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 및 도전성 재질의 다수의 나선단자;로 구성되어서, 한 쌍의 회전축 각각에 구성된 나선단자가 해당 열의 통전라인별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된 커넥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나선단자의 돌출된 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다수의 라인홈이 중공의 내주면에 나란히 형성된 감김부; 상기 나선단자의 단부가 자체 탄력에 의해 밀착하며 슬라이딩하도록 라인홈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통전단자; 상기 감김부의 양단에 확장 형성된 펜스부;로 구성된 한 쌍의 보빈, 한 쌍의 상기 보빈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판에 고정되고, 해당 열의 통전라인별로 접촉해 통전하도록 전극단자가 구성되며, 외부 공유기에서 할당된 통신IP를 상기 통전라인과 하기 제2포트에 분배하는 허브 본체; 상기 허브 본체와 외부 공유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포트; 상기 허브 본체와 외부 통신단말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포트;로 구성되어서, 할당된 통신IP가 한 쌍의 상기 보빈과 제2포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도록 3채널로 분배하는 허브, 상기 감김부에 감겨서 말단이 인입출되고, 피복에 절연된 다수의 전선이 상기 통전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랜 케이블, 상기 회전축이 돌출하도록 기판을 받쳐 지지하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입구에 조임대가 돌출 형성된 맞물림홈이 판의 양단에 각각 대칭하게 형성되며, 상기 판의 측단에는 제1고정브래킷이 형성된 받침; 말단에 걸림턱이 확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받침에 설치된 스토퍼; 상기 맞물림홈이 개방되도록 받침을 덮는 형태이고, 상기 회전축의 중공을 개방하는 한 쌍의 제1관통구멍과, 스토퍼의 말단이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과, 측면에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가 관통해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제2관통구멍은 걸림턱의 관통을 위해 확장형성된 제1관통부와, 상기 걸림턱의 걸림을 위한 제2관통부가 연통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구멍은 제1포트와 제2포트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개구되어진 커버;로 구성된 케이스, 한 쌍의 상기 제1관통구멍 사이에 설치된 영구자석, 상기 제1관통구멍을 통해 회전축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탈핀; 한 쌍의 상기 삽탈핀을 연결하고, 상기 영구자석에 자화되는 자성 재질의 손잡이;로 구성된 앵커, 상기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랜 케이블을 안착하고, 상기 맞물림홈에 삽입되어서 조임대의 가압으로 지지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2고정브래킷; 상기 맞물림홈으로부터 인출된 바닥판을 덮는 덮개;로 구성된 한 쌍의 케이블 몰딩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INDOOR COMMUNICATION HUB FOR ABLE TO CONNECT EASILY TO INTERNET}
본 발명은 랜 회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배선이 용이한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된 랜 등의 데이터 통신선은 외부 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해 옥내 곳곳에 배선이 이루어진다. 특히 공공건물 등과 같은 중,대형 건물의 경우엔 옥내 공간의 증가한 규모만큼 많은 통신선이 배선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건물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설비와 기기들이 공공건물 곳곳에 설치되므로, 배선되어야 할 통신선의 종류와 개수는 급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통신선의 배선작업은 일반 전선의 배선작업과 마찬가지로 적지 않은 작업량과 작업시간의 소모가 요구되었다.
그런데 건물을 신축할 경우에는 일반 전선은 물론 통신선 자체가 현장에 구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 중 옥내외 통신을 위한 통신선이 가설치 되었다. 그런데 가설치 되는 통신선은 완공된 공공건물의 내장 통신선 못지않은 개수와 종류가 요구됨은 물론 배선의 체계 또한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추가 설치된 공유기 등의 통신장비에 유선 연결해 구축되므로 배선 구조가 오히려 더 복잡할 수 있었다. 더욱이 건물이 구축되는 과정에 병행하여 통신선 또한 연장해 손쉽게 가설치 되어야 하고, 건물의 완공 후에는 해체 또한 신속히 이루어져야 하므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설치 또한 용이한 통신선의 가설치 수단이 요구되었다.
아울러, 건물 시공 중에는 중량의 건설 장비가 통행하며 가설치 된 통신선을 밟게 되는데 이러한 통행 행태는 통신선의 훼손을 야기해서 통신 불량을 초래하므로, 가설치 된 통신선을 보호하면서도 건물의 구축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는 통신선의 가설치 수단이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0003745호(2010.04.08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신축 시 공사 작업을 위해 가설치 되는 랜 등의 통신선을 안정적이면서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공사 중에 가해지는 외압에도 훼손을 최소화하는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통전라인이 2열 종대로 배치된 기판; 상기 통전라인의 양단에 각각 입설되고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나선형태로 감기고, 다수의 상기 통전라인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 및 도전성 재질의 다수의 나선단자;로 구성되어서, 한 쌍의 회전축 각각에 구성된 나선단자가 해당 열의 통전라인별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된 커넥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나선단자의 돌출된 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다수의 라인홈이 중공의 내주면에 나란히 형성된 감김부; 상기 나선단자의 단부가 자체 탄력에 의해 밀착하며 슬라이딩하도록 라인홈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통전단자; 상기 감김부의 양단에 확장 형성된 펜스부;로 구성된 한 쌍의 보빈,
한 쌍의 상기 보빈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판에 고정되고, 해당 열의 통전라인별로 접촉해 통전하도록 전극단자가 구성되며, 외부 공유기에서 할당된 통신IP를 상기 통전라인과 하기 제2포트에 분배하는 허브 본체; 상기 허브 본체와 외부 공유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포트; 상기 허브 본체와 외부 통신단말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포트;로 구성되어서, 할당된 통신IP가 한 쌍의 상기 보빈과 제2포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도록 3채널로 분배하는 허브,
상기 감김부에 감겨서 말단이 인입출되고, 피복에 절연된 다수의 전선이 상기 통전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랜 케이블,
상기 회전축이 돌출하도록 기판을 받쳐 지지하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입구에 조임대가 돌출 형성된 맞물림홈이 판의 양단에 각각 대칭하게 형성되며, 상기 판의 측단에는 제1고정브래킷이 형성된 받침; 말단에 걸림턱이 확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받침에 설치된 스토퍼; 상기 맞물림홈이 개방되도록 받침을 덮는 형태이고, 상기 회전축의 중공을 개방하는 한 쌍의 제1관통구멍과, 스토퍼의 말단이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과, 측면에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가 관통해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제2관통구멍은 걸림턱의 관통을 위해 확장형성된 제1관통부와, 상기 걸림턱의 걸림을 위한 제2관통부가 연통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구멍은 제1포트와 제2포트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개구되어진 커버;로 구성된 케이스,
한 쌍의 상기 제1관통구멍 사이에 설치된 영구자석,
상기 제1관통구멍을 통해 회전축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탈핀; 한 쌍의 상기 삽탈핀을 연결하고, 상기 영구자석에 자화되는 자성 재질의 손잡이;로 구성된 앵커,
상기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랜 케이블을 안착하고, 상기 맞물림홈에 삽입되어서 조임대의 가압으로 지지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2고정브래킷; 상기 맞물림홈으로부터 인출된 바닥판을 덮는 덮개;로 구성된 한 쌍의 케이블 몰딩,
을 포함하는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건물 신축 시 공사 작업을 위해 가설치 되는 랜 등의 통신선을 안정적이면서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공사 중에 가해지는 외압에도 훼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에 구성된 케이스에서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에 구성된 케이스의 받침에 커넥터와 보빈의 결합 모습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과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의 회전축에 나선단자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에 구성된 케이블 몰딩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케이블 몰딩의 조립 과정을 순차 도시한 평면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에 구성된 케이스에서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는 커넥터(100; 도 3 참조)와 한 쌍의 보빈(200, 200')과 허브(700; 도 3 참조)와 랜 케이블(L, L'; 미 도시, 도 7 참조)과 케이스(300)와 영구자석(400)과 앵커(500)와 케이블 몰딩(600)으로 구성된다.
허브(700)는 외부 공유기(S)에서 할당되어 제1포트(720)을 통해 연결된 통신IP를 분배하고, 분배된 상기 통신IP를 제2포트(730)와 보빈(200, 200')을 통해 3채널로 외부 통신단말기(미 도시)와 연결시킨다.
케이스(300)는, 통신선의 일종인 랜 케이블(L, L')을 권취한 보빈(200, 200')과, 보빈(200, 200')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랜 케이블(L, L') 간의 전기적 연결(통전)을 매개하는 커넥터(100)를 감싸 보호한다. 케이스(300)는 랜 케이블(L, L')을 배선할 위치에 설치되고, 이를 위해 케이스(300)의 받침(310)에는 볼트 또는 핀 등의 고정수단이 끼워지는 제1고정브래킷(314)이 구성된다.
영구자석(400)은 케이스(300)의 받침(310)을 덮는 커버(330)를 받침(310)에 고정하는 앵커(500)를 지지한다.
케이블 몰딩(600)은 케이스(300)에 연결 고정되어서, 케이스(300)에서 인출된 랜 케이블(L, L')을 덮어 보호한다. 케이블 몰딩(600) 또한 케이스(300)와 같이 랜 케이블(L, L')을 배선할 위치에 설치되고, 이를 위해 케이블 몰딩(600)에는 볼트 또는 핀 등의 고정수단이 끼워지는 제2고정브래킷(620))이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에 구성된 케이스의 받침에 커넥터와 보빈의 결합 모습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과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의 회전축에 나선단자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의 커넥터(100)는, 다수의 통전라인(111)이 2열 종대로 배치된 기판(110); 통전라인(111)의 양단에 각각 입설되고 중공(121)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회전축(120, 120'); 회전축(120, 120')의 둘레면에 나선형태로 감기고, 다수의 통전라인(111)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 및 도전성 재질의 다수의 나선단자(130);로 구성되어서, 한 쌍의 회전축(120, 120') 각각에 구성된 나선단자(130)가 해당 열의 통전라인(111)별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기판(110)에 배치된 통전라인(111)은 랜 케이블(L, L')에 구성된 전선의 개수에 상응하게 구성된다. 다수의 통전라인(111)은 서로 절연되도록 병렬 배치되므로, 통전라인(111) 간의 혼선 없이 안정된 통전 환경을 유지한다. 또한 통전라인(111)의 2열은 서로 단선된 구조로 되어서 기판(110)의 통전라인(111)은 개회로 상태를 이룬다. 기판(110)은 공지의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제작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축(120, 120')은 통전라인(111)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기판(110)에 설치되어서 각 열의 통전라인(111)과 짝을 이루어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축(120, 120')은 기판(110)에 고정되었으나, 기판(110)을 관통해서 케이스(300)의 받침(3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나선단자(130)는 각 열별 통전라인(111)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회전축(120, 120')의 둘레면에 설치된다. 나선단자(130) 간에는 상호 간의 절연을 위해 병렬 배치되므로, 통전라인(111)과 같이 상호 간의 혼선 없이 안정된 통전 환경을 유지한다. 나선단자(130)는 도 5와 같이 2D의 나선 형태, 즉 일반적인 태엽 형태를 이루므로, 나선단자(130)의 단부(131)가 회전축(120, 120')의 둘레면에서 돌출된다. 나선단자(130)는 자체 지지력 확보를 위해서 일정한 폭을 갖는 벨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다. 나선단자(130)는 회전축(120, 120')이 짝을 이룬 열의 통전라인(111)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 쌍의 보빈(200, 200')은 회전축(120, 120')이 삽입되는 중공(212)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나선단자(130)의 돌출된 단부(131)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다수의 라인홈(213)이 중공(212)의 내주면에 나란히 형성된 감김부(210); 나선단자(130)의 단부(131)가 자체 탄력에 의해 밀착하며 슬라이딩하도록 라인홈(213)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통전단자(220); 감김부(210)의 양단에 확장 형성된 펜스부(230, 230');로 구성된다. 랜 케이블(L, L')은 감김부(210)에 각각 권취되고, 펜스부(230, 230')는 감김부(210)에 감긴 랜 케이블(L, L')의 이탈을 방지한다. 감김부(210)의 중공(212)에는 회전축(120, 12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나선단자(130)는 감김부(210)의 내주면에 마주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나선단자(130)는 중공(2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라인홈(213)에 삽입되어서, 이웃하는 다른 나선단자(130)와의 접촉 없이 절연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라인홈(213)에 삽입되어 맞물린 나선단자(130)가 보빈(200, 2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한다. 한편, 라인홈(213)의 내면에는 링 형태의 통전단자(220)가 설치되므로, 보빈(200, 200')의 회전에도 나선단자(130)의 단부(131)는 통전단자(220)와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통전단자(220)는 감김부(210)에 감긴 랜 케이블(L, L')의 전선(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한 쌍의 보빈(200, 200')에 각각 감긴 한 쌍의 랜 케이블(L, L') 각각은 통전단자(220), 나선단자(130) 및 통전라인(111)을 매개로 허브(700)와 서로 통전한다.
허브(700)는 허브 본체(710)와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로 구성된다.
허브 본체(710)는 한 쌍의 보빈(200, 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판(110)에 고정되고, 해당 열의 통전라인(111)별로 접촉해 통전하도록 전극단자(711)가 구성되며, 외부 공유기(S)에서 할당된 통신IP를 통전라인(111)과 제2포트(730)에 분배한다. 통신IP 분배를 위한 허브(700)의 IT 구성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해당 기술 구성이 장착된 허브 본체(71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포트(720)는 허브 본체(710)와 외부 공유기(S)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외부 공유기(S)에서 할당된 통신IP는 제1포트(720)를 통해 허브 본체(710)에 연결되고, 허브 본체(710)는 상기 통신IP를 다수의 채널로 분배한다. 제1포트(720)와 외부 공유기(S)는 랜 케이블(미 도시)을 통해 연결된다.
제2포트(730)는 허브 본체(710)와 외부 통신단말기(미 도시)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서 허브 본체(710)는 할당된 통신IP를 3채널로 분배하며, 제2포트(730)는 한 쌍의 보빈(200, 200')과 더불어 상기 3채널 중 1채널을 이룬다. 제2포트(730)와 외부 통신단말기는 랜 케이블(미 도시)을 통해 연결된다.
허브 본체(710)와 제1포트(720), 허브 본체(710)와 제2포트(730)는 플렉시블한 통신선(W)을 매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는 자유로운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랜 케이블(L, L')은 주지된 바와 같이 감김부(210)에 감겨서 말단이 인입출되고, 피복에 절연된 다수의 전선이 통전단자(22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랜 케이블(L)의 말단에는 포트 연결을 위한 코드(C)가 구성되므로, 공유기 또는 허브 등에 접속해서 통신할 수 있다.
케이스(300)는, 받침(310)과 스토퍼(320)와 커버(330)로 구성된다.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310)은, 회전축(120, 120')이 돌출하도록 기판(110)을 받쳐 지지하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입구에 조임대(311)가 돌출 형성된 맞물림홈(312, 312')이 판의 양단에 각각 대칭하게 형성되며, 상기 판의 측단에는 제1고정브래킷(314, 314')이 형성된다. 맞물림홈(312, 312')의 입구에 형성된 조임대(311)는 맞물림홈(312, 312')의 폭을 좁혀서, 맞물림홈(312, 312')에 삽입된 케이블 몰딩(600, 600')을 가압하며 지지한다. 맞물림홈(312, 312')은 랜 케이블(L, L')이 경유하는 구간이므로, 받침(310)의 내측 개방을 위한 개구부(313)가 구성된다. 받침(310)은 랜 케이블(L, L')의 배선 위치, 즉 벽면이나 바닥면 등에 설치되므로, 받침(310)을 고정하는 제1고정브래킷(314, 314')은 받침(310)의 측단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구성된다. 한편, 받침(310)은 보빈(200, 200')으로부터 인입출하는 랜 케이블(L, L')의 위치를 잡도록 가이드(315)가 맞물림홈(312, 312')에 대응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바아 형상의 가이드(315)는 랜 케이블(L, L')이 가이드(315)의 측면을 슬라이딩하며 개구부(313)를 경유하도록 구성되므로, 랜 케이블(L, L')은 맞물림홈(312, 312')의 중앙부로만 이동하며 케이블 몰딩(600, 600')에 안착한다.
스토퍼(320)는 말단에 걸림턱(321)이 확장 형성되고, 회전축(120, 120')과 나란하도록 받침(310)에 설치된다. 스토퍼(320)는 받침(310)을 덮는 커버(330)를 안정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 다수 개가 받침(310)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커버(330)가 기울어짐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330)는, 맞물림홈(312, 312')이 개방되도록 받침(310)을 덮는 형태이고, 한 쌍의 제1관통구멍(331)과 제2관통구멍(332)과 끼움구멍(334)이 형성된다. 제1관통구멍(331)은 회전축(120, 120')의 중공(121)을 개방하므로, 중공(121)으로 삽탈핀(510)을 삽입할 수 있다. 제2관통구멍(332)은 스토퍼(320)의 걸림턱(321)의 관통을 위해 확장형성된 제1관통부(332a)와, 걸림턱(321)의 걸림을 위한 제2관통부(332b)가 연통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받침(310)에 커버(330)를 덮기 위해서는 제1관통부(332a)를 통해 스토퍼(320)의 걸림턱(321)을 삽입하고, 걸림턱(321)이 제1관통부(332a)를 관통하면 커버(330)를 받침(310)을 따라 밀어서 걸림턱(321)이 제2관통부(332b)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결국, 걸림턱(321)은 걸림턱(321)에 비해 직경이 좁은 제2관통부(322b)와 맞물리면서 커버(330)가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330)의 측부는 받침(310)의 측단을 감싸 덮도록 플랜지(333)가 절곡 형성되어서, 커버(330)가 이탈 없이 받침(310)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된다. 한편, 끼움구멍(334)은 커버(330)의 측면에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가 관통해 끼워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는 플렉시블한 통신선(W)을 매개로 연결되므로, 커버(330)로 받침(310)을 덮을 시에 작업자는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를 자유롭게 이동시켜서 끼움구멍(334)에 삽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구멍(334)은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개구된다. 본 실시 예에서 끼움구멍(334)은 플랜지(333)의 일부가 절개되어 이루어지고,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는 끼움구멍(334)의 개방된 선단을 통해 인입출한다.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는 각각 둘레면에 홈라인(721)이 형성되어서 끼움구멍(334)의 가장자리(335)와 맞물려 슬라이딩한다. 끼움구멍(334)의 가장자리(335)의 두께를 확장하고, 이에 상응하여 홈라인(721)의 폭 또한 확장해서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가 커버(330)의 끼움구멍(334)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앵커(500)는, 제1관통구멍(331)을 통해 회전축(120, 120')의 중공(121)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탈핀(510); 한 쌍의 삽탈핀(510)을 연결하고, 영구자석(400)에 자화되는 자성 재질의 손잡이(5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삽탈핀(510)은 커버(330)가 흔들림 없이 제 위치를 유지하게 하고, 보빈(200, 200')의 회전에도 회전축(120, 120') 또한 흔들림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하게 한다. 한편, 한 쌍의 회전축(120, 120')에 각각 맞물린 한 쌍의 삽탈핀(510)은 손잡이(5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서 삽탈핀(510)의 탈착을 작업자가 일시에 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520)는 영구자석(400)의 자력에 의해 커버(330)의 표면에 고정되므로, 손잡이(520)에 연결된 삽탈핀(510)은 회전축(120, 120')의 중공(121)에 대한 삽입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에 구성된 케이블 몰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케이블 몰딩(600, 600')은, 보빈(200, 200')으로부터 인출된 랜 케이블(L)을 안착하고, 맞물림홈(312, 312')에 삽입되어서 조임대(311)의 가압으로 지지되는 바닥판(610); 바닥판(610)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2고정브래킷(620); 맞물림홈(312, 312')으로부터 인출된 바닥판(610)을 덮는 덮개(630);로 구성된다.
바닥판(610)과 덮개(630) 간의 맞물림은 바닥판(610) 및 덮개(630) 각각의 선단에 형성된 요철(611, 631)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작업으로도 바닥판(610)과 덮개(630)를 탈착시킬 수 있다. 제2고정브래킷(630)은 랜 케이블(L, L')의 배선 위치에 케이블 몰딩(60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 또는 핀 등의 고정수단이 끼워진다.
한편, 맞물림홈(312, 312')에 삽입된 바닥판(610)은 조임대(311)에 의해 측부가 가압되므로, 케이블 몰딩(600, 600')은 케이스(300)에 안정하게 고정되고, 이와 더불어 제2고정브래킷(630)에 의해 제 자세를 견고히 유지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케이블 몰딩의 조립 과정을 순차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랜 케이블(L, L')의 배선 위치에 대한 공유장치의 조립 과정을 아래와 같이 순차 설명한다.
우선, 도 7과 같이 커넥터(100)에 보빈(200, 200')이 결합된 받침(310)을 상기 배선 위치에 배치하고, 도 8과 같이 받침(310)의 제1고정브래킷(314)에 볼트(B1, B1')를 체결해서 받침(310)을 벽면에 고정한다.
이와 병행하여 케이블 몰딩(600, 600')의 바닥판(610)을 받침(310)의 맞물림홈(312)에 강제 삽입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바닥판(610)은 맞물림홈(312)의 상면으로 압입한 후에 조임대(311)로 제 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610)이 맞물림홈(312)에 삽입되면, 케이블 몰딩(600, 600')의 제2고정브래킷(620)에 볼트(B2)를 체결해서 바닥판(610)을 벽면에 고정한다.
받침(310)과 바닥판(610)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되면, 랜 케이블(L, L')의 코드(C)가 받침(310)에서는 노출되도록 보빈(200, 200')으로부터 인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랜 케이블(L, L')의 코드(C)가 케이블 몰딩(600, 600')에서도 노출되도록 보빈(200, 200')에서 충분히 인출하였다.
받침(310)에 설치된 커넥터(100)와 보빈(200, 200')을 덮어 보호하도록, 커버(330)로 받침(310)을 덮는다. 이 과정에서 제1포트(720)와 제2포트(730)를 커버(330)의 끼움구멍(334)에 삽입해서 커버(330)에 고정한다. 계속해서, 도 9의 (a)도면과 같이, 커버(330)로 받침(310)을 덮는 과정에서 받침(310)에 구성된 스토퍼(320)의 걸림턱(321)을 제2관통구멍(332)의 제1관통부(332a)에 관통시킨다. 작업자는 걸림턱(321)이 제1관통부(332a)에서 제2관통부(332b)로 이동하도록, 커버(330)를 받침(310)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결국, 걸림턱(321)은 제2관통부(322b)에 맞물려 지지하므로, 스토퍼(320)는 커버(330)를 받침(310)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커버(330)를 슬라이딩시키면서 도 9의 (b)도면과 같이 회전축(120)의 중공(121)은 제1관통구멍(331)에 연통한다.
회전축(120)의 중공(121)과 제1관통구멍(331)이 서로 연통하면, 도 10과 같이 앵커(500)의 삽탈핀(510)을 제1관통구멍(331)을 통해 중공(121)에 삽입한다. 한 쌍의 삽탈핀(510)은 손잡이(52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므로, 작업자는 손잡이(520)를 쥐고 다수의 삽탈핀(510)을 중공(121)으로 한 번에 삽입시킬 수 있다. 삽탈핀(510)이 중공(121)에 삽입된 회전축(120)은 커버(330)에 의해 말단이 지지되므로, 회전축(1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보빈(200, 200')은 흔들림 없이 안정하게 회전할 수 있고, 커버(330) 또한 받침(310)에서 이탈됨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커버(330)에는 영구자석(400)이 한 쌍의 제1관통구멍(331) 사이에 위치하므로, 자화 재질의 손잡이(520)는 영구자석(400)의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서 회전축(120)의 중공(121)에 대한 삽탈핀(510)의 삽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받침(310)과 커버(330)가 서로 결합하면, 작업자는 케이블 몰딩(600)의 덮개(630)로 바닥판(610)을 덮어서 바닥판(610)에 안착한 랜 케이블(L)이 바닥판(6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외력에 의한 랜 케이블(L)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의 과정으로 가설치된 공유장치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각 구성을 분리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커넥터 110: 기판 111: 통전라인
120, 120': 회전축 121: 중공 130: 나선단자
200, 200': 보빈 210: 감김부 212: 중공
213: 라인홈 220: 통전단자 230, 230': 펜스부
300: 케이스 310: 받침 311: 조임대
312, 312': 맞물림홈 313: 개구부 314, 314': 브래킷
315: 가이드 320, 320': 스토퍼 321: 걸림턱
330: 커버 331: 제1관통구멍 332: 제2관통구멍
332a: 제1관통부 332b: 제2관통부 333: 플랜지
400: 영구자석 500: 앵커 510: 삽탈핀
520: 손잡이 600: 케이블 몰딩 610: 바닥판
620: 제2고정브래킷 630: 덮개 700: 허브
710: 허브 본체 720: 제1포트 730: 제2포트

Claims (1)

  1. 다수의 통전라인이 2열 종대로 배치된 기판; 상기 통전라인의 양단에 각각 입설되고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으로 돌출하는 태엽 형태로 감기고, 다수의 상기 통전라인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 및 도전성 재질의 다수의 나선단자;로 구성되어서, 한 쌍의 회전축 각각에 구성된 나선단자가 해당 열의 통전라인별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된 커넥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나선단자의 돌출된 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다수의 라인홈이 중공의 내주면에 나란히 형성된 감김부; 상기 나선단자의 단부가 자체 탄력에 의해 밀착하며 슬라이딩하도록 라인홈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통전단자; 상기 감김부의 양단에 확장 형성된 펜스부;로 구성된 한 쌍의 보빈,
    한 쌍의 상기 보빈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판에 고정되고, 해당 열의 통전라인별로 접촉해 통전하도록 전극단자가 구성되며, 외부 공유기에서 할당된 통신IP를 상기 통전라인과 하기 제2포트에 분배하는 허브 본체; 상기 허브 본체와 외부 공유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포트; 상기 허브 본체와 외부 통신단말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포트;로 구성되어서, 할당된 통신IP가 한 쌍의 상기 보빈과 제2포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도록 3채널로 분배하는 허브,
    상기 감김부에 감겨서 말단이 인입출되고, 피복에 절연된 다수의 전선이 상기 통전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랜 케이블,
    상기 회전축이 돌출하도록 기판을 받쳐 지지하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입구에 조임대가 돌출 형성된 맞물림홈이 판의 양단에 각각 대칭하게 형성되며, 상기 판의 측단에는 제1고정브래킷이 형성된 받침; 말단에 걸림턱이 확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받침에 설치된 스토퍼; 상기 회전축의 중공을 개방하는 한 쌍의 제1관통구멍과, 스토퍼의 말단이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과, 측면에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가 관통해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홈에 삽입되는 바닥판의 일부분과 받침을 덮는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2관통구멍은 걸림턱의 관통을 위해 확장형성된 제1관통부와, 상기 걸림턱의 걸림을 위한 제2관통부가 연통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구멍은 제1포트와 제2포트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개구되어진 커버;로 구성된 케이스,
    한 쌍의 상기 제1관통구멍 사이에 설치된 영구자석,
    상기 제1관통구멍을 통해 회전축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탈핀; 한 쌍의 상기 삽탈핀을 연결하고, 상기 영구자석에 자화되는 자성 재질의 손잡이;로 구성된 앵커,
    상기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랜 케이블을 안착하고, 상기 맞물림홈에 일부분이 삽입되어서 조임대의 가압으로 지지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2고정브래킷; 상기 맞물림홈으로부터 인출된 부분의 바닥판을 덮는 덮개;로 구성된 한 쌍의 케이블 몰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KR1020220027457A 2022-03-03 2022-03-03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KR102511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57A KR102511478B1 (ko) 2022-03-03 2022-03-03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57A KR102511478B1 (ko) 2022-03-03 2022-03-03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478B1 true KR102511478B1 (ko) 2023-03-17

Family

ID=8587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457A KR102511478B1 (ko) 2022-03-03 2022-03-03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4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442A (ja) * 1998-10-14 2000-04-28 Akuton Technology Kk コンピュータのハブ装置
KR200428573Y1 (ko) * 2006-07-06 2006-10-16 이시철 전선과 일체로 구성된 컴퓨터 주변기기의 통합 배선장치
KR20100003745U (ko) 2008-09-30 2010-04-08 박성진 배선보호용 덕트
KR20100009222U (ko) * 2009-03-11 2010-09-24 김태수 전선 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442A (ja) * 1998-10-14 2000-04-28 Akuton Technology Kk コンピュータのハブ装置
KR200428573Y1 (ko) * 2006-07-06 2006-10-16 이시철 전선과 일체로 구성된 컴퓨터 주변기기의 통합 배선장치
KR20100003745U (ko) 2008-09-30 2010-04-08 박성진 배선보호용 덕트
KR20100009222U (ko) * 2009-03-11 2010-09-24 김태수 전선 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9548B2 (en) Adapter for mounting a faceplate of a first style to an electrical outlet cavity of a second style
US6777611B2 (en) Switch/power drop unit for modular wiring system
US7697268B2 (en) Modula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for a building
US5202538A (en) Portable power distribution cabinet
KR20080017036A (ko) 적어도 하나의 단편의 전기설비를 위한 보조 지지 프레임
EP0720264B1 (en) Track and fixture display bracket
EP0553157A1 (en) A modular wiring system
KR102511478B1 (ko)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JPH0287920A (ja) カーペット下の電力用配線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
US6099348A (en) Circuit connector block
KR102511475B1 (ko) 공공건물의 옥내 랜 회선 지지를 위한 통신선 고정기구
KR102511481B1 (ko) 옥외 통신케이블 지지기구
KR102483943B1 (ko)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트레이
US9859671B2 (en) Canopy structurally and electrically mating with a plate for attaching an electrical fixture to an electrical source
JPS62107626A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の配線システム
CA3159425A1 (en) Truss with integrated wiring
US20240106215A1 (en) Electrical Box with Internal Conductive Elements
US2006005433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H0652946A (ja) 配線装置
CA1253611A (en) Modular cable interconnection apparatus
JP5165745B2 (ja) 第1方式の面板を第2方式の電気コンセント用空洞に取り付けるためのアダプター
JP5204081B2 (ja) モジュラーコンセント
JPH05344633A (ja) 配電床設備
GB2390232A (en) Temporary electrical supply system
JPH04197013A (ja) 電気配線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