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514B1 - 등기구용 연결 소켓,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등기구용 연결 소켓,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514B1
KR102433514B1 KR1020200076013A KR20200076013A KR102433514B1 KR 102433514 B1 KR102433514 B1 KR 102433514B1 KR 1020200076013 A KR1020200076013 A KR 1020200076013A KR 20200076013 A KR20200076013 A KR 20200076013A KR 102433514 B1 KR102433514 B1 KR 102433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on socket
electrode
lumina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021A (ko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Priority to PCT/KR2020/01393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62199A1/ko
Publication of KR2021010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및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 소켓부의 대향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등기구용 연결 소켓,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CONNECTING SOCKET FOR LIGHTING EQUIPMENT, LIGHTING EQUIPMENT, LIGHTING EQUIPMENT SE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LIGHTING EQUIPMENTS}
본 개시는 등기구용 연결 소켓,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기구는 광원(光源)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천장면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등기구로서 형광등, 엘이디등 및 레일등 등이 알려져 있다.
종래에, 천장면 또는 벽면 등에 등기구가 설치될 때, 복수의 등기구가 배선으로 연결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등기구의 사이를 연결하는 각종 배선 등이 외부로 노출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직관형 등기구(직선의 관형태로 이루어진 등기구)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등기구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상황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각종 배선 등의 노출을 막기 위하여, 등기구들 사이에 연결 브라켓을 구비하여, 연결 브라켓의 내부에 배선 등이 배치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한국등록특허 제10-1679656호).
한편, 종래에는, 등기구의 일단부에 정해진 형상의 단자 홈을 형성하고 등기구의 타단부에 상기 단자 홈에 삽입 가능한 단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직관형 등기구를 서로 직접 연결시켜 통전시킬 수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9656호 (2016년 11월 21일 등록)
종래의 등기구 연결 브라켓은, 복수의 등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 작업과 배선 등의 노출을 차단하는 연결 브라켓의 설치 작업 등이 필요하여,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종래의 단자 돌기 및 단자 홈을 가진 등기구는 정해진 각도로만 서로 직접 연결이 가능하여, 복수의 등기구를 원하는 각도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 작업이 추가되고 외부로 배선이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등기구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및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 소켓부의 대향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은, 상기 대향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는 다른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소켓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면보다 상단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의 최상단면의 레벨은 상기 프레임의 최상단면의 레벨보다 낮거나 상기 프레임의 최상단면의 레벨과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대응 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응 소켓은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대응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연결 소켓이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은, 상기 대향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전극 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전극 핀이 삽입 가능한 핀 삽입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는, 상기 전극 핀이 상기 핀 삽입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 핀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고 서로 다른 전극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2개의 전극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전극 핀이 삽입 가능한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향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1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는, 상기 2개의 전극 핀이 상기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 중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향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는, 상기 2개의 전극 핀이 상기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 중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2개의 전극 핀이 상기 핀 삽입 홀에 삽입될 때, 상기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 중 상기 전극 핀이 삽입되지 않은 핀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 중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되고,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중 임의의 어느 하나에 상기 전극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 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사이의 간격은 상기 2개의 전극 핀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전극 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전극 핀이 삽입 가능한 핀 삽입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핀은, 상기 전극 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부의 반경 외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다른 전극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향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1 상태 및 상기 대향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는, 상기 전극 핀이 상기 핀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를 통해 상기 광원에 전원이 공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전극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전극 접촉부; 및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전극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측면은 등기구에 이용되는 등기구용 연결 소켓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연결 소켓은 상기 등기구에 이용되는 연결 소켓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용 연결 소켓은,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 및 광원이 배치되는 외부의 프레임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 소켓부의 대향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전극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등기구 세트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세트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프레임; 및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 소켓부의 대향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등기구와 제2 등기구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등기구는,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제2 등기구의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를 가진 연결 소켓을 포함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은, 상기 제1 등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등기구의 상기 연결 소켓부의 대향 방향을 변경하는 대향 방향 변경 단계; 및 상기 제1 등기구의 상기 연결 소켓부를 상기 제2 등기구의 상기 소켓과 연결하는 연결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향 방향 변경 단계에서, 상기 연결 소켓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키거나 탈부착시킴으로써, 상기 대향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등기구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복수의 등기구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작업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도 복수의 등기구를 원하는 각도로 연결시켜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등기구를 연결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외부로 배선이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등기구(1)의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등기구(1)의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 프레임(13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등기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부품들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 부품들만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품들을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 및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2 파트(130B)를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부품들을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 및 다른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제1 파트(130A)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등기구(1)의 일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1')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등기구(1)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1'')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등기구(1)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1''')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등기구(1)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연결 소켓(30'''') 및 연결 프레임(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연결 소켓(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등기구(1'''')의 종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5의 제1 파트(130A)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등기구(2)의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4은 도 22의 등기구(2)의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 프레임(13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은 도 22의 등기구(2)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는 도 22의 등기구(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일부 부품들만의 분해 사시도 및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연결 소켓(30)에 연결 프레임(130)의 제1 파트(130C)가 결합되고 연결 프레임(130)의 제2 파트(130D)가 분리된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연결 소켓(30)에 연결 프레임(130)이 결합된 종단면도 및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0은 도 26의 연결 소켓(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3)의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4)의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등기구(4)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 및 대응 소켓(4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5)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은 도 34의 등기구(5)의 종단면도이다.
도 36는 도 34의 등기구(2)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4의 등기구(5)의 일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5')의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6)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등기구(6)의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등기구(6)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41는 도 38의 등기구(6)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는 도 38의 등기구(6)의 일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6')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7)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4은 도 43의 등기구(7)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5은 도 43의 등기구(7)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내측 방향이 되도록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6 및 도 47은 도 43의 프레임(10)과 연결 소켓(9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48 및 도 49는 도 43의 등기구(7)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50은 도 48의 일부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1는 도 43의 등기구(7)의 종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43의 등기구(7)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단자(93a, 93b), 전극 핀(96a, 96b) 및 접촉부(70, 80)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3은 도 52의 등기구(7)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단자(93a, 93b), 전극 핀(96a, 96b) 및 접촉부(70, 80)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4은 본 개시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8)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5은 도 54의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6는 도 54의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내측 방향이 되도록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7은 도 54의 연결 소켓(90)의 사시도이다.
도 58은 도 54의 등기구(8)를 일단 방향(Y1)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프레임(10)과 연결 소켓(9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9는 도 54의 등기구(8)의 종단면도이다.
도 60은 도 54의 등기구(8)의 일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8')를 일단 방향(Y1)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프레임(10)과 연결 소켓(9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1는 도 60의 등기구(8')의 종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U)", "하(D)", "길이 방향(Y1, Y2)", "폭 방향(X1, X2)”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양 방향인 길이 방향(Y1, Y2)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길이 방향(Y1)으로 정의하고 다른 한 방향을 제2 길이 방향(Y2)으로 정의하며, 양 방향인 폭 방향(X1, X2)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폭 방향(X1)으로 정의하고 다른 한 방향을 제2 폭 방향(X2)으로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등기구가 외부의 부착면(예를 들어, 천장면 또는 벽면)을 바라보는 방향이 상측 방향(U)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측 방향(D)으로 광원(L)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른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Y1, Y2)으로 등기구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등기구 세트는 광원(L) 및 광원(L) 배치되는 등기구를 포함한다. 광원(L)은 상기 등기구의 프레임(10)에 배치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등기구에 광원(L)이 일체로 배치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등기구는 광원(L)과 별개로 공급되고 상기 등기구에 교체 가능하게 광원(L)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L)은 형광등, LED 등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0)과,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소켓부(31, 91)를 가진 연결 소켓(30, 30'', 30''', 30'''', 90, 90')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의 다른 소켓은 해당하는 등기구의 외부의 다른 등기구(M)의 소켓을 의미한다.
연결 소켓부(31, 91)는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후술할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등기구(1, 1', 1'', 1''', 1'''', 2, 4, 5, 5', 6', 7, 8, 8')의 상기 연결 소켓은 외부의 다른 소켓에 삽입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 소켓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 후술할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등기구(3, 5, 5', 6, 6')의 상기 연결 소켓은 외부의 다른 소켓이 삽입 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상기 연결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 소켓(30, 30'', 30''', 30'''', 90, 90')은,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 소켓부(31, 91)의 대향 방향(F)을 변경 가능하도록 프레임(10)에 배치된다. 본 개시에서 "대향 방향"은, 상기 등기구의 연결 소켓부(31, 91)가 외부의 다른 소켓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의 다른 소켓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는, 등기구(1, 1', 1'', 1''', 1'''', 2, 3, 4, 5, 5', 6, 6', 7, 8, 8')에 이용되는 등기구용 연결 소켓(30, 30'', 30''', 30'''', 90, 90')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상기 등기구용 연결 소켓은,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31, 9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여분의 상기 등기구용 연결 소켓이 제공되거나, 상기 등기구 또는 상기 등기구 세트를 제조하기 위해 제조업자에게 공급되는 상기 등기구용 연결 소켓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연결 소켓(30, 30'', 30''', 30'''', 90, 90')은, 대향 방향(F)을 변경 가능하도록,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2를 참고하여,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 1', 1'', 1''', 1'''', 2, 3, 4, 5, 5', 6, 6')의 연결 소켓(30, 30'', 30''', 30'''')은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 소켓부(31)의 대향 방향(F)을 변경 가능하도록 프레임(10)에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43 내지 도 61를 참고하여, 제7 및 제8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7, 8, 8')의 연결 소켓(90, 90')은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 소켓부(91)의 대향 방향(F)을 변경 가능하도록 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등기구(1)의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고하여, 등기구(1)는 길이 방향(Y1, Y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등기구(1)에는 하측으로 광을 발산하도록 광원(L)이 배치될 수 있다. 등기구(1)의 상측면이 외부의 부착면(예를 들어, 천장면 또는 벽면)에 부착되어, 등기구(1)가 설치될 수 있다. 등기구(1)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배치되는 연결 소켓(30)을 포함한다.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에 대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회전축"은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소정의 회전축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샤프트(shaft)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돌출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10)은 길이 방향(Y1, Y2)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광원(L)은 프레임의 길이 방향(Y1, Y2)을 따라 프레임(10)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Y1, Y2)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의 제1 길이 방향(Y1)의 단부에 배치된다.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의 하단면보다 상단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등기구(1)의 하측 부분에 광원(L)이 배치 가능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면서도, 등기구(1)의 상측 부분에서는 연결 소켓(30)을 위한 배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에서 후술할 광원 배치 공간(110t)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상기 회전축은, 연결 소켓부(31)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을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상기 회전축은 길이 방향(Y1, Y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등기구(1)를 효율적으로 연장시켜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연장되는 방향을 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Y1, Y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하 방향(U, D) 또는 폭 방향(X1, X2)이 있을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시예에서, 연결 소켓(30)의 최상단면의 레벨(level)은 프레임(10)의 최상단면의 레벨보다 낮거나 프레임(10)의 최상단면의 레벨과 같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등기구가 부착되는 외부의 부착면(예를 들어, 천장면 또는 벽면)의 간섭없이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을 원활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등기구(1, 1', 1'''')의 연결 소켓(30)의 최상단면의 레벨은 프레임(10)의 최상단면의 레벨보다 낮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등기구(1'', 1''', 2, 3, 4, 5, 5', 6, 6', 7, 8, 8')의 연결 소켓(30)의 최상단면의 레벨은 프레임(10)의 레벨과 최상단면과 같다.
등기구(1)는 프레임(10)에 배치되는 대응 소켓(4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응 소켓(40)은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대응 소켓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 소켓(40)은 상기 외부의 다른 소켓에 배치된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대응 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대응 단자는 금속 등의 전기 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대응 단자는 대응 소켓부(41)의 내부에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대응 단자는 상기 외부의 다른 소켓의 단자와 맞물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 단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는 외부의 다른 등기구(M)에 대응 소켓(40)이 도시되나, 외부의 다른 등기구(M)는 등기구(1)와 같은 형태의 등기구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Y1, Y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대응 소켓(40)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Y1, Y2)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응 소켓(40)은 프레임(10)의 제2 길이 방향(Y2)의 단부에 배치된다.
도 3은 도 1의 등기구(1)의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 프레임(13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여, 프레임(10)은, 광원(L)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의 하측부에는 광원(L)이 배치되는 광원 배치 공간(110t)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배치 공간(110t)은 폭 방향(X1, X2)보다 길이 방향(Y1, Y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에는 연결 프레임(13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10s)이 형성된다. 삽입 공간(110s)은 광원 배치 공간(110t)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 공간(110s)은 제1 길이 방향(Y1)으로부터 제2 길이 방향(Y2)으로 함몰되어, 연결 프레임(130)의 일부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삽입 공간(110s)에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연결 소켓(30)이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과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제조 과정에서 연결 소켓(30), 연결 프레임(130) 및 메인 프레임(110)을 서로 조립하는 과정 및 내부의 전선이나 회로기판 등을 설치하는 과정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연결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삽입 공간(110s)에 삽입되는 삽입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33)는 제2 길이 방향(Y2)으로 돌출된다. 삽입부(133)는 전체적으로 박스형일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결합 대응부(119)에 결합되는 결합부(139)를 포함한다. 결합부(139) 및 결합 대응부(119) 중 어느 하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홈 또는 홀에 걸림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대응부(119)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고, 결합부(139)는 결합 대응부(119)에 걸림되는 후크를 포함한다.
결합부(139)는 연결 프레임(130)의 삽입부(133)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39)의 상측면은 제2 길이 방향(Y2)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대응부(119)는 메인 프레임(110)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등기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부품들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 부품들만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품들을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 및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연결 소켓(30)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연결 소켓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연결 소켓 바디(3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소켓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외부의 다른 소켓에 배치된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단자(33)를 포함한다.
연결 단자(33)는 금속 등의 전기 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연결 단자(33)는 상기 외부의 다른 소켓의 단자와 맞물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단자(33)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가 연결 소켓부(31)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는 양(plus)극의 연결 단자와 음(minus)극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부(31)의 내부에 한 쌍의 연결 단자(33)가 배치될 수 있다.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소켓부(31)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연결 단자(33)는 연결 소켓부(31)의 대향 방향(F)으로 개방된 한 쌍의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연결 단자(33)는 상기 연결 소켓부의 함몰된 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서로 결합하는 제1 연결 소켓 파트(30A)와 제2 연결 소켓 파트(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소켓(30)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연결 작업과 연결 소켓(30)의 프레임(10)과의 결합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A)와 제2 연결 소켓 파트(30B)는 서로 결합하여 연결 소켓(30)의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연결 소켓(30)의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 단자(33)와 연결된 전선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A)는 연결 소켓(30)의 하측면 형성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소켓 파트(30B)는 연결 소켓(30)의 상측면(35) 및 연결 소켓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A)의 후크(30A1)가 제2 연결 소켓 파트(30B)의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후크 걸림부(30B1)에 걸림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하측면 형성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면 형성부(34)는 연결 프레임(130)의 제1 파트(130A)의 상측면을 마주볼 수 있다. 하측면 형성부(34)에 축 삽입 홀(30h)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면 형성부(34)에 후술할 제1 관통 홀(30g)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상측면(35)은 연결 프레임(130)의 제2 파트(130B)의 하측면을 마주볼 수 있다. 상측면(35)에 축 삽입 홀(30h)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광원(L)을 지지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상측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부(110A)와 하측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부(110B)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커버부(111)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부(110B)의 적어도 하측면은 투과 커버부(111)일 수 있다. 투과 커버부(111)는 투과되는 광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내부에 배치되어 광원 배치 공간(110t)과 삽입 공간(110s)을 구분하는 격벽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부(110B)와 격벽부(112)는 광원 배치 공간(110t)을 구획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부(110A)와 격벽부(112)는 삽입 공간(110s)을 구획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은 연결 소켓(30)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은 서로 결합하는 제1 파트(130A)와 제2 파트(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30A)와 제2 파트(130B)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트(130A)와 제2 파트(130B)는 연결 소켓(30)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트(130A)와 제2 파트(130B)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결합 돌기(136a)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결합 돌기(136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홈(136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은 연결 소켓(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31)는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부(131)는 전체적으로 판형상일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은 광원 배치 공간(110t)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말단 커버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말단 커버부(132)는 베이스부(131)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부(131) 및 말단 커버부(132)는 제1 파트(130A)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은 연결 소켓(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 커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커버부(134)와 베이스부(131)의 사이에 연결 소켓(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면 커버부(134)는 삽입부(133)에서 제1 길이 방향(Y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은 연결 소켓(30)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어 만곡된 표면을 형성하는 회전 가이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135)를 형성함으로써, 연결 소켓(30)의 회전시 프레임(10)에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135)는 연결 소켓(30)의 제2 길이 방향(Y2)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135)의 상단에 상면 커버부(134)가 연결될 수 있다. 상면 커버부(134)와 베이스부(131)는 제2 파트(130B)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연결 소켓(30) 및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회전 축부를 포함하고, 연결 소켓(30) 및 프레임(10)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 축부가 삽입되는 축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이 연결 소켓(30)을 향해 돌출된 회전 축부(138a, 138b)를 포함하고 연결 소켓(30)에 축 삽입 홀(30h)이 형성되나, 후술하는 제2 실시예 등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 소켓(30)이 상기 회전 축부를 포함하고 프레임(10)에 상기 축 삽입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 축부(138a, 138b)는 상기 회전축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축부(138a, 138b)는 베이스부(1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제1 회전 축부(138a)와 상면 커버부(134)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2 회전 축부(138b)를 포함한다. 연결 소켓(30)에는 제1 회전 축부(138a)가 삽입되는 축 삽입 홀(30h)과 제2 회전 축부(138b)가 삽입되는 축 삽입 홀(30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축부(138a)와 제2 회전 축부(138b)는 상기 회전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축부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나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축부(138a)는 최상단을 형성하는 상단면(138a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축부(138a)는 상단면(138a1)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측면을 형성하는 단차면(138a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면(138a2)은 상단면(138a1)보다 상기 회전축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회전 축부(138b)는 최하단을 형성하는 하단면(138b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면(138b1)은 제1 회전 축부(138a)의 단차면(138a2)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회전 축부(138b)는 하단면(138b1)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하측면을 형성하는 단차 대응면(138b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 대응면(138b2)은 제1 회전 축부(138a)의 상단면(138a1)에 접촉될 수 있다. 하단면(138b1)은 단차 대응면(138b2)보다 상기 회전축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후크(138a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후크(138a3)는 제1 회전 축부(138a)에 형성된다. 걸림 후크(138a3)는 연결 소켓(30)의 내측면에 걸림되어 연결 소켓이 상기 회전 축부로부터 뽑히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걸림 후크(138a3)의 상측면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제2 파트(130B)를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여, 연결 소켓(30)은, 연결 소켓(30)이 제1 회전 방향(C1)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제1 리미트 상태)에서 프레임(10)에 접촉하게 구성되는 제1 리미트(30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연결 소켓(30)이 제1 회전 방향(C1)의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C2)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제2 리미트 상태)에서 프레임(10)에 접촉하게 구성되는 제2 리미트(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방향(C1) 및 제2 회전 방향(C2)은 연결 소켓(30)의 회전 방향인 양 방향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를 의미한다.
프레임(10)은, 상기 제1 리미트 상태에서 제1 리미트(30c)와 접촉하는 제1 리미트 대응부(10c)와, 상기 제2 리미트 상태에서 제2 리미트(30d)와 접촉하는 제2 리미트 대응부(1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미트 상태에서, 연결 소켓(30)이 더 이상 제1 회전 방향(C1)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1 리미트(30c)는 제1 리미트 대응부(10c)에 걸림된다. 상기 제2 리미트 상태에서, 연결 소켓(30)이 더 이상 제2 회전 방향(C2)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2 리미트(30d)는 제2 리미트 대응부(10d)에 걸림된다.
연결 소켓(30)은, 연결 소켓(30)의 회전 시 회전 가이드부(135)에 걸림되지 않도록 모따기 형상 또는 라운드진 형상의 코너부(30f)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부(30f)는 연결 소켓 바디(32)의 측면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부품들을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 및 다른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제1 파트(130A)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을 기준으로 대향 방향(F)이 기설정된 방향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 및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30b)를 포함한다. 연결 소켓(30) 및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는 연결 소켓(30)이 회전하여 대향 방향(F)이 기설정된 방향일 때 스토퍼(30b)가 걸림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걸림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을 통해,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소켓(30)이 스토퍼(30b)를 포함하고 프레임(10)이 걸림부(10b)를 포함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이 스토퍼(30b)를 포함하고 연결 소켓(30)이 걸림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0b)는 연결 소켓(3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0b)는 베이스부(131)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걸림부(10b)가 구비되나, 오직 하나의 걸림부(10b)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걸림부(10b)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10b)는 대향 방향(F)이 제1 길이 방향(Y1)일 때 걸림부(10b)가 걸림되는 제1 걸림부(10b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10b)는 대향 방향(F)이 제1 폭 방향(X1)일 때 걸림되는 제2 걸림부(10b2)와, 대향 방향(F)이 제2 폭 방향(X2)일 때 걸림되는 제3 걸림부(10b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에는 프레임(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관통 홀(30g)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에는 제1 관통 홀(30g)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2 관통 홀(10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30g) 및 제2 관통 홀(10g)은 서로 연결되어 연결 소켓(30)의 내부 공간과 프레임(10)의 내부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등기구(1)는 연결 소켓(30)의 내부로부터 프레임(10)의 내부로 제1 관통 홀(30g) 및 제2 관통 홀(10g)을 통과하며 연장되는 전선(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50)을 통해 연결 단자(33)와 광원(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단자(33)와 광원(L)은 전선(50)에 의해 회로기판이나 후술하는 컨버터(60)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30g)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 홀(10g)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30g)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프레임(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 홀(10g)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프레임(1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제1 관통 홀(30g) 및 제2 관통 홀(10g)이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이 프레임(10)에 대해 회전 가능 범위 내에서 회전할 때, 전선(50)이 제1 관통 홀(30g) 및 제2 관통 홀(10g)의 상기 중첩되는 범위를 통과할 수 있다(도 11 참고). 이를 통해, 연결 소켓(30)의 회전시 전선(50)이 간섭되지 않게 하고 전선(50)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등기구(1)의 일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1')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등기구(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2에 따른 등기구(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를 참고하여, 등기구(1')는 회전 축부(138a', 138b')를 가진 연결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30A')는 베이스부(131)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하는 제1 회전 축부(138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축부(138a')는 스크류 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일 수 있다. 제1 회전 축부(138a')는 제2 회전 축부(138b')의 하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파트(130B')는 하단이 베이스부(131)에 접촉되는 제2 회전 축부(138b')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1')는 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컨버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60)는 전선(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또는 후술할 실시예에서도 컨버터(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등기구(1)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1'')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등기구(1, 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3에 따른 등기구(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기구(1'')는 상면 커버부(134)가 없는 연결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연결 소켓(30'')의 상측면(35'')은 연결 프레임(13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등기구(1'')는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와, 프레임(10)의 회전 축부(138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에는 회전 축부(138a'')가 삽입되는 축 삽입 홀(30h)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회전 축부(138a'')는 스크류 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일 수 있다. 프레임(10)의 회전 축부(138a'')는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의 하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회전 축부(138a'')는 베이스부(131)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는 연결 소켓(30'')의 상측의 내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의 하단은 베이스부(131)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등기구(1)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1''')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4에 따른 등기구(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기구(1''')는 상면 커버부(134)가 없는 연결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연결 소켓(30''')의 상측면(35''')은 연결 프레임(13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등기구(1''')는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와, 프레임(10)의 회전 축부(138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는 스크류 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일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는 프레임(10)의 회전 축부(138a''')의 상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는 연결 소켓(30''')의 상측면(35''')을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회전 축부(138a''')는 베이스부(131)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회전 축부(138a''')의 상단은 연결 소켓(30''')의 내측의 상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등기구(1)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연결 소켓(30'''') 및 연결 프레임(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연결 소켓(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등기구(1'''')의 종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5의 제1 파트(130A)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 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5 내지 도 21에 따른 등기구(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등기구(1'''')의 프레임(10)은 연결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등기구(1'''')는 연결 소켓(30'''')을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130'''')은 서로 결합하는 제1 파트(130A)와 제2 파트(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30A)는 서로 결합하는 제1 프레임 파트(130A1)와 제2 프레임 파트(130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파트(130A1)는 제1 길이 방향(Y1)을 바라보는 걸림면(A11)을 포함하고, 제2 프레임 파트(130A2)는 제2 길이 방향(Y2)을 바라보고 걸림면(A11)에 접촉하는 걸림 대응면(A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파트(130A2)는 제1 프레임 파트(130A1)의 걸림면(A11)이 형성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홀(A2g)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파트(130A1)와 제2 프레임 파트(130A2)는 서로 결합하여 제2 관통 홀(10g)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관통 홀(10g)은 홀(A2g)의 일부를 구성한다. 홀(A2g)은 제2 관통 홀(10g)보다 길이 방향(Y1, Y2)으로 더 길게 형성되고, 홀(A2g)의 경계의 일부 및 제1 프레임 파트(130A1)의 일부가 제2 관통 홀(10g)의 경계가 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파트(130A1)와 제2 프레임 파트(130A2)의 결합 시, 제1 프레임 파트(130A1)의 걸림면(A11)이 형성된 부분(A13)이 홀(A2g)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 파트(130A1)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하여 걸림면(A11)이 걸림 대응면(A21)에 접촉 걸림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의 제1 길이 방향(Y1)을 바라보는 면이 제2 프레임 파트(130A2)에 제1 길이 방향(Y1)으로 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제2 프레임 파트(130A2)는 길이 방향(Y1, Y2)으로 걸림 대응면(A21)과 프레임(10) 사이에 끼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 파트(130A1)는 제2 파트(130B)에 고정되고, 제2 파트(130B)는 길이 방향(Y1, Y2)으로 프레임(10)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프레임(10)의 각 부품들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파트(130A1)와 제2 프레임 파트(130A2)는 서로 결합하여 걸림부(10b)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10b)의 경계의 제1 부분(A12)은 제1 프레임 파트(130A1)가 형성하고 제2 부분(A22)은 제2 프레임 파트(130A2)가 형성할 수 있다. 제1 부분(A12)은 제2 부분(A22)의 제2 길이 방향(Y2) 측에 위치하여 제2 부분(A22)을 바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10ba, 10bb)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10ba, 10bb)는 폭 방향(X1, X2)으로 이격된 한 쌍의 걸림부(10ba, 10b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부(10ba, 10bb)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서로 90˚의 회전각 차이가 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10ba, 10bb)가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복수의 걸림부(10ba, 10bb)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부분(A12)이 구비되고, 복수의 걸림부(10ba, 10bb)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부분(A22)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10ba, 10bb)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스토퍼(30b1, 30b2)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30b1, 30b2)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30b1, 30b2)는 폭 방향(X1, X2)으로 이격된 한 쌍의 스토퍼(30b1, 30b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30b1, 30b2)는 한 쌍의 걸림부(10ba, 10bb)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30b1, 30b2)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서로 90˚의 회전각 차이가 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파트(130A1)와 제2 프레임 파트(130A2)는 서로 결합하여 베이스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131)는 제1 프레임 파트(130A1)의 제1 베이스부(A13)와 제2 프레임 파트(130A2)의 제2 베이스부(A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파트(130A1)에 말단 커버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파트(130A1)에 회전 축부(138a)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서로 결합하는 제1 연결 소켓 파트(30A)와 제2 연결 소켓 파트(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A)는 대향 방향(F)으로 제2 연결 소켓 파트(30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 소켓 파트(30B)는 하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된 걸림 리브(30B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리브(30B2)에 의해 제1 연결 소켓 파트(30A)의 하측면이 걸림되어 제1 연결 소켓 파트(30A)가 제2 연결 소켓 파트(30B)으로부터 하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A)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된 리브 홈(30A2)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 홈(30A2)에 걸림 리브(30B2)가 삽입될 수 있다. 제조 시, 걸림 리브(30B2)가 리브 홈(30A2)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제1 연결 소켓 파트(30A)는 대향 방향(F)으로 제2 연결 소켓 파트(30B)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리미트 돌기(39)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 돌기(39)는 프레임(10)의 제2 관통 홀(10g)에 삽입되어, 연결 소켓(30'''')이 프레임(10)에 대해 어느 한 회전 방향으로 소정 범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리미트 돌기(39)의 제1 회전 방향(C1)을 바라보는 측면은 제1 리미트(30c)를 형성하고, 리미트 돌기(39)의 제2 회전 방향(C2)을 바라보는 측면은 제2 리미트(30d)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관통 홀(10g)의 제1 회전 방향(C1)으로의 경계를 형성하는 면은 제1 리미트 대응부(10c)를 형성하고, 제2 관통 홀(10g)의 제2 회전 방향(C2)으로의 경계를 형성하는 면은 제2 리미트 대응부(10d)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미트 상태에서 제1 리미트(30c)와 제1 리미트 대응부(10c)가 서로 접촉하고, 상기 제2 리미트 상태에서 제2 리미트(30d)와 제2 리미트 대응부(10d)가 서로 접촉한다.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여, 등기구(1'''')는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이 달라짐에 따라 복수의 스토퍼(30b1, 30b2)와 복수의 걸림부(10ba, 10bb)의 맞물림 상태가 달라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향 방향(F)이 제1 길이 방향(Y1)인 상태에서, 제1 스토퍼(30b1)는 제1 걸림부(10ba)에 삽입되고 제2 스토퍼(30b2)는 제2 걸림부(10bb)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대향 방향(F)이 제1 폭 방향(X1)인 상태에서, 제1 스토퍼(30b1)는 제2 걸림부(10bb)에 삽입되고 제2 스토퍼(30b2)는 제2 관통 홀(10g)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대향 방향(F)이 제2 폭 방향(X2)인 상태에서, 제2 스토퍼(30b2)는 제1 걸림부(10ba)에 삽입되고 제1 스토퍼(30b1)는 제2 관통 홀(10g)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등기구(2)의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4은 도 22의 등기구(2)의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 프레임(13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은 도 22의 등기구(2)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는 도 22의 등기구(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일부 부품들만의 분해 사시도 및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연결 소켓(30)에 연결 프레임(130)의 제1 파트(130C)가 결합되고 연결 프레임(130)의 제2 파트(130D)가 분리된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연결 소켓(30)에 연결 프레임(130)이 결합된 종단면도 및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0은 도 26의 연결 소켓(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 1''', 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22 내지 도 30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2 내지 도 25을 참고하여, 등기구(2)의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에 따른 대향 방향(F)의 변경 기능 및 등기구(2)의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 프레임(130)의 결합 구조는, 상술한 등기구(1)의 기능 및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30을 참고하여, 등기구(2)의 메인 프레임(110)은 서로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부(110C)와 하부 케이스부(11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부(110C)에 격벽부(112) 및 삽입 공간(110s)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부(110D)에 투과 커버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부(110D)는 광원 배치 공간(110t)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2)의 연결 프레임(130)은 서로 결합하는 제1 파트(130C)와 제2 파트(1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30C)와 제2 파트(130D)는 길이 방향(Y1, Y2)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트(130C)는 제2 파트(130D)의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미도시)를 포함하고, 제2 파트(130D)의 일면에는 제1 파트(130C)의 상기 후크가 걸림되는 홈 또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130C)와 제2 파트(130D)는 서로 결합하여 함께 축 삽입 홀(130h)(제2 관통 홀(130h)이라 지칭될 수도 있음)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파트(130C)는 축 삽입 홀(130h)의 제1 부분(130h1)을 형성하고, 제2 파트(130D)는 축 삽입 홀(130h)의 제2 부분(130h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부분(130h1)은 제2 부분(130h2)의 제1 길이 방향(Y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소켓(30)의 회전 축부(36)가 제1 파트(130C)에 배치된 상태(도 27 참고)에서, 제2 파트(130D)가 제1 파트(130C)에 결합되어 연결 소켓(30)과 연결 프레임(130)의 결합 작업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30h1) 및 제2 부분(130h2)은 각각 축 삽입 홀(130h)의 절반을 형성할 수 있다.
등기구(2)의 연결 프레임(130)은 연결 소켓(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31a, 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31a, 131b)는 제1 파트(130C)에 형성된 제1 베이스부(131a)와, 제2 파트(130D)에 형성된 제2 베이스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31a)는 제2 베이스부(131b)의 제1 길이 방향(Y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31a)의 제2 길이 방향(Y2) 말단에 축 삽입 홀(130h)의 제1 부분(130h1)이 형성되고, 제2 베이스부(131b)의 제1 길이 방향(Y1) 말단에 축 삽입 홀(130h)의 제2 부분(130h2)이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2)의 연결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말단 커버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말단 커버부(132)는 제1 베이스부(131a)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말단 커버부(132)는 메인 프레임(110)의 커버부(1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등기구(2)의 삽입부(133), 회전 가이드부(135) 및 결합부(139)는 제1 파트(130C)에 형성될 수 있다. 말단 커버부(132)는 제1 파트(130C)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130D)는 제2 베이스부(131b)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면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137)는 제2 베이스부(131b)의 제2 길이 방향(Y2)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130D)가 제1 파트(130C)에 결합될 때, 후면부(137)는 제1 파트(130C)의 후면 지지부(130r)에 지지될 수 있다. 후면 지지부(130r) 제1 파트(130C)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부(137)와 후면 지지부(130r)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소켓(30)은, 상하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는 제1 연결 소켓 파트(30C) 및 제2 연결 소켓 파트(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C)는 대향 방향(F)으로 제2 연결 소켓 파트(30D)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C)와 제2 연결 소켓 파트(30D)는 서로 결합하여 연결 소켓(3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C) 및 제2 연결 소켓 파트(30D)는 서로 결합하여 함께 제1 관통 홀(36h)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C)가 제1 관통 홀(36h)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제2 연결 소켓 파트(30D)가 제1 관통 홀(36h)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관통 홀(36h)에 전선을 배치시킨 후 제1 연결 소켓 파트(30C) 및 제2 연결 소켓 파트(30D)를 결합시킬 수 있어, 제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소켓 파트(30C)와 제2 연결 소켓 파트(30D)는 각각 제1 관통 홀(36h)의 절반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C)는 연결 소켓(30)의 후면부(30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C)는 후면부(30C2)의 양측으로부터 대향 방향(F)으로 돌출되어 제2 연결 소켓 파트(30D) 내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부(30C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30C)는 삽입부(30C3)의 말단에 형성된 후크(30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소켓 파트(30D)는 연결 소켓(30)의 상측면(35) 및 연결 소켓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 소켓 파트(30D)는 후크(30C1)가 걸림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후크 걸림부(30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소켓 파트(30D)는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부(30D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부(30D2)는 제1 연결 소켓 파트(30C)의 삽입부(30C3)를 덮어줄 수 있다.
등기구(2)의 하측면 형성부(34)는 제1 연결 소켓 파트(30C)의 제1 하측면 형성부(34a)와 제2 연결 소켓 파트(30D)의 제2 하측면 형성부(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측면 형성부(34a)와 제2 하측면 형성부(34b)는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등기구(2)의 회전 축부(36)는 연결 소켓(30)에 형성된다. 회전 축부(36)는 하측면 형성부(34)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측면 형성부(34)는 제1 연결 소켓 파트(30C)의 제1 부분(36x)과 제2 연결 소켓 파트(30D)의 제2 부분(36y)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6x)과 제2 부분(36y)은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등기구(2)의 스토퍼(30b)는 회전 축부(36)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0b)는 회전 축부(36)의 외주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연결 소켓(30)이 회전하여 대향 방향(F)이 기설정된 방향일 때 스토퍼(30b)가 걸림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걸림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0b)는 축 삽입 홀(130h)의 둘레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10b)가 축 삽입 홀(130h)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등기구(2)의 제1 리미트(30c) 및 제2 리미트(30d)는 회전 축부(3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미트(30c) 및 제2 리미트(30d)는 각각 회전 축부(36)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미트(30c) 및 제2 리미트(30d)는 각각 회전 축부(36)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2)는 제1 리미트 대응부(10c)와 제2 리미트 대응부(10d)가 형성되는 리미트 대응 돌기(1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 대응 돌기(11)는 연결 프레임(130)의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미트 대응 돌기(11)는 축 삽입 홀(130h)의 둘레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리미트 대응 돌기(11)의 제2 회전 방향(C2)으로의 말단은 제1 리미트 대응부(10c)를 형성하고, 리미트 대응 돌기(11)의 제1 회전 방향(C1)으로의 말단은 제2 리미트 대응부(10d)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연결 소켓(30) 및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회전 축부(36)를 포함하고, 연결 소켓(30) 및 프레임(10)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회전 축부(36)가 삽입되는 축 삽입 홀(130h)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소켓(30)은 회전 축부(36)를 포함하고, 프레임(10)에는 축 삽입 홀(130h)이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관통 홀(36h) 및 제2 관통 홀(130h)은 상기 회전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36h) 및 제2 관통 홀(130h) 중 어느 하나는 회전 축부(36)의 중앙에 형성되고, 제1 관통 홀(36h) 및 제2 관통 홀(130h) 중 다른 하나는 축 삽입 홀(130h)일 수 있다.
등기구(2)의 회전 축부(36)의 중심을 통해 전선(50)이 통과할 수 있다. 연결 소켓(30)에는 프레임(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관통 홀(36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36h)은 회전 축부(36)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36h)은 회전 축부(36)의 중심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10)에는 제1 관통 홀(36h)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2 관통 홀(130h)이 형성될 수 있다. 전선(50)은 연결 소켓(30)의 내부로부터 프레임(10)의 내부로 제1 관통 홀(36h) 및 제2 관통 홀(130h)을 통과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전선(50)은 축 삽입 홀(130h)의 중심을 통해 통과할 수 있다. 즉, 제2 관통 홀(130h)은 축 삽입 홀(130h)일 수 있다. 연결 소켓(30)과 프레임(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관통 홀(130h)의 내측에 제1 관통 홀(36h)이 배치될 수 있다.
등기구(2)의 회전 축부(36)는 연결 소켓(30)의 하측으로 돌출된 축 돌출부(36a)를 포함할 수 있다. 축 돌출부(36a)의 외주면에 스토퍼(30b)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축부(36)는 축 돌출부(36a)의 하단에 형성된 축 후크부(36b)를 포함할 수 있다. 축 후크부(36b)는 축 돌출부(36a)의 하단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축 후크부(36b)는 프레임(10)의 베이스부(131a, 131b)의 하측면에 걸림되어, 연결 소켓(30)이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축 후크부(36b)의 하측면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상측 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2)의 회전 축부(36)에는 상측 방향으로 함몰된 절개 홈(36c)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절개 홈(36c)은 회전 축부(36)를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 쌍의 절개 홈(36c)이 스토퍼(30b)의 원주 방향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절개 홈(36c)에 의해 스토퍼(30b)가 걸림부(10b)에 걸림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토퍼(30b)가 상기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축부(36)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31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3)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 1''', 1'''', 2)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3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3)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1를 참고하여, 등기구(3)는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31)를 가진 연결 소켓(30)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와 같이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의 구조는 상술 및 후술할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는 연결 소켓(30)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실시예를 제공하나, 후술할 제7 및 제8 실시예와 같이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된 실시예에도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31)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2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4)의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등기구(4)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 및 대응 소켓(4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 1''', 1'''', 2, 3)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32 및 도 33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4)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2 및 도 33을 참고하여, 등기구(4)는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여 대응 소켓부(41)의 대향 방향(Fb)을 변경 가능하도록 프레임(10)에 배치된 대응 소켓(40)을 포함한다.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a) 및 대응 소켓(40)의 대향 방향(Fb)은 각각 독립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등기구(4)의 대응 소켓부(41)는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응 소켓부(41)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대응 소켓부(41)의 내부에 대응 단자(43)가 배치될 수 있다. 등기구(4)의 프레임(10)은 대응 소켓(40)이 배치되는 대응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응 프레임(150)은 메인 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다.
등기구(4)는,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소켓부(31)의 대향 방향(Fa)이 제2 길이 방향(Y2)이 될 때, 연결 소켓부(31)가 배치되는 소켓부 수용 공간(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 수용 공간은 연결 소켓(30)과 프레임(1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4)의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a)은 제1 및 제2 길이 방향(Y1, Y2)과 제1 및 제2 폭 방향(X1, X2)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등기구(4)의 대응 소켓(40)의 대향 방향(Fb)은 제1 및 제2 길이 방향(Y1, Y2)과 제1 및 제2 폭 방향(X1, X2)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대응 소켓(40)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대응 소켓(40)의 회전을 위한 구조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들 중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와 같이 대향 방향(Fb)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대응 소켓(40)은 상술 또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는 대응 소켓(40)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실시예를 제공하나, 후술할 제7 및 제8 실시예의 연결 소켓(90)의 구조를 적용하여, 대응 소켓(40)이 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4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5)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은 도 34의 등기구(5)의 종단면도이다. 도 36는 도 34의 등기구(2)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 1''', 1'''', 2, 3, 4)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34 및 도 36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5)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4 내지 도 36를 참고하여, 등기구(5)는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를 가진 연결 소켓(30)을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는 대향 방향(F1)을 가진 제1 연결 소켓부(31a)와, 대향 방향(F1)과 다른 대향 방향(F2)을 가진 제2 연결 소켓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향 방향(F1)과 대향 방향(F2)은 180˚ 차이가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대향 방향(F1)과 대향 방향(F2)의 차이는 90 ˚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연결 소켓부(31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2 연결 소켓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 소켓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연결 소켓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복수의 연결 소켓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연결 소켓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등기구(5)의 연결 단자(33a, 33b)는 제1 연결 소켓부(31a)에 배치된 제1 연결 단자(33a)와, 제2 연결 소켓부(31b)에 배치된 제2 연결 단자(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와 제2 연결 단자(33b)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는 양극과 음극의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33b)는 양극과 음극의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의 양극의 연결 단자와 제2 연결 단자(33b)는 양극의 연결 단자가 금속 등의 도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의 음극의 연결 단자와 제2 연결 단자(33b)는 음극의 연결 단자가 금속 등의 도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5)의 연결 소켓(30)에는, 제1 연결 단자(33a)와 제2 연결 단자(33b)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배치되는 단자 연결 공간(33s)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연결 공간(33s)은 제1 연결 소켓부(31a)의 내부 공간과 제2 연결 소켓부(31b)의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단자 연결 공간(33s)은 단자 연결부(37)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와 제2 연결 단자(33b)는 전선(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연결부(37)는 전선(50)과 연결 단자(33a, 33b)를 연결시키는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 연결부(37)는 제1 연결 단자(33a)와 제2 연결 단자(33b)의 중간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며 연결 단자(33a, 33b)에 접촉될 수 있다. 단자 연결부(37)의 하단에 전선(50)이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연결 공간(33s)은 제1 관통 홀(36h)과 연통되어, 단자 연결부(37)와 연결된 전선(50)이 연결 소켓(30)으로부터 프레임(1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등기구(5)는,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소켓부(31a)의 대향 방향(F1)이 제2 길이 방향(Y2)이 될 때, 연결 소켓부(31a)가 배치되는 상기 소켓부 수용 공간(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 수용 공간은 연결 소켓(30)과 프레임(1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5)의 제1 연결 소켓부(31a)의 대향 방향(F1)은 제1 및 제2 길이 방향(Y1, Y2)과 제1 및 제2 폭 방향(X1, X2)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등기구(5)의 제2 연결 소켓부(31b)의 대향 방향(F2)은 제1 및 제2 길이 방향(Y1, Y2)과 제1 및 제2 폭 방향(X1, X2)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등기구(5)의 프레임(10)은 상기 소켓부 수용 공간의 폭 방향(X1, X2)의 일단에 배치되는 격벽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부(141)는 연결 프레임(13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격벽부(141)는 연결 소켓(30)이 어느 한 회전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격벽부(141)는, 상기 제1 리미트 상태에서 연결 소켓(30)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제1 리미트 대응부(10c)와, 상기 제2 리미트 상태에서 연결 소켓(30)의 다른 일부분과 접촉하는 제2 리미트 대응부(1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 소켓(30)의 회전을 위한 구조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들 중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를 가진 연결 소켓(30)은 상술 또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예는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를 가진 연결 소켓(30)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실시예를 제공하나, 후술할 제7 및 제8 실시예의 연결 소켓(90)의 구조를 적용하여,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를 가진 연결 소켓(30)이 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7은 도 34의 등기구(5)의 일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5')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등기구(5)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37의 등기구(5')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7을 참고하여, 등기구(5')는 서로 일체로 연결된 제1 연결 단자(33a')와 제2 연결 단자(33b')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5')의 단자 연결부(37')의 상단이 연결 단자(33a', 33b')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연결부(37')의 상단은 연결 단자(33a', 33b')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전선(50)의 일단이 단자 연결부(37')를 관통하며 단자 연결부(37')에 접촉될 수 있다.
도 38은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6)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등기구(6)의 연결 소켓(3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등기구(6)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41는 도 38의 등기구(6)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 1''', 1'''', 2, 3, 4, 5)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38 내지 도 41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6)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8 내지 도 41를 참고하여, 등기구(6)의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 31c)는, 대향 방향(F1)을 가진 제1 연결 소켓부(31a)와, 대향 방향(F1)과 다른 대향 방향(F2)을 가진 제2 연결 소켓부(31b)와, 대향 방향(F1) 및 대향 방향(F2)과 다른 대향 방향(F3)을 가진 제3 연결 소켓부(31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향 방향(F1), 대향 방향(F2) 및 대향 방향(F3) 중 인접한 어느 2개는 90˚ 차이가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6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 31c) 각각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나, 후술할 등기구(6')와 같이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 31c)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연결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6)의 연결 단자(33a, 33b, 33c)는, 제1 연결 소켓부(31a)에 배치된 제1 연결 단자(33a)와, 제2 연결 소켓부(31b)에 배치된 제2 연결 단자(33b)와, 제3 연결 소켓부(31c)에 배치된 제3 연결 단자(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 제2 연결 단자(33b) 및 제3 연결 단자(33c)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는 양극과 음극의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33b)는 양극과 음극의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 단자(33c)는 양극과 음극의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의 양극의 연결 단자, 제2 연결 단자(33b)는 양극의 연결 단자 및 제3 연결 단자(33c)의 양극의 연결 단자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33a)의 음극의 연결 단자, 제2 연결 단자(33b)는 음극의 연결 단자 및 제3 연결 단자(33c)의 음극의 연결 단자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6)의 연결 소켓(30)에는, 제1 연결 단자(33a), 제2 연결 단자(33b) 및 제3 연결 단자(33c)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배치되는 단자 연결 공간(33s)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연결 공간(33s)은 제1 연결 소켓부(31a)의 내부 공간, 제2 연결 소켓부(31b)의 내부 공간 및 제3 연결 소켓부(31c)의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단자 연결 공간(33s)은 상기 단자 연결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등기구(6)의 연결 소켓(30)은 제1 대응 방향(F1)의 반대 방향의 면을 형성하는 후벽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후벽부(38)에는 상기 연결 소켓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6 실시예에서 연결 소켓(30)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 소켓(30)의 회전을 위한 구조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들 중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 31c)를 가진 연결 소켓(30)은 상술 또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예는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 31c)를 가진 연결 소켓(30)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실시예를 제공하나, 후술할 제7 및 제8 실시예의 연결 소켓(90)의 구조를 적용하여,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 31c)를 가진 연결 소켓(30)이 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2는 도 38의 등기구(6)의 일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6')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소켓(30)의 회전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등기구(6)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42의 등기구(6')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2를 참고하여, 등기구(6')의 복수의 연결 소켓부(31a, 31b, 31c)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연결 소켓부(31a')를 포함한다. 제1 연결 소켓부(31a')에는 제1 연결 단자(33a')가 배치된다.
도 43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7)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4은 도 43의 등기구(7)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5은 도 43의 등기구(7)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내측 방향이 되도록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6 및 도 47은 도 43의 프레임(10)과 연결 소켓(9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48 및 도 49는 도 43의 등기구(7)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50은 도 48의 일부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1는 도 43의 등기구(7)의 종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43의 등기구(7)를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단자(93a, 93b), 전극 핀(96a, 96b) 및 접촉부(70, 80)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3은 도 52의 등기구(7)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연결 단자(93a, 93b), 전극 핀(96a, 96b) 및 접촉부(70, 80)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 1''', 1'''', 2, 3, 4, 5, 6, 6')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43 내지 도 53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7)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기구(7)의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 프레임(130)의 결합 구조는, 상술한 등기구(1, 1', 1'', 1''', 1'''', 2, 3, 4, 5, 6, 6') 중 어느 하나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47을 참고하여, 등기구(7)의 연결 소켓(90)은 대향 방향(F)을 변경 가능하도록 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등기구용 연결 소켓(90)은,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91)를 포함한다. 연결 소켓부(91)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연결 소켓부(31)에 대한 설명을 적용할 수 있다.
등기구용 연결 소켓(90)은 연결 소켓(90)의 외부의 프레임(10)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전극 연결부(예를 들어, 후술할 전극 핀 또는 핀 삽입 홀)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 연결부는 연결 소켓(9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 핀(98)이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 연결부는 연결 소켓(90)의 내측으로 함몰된 핀 삽입 홀(예를 들어, 후술할 연결 소켓(90')의 핀 삽입 홀(90g))일 수 있다.
상기 전극 연결부는,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 소켓부(91)의 대향 방향(F)을 변경하여 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소켓부(91)의 대향 방향(F)이 특정 방향일 때, 연결 소켓(90)을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한 후(도 46 및 도 47 참고),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을 상기 특정 방향과 다른 방향이 되도록 하여 연결 소켓(90)을 프레임(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43은 대향 방향(F)이 제1 길이 방향(Y1)인 상태를 보여주고, 도 44은 대향 방향(F)이 제1 폭 방향(X1)인 상태를 보여주며, 도 45은 대향 방향(F)이 제2 길이 방향(Y2)인 상태를 보여준다.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전극 핀(96)을 포함하고,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전극 핀(96)이 삽입 가능한 핀 삽입 홀(130g)을 포함한다.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고 서로 다른 전극(예를 들어, 양극 및 음극)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2개의 전극 핀(9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전극 핀(96)이 삽입 가능한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130g)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실시예에서 연결 소켓(90)이 전극 핀(96)을 포함하고 프레임(10)이 핀 삽입 홀(130g)을 포함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이 상기 전극 핀을 포함하고 연결 소켓(90)이 상기 핀 삽입 홀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전극 핀(96)은 제1 전극 핀(96a) 및 제2 전극 핀(9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핀(96a) 및 제2 전극 핀(96b)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 핀(96a) 및 제2 전극 핀(96b)은 연결 소켓(90)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130g)은 제1 내지 제4 핀 삽입 홀(130g1, 130g2, 130g3, 130g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핀 삽입 홀(130g1, 130g2, 130g3, 130g4)은 프레임(10)의 베이스부(143)의 상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상기 어느 하나(전극 핀을 포함하는 구성)는, 2개의 전극 핀(96)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될 때,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130g) 중 전극 핀(96)이 삽입되지 않은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핀(9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핀(97)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핀(97)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 핀(97a)과 제2 가이드 핀(9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핀(97a)과 제2 가이드 핀(97b)은 연결 소켓(90)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핀(97a)과 제2 가이드 핀(97b) 사이의 간격은 제1 전극 핀(96a) 및 제2 전극 핀(96b)이 삽입 가능한 2개의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핀(97a)과 제2 가이드 핀(97b) 사이의 간격은 제1 전극 핀(96a) 및 제2 전극 핀(96b) 사이의 간격과 같을 수 있다. 가이드 핀(97)이 구비됨으로써, 연결 소켓(90)을 프레임(10)의 기설정된 위치에 부착시키는 것이 편리해지고, 연결 소켓(90)이 안정적으로 프레임(10)에 부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복수의 핀 삽입 홀(130g1, 130g2, 130g3, 130g4)은 소정의 축(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핀 삽입 홀(130g1, 130g2, 130g3, 130g4)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복수의 핀 삽입 홀(130g1, 130g2, 130g3, 130g4)이 구비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개수의 핀 삽입 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등기구(7)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은 제1 및 제2 길이 방향(Y1, Y2)과 제1 및 제2 폭 방향(X1, X2)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전극 핀(96a), 제2 전극 핀(96b), 제1 가이드 핀(97a) 및 제2 가이드 핀(97b)은 복수의 핀 삽입 홀(130g1, 130g2, 130g3, 130g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 핀(96a), 제2 전극 핀(96b), 제1 가이드 핀(97a) 및 제2 가이드 핀(97b)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도 45을 참고하여, 등기구(7)는,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소켓부(91)의 대향 방향(F)이 제2 길이 방향(Y2)이 될 때, 연결 소켓부(91)가 배치되는 소켓부 수용 공간(130s)을 형성할 수 있다. 소켓부 수용 공간(130s)은 연결 소켓(90)과 프레임(1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7)의 프레임(10)은 소켓부 수용 공간(130s)의 폭 방향(X1, X2)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격벽부(142a, 142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소켓부 수용 공간(130s)의 제2 길이 방향(Y2)의 측면을 형성하는 후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격벽부(142a, 142b), 후면부(144) 및 베이스부(143)는 소켓부 수용 공간(130s)을 구획할 수 있다. 대향 방향(F)이 제2 길이 방향일 때, 한 쌍의 격벽부(142a, 142b)가 연결 소켓부(91)를 가려주어, 등기구(7)가 말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8 내지 도 52를 참고하여, 연결 프레임(130)은 연결 소켓(9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43)는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부(143)는 전체적으로 판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부(143)에 핀 삽입 홀(130g)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90)은 프레임(10) 위에 배치되는 연결 소켓 바디(9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90)은 연결 소켓 바디(9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소켓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소켓(90)은 외부의 다른 소켓에 배치된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단자(93)를 포함한다.
연결 소켓(90)은 서로 결합하는 제1 연결 소켓 파트(90A)와 제2 연결 소켓 파트(9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소켓(90)의 내부로 인입되는 소켓 전선(51)의 연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연결 소켓(9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연결 소켓 파트(90A)와 제2 연결 소켓 파트(90B)는 서로 결합하여 연결 소켓(90)의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연결 소켓(90)의 상기 내부 공간에 소켓 전선(5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90A)는 연결 소켓(90)의 하측면 형성부(94)를 형성하는 하면부(90A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90A)는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의 반대 방향의 측면을 형성하는 후면부(90A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90A2)는 하면부(90A1)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측면 형성부(94)에는 전극 핀(96)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면 형성부(94)에는 제1 전극 핀(96a)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90h1)과, 제2 전극 핀(96b)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90h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면 형성부(94)의 홀(90h1, 90h2)에 전극 핀(96)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다. 하측면 형성부(94)에 가이드 핀(97)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결 소켓 파트(90B)는 연결 소켓(90)의 상측면(95)을 형성하는 상면부(90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소켓 파트(90B)는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부(90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소켓 파트(90B)에 연결 소켓부(9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상기 다른 하나(핀 삽입 홀을 포함하는 구성)는,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130g) 중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접촉부(70, 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70)는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130g1, 130g3)의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되고, 제2 접촉부(80)는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130g2, 130g4)의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접촉부(70, 80)는 금속 등의 전기 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중 임의의 어느 하나에 전극 핀(96)이 삽입된 상태에서, 접촉부(70 또는 80)는 전극 핀(96)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중 임의의 어느 하나에 전극 핀(96)이 삽입될 경우, 전극 핀(96)이 삽입된 핀 삽입 홀(130g1, 130g2, 130g3 또는 130g4)에 대응되는 접촉부(70 또는 80)에 전극 핀(96)이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70, 80)는 서로 이격된 제1 접촉부(70)와 제2 접촉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70)와 제2 접촉부(80)는 서로 상하로 이격된다. 전극 핀(96)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1 접촉부(70)와 제2 접촉부(80)는 서로 교차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전극 핀(96)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전극 핀(96a) 및 제2 전극 핀(96b) 중 어느 하나는 제1 접촉부(70)에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접촉부(80)에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70 또는 80)가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사이의 간격은 2개의 전극 핀(96a, 96b)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2개의 전극 핀(96a, 96b)이 핀 삽입 홀(130g)에 잘못 삽입되어 제1 접촉부(70) 및 제2 접촉부(80) 중 어느 하나에 동시에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사이의 간격은 2개의 전극 핀(96a, 96b) 사이의 간격보다 크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사이의 간격은 2개의 전극 핀(96a, 96b)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제1 접촉부(70)는 전체적으로 바 형상일 수 있다. 제1 접촉부(70)의 일단부에는 제1 핀 삽입 홀(130g1)에 대응되는 홀(71)이 형성되고, 제1 접촉부(70)의 타단부에는 제3 핀 삽입 홀(130g3)에 대응되는 홀(7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부(80)는 전체적으로 바 형상일 수 있다. 제2 접촉부(80)의 일단부에는 제2 핀 삽입 홀(130g2)에 대응되는 홀(81)이 형성되고, 제2 접촉부(80)의 타단부에는 제4 핀 삽입 홀(130g4)에 대응되는 홀(82)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핀(96)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전극 핀(96)은 대응되는 상기 접촉부의 홀(71, 72, 81 또는 8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1을 참고하여, 프레임(10)은 제1 접촉부(7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4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45a)는 연결 프레임(13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제2 접촉부(8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45b)는 연결 프레임(13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45a)와 제2 지지부(145b)는 제1 접촉부(70)와 제2 접촉부(80)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52 및 도 53을 참고하여, 등기구(7)의 연결 단자(93)는 양극과 음극의 한 쌍의 연결 단자(93a, 93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의 제1 전극 연결 단자(93a)와 음극의 제2 전극 연결 단자(93b)가 구비될 수 있다.
전선(50)은 연결 소켓(90)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켓 전선(51)과, 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전선(52)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 전선(51)은 연결 단자(93)와 전극 핀(9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 전선(52)은 접촉부(70, 80)와 광원(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될 수 있다.
소켓 전선(51)은, 제1 전극 연결 단자(93a)와 제1 전극 핀(96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1 소켓 전선(51a)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 전선(51)은, 제2 전극 연결 단자(93b)와 제2 전극 핀(96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2 소켓 전선(51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전선(52)은, 제1 접촉부(70)와 광원(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전선(52a)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전선(52)은, 제2 접촉부(80)와 광원(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전선(52b)을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7)는, 전극 핀(96)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극 핀(96)이 광원(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전극 핀(96)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극 핀(96)이 광원(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등기구(7)는 전선(50), 접촉부(70, 80) 및/또는 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7)는, 대향 방향(F)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부착된 제1 상태와, 대향 방향(F)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부착된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52의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 지칭하고, 도 53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지칭할 수 있다. 등기구(7)는, 상기 제1 상태에서, 2개의 전극 핀(96)이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130g) 중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에 삽입되어 광원(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등기구(7)는, 상기 제2 상태에서, 2개의 전극 핀(96)이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130g) 중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에 삽입되어 광원(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130g)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130g)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르다. 일 예로,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130g) 모두는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130g)과 다른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130g)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130g)과 다른 것일 수 있다(도 52 및 도 53 참고).
도 52를 참고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제1 전극 핀(96a)은 제1 핀 삽입 홀(130g1)에 삽입되어 제1 접촉부(70)에 접촉되고, 제2 전극 핀(96b)은 제2 핀 삽입 홀(130g2)에 삽입되어 제2 접촉부(80)에 접촉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제1 전극 단자(93a), 제1 소켓 전선(51a), 제1 전극 핀(96a), 제1 접촉부(70) 및 제1 프레임 전선(52a)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전극 단자(93b), 제2 소켓 전선(51b), 제2 전극 핀(96b), 제2 접촉부(80) 및 제2 프레임 전선(52b)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제1 가이드 핀(97a)은 제3 핀 삽입 홀(130g3)에 삽입되고, 제2 가이드 핀(97b)은 제4 핀 삽입 홀(130g4)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3을 참고하여, 상기 제2 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전극 핀(96a)은 제4 핀 삽입 홀(130g4)에 삽입되어 제2 접촉부(80)에 접촉되고, 제2 전극 핀(96b)은 제1 핀 삽입 홀(130g1)에 삽입되어 제1 접촉부(70)에 접촉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전극 단자(93a), 제1 소켓 전선(51a), 제1 전극 핀(96a), 제2 접촉부(80) 및 제2 프레임 전선(52b)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제2 전극 단자(93b), 제2 소켓 전선(51b), 제2 전극 핀(96b), 제1 접촉부(70) 및 제1 프레임 전선(52a)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가이드 핀(97a)은 제2 핀 삽입 홀(130g2)에 삽입되고, 제2 가이드 핀(97b)은 제3 핀 삽입 홀(130g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4은 본 개시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8) 및 외부의 다른 등기구(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5은 도 54의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6는 도 54의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의 대향 방향(F)이 내측 방향이 되도록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7은 도 54의 연결 소켓(90)의 사시도이다. 도 58은 도 54의 등기구(8)를 일단 방향(Y1)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프레임(10)과 연결 소켓(9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9는 도 54의 등기구(8)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등기구(1, 1', 1'', 1''', 1'''', 2, 3, 4, 5, 6, 6', 7)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54 내지 도 59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8)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4 내지 도 56를 참고하여,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의 탈부착에 따른 대향 방향(F)의 변경 기능 및 등기구(8)의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 프레임(130)의 결합 구조는, 상술한 등기구(7)의 기능 및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전극 핀을 포함하고,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전극 핀이 삽입 가능한 핀 삽입 홀을 포함한다. 도 58을 참고한 실시예에서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이 전극 핀(98)을 포함하고 프레임(10)이 핀 삽입 홀(130g)을 포함하나, 도 60을 참고하여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등기구(8')의 프레임(10')이 전극 핀(148)을 포함하고 연결 소켓(90')이 핀 삽입 홀(90g)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7 내지 도 59를 참고하여, 연결 소켓(90)은, 상하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는 제1 연결 소켓 파트(90C) 및 제2 연결 소켓 파트(9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90C)는 대향 방향(F)으로 제2 연결 소켓 파트(90D)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소켓 파트(90C)와 제2 연결 소켓 파트(90D)는 서로 결합하여 연결 소켓(9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소켓(90)은 하측으로 돌출된 전극 핀(98)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핀(98)은 제1 연결 소켓 파트(90C)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 핀(98)의 외곽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핀(98)은, 전극 핀(98)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전극부(98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경 내측 방향은 상기 중심축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전극 핀(98)은, 제1 전극부(98a)의 반경 외측 방향에 배치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부(98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경 외측 방향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2 전극부(98b)는 제1 전극부(98a)와 다른 전극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98a)는 양극의 전극이 연결되고 제2 전극부(98b)는 음극의 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부(98a)와 제2 전극부(98b)는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등기구(8)는, 대향 방향(F)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부착된 제1 상태와, 대향 방향(F)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부착된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54의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 지칭하고, 도 55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지칭할 수 있다. 등기구(8)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전극 핀(98)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되어 제1 전극부(98a) 및 제2 전극부(98b)를 통해 광원(L)에 전원이 공급되게 구성된다.
제1 전극부(98a) 및 제2 전극부(98b) 중 적어도 하나는 전극 핀(98)의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부(98b)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부(98a)는 전극 핀(98)의 상기 중심축 상에 배치된다. 제1 전극부(98a)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전극부(98b)는 제1 전극부(98a)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대향 방향(F)을 달리하여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부착될 때에도, 제1 전극부(98a)와 제2 전극부(98b)가 대응되는 전극 접촉부(75a, 75b)에 접촉될 수 있다.
전극 핀(98)은 절연성 재질의 전극 핀 바디(98c)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핀 바디(98c)는 전극 핀(98)의 돌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전극 핀 바디(98c)의 내주면에 제2 전극부(98b)가 지지될 수 있다. 전극 핀 바디(98c)는 제1 전극부(98a)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등기구(8)의 연결 프레임(130)에는 전극 핀(98)이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삽입 홀(130g)이 형성될 수 있다. 핀 삽입 홀(130g)은 연결 프레임(130)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 및 프레임(10) 중 상기 다른 하나(상기 핀 삽입 홀을 포함하는 구성)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전극부(98a)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전극 접촉부(75a)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제2 전극부(98b)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 접촉부(75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이 제1 전극 접촉부(75a)와 제2 전극 접촉부(75b)를 포함한다.
제1 전극 접촉부(75a)는 전극 핀(98)의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극 접촉부(75b)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극 접촉부(75a)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전극 접촉부(75b)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전극 접촉부(75b)는 제1 전극 접촉부(75a)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대향 방향(F)을 달리하여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부착될 때에도, 제1 전극 접촉부(75a)는 제1 전극부(98a)와 접촉되고, 제2 전극 접촉부(75b)는 제2 전극부(98b)와 접촉될 수 있다. 전극 핀(98)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전극 접촉부(75a)의 내주면이 제1 전극부(98a)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전극 핀(98)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전극 접촉부(75b)의 외주면이 제2 전극부(98b)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절연성 재질의 결합 돌기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부(146)는 전극 접촉부(75a, 75b)의 돌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146)에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146)의 내주면에 제1 전극 접촉부(75a)가 지지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146)의 외주면에 제2 전극 접촉부(75b)가 지지될 수 있다.
도 58 및 도 59를 참고하여, 소켓 전선(51)은, 제1 전극 연결 단자(93a)와 제1 전극부(98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1 소켓 전선(51a)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 전선(51)은, 제2 전극 연결 단자(93b)와 제2 전극부(98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2 소켓 전선(51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전선(52)은, 제1 전극 접촉부(75a)와 광원(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전선(52a)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전선(52)은, 제2 전극 접촉부(75b)와 광원(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전선(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핀(98)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전극 단자(93a), 제1 소켓 전선(51a), 제1 전극부(98a), 제1 전극 접촉부(75a) 및 제1 프레임 전선(52a)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전극 핀(98)이 핀 삽입 홀(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전극 단자(93b), 제2 소켓 전선(51b), 제2 전극부(98b), 제2 전극 접촉부(75b) 및 제2 프레임 전선(52b)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도 60은 도 54의 등기구(8)의 일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8')를 일단 방향(Y1)으로부터 바라본 입면도로서, 프레임(10)과 연결 소켓(90)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1는 도 60의 등기구(8')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등기구(8)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60 및 54의 등기구(8')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0 및 도 61를 참고하여, 등기구(8')의 프레임(10)은 상측으로 돌출된 전극 핀(148)을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에는 전극 핀(148)이 삽입되는 핀 삽입 홀(90g)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핀(148)은, 전극 핀(148)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전극부(148a)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핀(148)은, 제1 전극부(148a)의 반경 외측 방향에 배치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부(14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부(148b)는 제1 전극부(148a)와 다른 전극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148a)는 양극의 전극이 연결되고 제2 전극부(148b)는 음극의 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부(148a)와 제2 전극부(148b)는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등기구(8')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전극 핀(148)이 핀 삽입 홀(90g)에 삽입되어 제1 전극부(148a) 및 제2 전극부(148b)를 통해 광원(L)에 전원이 공급되게 구성된다.
제1 전극부(148a)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극부(148b)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극부(148b)는 제1 전극부(148a)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대향 방향(F)을 달리하여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부착될 때에도, 제1 전극부(148a)와 제2 전극부(148b)가 대응되는 전극 접촉부(99a, 93b1)에 접촉될 수 있다.
전극 핀(148)은 절연성 재질의 전극 핀 바디(148c)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핀 바디(148c)는 전극 핀(148)의 돌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전극 핀 바디(148c)의 내주면에 제1 전극부(148a)가 지지될 수 있다. 전극 핀 바디(148c)의 외주면에 제2 전극부(148b)가 지지될 수 있다.
등기구(8')의 연결 소켓(90')에는 전극 핀(148)이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삽입 홀(90g)이 형성될 수 있다. 핀 삽입 홀(90g)은 연결 소켓(90')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90')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전극부(148a)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전극 접촉부(99a)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제2 전극부(148b)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 접촉부(93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접촉부(99a)는 전극 핀(148)의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극 접촉부(93b1)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극 접촉부(99a)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전극 접촉부(99a)는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된 체결 부재일 수 있다. 제1 전극 접촉부(99a)가 체결 부재인 실시예에서, 전극 핀(148)이 핀 삽입 홀(9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부재로 연결 소켓(90')을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체결 부재의 헤드 부분을 조작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 소켓(90')의 상측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조작 홀(90f)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 연결 단자(93a)의 말단부(93a1)가 제1 전극 접촉부(99a)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극 연결 단자(93a)의 말단부(93a1)는 제1 전극 접촉부(99a)에 와셔(99b)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셔(99b)는 금속 등의 전기 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연결 단자(93a)의 말단부(93a1), 와셔(99b) 및 제1 전극 접촉부(99a)의 상단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 접촉부(99a)의 하단 부분이 제1 전극부(148a)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전극 접촉부(93b1)는 제2 전극부(148b)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극 접촉부(93b1)는 제1 전극 접촉부(99a)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대향 방향(F)을 달리하여 연결 소켓(90')이 프레임(10)에 부착될 때에도, 제1 전극 접촉부(99a)는 제1 전극부(148a)와 접촉되고, 제2 전극 접촉부(93b1)는 제2 전극부(148b)와 접촉될 수 있다. 전극 핀(148)이 핀 삽입 홀(9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전극 접촉부(99a)의 외주면이 제1 전극부(148a)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전극 핀(148)이 핀 삽입 홀(9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전극 접촉부(93b1)의 내주면이 제2 전극부(148b)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전극 접촉부(93b1)는 제2 전극 연결 단자(93b)와 일체로 형성된 일 부분일 수 있다. 제2 전극 접촉부(93b1)는 제2 전극 연결 단자(93b)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 접촉부(93b1)가 제2 전극 연결 단자(93b)와 일체로 형성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선 등에 의해 2 전극 접촉부(93b1)와 제2 전극 연결 단자(93b)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말단부(93a1)가 제1 전극 접촉부(99a)와 연결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선 등을 매개로 제1 전극 연결 단자(93a)와 제1 전극 접촉부(99a)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극 핀(148)이 핀 삽입 홀(9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전극 연결 단자(93a)의 말단부(93a1), 와셔(99b), 제1 전극 접촉부(99a), 제1 전극부(148a) 및 제1 프레임 전선(52a)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전극 핀(148)이 핀 삽입 홀(90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전극 연결 단자(93b), 제2 전극 접촉부(93b1), 제2 전극 접촉부(99a), 제2 전극부(148b) 및 제2 프레임 전선(52b)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등기구(1, 1', 1'', 1''', 1'''', 2, 3, 4, 5, 5', 6, 6', 7, 8, 8')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설치 방법은, 제1 등기구와 제2 등기구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등기구는, 프레임과, 상기 제2 등기구의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를 가진 연결 소켓(30, 30'', 30''', 30'''', 90, 90')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 방법은, 상기 제1 등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등기구의 상기 연결 소켓부의 대향 방향을 변경하는 대향 방향 변경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등기구를 설치한 후 상기 대향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고, 상기 대향 방향을 변경한 후 상기 제1 등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등기구를 외부의 천장면 또는 벽면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대향 방향 변경 단계에서, 연결 소켓(30, 30'', 30''', 30'''', 90, 90')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키거나 탈부착시킴으로써, 상기 대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향 방향 변경 단계에서, 상기 제1 등기구의 연결 소켓(30, 30'', 30''', 30'''')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등기구의 상기 연결 소켓부의 대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대향 방향 변경 단계에서, 상기 제2 등기구의 연결 소켓(90, 90')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탈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 등기구의 상기 연결 소켓부의 대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설치 방법은, 상기 제1 등기구의 상기 연결 소켓부를 상기 제2 등기구의 상기 소켓과 연결하는 연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계는 상기 대향 방향 변경 단계 후 진행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1', 1'', 1''', 1'''', 2, 3, 4, 5, 5', 6, 6', 7, 8, 8': 등기구, 10, 10': 프레임, 110: 메인 프레임, 130, 130', 130'', 130''', 130'''': 연결 프레임, 30, 30'', 30''', 30'''', 90, 90': 연결 소켓, 31, 91: 연결 소켓부, 40: 대응 소켓, 50: 전선, L: 광원, M: 다른 등기구

Claims (20)

  1.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및
    외부의 다른 소켓과 상하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외부의 다른 소켓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 소켓부의 상기 수평 방향 중 하나인 대향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소켓의 하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전극 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소켓의 상기 하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측면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전극 핀이 삽입 가능한 핀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향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1 상태 및 상기 대향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전극 핀이 형성되는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핀 삽입 홀이 형성되는 상기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다른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소켓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등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면보다 상단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등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의 최상단면의 레벨은 상기 프레임의 최상단면의 레벨보다 낮거나 상기 프레임의 최상단면의 레벨과 같은,
    등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대응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응 소켓은 외부의 다른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대응 소켓부를 포함하는,
    등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연결 소켓이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등기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핀이 상기 핀 삽입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 핀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등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핀은 서로 다른 전극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2개의 전극 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 삽입 홀은 상기 전극 핀이 삽입 가능한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향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1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전극 핀이 상기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 중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대향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전극 핀이 상기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 중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선택된 2개의 핀 삽입 홀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등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2개의 전극 핀이 상기 핀 삽입 홀에 삽입될 때, 상기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 중 상기 전극 핀이 삽입되지 않은 핀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는,
    등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2개 초과의 핀 삽입 홀 중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되고,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중 임의의 어느 하나에 상기 전극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 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등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특정의 핀 삽입 홀 사이의 간격은 상기 2개의 전극 핀 사이의 간격과 다른,
    등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핀은,
    상기 전극 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부의 반경 외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다른 전극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1 상태 및 상기 대향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전극 핀이 상기 핀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를 통해 상기 광원에 전원이 공급되게 구성되는,
    등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 및 상기 프레임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전극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전극 접촉부; 및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전극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등기구.
  16. 삭제
  17. 삭제
  18.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및
    외부의 다른 소켓과 상하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외부의 다른 소켓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 소켓부의 상기 수평 방향 중 하나인 대향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소켓의 하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전극 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소켓의 상기 하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측면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전극 핀이 삽입 가능한 핀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향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1 상태 및 상기 대향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전극 핀이 형성되는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핀 삽입 홀이 형성되는 상기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세트.
  19. 제1 등기구와 제2 등기구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이며,
    상기 제1 등기구는,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제2 등기구의 소켓과 상하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외부의 다른 소켓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소켓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등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등기구의 상기 연결 소켓부의 상기 수평 방향 중 하나인 대향 방향을 변경하는 대향 방향 변경 단계; 및
    상기 제1 등기구의 상기 연결 소켓부를 상기 제2 등기구의 상기 소켓과 연결하는 연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소켓의 하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전극 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소켓의 상기 하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측면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전극 핀이 삽입 가능한 핀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향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1 상태 및 상기 대향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연결 소켓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전극 핀이 형성되는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핀 삽입 홀이 형성되는 상기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20. 삭제
KR1020200076013A 2020-02-10 2020-06-22 등기구용 연결 소켓,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KR10243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3933 WO2021162199A1 (ko) 2020-02-10 2020-10-13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66 2020-02-10
KR20200015723 2020-02-10
KR20200000466 2020-02-10
KR1020200015723 2020-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021A KR20210102021A (ko) 2021-08-19
KR102433514B1 true KR102433514B1 (ko) 2022-08-19

Family

ID=771017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013A KR102433514B1 (ko) 2020-02-10 2020-06-22 등기구용 연결 소켓,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KR1020200075999A KR102454424B1 (ko) 2020-02-10 2020-06-22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99A KR102454424B1 (ko) 2020-02-10 2020-06-22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33514B1 (ko)
CN (3) CN21638377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0473A (zh) * 2021-10-13 2022-03-01 宁波瓦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及角度可调的照明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65Y1 (ko) * 2019-04-17 2019-09-18 정상훈 방향전환연결이 가능한 직관형 led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564A (ko) * 2008-02-27 2009-09-01 아이에스 라이팅(주) 형광등기구
KR20120011767A (ko) * 2010-07-29 201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KR101332245B1 (ko) * 2011-12-29 2013-11-25 홍현필 다수의 엘이디 모듈을 구비한 엘이디 전구
KR101713054B1 (ko) * 2015-02-03 2017-03-09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679656B1 (ko) 2015-03-10 2016-11-25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연결 브라켓
KR20190011949A (ko) * 2017-07-26 2019-02-08 (주)상도전기 조명레일 시스템의 전원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65Y1 (ko) * 2019-04-17 2019-09-18 정상훈 방향전환연결이 가능한 직관형 led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343258U (zh) 2021-12-28
KR20210102021A (ko) 2021-08-19
CN113224595A (zh) 2021-08-06
KR102454424B1 (ko) 2022-10-17
KR20210102020A (ko) 2021-08-19
CN216383770U (zh)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5372B (zh) 灯管固定结构
EP3532769B1 (en) Lighting device
US6488386B1 (en) Lighting fixture having an electronic ballast replaceable without rewiring
KR102433514B1 (ko) 등기구용 연결 소켓,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CN102252177A (zh) 光源、灯座和使用灯座的照明装置
CN1523265A (zh) 关于指示灯的组件和指示灯
US11032893B2 (en) Hinged remote driver box for light fixture
WO2020111509A1 (ko) 전기 분배 장치
RU2718345C2 (ru) Светодиодная лампа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3446538A (zh) 一种照明器,照明器组以及用于安装多个照明器的方法
EP3575672B1 (en) Electrical connection module and lamp assembly
KR100600534B1 (ko) 형광등기구
JP7325803B2 (ja) 照明装置
KR200482605Y1 (ko) 작업등용 소켓 구조체
CN217635271U (zh) 灯具及灯具壳体
JP2020013674A (ja) 照明ユニット
CN214790766U (zh) 灯具
CN217653793U (zh) 灯具
KR20240000133U (ko)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CN216744218U (zh) 一种上下发光灯具
CN219102922U (zh) 一种灯条模组结构
JPH04123705A (ja) 照明器具
CN213513431U (zh) 一种串联式橱柜灯
JP4187730B2 (ja) 蛍光灯
KR200404608Y1 (ko)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