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133U -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0133U KR20240000133U KR2020220001726U KR20220001726U KR20240000133U KR 20240000133 U KR20240000133 U KR 20240000133U KR 2020220001726 U KR2020220001726 U KR 2020220001726U KR 20220001726 U KR20220001726 U KR 20220001726U KR 20240000133 U KR20240000133 U KR 2024000013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ground
- rail
- terminal portion
- connection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는 등기구용 제1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레일과 다른 등기구용 제2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 또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전원선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표면에 전원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등기구는 광원(光源)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천장면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등기구로서 형광등, 엘이디등 및 레일등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등기구를 결합시킬 수 있는 등기구용 레일이 알려져 있다. 등기구용 레일은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등기구의 단자와 연결되는 금속 부재를 구비한다. 등기구가 레일의 홈으로 끼워지면, 등기구의 단자가 레일의 홈 내에 있는 금속 부재에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종래에, 복수의 등기구용 레일을 서로 연결시키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는 두 개의 등기구용 레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두 개의 커넥터가 형성된다. 종래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는 별도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등기구용 레일을 커넥터에 결합하여 연결시킬 수 있고,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는 어느 한 등기구용 레일의 전원을 다른 한 등기구용 레일로 전달할 수 있다.
종래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는, 두 개의 등기구용 레일을 연결시키되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등기구용 레일에 공급하는 기능 및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한 등기구용 레일 자체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별도로 등기구용 레일에 연결되게 구성되어야 해서, 레일에 전원선을 별도로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일에 별도로 전원선을 직접 연결하여 설치함에 따라, 레일의 설치 구조물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전원선이 레일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회전하여 두 개의 등기구용 레일을 여러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부로부터 전원선이 삽입되어 각각의 등기구용 레일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그 부품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회전하여 두 개의 전기 기구를 여러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부로부터 전원선이 삽입되어 각각의 전기 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기구 연결 장치, 및 그 부품인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는, 등기구용 제1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레일과 다른 등기구용 제2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부 또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전원선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표면에 전원 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가 90˚ 회전된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레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레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홀은 상기 제1 결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1 결합부의 내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내부가 공유하는 중심 공간; 및 상기 제1 단자부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중심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으로 연결되는 상기 연결선의 일부가 통과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제2 결합부의 상측면을 덮고, 상기 전원 홀이 형성된 제1 상측 결합부; 및 상기 제1 상측 결합부의 하측면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을 형성하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결합부에 대한 회전이 안내되도록 구성된 내주면을 가진 회전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이 외부로부터 상기 전원 홀 및 상기 회전 가이드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 홀의 내주면보다 상기 회전축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의 상기 외주면에는 상기 전원 홀을 통과한 상기 전원선이 통과하도록 수평 방향 중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외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1 접지;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2 접지; 상기 제1 접지와 상기 제1 레일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1 접지에 접촉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접지 연결부; 및 상기 제2 접지와 상기 제2 레일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2 접지와 접촉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접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연결부는 상기 제1 접지 및 제1 커넥터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지 연결부는 상기 제2 접지 및 제2 커넥터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1 접지; 상기 제2 커넥터의 상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2 접지; 및 상기 제1 접지 및 상기 제2 접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접지의 표면과 상하 방향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접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 접지의 일단이 안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제1 접지의 상기 일단은 상기 가이드 홈이 가이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된 상기 제1 접지의 상기 일단의 상측면은 상기 접지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을 형성하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결합부에 대한 회전이 안내되도록 구성된 내주면을 가진 회전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회전 가이드를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 설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 설정 돌기가 삽입 가능한 위치 설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위치 설정 돌기가 상기 위치 설정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복수의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내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단자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선을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내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단자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선을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면에는 상기 전원선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기 전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전원 홀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고, 상기 전원선 중 상기 전원 홀을 관통하는 일 부분의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전원선의 상기 일 부분의 적어도 3면을 둘러싸는 가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측면은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는, 등기구용 제1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레일과 다른 등기구용 제2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단자부 또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선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선이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표면에 전원 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1 접지; 상기 제2 커넥터의 상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2 접지; 상기 제1 접지 및 상기 제2 접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접지의 표면과 상하 방향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접지 부재; 및 상기 접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접지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은 전기기구 연결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구 연결 장치는, 제1 전기기구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전기기구와 다른 제2 전기기구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부 또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전원선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표면에 전원 홀이 형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로 두 개의 등기구용 레일을 연결시키면 등기구용 레일에 별도로 직접 전원선을 연결시키지 않아도, 편리하게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통해 등기구용 레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레일에 별도로 전원선을 직접 연결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레일의 설치 구조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원선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레일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원선이 레일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에 의하여 미관을 해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회전하여 두 개의 등기구용 레일을 여러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도, 서로 연결된 두 개의 등기구용 레일에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회전하여 두 개의 전기기구를 여러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도,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전기기구에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레일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S1-S1`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S2-S2`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45˚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에서 제1 상측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내부의 연결선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에서 전원선 및 접지 전선이 제거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S3-S3`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S4-S4`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S5-S5`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S6-S6`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레일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S1-S1`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S2-S2`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45˚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에서 제1 상측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내부의 연결선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에서 전원선 및 접지 전선이 제거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S3-S3`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S4-S4`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S5-S5`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S6-S6`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삽입 방향(Y1)"은 제1 레일에 대하여 제1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정의하고, "제2 삽입 방향(Y2)"은 제2 레일에 대하여 제2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측 방향(U)"은 제1 삽입 방향 및 제2 삽입 방향에 수직한 일 방향으로 정의하고, "하측 방향(D)"은 상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가 레일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등기구용 레일(31, 32)는 등기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레일(31, 32)은, 하측으로 개구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공간(31h, 32h)을 형성하는 프레임(33, 34)을 포함한다. 프레임(33, 34)의 상기 공간은 레일(31, 32)의 길이 방향 의 양단부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일(31, 32)은, 결합된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프레임(33, 34)의 공간(31h, 32h) 내에 배치된 단자 부재(35)를 포함한다. 등기구의 단자가 하측으로부터 프레임(33, 34)의 공간(31h, 32h) 내로 삽입되어 단자 부재(35)에 접촉하면, 등기구와 단자 부재(35)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는 제1 레일(31)과 제2 레일(32)을 서로 연결한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는 제1 레일(31)의 단자 부재(35)와 제2 레일(32)의 단자 부재(35)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는 제1 레일(31)의 단자 부재(35)와 제2 레일(32)의 단자 부재(3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 전원선(20) 및 접지 전선(70)을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2개의 레일(31, 32)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일 연결 조립체(10)의 후술할 제1 커넥터(100)가 제1 레일(31)의 공간(31h)에 제1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고, 레일 연결 조립체(10)의 후술할 제2 커넥터(200)가 제2 레일(32)의 공간(32h)에 제2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등기구용 제1 레일(31)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등기구용 제1 레일(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단자부(110)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넥터(100)가 제1 레일(31)에 삽입되면, 제1 단자부(110)가 제1 레일(31)의 단자 부재(35)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와 제1 레일(31)에 결합된 등기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1 레일(31)과 다른 등기구용 제2 레일(32)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등기구용 제2 레일(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단자부(210)를 가질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1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R)을 중심으로 제1 커넥터(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2개의 등기구용 레일(31, 32) 사이의 각도를 바꾸어 2개의 등기구용 레일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커넥터(200)가 제2 레일(32)에 삽입되면, 제2 단자부(210)가 제2 레일(32)의 단자 부재(35)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와 제2 레일(32)에 결합된 등기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선(20)은 제1 단자부(110) 또는 제2 단자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선(20)은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1 단자부(110) 또는 제2 단자부(210)에 연결되어 전원을 레일(31, 32)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부(110) 또는 제2 단자부(210)가 단자 부재(35)에 접촉되어, 전원이 레일(31, 32)에 장착된 등기구로 공급될 수 있다.
접지 전선(70)은 후술할 접지 부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가 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커넥터(100)는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1 하측 커버(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1 하측 커버(100B)는 제1 단자부(110)를 사이에 두고 결합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1 하측 커버(100B)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의 제1 공간(100g)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1 하측 커버(100B)가 결합될 때, 제1 단자부(11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는 제1 상측 삽입부(120U) 및 제1 상측 결합부(130U)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2 상측 커버(200A) 및 제2 하측 커버(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측 커버(200A) 및 제2 하측 커버(200B)는 제2 단자부(210)를 사이에 두고 결합할 수 있다. 제2 상측 커버(200A) 및 제2 하측 커버(200B)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의 제2 공간(200g)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상측 커버(200A) 및 제2 하측 커버(200B)가 결합될 때, 제2 단자부(21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상측 커버(200A)는 제2 상측 삽입부(220U) 및 제2 상측 결합부(230U)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제1 레일(31)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삽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20)는 제1 상측 삽입부(120U) 및 제1 하측 삽입부(12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 삽입부(120U) 및 제1 하측 삽입부(120D)는 각각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측 삽입부(120U) 및 제1 하측 삽입부(120D)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의 제1 공간(100g)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A)에는 후술할 제1 접지(41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제1 안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21)는 제1 상측 커버(100A)의 상측면에서 함몰되고 제1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20)는 도 13 및 도 14와 함께 후술할 제1 연결선 가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제2 커넥터(20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30)는 제1 상측 결합부(130U) 및 제1 하측 결합부(1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 삽입부(120U) 및 제1 하측 결합부(130D)는 서로 결합하여 내부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상측 삽입부(120U) 및 제1 하측 결합부(130D)가 형성한 상기 공간으로 제2 커넥터(200)의 일부가 배치되어 제1 결합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0)에는 전원 홀(130h)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 홀(130h)은 제1 상측 결합부(130U)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원 홀(130h)은 전원선(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측 결합부(130U)는 후술할 제2 결합부(230)의 상측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는 전원 홀(130h)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면(130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 결합부(130U)는 가이드 면(130s)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면(130s)은 전원선(20) 중 전원 홀(130h)을 관통하는 일 부분의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전원선(20)의 상기 일 부분의 적어도 3면을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면(130s)은 전원선(20)의 둘레를 모두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면(130s)은 전원선(20)의 상기 일 부분의 4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4면은 전원선(20)을 기준으로 제1 삽입 방향에 위치한 면과 제1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면, 그리고 제1 삽입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에 위치한 양 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선은 가이드 면(130s)의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회전을 하더라도, 전원 홀(130h)을 관통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에는 후술할 접지 전선 홀(130r)이 형성될 수 있다. 접지 전선 홀(130r)은 제1 상측 결합부(130U)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가이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측 결합부(130D)는 제1 상측 결합부(130U)의 하측면에 연결되는 회전 가이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는 제1 하측 결합부(130D)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의 적어도 일부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의 외주면에는 도 13 및 도 14와 함께 후술할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31h)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2 레일(32)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삽입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부(220)는 제2 상측 삽입부(220U) 및 제2 하측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측 삽입부(220U) 및 제2 하측 삽입부(220D)는 각각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측 삽입부(220U) 및 제2 하측 삽입부(220D)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의 제2 공간(200g)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상측 커버에(200B)는 후술할 제2 접지(51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제2 안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부(221)는 제2 상측 커버(200A)의 상측면에서 함몰되어 제2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220)는 후술할 제2 연결선 가이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1 결합부(130)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30)는 제2 상측 결합부(230U) 및 제2 하측 결합부(2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30)에는 회전 가이드(131)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주면을 가진 회전 가이드 홀(230h)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홀(230h)의 내주면은 회전 가이드(131)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제2 커넥터(200)의 제1 커넥터(100)에 대한 회전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상측 결합부(230U)에는 도 11 및 도 12와 함께 후술할 가이드 홈(230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은 (i) 제1 상측 커버(100A)와 제1 하측 커버(100B)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ii) 제2 상측 커버(200A)와 제2 하측 커버(20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합일 수 있다.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 설정 돌기(1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중 다른 하나에는 위치 설정 돌기(135)가 삽입 가능한 위치 설정 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서 위치 설정 돌기(135)가 위치 설정 홈(235)에 삽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제1 상측 결합부(130U) 및 제1 하측 결합부(130D)에 위치 설정 돌기(135)가 형성되고, 제2 상측 결합부(230U) 및 제2 하측 결합부(230D)에 위치 설정 홈(235)이 형성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 하측 결합부(230D)에 형성된 위치 설정 홈(235)은 회전축(R)을 기준으로 45˚ 간격으로 적어도 5개 이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90˚ 회전되기 전의 상태에서 위치 설정 돌기(135)가 위치 설정 홈(235)에 삽입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후술할 도 9는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45˚ 회전한 상태에서 위치 설정 돌기(135)가 위치 설정 홈(235)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1 커넥터(100)의 외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1 접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지(410)는 제1 커넥터(100)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부(121)에 배치될 수 있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2 커넥터(200)의 외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2 접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지(510)는 제2 커넥터(200)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2 안착부(221)에 배치될 수 있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1 접지(410)에 접촉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접지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지 연결부(420)는 제1 접지(410)와 제1 레일(3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접지 연결부(420)는 제1 접지(410) 및 제1 커넥터(10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지 연결부(420)는 제1 접지(410) 및 제1 커넥터(100)의 끝단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레일(31)이 제1 커넥터(100)와 결합?瑛? 때, 제1 접지 연결부(420)는 제1 접지(410) 및 제1 커넥터(100)를 관통하여 제1 레일(31)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지 연결부(420)는 볼트일 수 있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2 접지(510)에 접촉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접지 연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지 연결부(520)는 제2 접지(510)와 제2 레일(3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접지 연결부(520)는 제2 접지(510) 및 제2 커넥터(20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지 연결부(520)는 제2 접지(510) 및 제2 커넥터(200)의 끝단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레일(32)이 제2 커넥터(200)와 결합?瑛? 때, 제2 접지 연결부(520)는 제2 접지(510) 및 제2 커넥터(200)를 관통하여 제2 레일(32)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지 연결부(520)는 볼트일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S1-S1`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S2-S2`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1 접지(410) 및 제2 접지(5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접지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부재(600)는 전원 홀(130h)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접지 부재(60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볼록한 반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접지 부재(600)는 제1 커넥터(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접지 부재(600)는 제1 상측 커버(100A)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지(410) 및 제2 접지(510)는 각각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2 상측 커버(200A)의 함몰된 제1 안착부(121) 및 제2 안착부(22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접지(410) 및 제2 접지(510)의 표면과 접지 부재(600)는 상하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접지(410)의 상측면 및 제2 접지(510)의 상측면이 접지 부재(600)의 하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접지(410)의 하측면 및 제2 접지(510)의 하측면이 접지 부재(600)의 상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접지(410) 또는 제2 접지(510) 중 어느 하나의 상측면이 접지 부재(600)의 하측면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의 하측면이 접지 부재(600)의 상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접지(410) 및 제2 접지(510)의 상측면이 접지 부재(600)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접지(410)의 하측면 및 제2 접지(510)의 상측면이 각각 접지 부재(60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접촉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접지(410) 및 제2 접지(510)는 각각 접지 부재(600)의 레벨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접지 부재(600)의 하측면은 제1 접지(410)의 일단의 상측면 및 제2 접지(510)의 일단의 상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지 부재(600)는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 상측 결합부(130U)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지 부재(600)는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2 접지(510)의 표면과 상하 방향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지 전선(70)은 접지 전선 홀(130r)을 관통하여 접지 부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 부재(600)와 접지 전선(70)은 서로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제1 커넥터(100)의 제1 결합부(130)를 관통함으로써 접지 부재(600)와 접지 전선(7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원선(20)은 외부로부터 전원 홀(130h) 및 회전 가이드 홀(230h)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 홀(130h)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 가이드 홀(230h)의 내주면보다 회전축(R)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회전하더라도 전원선(20)은 전원 홀(130h)을 관통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45˚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도 4 참조).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1 커넥터(100)에 대해 제2 커넥터(200)가 90˚ 회전된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도 10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위치 설정 돌기(135) 및 위치 설정 홈(23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 커넥터(100)에 대해 제2 커넥터(200)가 90˚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도 9 참조).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다양한 각도로 배치함으로써, 이와 연결되는 제1 레일(31) 및 제2 레일(32)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에서 제1 상측 커버(100A)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2 커넥터(200)는 회전축(R)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230g)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30g)은 제2 결합부(230)에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30g)은 제2 상측 결합부(230U)의 상단면에 제1 접지(410)의 일단이 안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된 정도는 제1 접지(4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접지(410)의 상하 방향 높이만큼 함몰될 수 있다. 가이드 홈(230g)은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1 접지(410)의 일단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접지(410)의 상기 일단의 상측면은 접지 부재(60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가 회전할 때, 제1 접지(410)의 상기 상측면은 접지 부재(600)의 하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 내부의 연결선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대해 90˚ 회전된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제1 단자부(110)와 제2 단자부(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선(300)은 수용 공간을 통해 제1 단자부(110)와 제2 단자부(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선(300)은 복수의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선(300)은 회전 가이드(131)를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선(300)을 회전 가이드(131)에 감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 커넥터(200)가 회전할 때, 연결선(300)이 내부에서 의도치 않게 꼬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선(300)을 일직선으로 배치할 때 보다 제2 커넥터(200)가 회전할 때 연결선(300)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복수의 연결선(300)을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선 가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선 가이드(122)는 제1 커넥터(100)의 내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선 가이드(122)는 제1 단자부(1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복수의 연결선(300)을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선 가이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선 가이드(222)는 제2 커넥터(200)의 내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선 가이드(222)는 제2 단자부(2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연결선 가이드(122) 및 제2 연결선 가이드(222)가 제1 커넥터(100)의 하측면에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수용 공간은 중심 공간(10c), 제1 공간(100g) 및 제2 공간(200g)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공간(10c)은 제1 결합부(130)의 내부 및 제2 결합부(230)의 내부가 공유하는 공간일 수 있다. 제1 공간(100g)은 제1 단자부(110)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제1 커넥터(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100g)은 제1 삽입부(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100g)은 제1 커넥터(100)의 내부의 공간 중 중심 공간(10c)을 제외한 부분일 수 있다. 제1 공간(100g)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상측 삽입부(120U) 및 제1 하측 삽입부(120D)가 결합되어 생기는 내부 공간일 수 있다. 제2 공간(200g)은 제2 단자부(210)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제2 커넥터(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200g)은 제2 커넥터(200)의 내부의 공간 중 중심 공간(10c)을 제외한 부분일 수 있다. 제2 공간(200g)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상측 삽입부(220U) 및 제2 하측 삽입부(220D)가 결합되어 생기는 내부 공간일 수 있다.
도 5, 도 6,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회전 가이드(131)의 외주면에는 수평 방향 중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31h)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1h)는 전원 홀(130h)을 통과한 전원선(20)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부(131h)는 전원선(20)이 제1 단자부(110)로 향하는 방향인 제1 삽입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개구부(131h)가 제1 삽입 방향으로 개방된 실시예를 개시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구부(131h)가 형성됨으로써, 전원 홀(130h)을 통과한 전원선(20)을 제1 단자부(110) 또는 제2 단자부(210)에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5, 도 6,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2 결합부(230)에는 중심 공간(10c)으로부터 제1 공간(100g)으로 연결되는 연결선(300)의 일부가 통과하는 회전 홀(200h)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홀(200h)은 제2 상측 커버(200A) 및 제2 하측 커버(200B)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홀(200h)은 전원선(20)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홀(200h)은 회전축(R)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홀(200h)은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회전을 하는 동안에도 전원선(20) 및 연결선(300)은 회전 홀(200h)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홀(200h)을 형성함으로써,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회전을 하더라도 연결선(300) 및 전원선(2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도 4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에서 전원선 및 접지 전선이 제거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는 전원선(20) 및 접지 전선(70)과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를 제작하고 별도로 전원선(20) 및 접지 전선(70)을 조립하여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S3-S3`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S4-S4`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의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등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한 공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이하에서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결합부(130)에는 전원 홀(130h`)이 형성될 수 있다. 접지 전선(70)은 전원 홀(130h`)에 삽입되어 접지 부재(6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전원 홀(130h`)에 전원선(20) 및 접지 전선(70)이 함께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지 부재(600`)는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링 형상일 수 있다. 접지 부재(600`)와 접지 전선(70)은 서로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접지(410) 또는 제2 접지(510)의 상측면이 접지 부재(600)의 하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전원선(20)은 전원 홀(130h`) 및 접지 부재(600`)의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는 전원 홀(130h`)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면(130s)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면(130s)은 전원선(20) 중 전원 홀(130h`)을 관통하는 일 부분의 3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3면은 전원선(20)을 기준으로 제1 삽입부(120)가 위치한 방향 및 상기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에 위치한 두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홀(130h`)을 구획하는 가이드 면(130s)에는 회전축(R)을 기준으로 한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전원선 가이드(138)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원선 가이드(138)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측면은, 가이드 면(130s)의 상기 3면 중 2면(즉, 전원선(2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삽입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에 위치한 양 측면)일 수 있다. 한 쌍의 전원선 가이드(138)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원선 가이드(138)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0)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가이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30)의 회전 가이드 홀(230h)의 내주면은 회전 가이드(131`)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제2 커넥터(200)의 제1 커넥터(100)에 대한 회전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는 한 쌍의 전원선 가이드(138)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회전 가이드 기둥(136)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기둥(136)은 회전 가이드(131`)의 외주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선(300)은 회전 가이드 기둥(136)을 포함하는 회전 가이드(131`)의 둘레를 감을 수 있다. 한 쌍의 전원선 가이드(138)가 이격된 공간 사이로 전원선(20)이 전원 홀(130h`)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원선 가이드(138)는 전원선(20)이 전원 홀(130h`)을 관통하는 일 부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의 외주면에는 수평 방향 중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31h`)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1h`)는 전원선(20)이 제1 단자부(110)로 향하는 방향인 제1 삽입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개구부(131h`)는 전원 홀(130h`)을 통과한 전원선(20)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가이드 기둥(136)이 서로 이격된 공간은 상기 개구부(131h`)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넥터(100)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단자부(1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선 가이드(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단자부(2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결선 가이드(2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S5-S5`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S6-S6`선을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를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의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등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한 공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이하에서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1 하측 커버(100B)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 끝단에는 다른 하나를 향하여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1 하측 커버(100B) 중 다른 하나의 길이 방향 끝단에는 상기 후크가 걸림되도록 구성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가 상기 홈에 걸림으로써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1 하측 커버(100B)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상측 커버(100A)에 홈이 형성되고 제1 하측 커버(100B)에 후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상측 커버(100A) 및 제1 하측 커버(100B)를 통해 설명한 후크 및 홈에 대한 설명은 제2 상측 커버(200A) 및 제2 하측 커버(20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외부의 전원선(20)은 제2 단자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 홀(130h``)은 제1 상태에서 제2 삽입부(2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상측 커버(100A)는 전원 홀(130h``)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면(130s)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면(130s)은 전원선(20) 중 전원 홀(130h``)을 관통하는 일 부분의 3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3면은 전원선(20)을 기준으로 제2 삽입 방향에 위치한 면 및 상기 제2 삽입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에 위치한 양 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의 외주면에는 수평 방향 중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31h`)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1h`)는 전원선(20)이 제2 단자부(210)로 향하는 방향인 제2 삽입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개구부(131h`)는 전원 홀(130h`)을 통과한 전원선(20)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가이드 기둥(136)이 서로 이격된 공간은 상기 개구부(131h`)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전원 홀(130h``)의 내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면의 볼록한 부분에는 회전축(R)을 기준으로 한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전원선 가이드(138)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원선 가이드(138)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측면은, 가이드 면(130s)의 상기 3면 중 2면(즉, 전원선(20)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삽입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에 위치한 양 측면)일 수 있다. 상기 전원선(20)은 전원 홀(130h``) 및 회전 가이드 홀(230h)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삽입부(220) 내부의 제2 단자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 부재(600``)는 제1 상측 커버(100A)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지 부재(600``)는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링 형상일 수 있다. 제1 접지(410`) 및 제2 접지(510`)는 각각 제1 안착부(121) 및 제2 안착부(2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지(410`)는 제2 삽입 방향의 일단이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고 다시 제2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지(410`)의 상기 일단의 하측면은 접지 부재(600``)의 상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접지(510`)의 일단의 상측면은 접지 부재(600``)의 하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접지(410`) 및 제2 접지(510`)는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접지 부재(600``)와 각각 상측면 및 하측면에서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접지 연결부(420)는 제1 커넥터(100) 및 제1 접지(410`)의 일단과 끝단 사이에서 제1 커넥터(100) 및 제1 접지(41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일(31)이 제1 커넥터(100)와 결합될 때, 제1 접지 연결부(420)는 제1 접지(410`) 및 제1 커넥터(100)를 관통하여 제1 레일(3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지 연결부(520)는 제2 커넥터(200) 및 제2 접지(510`)의 일단과 끝단 사이에서 제2 커넥터(200) 및 제2 접지(51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레일(32)이 제2 커넥터(200)와 결합?瑛? 때, 제2 접지 연결부(520)는 제2 접지(510`) 및 제2 커넥터(200)의 중간 부분을 관통하여 제2 레일(32)과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 1`, 1``)는 복수의 등기구용 레일을 연결시키는 것 외에 다른 복수의 전기기구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전기기구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전기기구 연결 장치(1, 1`, 1``)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전기기구 연결 장치는 임의의 제1 전기기구(미도시) 및 임의의 제2 전기기구(미도시)를 서로 연결한다. 전기기구 연결 장치는 제1 전기기구의 단자(미도시)와 제2 전기기구의 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전기기구 및 제2 전기기구를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기구 연결 장치(1, 1`, 1``)는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전원선(20) 및 접지 전선(7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는 제1 커넥터(100), 제2 커넥터(200) 및 연결선(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제1 전기기구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단자부(110)를 가질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1 전기기구와 다른 제2 전기기구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단자부(210)를 가질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10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선(300)은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제1 단자부(110)와 제2 단자부(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10, 10`, 10``)의 외표면에는 제1 단자부(110) 또는 제2 단자부(2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전원선(20)이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표면에 전원 홀(130h, 130h`, 130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5를 참고하여 상술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1, 1`, 1``)에 따른 설명 중 레일로 한정지어 설명된 부분을 제외한 내용은, 전기기구 연결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기기구 연결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전기기구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함과 동시에 복수의 전기기구에 별도로 전원선을 직접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1`, 1``: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10, 10`, 10``: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100: 제1 커넥터, 110: 제1 단자부, 120: 제1 삽입부, 130: 제1 결합부, 130h: 전원 홀 200: 제2 커넥터, 200h: 회전 홀, 210: 제2 단자부, 220: 제2 삽입부, 230: 제2 결합부, 300: 연결선, 410: 제1 접지, 420: 제1 접지 연결부, 510: 제2 접지, 520: 제2 접지 연결부, 600, 600`, 600``: 접지 부재, 70: 접지 전선, 20: 전원선, 31: 제1 레일, 32: 제2 레일
Claims (18)
- 등기구용 제1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레일과 다른 등기구용 제2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 또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전원선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표면에 전원 홀이 형성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가 90˚ 회전된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레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레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홀은 상기 제1 결합부에 형성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1 결합부의 내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내부가 공유하는 중심 공간; 및
상기 제1 단자부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중심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으로 연결되는 상기 연결선의 일부가 통과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홀이 형성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제2 결합부의 상측면을 덮고, 상기 전원 홀이 형성된 제1 상측 결합부; 및
상기 제1 상측 결합부의 하측면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을 형성하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결합부에 대한 회전이 안내되도록 구성된 내주면을 가진 회전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이 외부로부터 상기 전원 홀 및 상기 회전 가이드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 홀의 내주면보다 상기 회전축에 더 가깝도록 형성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의 상기 외주면에는 상기 전원 홀을 통과한 상기 전원선이 통과하도록 수평 방향 중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외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1 접지;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2 접지;
상기 제1 접지와 상기 제1 레일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1 접지에 접촉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접지 연결부; 및
상기 제2 접지와 상기 제2 레일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2 접지와 접촉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접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연결부는 상기 제1 접지 및 제1 커넥터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지 연결부는 상기 제2 접지 및 제2 커넥터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1 접지;
상기 제2 커넥터의 상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2 접지; 및
상기 제1 접지 및 상기 제2 접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접지의 표면과 상하 방향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접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 접지의 일단이 안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제1 접지의 상기 일단은 상기 가이드 홈이 가이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된 상기 제1 접지의 상기 일단의 상측면은 상기 접지 부재와 접촉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을 형성하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결합부에 대한 회전이 안내되도록 구성된 내주면을 가진 회전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회전 가이드를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 설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 설정 돌기가 삽입 가능한 위치 설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위치 설정 돌기가 상기 위치 설정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복수의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내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단자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선을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내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단자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선을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면에는 상기 전원선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기 전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전원 홀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고, 상기 전원선 중 상기 전원 홀을 관통하는 일 부분의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전원선의 상기 일 부분의 적어도 3면을 둘러싸는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 등기구용 제1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레일과 다른 등기구용 제2 레일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단자부 또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이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표면에 전원 홀이 형성된,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1 접지;
상기 제2 커넥터의 상측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제2 접지;
상기 제1 접지 및 상기 제2 접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접지의 표면과 상하 방향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접지 부재; 및
상기 접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접지 전선을 더 포함하는,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 제1 전기기구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전기기구와 다른 제2 전기기구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 또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전원선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표면에 전원 홀이 형성된,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726U KR20240000133U (ko) | 2022-07-14 | 2022-07-14 |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726U KR20240000133U (ko) | 2022-07-14 | 2022-07-14 |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133U true KR20240000133U (ko) | 2024-01-23 |
Family
ID=8971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1726U KR20240000133U (ko) | 2022-07-14 | 2022-07-14 |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0133U (ko) |
-
2022
- 2022-07-14 KR KR2020220001726U patent/KR20240000133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42250C2 (ru) | Экран, прикрепляемый к разъему, применяемому в област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й, комбинация разъема 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экрана и способ экранировки разъема | |
US8960973B1 (en) | Splice enclosure for luminaires | |
WO2020111509A1 (ko) | 전기 분배 장치 | |
JPH0799073A (ja) | 電気コネクタ | |
US11032893B2 (en) | Hinged remote driver box for light fixture | |
JPH0799074A (ja) | 電気コネクタ | |
KR20240000133U (ko) | 등기구용 레일 연결 조립체, 등기구용 레일 연결 장치, 및 전기기구 연결 조립체 | |
KR102454424B1 (ko) | 등기구, 등기구 세트, 및 복수의 등기구 설치 방법 | |
KR102066134B1 (ko) | 방폭성능 향상형 방폭등 | |
US6082873A (en) | Connecting accessory for fluorescent lamps | |
CN218770163U (zh) | 电连接器及照明装置 | |
US20090311917A1 (en) | Socket for Bulb | |
US11317749B2 (en) | Modula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for an illuminable decoration, and illuminable decoration with modula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 |
KR200498256Y1 (ko) | 조명 장치 및 전원 연결 장치 | |
US5541819A (en) | Modular lighting fixture | |
US5488548A (en) | Modular lighting fixture | |
KR102005964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분배구 | |
KR200404608Y1 (ko) | 조명기구 | |
KR20210154039A (ko) | 점퍼선의 회전 구속장치 | |
JP5455951B2 (ja) | ランプ及び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 |
US8979556B2 (en) | Communication socket and communication device | |
EP1460334A1 (en) | Recessed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 |
CN210662710U (zh) | 灯罩和灯具 | |
JP7325803B2 (ja) | 照明装置 | |
JP3224639U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