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608Y1 -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608Y1
KR200404608Y1 KR20-2005-0028744U KR20050028744U KR200404608Y1 KR 200404608 Y1 KR200404608 Y1 KR 200404608Y1 KR 20050028744 U KR20050028744 U KR 20050028744U KR 200404608 Y1 KR200404608 Y1 KR 200404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ead
power
power supply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남식
Original Assignee
배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남식 filed Critical 배남식
Priority to KR20-2005-0028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용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이 형성된 기구본체와; 상기 기구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인입되는 전선인입부와, 상기 전원공급선과 접속하여 인접하는 기구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부와, 상기 전원공급선과 상기 전원연결선과 상기 조명용 전선의 각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전선통과공과 연통하는 연통공과, 상기 연통공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기구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전선접속함과; 상기 전원공급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입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입그랜드와; 상기 전원연결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그랜드와; 상기 인입그랜드 및 상기 인출그랜드를 각각 상기 전선인입부 및 상기 전선인출부에 지지하며, 상기 전선접속함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선의 설치 및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LIGH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접속함을 기구본체에 일체로 연결하여 전선을 접속시키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접속함은 건축물 벽체 또는 천장에 배선된 여러 가닥의 전선을 한군데로 유도시켜 필요한 전기제품에 따른 콘센트 스위치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전력구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조명기구는 전력구내의 천장에 설치되기 위해 설치되는 조명기구의 수량만큼 전선접속함을 설치한 후, 설치된 전선접속함에 조명기구를 접속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종래의 조명기구는 전선접속함을 조명기구의 수량만큼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기간이 지체되어 공사비가 상승하며,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시 전선접속함과 조명기구 사이의 전선 인출구간이 길게 되어, 방수처리구간이 확대되어 시공비용이 증대하고 전력구내 천장에 조명기구의 설치공사시 인건비가 증가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천장이 높은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동시에 점멸되는 조명기구는 1차로 각 전선접속함에 전력구를 지나는 전선이 통과되도록 접속되고, 전선접속함에 접속된 전선이 2차로 별도로 설치된 조명기구에 따로 연결시키는 복잡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조명기구로서 기구본체에 전선접속함이 일체로 연결된 조명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선접속함이 일체로 연결된 조명기구에 있어서는, 전선접속함으로 제공되는 전선이 전선관에 수용되고, 전선관은 전선접속함에 나사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선의 설치 및 연결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의 설치 및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있어서, 조명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용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이 형성된 기구본체와; 상기 기구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인입되는 전선인입부와, 상기 전원공급선과 접속하여 인접하는 기구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부와, 상기 전원공급선과 상기 전원연결선과 상기 조명용 전선의 각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전선통과공과 연통하는 연통공과, 상기 연통공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기구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전선접속함과; 상기 전원공급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입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입그랜드와; 상기 전원연결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그랜드와; 상기 인입그랜드 및 상기 인출그랜드를 각각 상기 전선인입부 및 상기 전선인출부에 지지하며, 상기 전선접속함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그랜드는, 상기 전원공급선 및 상기 전원연결선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전선지지홈과, 상기 전선인입부 및 상기 전선인출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되는 착탈부와, 상기 커버가 밀착 지지되는 커버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지지부와 상기 전선지지홈 사이에는 상기 전원공급선 및 상기 전원연결선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선지지홈으로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이 연통 형성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전선지지홈에 전원공급선 및 전원연결선을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선인입부와 상기 전선인출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입그랜드와 상기 인출그랜드를 더 간편하게 전선접속함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조명기구의 일 실시예로서, 전장에 설치되는 형광등기구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1)는 기구본체(10)와, 기구본체(10)의 배면에 장착되어 기구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41)과 인접하는 기구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선(45)이 접속 및 접속해제되는 전선접속함(30)과, 전원공급선(41)을 전선접속함(30)에 지지하는 인입그랜드(50a)와, 전원연결선(45)을 전선접속함(30)에 지지하는 인출그랜드(50b)와, 전선접속함(30)의 개구부(39)를 개폐하는 커버(60)를 가진다.
기구본체(10)는 판상의 주판(11)과, 주판(11)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며 형광등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한 쌍의 반사판(13)과, 주판(11)과 반사판(13)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마련되며 형광등의 양단에 각각 대면되는 한 쌍의 측벽(15)을 갖는다.
주판(11)의 전면에는 후술할 전원공급선(41)의 커넥터(43)에 접속되어 형광등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는 안정기(17)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주판(11)에는 조명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안정기(17)에 연결되는 조명용 전선(25)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19)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판(11)의 전면에는 안정기(1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안정기 커버(미도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측벽(15)의 내벽면에는 형광등의 양단자핀을 수용하는 두 쌍의 형광등용 소켓(21)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형광등용 소켓(21)은 도선(23)에 의해 안정기(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선접속함(30)은 상방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을 가진다. 전선접속함(30)은 기구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41)이 인입되는 전선인입부(31)와, 전원공급선(41)과 접속하여 인접하는 기구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선(45)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부(33)와, 전원공급선(41)과 전원연결선(45)과 조명용 전선(25)의 각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35)와, 전선통과공(19)과 연통하는 연통공(37)과, 연통공(37)과 대향 배치되어 수용부(35)와 연통하는 개구부(39)를 가진다.
전선인입부(31)와 전선인출부(33)는 개구부(39)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전선인입부(31)에는 후술할 인입그랜드(50a)의 착탈부(53a)가 걸림 유지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선인출부(33)에는 후술할 인출그랜드(50b)의 착탈부(53b)가 걸림 유지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원공급선(41)의 단자에는 커넥터(4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커넥터(43)에는 전원연결선(45)의 단자에 장착된 제1소켓(47)과 조명용 전선(25)의 단자에 장착된 제2소켓(27)이 각각 연결된다. 이에, 커넥터(43)와 각 소켓(47,27)이 접속함에 따라 인접하는 기구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해당 기구본체(10)의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인입그랜드(50a)는 전원공급선(41)을 지지하는 전선지지홈(51a)과, 전선인입부(31)에 착탈되는 착탈부(53a)와, 커버(60)가 밀착 지지되는 커버지지부(55a)를 가진다. 인입그랜드(50a)에는 착탈부(53a)로서 전선인입부(31)의 걸림턱에 걸림 유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입그랜드(50a)의 전선지지홈(51a)에는 전원공급선(41)을 수용하는 전선관(59a)이 결합되어 있다.
인출그랜드(50b)는 전원연결선(45)을 지지하는 전선지지홈(51a)과, 전선인출부(33)에 착탈되는 착탈부(53b)와, 커버(60)가 밀착 지지되는 커버지지부(55b)를 가진다. 인출그랜드(50b)에는 착탈부(53b)로서 전선인출부(33)의 걸림턱에 걸림 유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출그랜드(50b)의 전선지지홈(51b)에는 전원연결선(41)을 수용하는 전선관(59b)이 결합되어 있다.
인입그랜드(50a) 및 인출그랜드(50b)는 전선접속함(3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개구부(39)의 둘레에 형성된 전선인입부(31) 및 전선인출부(33)에 장착된다.
커버(60)는 판형상을 가지며, 전선접속함(30)의 개구부(39)의 상방에 배치되어 인입그랜드(50a) 및 인출그랜드(50b)를 각각 전선인입부(31) 및 전선인출부(33)에 지지하며, 전선접속함(30)의 개구부(39)를 개폐한다.
커버(60)는 도시 않은 체결수단에 의해 전선접속함(30)에 체결 및 체결해제된다.
한편, 도 8에는 인입그랜드(50a') 및 인출그랜드(50b')의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지지부(55a,55b)와 전선지지홈(51a,51b) 사이에 전원공급선(41) 및 전원연결선(45)이 각각 전선지지홈(51a,51b)으로 삽입되는 전선삽입홈(57a,57b)이 연통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보다 간편하게 각 그랜드(50a',50b')의 전선지지홈(51a,51b)에 전원공급선(41) 및 전원연결선(45)을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그랜드(50a',50b')가 설치된 조명기구(1)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1)에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입그랜드(50a) 및 인출그랜드(50b)에 각각 전원공급선(41)과 전원연결선(45)을 지지시킨다.
그리고, 인입그랜드(50a)와 인출그랜드(50b)를 전선접속함(3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개구부(39)의 둘레에 형성된 전선인입부(31) 및 전선인출부(33)에 장착시킨다. 이 때, 전원공급선(41)의 단자에 마련된 커넥터(43)와 전원연결선(45)의 단자에 마련된 제1소켓(47)을 전선접속함(30)의 수용부(35)에 수용시킨다.
이어서, 안정기(17)에 연결된 조명용 전선(25)을 기구본체(10)의 전선통과공(19)과 전선접속함(30)의 연통공(37)을 거쳐, 전선접속함(30)의 수용부(35)로 수용시킨다. 이 때, 조명용 전선(25)의 단자에 마련된 제2소켓(27)을 전선접속함(30)의 수용부(35)에 수용시킨다.
전원공급선(41)의 커넥터(43)에 전원연결선(45)의 제1소켓(47)을 접속하여 인접하는 조명기구(1)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조명용 전선(25)의 제2소켓(27)을 접속하여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커버(60)로 전선접속함(30)의 개구부(39)를 폐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1)의 전원공급선(41)과 전원연결선(45)과 조명용 전선(25)의 배선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전선접속함을 기구본체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함과 동시에, 전원공급선을 지지하는 인입그랜드와 전원연결선을 지지하는 인출그랜드를 각각 전선인입부와 전선인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전선의 설치 및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접속함으로 제공되는 전선의 설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선의 설치 및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일 측단면도,
도 4는 전선이 접속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전선이 접속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전선접속함의 일측면도,
도 7은 도 4의 그랜드의 사시도,
도 8은 그랜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그랜드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일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명기구 10 : 기구본체
19 : 전선통과공 25 : 조명용 전선
27 : 제2소켓 30 : 전선접속함
31 : 전선인입부 33 : 전선인출부
35 : 수용부 37 : 연통공
39 : 개구부 41 : 전원공급선
43 : 커넥터 45 : 전원연결선
47 : 제1소켓 50a,50a' : 인입그랜드
50b,50b' : 인입그랜드 51a,51b : 전선지지홈
53a,53b : 착탈부 55a,55b : 커버지지부
57a,57b : 전선삽입홈 60 : 커버

Claims (4)

  1. 조명기구에 있어서,
    조명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용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이 형성된 기구본체와;
    상기 기구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인입되는 전선인입부와, 상기 전원공급선과 접속하여 인접하는 기구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부와, 상기 전원공급선과 상기 전원연결선과 상기 조명용 전선의 각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전선통과공과 연통하는 연통공과, 상기 연통공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기구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전선접속함과;
    상기 전원공급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입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입그랜드와;
    상기 전원연결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그랜드와;
    상기 인입그랜드 및 상기 인출그랜드를 각각 상기 전선인입부 및 상기 전선인출부에 지지하며, 상기 전선접속함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랜드는,
    상기 전원공급선 및 상기 전원연결선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전선지지홈과,
    상기 전선인입부 및 상기 전선인출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되는 착탈부와,
    상기 커버가 밀착 지지되는 커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지부와 상기 전선지지홈 사이에는 상기 전원공급선 및 상기 전원연결선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선지지홈으로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이 연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인입부와 상기 전선인출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20-2005-0028744U 2005-10-08 2005-10-08 조명기구 KR200404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44U KR200404608Y1 (ko) 2005-10-08 2005-10-08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44U KR200404608Y1 (ko) 2005-10-08 2005-10-08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608Y1 true KR200404608Y1 (ko) 2005-12-26

Family

ID=4929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744U KR200404608Y1 (ko) 2005-10-08 2005-10-08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6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00B1 (ko) * 2006-08-16 2007-01-22 (주)지성전기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단자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00B1 (ko) * 2006-08-16 2007-01-22 (주)지성전기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264B2 (en) Interlocking system for hanging decorative lights and fixtures
US7270441B2 (en) Luminaire with special ballast
US7293895B2 (en) Modular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8839511B2 (en) Method of providing a removable overhead light
MXPA05004885A (es) Sistema de luminaria modular.
KR100920509B1 (ko) 레이스웨이 조명기구 및 그 설치방법
KR100639121B1 (ko) 공동주택용 레일식 천장전기 단자함
KR200493089Y1 (ko) Smps의 결합 분리가 용이한 조명기구
KR200404608Y1 (ko) 조명기구
KR100746235B1 (ko) 레이스웨이 조명시스템용 전원공급장치
JP2009224155A (ja) 照明器具
KR100734491B1 (ko) 레이스웨이 조명시스템 및 그 조립방법
KR102199710B1 (ko) 천정형 조명기기의 회전 연결형 커넥터 장치
KR102118890B1 (ko) 착탈형 led 조명장치
KR101069221B1 (ko) 램프 어셈블리 및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한 조명장치
KR101008881B1 (ko) 원터치로 설치되는 등기구
KR101027694B1 (ko) 형광등용 전원 커넥터
US20060055333A1 (en) Ballast with integral connector
KR100944262B1 (ko) 조명기구
RU2718768C1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200315411Y1 (ko) 형광등용 소켓
JP3141338U (ja) 照明器具用配電具
KR20230163792A (ko) 전원결속이 용이한 조명장치
KR200317478Y1 (ko) 형광등 장치
KR20080095034A (ko) 다운 라이트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