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693B1 -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693B1
KR102432693B1 KR1020200179255A KR20200179255A KR102432693B1 KR 102432693 B1 KR102432693 B1 KR 102432693B1 KR 1020200179255 A KR1020200179255 A KR 1020200179255A KR 20200179255 A KR20200179255 A KR 20200179255A KR 102432693 B1 KR102432693 B1 KR 10243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unit
time
platform cal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013A (ko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693B1/ko
Priority to CN202111558150.0A priority patent/CN114644268A/zh
Publication of KR2022008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4Total time, i.e. arrival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5Transportation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22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assengers present in the elevator car to be al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2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historical, statistical or predicted traffic data, e.g. by lea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3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real-time traffic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행선층 예약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승강장 콜을 감지하고 감지한 승강장 콜을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하는 단계와,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승강장 콜이 할당되지 않은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단한 재할당 필요성 여부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의 할당을 유지하거나 또는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탑승 요청자의 탑승 대기시간 연장으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Elevator group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를 통해 승강장 콜의 재할당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고 재할당이 필요하다 판단되면 승강장 콜을 다른 호기에 재할당하여, 승강장에서 탑승 대기 중인 탑승 요청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업무 등의 다양한 용도로 건축되는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층간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또한, 건축기술의 발달에 의한 건물의 고층화 대용량화가 진행됨에 따라 해당 건물의 상주 또는 방문 인원이 증가하여 승객의 원활한 층간 이동을 위해서 하나의 건물에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운행된다. 이때,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에는 효율적인 운행 관리를 위하여 군관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효율적인 군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행선층 예약시스템이 사용된다. 행선층 예약시스템이란 엘리베이터 탑승 요청자가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기 위한 승강장 콜 입력시 행선층을 사전 입력하면 운행 중인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운행 위치, 운행 방향, 할당 콜 개수 등을 고려하여 탑승 엘리베이터 호기를 지정해 주고, 해당 호기에 자동으로 사전 입력한 행선층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운행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이다.
이러한 행선층 예약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 종래의 군관리 제어 방법은 개별 엘리베이터 호기 배정 운영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특정 호기에 할당한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이 불가하다. 따라서, 종래의 군관리 제어 방법은 건물 내 교통량 변화(만원 패스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군관리 제어 방법은 특정 탑승 요청자가 너무 긴 시간 동안 탑승 대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지된 승강장 콜을 여러 호기에 분산하여 할당하는데, 이로 인해 원거리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호기가 할당되거나 또는 할당된 호기가 접근 도중 정원을 초과하여 해당 승강장을 통과하는 현상(만원 패스)이 발생 가능하다. 이러한 현상은 탑승 요청자의 대기 시간을 연장하여 불편함을 발생시키며 특히, 탑승 요청자의 연장된 탑승 대기 중에 비할당 호기가 해당 승강장을 통과할 수 있어 이에 따른 탑승 요청자의 심리적 불편감 또한 초래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4065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를 통해 승강장 콜의 재할당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고 재할당이 필요하다 판단되면 승강장 콜을 다른 호기에 재할당하여, 승강장에서 탑승 대기 중인 탑승 요청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교통량이 증가하는 시간대의 승강장을 학습하여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하고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하는 승강장 콜에 대해서는 승강장 콜 재할당 과정을 바이패스하여, 교통량 증가시에는 승강장 콜 재할당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행선층 예약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승강장 콜을 감지하고 감지한 승강장 콜을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하는 단계와,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승강장 콜이 할당되지 않은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단한 재할당 필요성 여부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의 할당을 유지하거나 또는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승강장 콜에 대하여 할당 호기의 승강장 무정차 통과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무정차 통과가 발생하면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승강장 콜이 발생한 승강장까지의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과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한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산출한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 중 최소시간에 설정한 추가시간을 가산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추가시간을 가산한 시간을 초과한다 판단하면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승강장 콜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경과시간이 사전에 학습하여 설정한 기준 경과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기준 경과시간을 초과한다 판단하면 추가시간을 단축하여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추가시간을 단축하여 재설정하면 가산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시간대 별 승강장 콜에 대한 엘리베이터 호기의 도착까지의 경과시간을 수집하는 단계와, 단위기간 동안 수집한 경과시간 중 기준 백분위에 해당하는 경과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한 기준 백분위에 해당하는 경과시간을 기준 경과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시간대 별로 감지한 승강장 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피크 승강장을 설정하는 단계와, 감지한 승강장 콜이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승강장 콜에 대해서는 감지한 승강장 콜을 할당한 후,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또한,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승강장 콜을 할당시 하나의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 제한 개수 이하의 행선층이 할당되도록 승강장 콜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탑승자 초과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소정 기간 동안 카운트한 탑승자 초과 횟수의 평균값을 할당 제한 개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승강장 콜을 재할당하면, 재할당한 승강장 콜이 발생한 승강장에 재할당에 관한 공지를 음성 또는 문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를 통해 승강장 콜의 재할당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고 재할당이 필요하다 판단되면 승강장 콜을 다른 호기에 재할당하여 승강장에서 탑승 대기 중인 탑승 요청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탑승 요청자의 탑승 대기시간 연장으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량이 증가하는 시간대의 승강장을 학습하여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하고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하는 승강장 콜에 대해서는 승강장 콜 재할당 과정을 바이패스하여 교통량 증가시에는 승강장 콜 재할당이 수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교통량 증가시 승강장 콜의 잦은 재할당으로 인한 혼동 및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읠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서 호기 재할당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서 피크 승강장 설정 및 할당 제한 개수 설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서 단위 기간 동안의 승강장 콜 횟수를 카운트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서 기준 대기시간 설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읠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행선층 예약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승강장에서 탑승 대기 중인 탑승 요청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된 승강장 콜을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로 재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는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실시간 상태와 승강장에서 발생한 승강장 콜을 감지하는 감지부(10)와, 감지한 승강장 콜을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하는 승강장 콜 할당부(20)와, 기할당한 승강장 콜의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재할당 판단부(30)와, 승강장 콜 할당 및 재할당 정보를 승강장에 공지하는 출력부(40)와, 시간대 별 교통량을 학습하는 학습부(50), 그리고 학습한 교통량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를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설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지부(10)는 각 승강장에서 발생한 승강장 콜을 감지하고,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위치, 운행 방향, 행선지 할당 상황, 탑승자 초과 현황 등의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승강장 콜 할당부(20)는 감지한 승강장 콜을 대기 시간, 운영 효율 등을 고려하여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하고, 또한, 재할당 판단부(30)에 의해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할당하였던 승강장 콜을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에 재할당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승강장 콜 할당부(20)는 승강장 콜 재할당시 기존에 해당 승강장 콜을 할당하였던 할당 호기를 포함한 전체 호기 중에서 하나의 엘리베이터 호기에 해당 승강장 콜을 재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장 콜을 재할당 할 때에도 최초 할당시와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승강장 콜을 재할당할 수 있지만, 재할당의 근거가되는 정보는 재할당 시점의 정보로 한다. 즉, 최초 할당시 할당의 근거가되는 정보는 최초 할당 시점에서의 각 호기의 상태 정보이고 재할당시 할당의 근거가되는 정보는 재할당 시점에서의 각 호기의 상태 정보이므로 최초 할당 호기와 재할당 호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재할당 판단부(30)는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승강장 콜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재할당 판단부(30)는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승강장 콜이 할당되지 않은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의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재할당 판단부(30)에서의 재할당 판단 방법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부(40)는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어 탑승 요청자의 승강장 콜이 할당되면 승강장 콜이 할당되었음과 해당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 정보를 문자 또는 음성을 통해 출력하여 공지할 수 있다. 만약, 승강장 콜이 재할당되었다면 출력부(40)는 해당 승강장 콜이 재할당 되었음과 해당 승강장 콜이 재할당된 재할당 호기 정보를 출력하여 공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출력부(40)는 승강장 콜의 재할당으로 인한 공지시 탑승 대기자가 승강장 콜의 재할당 이유를 오해하지 않도록, 재할당으로 인하여 단축될 것으로 예측되는 단축 시간을 함께 출력하여 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40)는 "10층으로 가시는 손님의 탑승 엘리베이터가 3호기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대기 시간이 20초 단축되었습니다."와 같이 할당 호기의 변경 사실과 함께 구체적인 단축 시간을 공지하여 탑승 대기자가 재할당으로 인하여 시간적 이익을 보았음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장 콜 재할당에 대한 탑승 대기자의 오해와 이에 의한 불만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탑승 대기자가 대우받는 기분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학습부(50)는 감지부(10)에서 감지한 승강장 콜과, 각 엘리베이터 호기에 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 할당부(20)에서의 승강장 콜 할당 기준이되는 각종 정보와, 재할당 판단부(30)에서의 재할당 판단 기준이 되는 각종 정보 등을 학습하며, 설정부(60)는 학습부(50)에서 학습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 할당부(20)에서의 승강장 콜 할당 기준과, 재할당 판단부(30)에서의 재할당 판단 기준 등을 설정하는데, 학습부(50)에서의 학습 방법과 설정부(60)에서의 설정 방법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학습부(50)는 감지부(10)에서 감지한 승강장 콜과 각 엘리베이터 호기에 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 할당 기준 또는 재할당 기준이되는 각종 정보를 학습하며, 설정부(60)는 학습부(50)에서 학습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 할당 기준또는 재할당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S10).
그리고 감지부(10)에서 승강장 콜을 감지하면(S20), 승강장 콜 할당부(20)는 감지부(10)에서 감지한 승강장 콜 정보에 기초하여 감지한 승강장 콜이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콜인지 판단할 수 있다(S30).
여기서, 피크 승강장이란 시간대 별로 감지한 승강장 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시간대의 승강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의 1층 승강장이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피크 승강장의 설정은 단위 기간 동안에 시간대 별로 감지부(10) 감지한 승강장 콜 횟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설정부(6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감지부(10)에서 감지한 승강장 콜이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S30-Y), 재할당 판단부(30)에서의 재할당 필요성 판단 과정 없이 승강장 콜 할당부(20)에서 해당 승강장 콜을 할당하고 군관리 제어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S4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교통량이 증가하는 시간대의 승강장을 학습하여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하고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하는 승강장 콜에 대해서는 승강장 콜 재할당 과정을 바이패스하여 교통량 증가시에는 승강장 콜 재할당이 수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교통량 증가시 승강장 콜의 잦은 재할당으로 인한 혼동 및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할당 판단부(30)는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승강장 콜을 할당시 하나의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 제한 개수 이하의 행선층이 할당되도록 승강장 콜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할당 제한 개수란 탑승자 초과로 인한 만원 패스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의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하는 행선층 개수를 제한하는 것으로, 단위 기간 동안에 시간대 별로 감지부(10) 감지한 승강장 콜 횟수에 기초하여 설정부(60)가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재할당 판단부(30)는 피크 승강장에서의 탑승자 초과를 횟수를 저감시킴으로써 이로 인한 만원 패스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감지부(10)에서 감지한 승강장 콜이 피크 승강장에서 발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30-N), 승강장 콜 할당부(20)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할당 방식에 따라 승강장 콜을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할 수 있다(S50).
승강장 콜이 할당되면, 재할당 판단부(30)는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승강장 콜이 할당되지 않은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S60).
만약, 승강장 콜의 재할당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60-N), 승강장 콜 할당부(20)는 별도의 승강장 콜 재할당 없이 승강장 콜의 할당을 유지(S70)하고, 반면에, 승강장 콜의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S60-Y), 승강장 콜 할당부(20)는 해당 승강장 콜이 할당되었던 할당 호기를 제외한 엘리베이터 호기들(비할당 호기)의 실시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승강장 콜이 발생한 승강장까지 가장 빠르게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비할당 호기를 선택하여 해당 승강장 콜을 재할당할 수 있다(S80).
그리고 출력부(40)는 승강장 콜 할당부(20)가 승강장 콜을 재할당하면, 재할당한 승강장 콜이 발생한 승강장에 재할당에 관한 공지를 음성 또는 문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9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서 호기 재할당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재할당 판단부(30)가 호기 재할당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재할당 판단부(30)는 감지부(10)에서 감지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할당 호기가 해당 승강장 콜이 발생한 승강장을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는 승강장 무정차 통과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61). 여기서 할당 호기의 승강장 무정차 통과는 통상적으로 할당 호기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하기 전에 탑승자가 초과하여 발생하는 만원 패스일 수 있다.
재할당 판단부(30)는 할당 호기의 승강장 무정차 통과가 발생하면(S61-Y), 해당 승강장 콜의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2). 바람직하게, 승강장 콜 할당부(20)는 할당 호기의 승강장 무정차 통과가 연속하여 수회(예를 들면 2회) 이상 발생하면 무정차 통과하여 할당 또는 재할당 호기가 응하지 못한 승강장 콜을 최우선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하고, 이때 할당된 호기가 해당 승강장 콜에 응하여 해당 승강장에 정차할 때까지 해강 엘리베이터 호기에 다른 승강장 콜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할당 호기의 승강장 무정차 통과가 발생하지 않았다면(S61-N), 할당 호기와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63). 예상 도착시간은 현 시점에서 엘리베이터 호기가 승강장 콜에 의해 해당 승강장 콜이 발생한 승강장까지 도착하기까지 예측되는 시간으로, 감지부(10)에서 감지된 할당 호기 상태 정보 및 비할당 호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재할당 판단부(30)는 할당 호기와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을 산출하면, 산출한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산출한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 중 최소시간에 설정한 추가시간을 가산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4).
그리고 재할당 판단부(30)는 산출한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최소시간에 추가시간을 가산한 시간을 초과한다 판단하면(S64-Y), 해당 승강장 콜의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2).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60초이고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 중 최소시간이 30초이며 설정한 추가시간이 20초일 때, 재할당 판단부(30)는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 60초가 최소시간 30초에 추가시간 20초를 가산한 50초를 초과하므로 해당 승강장 콜의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승강장 콜 할당부(20)는 해당 승강장 콜의 재할당 시 비할당 호기 중 예상 도착시간이 30초로 최소시간이었던 비할당 호기에 해당 승강장 콜을 재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할당 판단부(30)가 할당 호기와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을 비교할 때 추가시간을 적용하는 이유는, 비할당 호기의 실제 도착 시간은 비할당 호기가 해당 승강장으로 향하는 도중에 다른 승강장에서의 탑승객의 문열림 조작 등에 의해 예상 시간과 달리 연장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것이다. 물론, 할당 호기 또한 동일한 이유로 예상 시간이 연장될 수 있지만 승강장 콜의 재할당은 탑승 요청자의 혼돈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재할당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에만 추가시간을 가산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재할당 판단부(30)는 산출한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최소시간에 추가시간을 가산한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 판단하면(S64-N), 승강장 콜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사전에 학습을 통해 설정한 기준 경과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5).
만약, 승강장 콜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이 기준 경과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면(S65-N), 재할당 판단부(30)는 재할당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7). 하지만, 승강장 콜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경과시간이 기준 경과시간을 초과하였다면(S65-Y), 재할당 판단부(30)는 추가시간을 소정 시간 단축하여 재설정한 후(S66), 산출한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최소시간에 설정한 추가시간을 가산한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S64). 바람직하게, 재할당 판단부(30)에서 재설정한 추가시간은 재할당 필요성 여부의 판단이 종료되면 설정부(60)에서 설정한 설정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승강장 콜의 재할당 과정을 통해 승강장에서 탑승 대기 중인 탑승 요청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탑승 요청자의 탑승 대기시간 연장으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서 피크 승강장 설정 및 할당 제한 개수 설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서 단위 기간 동안의 승강장 콜 횟수를 카운트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피크 승강장 및 할당 제한 개수 설정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학습부(50)는 감지부(10)에서 단위 기간 동안 감지한 시간대 별 승강장 콜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S11). 그리고 설정부(60)는 학습부(50)에서 카운트한 시간대 별 승강장 콜 횟수에 기초하여 피크 승강장을 설정할 수 있다(S12).
도 5를 예시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학습부(50)는 단위 기간 동안 시간대 별로 감지한 각 승강장의 승강장 콜 횟수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설정부(60)는 산출한 평균값이 기준 횟수 이상인 시간대의 승강장을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때의 기준 횟수는 건물의 규모, 엘리베이터 호기의 개수, 건물내 상주하는 인구 수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기준 횟수를 30회로 가정하면 도 5에서는 오전 6시에서 8시까지는 1층 승강장을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하고 오전 8시에서 10시까지는 B1층과 1층 승강장을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하며 오전 10시에서 12시까지는 3층 승강장을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하고 정오에서부터 오후 2시까지는 1층 승강장을 피크 승강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피크 승강장 설정이 완료되면 학습부(50)는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탑승자 초과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S13). 바람직하게, 학습부(50)는 피크 승강장에서 해당 시간 동안 승강장 콜이 발생하고 해당 승강장 콜에 의한 탑승시 발생한 탑승자 초과(만원)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탑승자 초과 횟수의 단위 기간 동안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부(60)는 학습부(50)에서 산출한 단위 기간 동안의 평균 초과 횟수를 해당 피크 승강장의 할당 제한 개수로 설정할 수 있다(S1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서 기준 대기시간 설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기준 대기시간 설정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학습부(50)는 감지부(10)에서 감지한 승강장 콜 정보와 할당 호기 또는 비할당 호기의 실시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 별로 발생한 승강장 콜에 따른 탑승 요청자의 대기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S15). 구체적으로 학습부(50)는 승강장 콜이 발생하면 해당 승강장 콜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해당 승강장 콜이 할당되거나 또는 재할당된 엘리베이터 호기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하기까지의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부(50)는 단위 기간 동안 수집한 대기시간의 백분위를 산출하고, 산출한 백분위에 기초하여 기준 백분위에 따른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6). 그리고 설정부(60)는 학습부(50)에서 산출한 기준 백분위에 따른 대기시간을 기준 대기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S17).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준 백분위가 하위 10%인 경우 학습부(50)는 단위 기간 동안 산출한 대기시간의 백분위 중 10%에 해당하는 대기시간을 산출하며, 이때 산출한 대기시간이 60초라고 가정하면 설정부(60)는 60초를 기준 대기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감지부
20: 승강장 콜 할당부
30: 재할당 판단부
40: 출력부
50: 학습부
60: 설정부

Claims (9)

  1. 행선층 예약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승강장 콜을 감지하고 감지한 상기 승강장 콜을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승강장 콜이 할당되지 않은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한 상기 재할당 필요성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장 콜의 할당을 유지하거나 또는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승강장 콜이 발생한 승강장까지의 상기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과 상기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상기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산출한 상기 비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 중 최소시간에 설정한 추가시간을 가산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상기 추가시간을 가산한 시간을 초과한다 판단하면 상기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승강장 콜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경과시간이 사전에 학습하여 설정한 기준 경과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 호기의 예상 도착시간이 상기 기준 경과시간을 초과한다 판단하면 상기 추가시간을 단축하여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시간을 단축하여 재설정하면 상기 가산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시간대 별 승강장 콜에 대한 상기 엘리베이터 호기의 도착까지의 경과시간을 수집하는 단계;
    단위기간 동안 수집한 상기 경과시간 중 기준 백분위에 해당하는 상기 경과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상기 기준 백분위에 해당하는 경과시간을 상기 기준 경과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6. 행선층 예약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시간대 별로 감지한 승강장 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피크 승강장을 설정하는 단계;
    승강장 콜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한 상기 승강장 콜이 상기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콜인지 판단하는 단계;
    감지한 상기 승강장 콜을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승강장 콜이 할당된 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승강장 콜이 할당되지 않은 비할당 호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장 콜에 대한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한 상기 재할당 필요성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장 콜의 할당을 유지하거나 또는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승강장 콜에 대해서는 감지한 상기 승강장 콜을 할당한 후, 상기 재할당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바이패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승강장 콜을 할당시 하나의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 제한 개수 이하의 행선층이 할당되도록 상기 승강장 콜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상기 피크 승강장에서 발생한 탑승자 초과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소정 기간 동안 카운트한 상기 탑승자 초과 횟수의 평균값을 상기 할당 제한 개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은
    상기 승강장 콜을 재할당하면, 재할당한 상기 승강장 콜이 발생한 승강장에 재할당에 관한 공지를 음성 또는 문자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KR1020200179255A 2020-12-21 2020-12-21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KR10243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255A KR102432693B1 (ko) 2020-12-21 2020-12-21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CN202111558150.0A CN114644268A (zh) 2020-12-21 2021-12-17 电梯群管理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255A KR102432693B1 (ko) 2020-12-21 2020-12-21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013A KR20220089013A (ko) 2022-06-28
KR102432693B1 true KR102432693B1 (ko) 2022-08-16

Family

ID=8199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255A KR102432693B1 (ko) 2020-12-21 2020-12-21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2693B1 (ko)
CN (1) CN11464426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4020A (ja) 2007-10-02 2009-04-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JP2014118263A (ja) 2012-12-17 2014-06-30 Hitachi Ltd 乗場行先階予約方式の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3381A (en) * 1979-12-03 1982-12-14 Otis Elevator Company Relative system response elevator call assignments
KR20000015387A (ko) * 1998-08-28 2000-03-15 이종수 군관리 제어 시스템의 승강기 재할당 방법
DE112009002239T5 (de) * 2008-09-19 2011-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Fahrstuhl-Verwaltungssystem
KR101314065B1 (ko) 2011-12-08 2013-10-0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행선층 예약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334435B2 (ja) * 2015-02-27 2018-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GB2555343B (en) * 2015-07-03 2020-08-19 Hitachi Ltd Group-control elevator device, and method for assigning boarding car numbers using group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4020A (ja) 2007-10-02 2009-04-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JP2014118263A (ja) 2012-12-17 2014-06-30 Hitachi Ltd 乗場行先階予約方式の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44268A (zh) 2022-06-21
KR20220089013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497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4388546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サービスエレベータ案内表示方法
JP5351510B2 (ja) 乗り場行先階予約式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655244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制御方法
KR92000129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WO2019087249A1 (ja) 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方法
JP323958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5535708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19081622A (ja) 外部システム連携配車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344244B (zh) 组管理控制装置及组管理控制方法
JP3650150B2 (ja) 瞬時的なセクタ割り付け方法
JP7169448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KR102432693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CN108367880B (zh) 用于电梯控制系统的控制方法
JPH04153169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6539151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JPS6337024B2 (ko)
JP5919898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5082215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及び群管理方法
JP679916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715720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153976B2 (ko)
US7475757B2 (en) Elevator dispatching with balanced passenger perception of waiting
JP3461564B2 (ja) 昇降機の配車方法
JP4417329B2 (ja) 乗客の感覚的待ち時間を調整したエレベーターの配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