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603B1 -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603B1
KR102432603B1 KR1020200087933A KR20200087933A KR102432603B1 KR 102432603 B1 KR102432603 B1 KR 102432603B1 KR 1020200087933 A KR1020200087933 A KR 1020200087933A KR 20200087933 A KR20200087933 A KR 20200087933A KR 102432603 B1 KR102432603 B1 KR 10243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air cleaner
resin
cleaner housing
cam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620A (ko
Inventor
김동현
신현덕
Original Assignee
말레동현필터시스템(주)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동현필터시스템(주),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동현필터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0008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6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45/2606Guiding or cen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22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fixed mould wall projections for centering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29C2045/336Cam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32Air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은 코어 금형을 이용하여 가스 포집부와 에어 클리너 하우징이 일체로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 감소와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Air cleaner housing mold device and molding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는 연료의 연소 산화물에 의해 배출 가스, 블로 바이 가스(blow by gas)에 의한 크랭크 케이스 증발가스, 연료계 및 흡기계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들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증발가스 배출량에 대한 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미국은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로서 PEZV(Partial Zero-emission Vehicle)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PEZV 규제는 엔진 정지 직후 분사된 연료가 가열된 후 기화되어 차량 외부로 배출되고 있는 흡기계 증발가스 대한 배출량에 대해서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연료는 엔진 정지 직후 인젝터에서 분사된 후에 엔진의 높은 열에 의해 기화되며, 기화된 증발가스는 유일한 통로에 해당되는 에어 클리너를 거쳐 대기로 방출된다. 상기 증발가스에는 다량의 탄화수소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에어 클리너에서 탄화수소를 포집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증발가스를 줄이려는 시도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종래에는 대기 중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반적인 공기정화필터에 탄화수소 트랩을 직접 장착한 에어 클리너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에어 클리너는 공기정화필터 내 탄화수소 트랩에 의해 엔진 정지 직후 역류하는 증발가스 중의 탄화수소를 포집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클리너는 탄화수소 트랩의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탄화수소트랩을 에어 클리너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초음파 설비를 이용한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고정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탄화수소트랩이 파손되거나 측면 일부가 노출되고 분진이 발생하게 되어 엔진으로 유입 후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에는 탄화수소트랩을 에어 클리너 내부에 초음파 진동 융착으로 고정하기 위한 설비가 추가로 필요하게 되었고, 에어 클리너 제작에 따른 원가 상승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49608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에어 클리너 하우징으로 역류하는 배기 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가스 포집부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는 가스 포집부(50)가 구비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이 일체로 사출 성형 되도록 상기 가스 포집부(50)가 안착되는 안착부(102)가 형성된 코어 금형(100); 상기 코어 금형(100)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베이스 금형(200); 및 상기 베이스 금형(200)으로 수지가 주입되기 이전에 분리되었다가, 수지가 주입될 경우 상기 베이스 금형(200)과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는 가동 금형(30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02)에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에 대한 성형을 위해 유입된 수지 중의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가스 포집부(50)와 일체로 사출되도록 형성된 제1 수지 유입 홈(112); 상기 제1 수지 유지 유입 홈(112)과 이웃하여 가장 자리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 포집부(50)에 결합되도록 제1 수지 결합 돌기(114)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 포집부(50)에는 상기 제1 수지 유입 홈(112)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삽입 홀(52); 상기 제1 수지 결합 돌기(114)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삽입 홀(5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지 결합 돌기(114)는 상기 제2 삽입 홀(54)에 부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가스 포집부(50)가 수지와 일체로 사출될 때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102)의 가장 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위치 가이드 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 가이드 부(130)는 상기 가스 포집부(50)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부(132); 상기 가스 포집부(50)의 폭 방향에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부(132)의 양측 단부에 수지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 수지 유입 홈(132a); 상기 제2 가이드 부(134) 사이에 형성되고 수지가 유입되는 제3 수지 유입 홈(132b)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 금형(100)이 상기 베이스 금형(200)에서 선택적으로 탈부착 되도록 상기 코어 금형(100)의 측면에 위치된 캠 블록(120); 상기 캠 블록(1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캠 블록(120)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금형(200)의 측면에 위치된 고정 블록(140)이 구비된다.
상기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캠 블록(120)과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캠 블록 결합 홈(101); 상기 캠 블록 결합 홈 (102)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캠 블록(120)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부(104); 상기 제1 경사부(104)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코어 금형(100)이 상기 베이스 금형(200)에서 취출될 때 상기 캠 블록(120)과 맞물리기 위해 경사진 제2 경사부(106)가 형성된다.
상기 캠 블록(120)은 상기 캠 블록 결합 홈(101)으로 삽입되어 서로 간에 맞물리는 돌출부(122); 상기 돌출부(122)의 하면으로 상기 제2 경사부(106)와 동일 각도로 경사진 캠 블록 경사부(1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성형 방법은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내측에 가스 포집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기 위해 베이스 금형에 코어 금형을 설치하는 제1 단계(ST100); 상기 코어 금형에 가스 포집부가 정 위치 되는 제2 단계(ST200); 상기 베이스 금형의 외측에서 가동 금형이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금형과 서로 간에 밀착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가동 금형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는 제3 단계(ST300); 및 상기 가동 금형으로 주입된 수지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외형을 형성하고, 주입된 수지 중의 일부가 상기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사출이 이루어지는 제4 단계(ST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ST100)는 상기 코어 금형을 고정하기 위한 캠 블록이 설치되는 캠 블록 설치 단계(ST110); 상기 코어 금형과 결합된 캠 블록을 고정 하기 위한 고정 블록 설치 단계(ST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계(ST200)는 상기 가스 포집부의 전, 후, 좌, 우 위치에서 위치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에 의해 상기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성형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성형 방법에 의해 상기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성형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스 포집부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엔진에서 역류되는 배기가스에 대한 흡착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스 포집부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때 안정적인 사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도중에 에어 클리너 하우징과 분리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스 포집부가 일체로 사출되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 또는 가스 포집부가 미 장착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에 대한 사출 성형을 베이스 금형의 교체 없이 실시할 수 있어 금형 비용 감소와 작업자의 작업 속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에 의해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베이스 금형에 형성된 금형 삽입 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이 베이스 금형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에 가스 포집부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사출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반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베이스 금형에 삽입된 코어 금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캠 블록과 코어 금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에 결합된 캠 블록과 고정 블록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이 베이스 금형에서 취출 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이 취출된 이후에 가스 포집부가 미 장착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성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금형 장치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의 내측에 가스 포집부(50)가 일체화된 상태로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가스 포집을 위한 탄화수소트랩(미도시)을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제작하면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제작과 작업성 모두 향상된다.
특히 본 실시 예는 후술할 가스 포집부(50)와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이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사출 성형이 가능하므로 제작성이 향상되고, 사출기에서 베이스 금형(200)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코어 금형(100)만 손쉽게 취출이 가능하여 작업 속도 향상과 작업자의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가스 포집부(50)가 구비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이 일체로 사출 성형 되도록 상기 가스 포집부(50)가 안착되는 안착부(102)(도 4 참조)가 형성된 코어 금형(100)과, 상기 코어 금형(100)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베이스 금형(200) 및 상기 베이스 금형(200)으로 수지가 주입되기 이전에 분리되었다가, 수지가 주입될 경우 상기 베이스 금형(200)과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는 가동 금형(3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금형(200)은 코어 금형(100)에 대한 설치를 위해 상면이 개구된 코어 금형 삽입 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금형(100)은 코어 금형 삽입 홈(201)을 통해 베이스 금형(2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코어 금형 삽입 홈(201)은 내측이 경사진 경사면이 연장되고 바닥면이 막힌 상태로 형성되므로 코어 금형(100)이 삽입될 경우 상기 경사면과 바닥면에 의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코어 금형(100)이 베이스 금형(200)에 설치되는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안착부(102)는 가스 포집부(5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편평하게 연장되고, 에어 클리너 하우징(1)에 대한 성형을 위해 유입된 수지 중의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가스 포집부(50)와 일체로 사출되도록 형성된 제1 수지 유입 홈(112)과, 상기 제1 수지 유지 유입 홈(112)과 이웃하여 가장 자리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 포집부(50)에 결합되도록 제1 수지 결합 돌기(1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지 유입 홈(112)은 도면을 기준으로 안착부(102)의 중앙에서 좌측과 우측과, 상측과 하측 중앙에 각각 위치되며 수지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가스 포집부(50)에는 상기 제1 수지 유입 홈(112)과 마주보는 위치에 수지가 유입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삽입 홀(52)이 형성되어 있어 수지가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스 포집부(50)는 사출을 위한 수지가 주입될 경우 상기 제1 삽입 홀(52)을 통해 상기 제1 수지 유입 홈(112)으로 수지가 유입되므로 단면을 잘라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면과 하면에 각각 수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홀(52)과 제1 수지 유입 홈(112)으로 유입된 수지와 상기 에어 클리너 하우징(1)과 일체로 성형되므로 상기 가스 포집부(50)에 대한 고정과 제작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가스 포집부(50)는 초음파 융착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의 내측에 일체화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 결합 돌기(114)는 상기 안착부(102)의 상측과 하측 위치에 각각 위치되고, 가스 포집부(50)에 상기 제1 수지 결합 돌기(114)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삽입 홀(5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가스 포집부(50)는 안착부(102)에 안착될 때 수지가 부분 적으로 유입 되는 제1 삽입 홀(5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02)에 제1 수지 유입 홈(112)이 형성되어 있어 수지가 특정 위치로만 유입되지 않고 좌우 상하 위치로 각각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가스 포집부(50)는 상기 제2 삽입 홀(54)을 통해 유입된 수지가 상기 제1 수지 결합 돌기(114)와 접촉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어 가장 자리 위치에서 이격 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1 수지 결합 돌기(114)는 상기 제2 삽입 홀(54)에 부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며 특별히 삽입 깊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가스 포집부(50)가 수지와 일체로 사출될 때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102)의 가장 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위치 가이드 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 가이드 부(130)는 상기 가스 포집부(50)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부(132)와, 상기 가스 포집부(50)의 폭 방향에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가이드 부(132, 134)는 안착부(102)의 상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상기 제1,2 가이드 부(132, 134)는 가스 포집부(50)로 수지가 유입될 때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2 가이드 부(132, 134)에 의해 구획된 영역은 가스 포집부(50)와 대응되는 면적을 갖게 되므로 안착부(102)에 가스 포집부(50)를 안착 시킬 경우 어느 한 쪽으로도 이동되지 않고 기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어 위치 안정성이 향상된다.
가스 포집부(50)는 제1 가이드 부(132)에 의해 길이 방향에서의 움직임이 방지되고, 제3 가이드 부(134)에 의해서는 폭 방향에서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1)과 가스 포집부(50)를 일체로 사출 성형 작업을 실시할 때 항시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의 일정한 위치에 상기 가스 포집부(50)가 일체화된 상태로 사출 성형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130)가 구비될 경우 다수개의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을 반복적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도 품질 편차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시동이 오프 된 이후에 역류되는 배기 가스에 대한 흡착 효율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가이드 부(132)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길이로 연장되고, 제2 가이드 부(134)는 특정 길이로 연장되고 복수개로 각각 분할 배치된다.
상기 제1,2 가이드 부(132, 134)는 안착부(102)에서 돌출된 높이가 상기 가스 포집부(50)의 두께에 해당되는 높이 보다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는 가스 포집부(50)의 후면에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에어 클리너 하우징(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6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부(132)의 양측 단부에 수지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 수지 유입 홈(132a)과, 상기 제2 가이드 부(134) 사이에 형성되고 수지가 유입되는 제3 수지 유입 홈(132b)이 형성된다.
상기 제2,3 수지 유입 홈(132a, 132b)은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의 내측에 가스 포집부(50)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수지가 유입될 경우 소정량의 수지가 유입되어 에어 클리너 하우징(1)과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제2,3 수지 유입 홈(132a, 132b)은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의 내측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가스 포집부(50)가 사출 성형된 이탈 또는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항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2 수지 유입 홈(132a)은 가스 포집부(50)의 모서리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수지 유입 홈(132b)은 가스 포집부(50)의 길이 방향 좌우 양측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수지가 부분적으로 유입되므로 성형된 이후에 파손 또는 가이드 부(130)의 일측을 벗어난 위치로 수지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항시 일정한 형태로 상기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의 내측 상면에 가스 포집부(50)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가스 포집부(50)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1)과 일체로 성형될 경우 단면을 잘라서 외측에서 바라볼 때 가스 포집부(50)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가자아 자리 부분이 불필요하게 네어 클리너 하우징(1)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노출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성이 향상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베이스 금형(200)에는 상기 에어 클리너 하우징(1)과 가스 포집부(50)에 대한 일체 성형을 위해 주입된 수지 중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 금형(20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코어 금형(100)의 전면과 후면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금형(200)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연장된 제4 수지 유입 홈(202)이 형성된다.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은 안착부(102)에 안착된 가스 포집부(50)와 일체로 성형될 때 공급된 수지 중의 일부가 상기 제4 수지 유입 홈(202)으로 공급될 경우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금형(100)의 전면과 후면으로 유입되어 상기 에어 클리너 하우징(1)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 포집부(50)는 코어 금형(10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4 수지 유입 홈(202)으로 유입된 수지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성형 도출 이탈 또는 분리되거나, 사출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 분리되는 형상 없이 제작이 가능해 진다.
특히 상기 제4 수지 유입 홈(202)은 코어 금형(100)의 외측면(전면과 후면)과 밀착된 상태로 연장되되, 상기 외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고 연장되므로 사출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가스 포집부(50)가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해진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6 또는 도 9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100)은 베이스 금형(200)에서 선택적으로 탈부착 되도록 상기 코어 금형(100)의 측면에 위치된 캠 블록(120)과, 상기 캠 블록(1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캠 블록(120)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금형(200)의 측면에 위치된 고정 블록(140)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캠 블록(120)과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캠 블록 결합 홈(101)과, 상기 캠 블록 결합 홈 (102)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캠 블록(120)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부(104)와, 상기 제1 경사부(104)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코어 금형(100)이 상기 베이스 금형(200)에서 취출될 때 상기 캠 블록(120)과 맞물리기 위해 경사진 제2 경사부(106)가 형성된다.
상기 캠 블록 결합 홈(101)은 캠 블록(12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코어 금형(100)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제1 경사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 금형(100)의 삽입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경사부(10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금형(100)의 내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캠 블록(120)과 맞물려 코어 금형(100)에 대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경사부(104)는 베이스 금형(200)에서 사출 작업을 실시 할 때 코어 금형(100)에 대한 고정을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캠 블록(120)과 면접촉에 의해 맞물릴 경우 안정적인 고정력이 유지된다.
상기 제2 경사부(106)는 캠 블록(120)을 이용하여 코어 금형(100)을 베이스 금형(200)의 외측으로 취출 시킬 때 캠 블록(120)과 맞물리기 위해 형성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캠 블록(120)을 설명하면서 하기로 한다.
상기 캠 블록(120)은 상기 캠 블록 결합 홈(101)으로 삽입되어 서로 간에 맞물리는 돌출부(122)와, 상기 돌출부(122)의 하면으로 상기 제2 경사부(106)와 동일 각도로 경사진 캠 블록 경사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제1 경사부(104)와 맞물리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길이로 연장되고,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어 에어 클리너 하우징(1)에서 캠 블록(120)에 대한 사출 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경사부(104)와 맞물린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고정 블록(140)은 캠 블록(120)에 대한 고정을 위해 측면에서 볼트를 매개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된다.
상기 캠 블록 경사부(124)는 제1 경사부(104)와 부분 적으로 맞물리나 상기 코어 금형(100)이 베이스 금형(200)에 설치될 경우에는 제2 경사부(106)와는 결합되지 않고 상기 제1 경사부(104)에만 결합된다.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캠 블록 경사부(124)는 상기 제1 내지 제2 경사부(104, 106)의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의 연장된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경사면이 연장되는데, 이와 같이 경사면이 길게 연장되는 이유는 상기 캠 블록(120)을 코어 금형 삽입 홈(201)에서 손쉽게 취출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캠 블록 경사부(124)는 경사진 경사면이 길게 연장되어 있어 상기 캠 블록(120)을 고정하는 고정 블록(14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 후에 180도 회전시켜 상기 캠 블록 결합 홈(101)으로 삽입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경사부(106)의 경사면과 밀착과 동시에 상기 코어 금형(100)의 제2 경사부(106)가 상기 캠 블록 경사부(124)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코어 금형(100) 전체가 12시 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금형(100)의 외측으로 손쉽게 취출 된다.
작업자는 상기 코어 금형(100)을 손으로 잡고 가스 포집부(50)가 필요하지 않은 에어 클리너 하우징을 성형하기 위한 새로운 코어 금형(미도시)을 코어 금형 삽입 홈(201)에 결합시킬 경우 새로운 타입의 에어 클리너 하우징에 대한 사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금형(200)은 교체 하지 않고서도 두 가지 타입의 에어 클리너 하우징에 대한 사출 작업이 가능하여 보다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 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금형이 취출된 이후에 가스 포집부가 미 장착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전술한 코어 금형(100)이 취출된 이후에 일잔적인 에어 클리너 하우징(1a)을 베이스 금형(200)에 대한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베이스 금형(200)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두 가지 타입의 에어 클리너 하우징(1, 1a)에 대한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금형 제작을 위한 비용이 감소되고, 작업자의 작업 속도 향상과 작업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에 의해 상기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성형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성형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성형 방법은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내측에 가스 포집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기 위해 베이스 금형에 코어 금형을 설치하는 제1 단계(ST100)와, 상기 코어 금형에 가스 포집부가 정 위치 되는 제2 단계(ST200)와, 상기 베이스 금형의 외측에서 가동 금형이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금형과 서로 간에 밀착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가동 금형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는 제3 단계(ST300) 및 상기 가동 금형으로 주입된 수지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외형을 형성하고, 주입된 수지 중의 일부가 상기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사출이 이루어지는 제4 단계(ST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ST100)는 상기 코어 금형을 고정하기 위한 캠 블록이 설치되는 캠 블록 설치 단계(ST110)와, 상기 코어 금형과 결합된 캠 블록을 고정 하기 위한 고정 블록 설치 단계(ST120)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금형은 베이스 금형의 내측에 삽입된 이후에 캠 블록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캠 블록은 고정 블록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코어 금형에 대한 안정적인 설치를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집부는 코어 금형에 정 위치될 경우 전, 후, 좌, 우 위치에서 위치가 각각 고정된다(ST200). 이 경우 가스 포집부는 사출을 위한 수지가 주입되는 경우에도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에어 클리너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될 때 사출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ST300).
이와 같이 가스 포집부가 코어 금형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후에 수지가 가동 금형의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가스 포집부로 수지 중의 일부가 주입되면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이 서로 간에 일체로 사출 성형이 이루어 진다(ST400).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성형 방법에 의해 상기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성형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 가스 포집부
52 : 제1 삽입 홈
54 : 제2 삽입 홀
100 : 코어 금형
102 : 안착부
112 : 제1 수지 유입 홈
114 : 제1 수지 결합 돌기
120 : 갬 블록
130 : 위치 가이드 부
132, 134 : 제1,2 가이드 부
132a, 132b : 제2,3 수지 유입 홈
140 : 고정 블록
200 : 베이스 금형
300 : 가동 금형

Claims (14)

  1. 가스 포집부(50)가 구비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이 일체로 사출 성형 되도록 상기 가스 포집부(50)가 안착되는 안착부(102)가 형성된 코어 금형(100);
    상기 코어 금형(100)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베이스 금형(200); 및
    상기 베이스 금형(200)으로 수지가 주입되기 이전에 분리되었다가, 수지가 주입될 경우 상기 베이스 금형(200)과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는 가동 금형(300)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 금형(100)이 상기 베이스 금형(200)에서 선택적으로 탈부착 되도록 상기 코어 금형(100)의 측면에 위치된 캠 블록(120)과, 상기 캠 블록(1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캠 블록(120)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금형(200)의 측면에 위치된 고정 블록(140)이 구비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2)에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에 대한 성형을 위해 유입된 수지 중의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가스 포집부(50)와 일체로 사출되도록 형성된 제1 수지 유입 홈(112);
    상기 제1 수지 유지 유입 홈(112)과 이웃하여 가장 자리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 포집부(50)에 결합되도록 제1 수지 결합 돌기(114)가 구비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집부(50)에는 상기 제1 수지 유입 홈(112)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삽입 홀(52);
    상기 제1 수지 결합 돌기(114)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삽입 홀(5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지 결합 돌기(114)는 상기 제2 삽입 홀(54)에 부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가스 포집부(50)가 수지와 일체로 사출될 때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102)의 가장 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위치 가이드 부(130)가 형성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이드 부(130)는 상기 가스 포집부(50)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부(132);
    상기 가스 포집부(50)의 폭 방향에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부(134)를 포함하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부(132)의 양측 단부에 수지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 수지 유입 홈(132a);
    상기 제2 가이드 부(134) 사이에 형성되고 수지가 유입되는 제3 수지 유입 홈(132b)이 형성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형(100)에는 상기 캠 블록(120)과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기 위해 내측에 형성된 캠 블록 결합 홈(101);
    상기 캠 블록 결합 홈 (102)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캠 블록(120)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부(104);
    상기 제1 경사부(104)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코어 금형(100)이 상기 베이스 금형(200)에서 취출될 때 상기 캠 블록(120)과 맞물리기 위해 경사진 제2 경사부(106)가 형성된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120)은 상기 캠 블록 결합 홈(101)으로 삽입되어 서로 간에 맞물리는 돌출부(122);
    상기 돌출부(122)의 하면으로 상기 제2 경사부(106)와 동일 각도로 경사진 캠 블록 경사부(124)를 더 포함하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10.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내측에 가스 포집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기 위해 베이스 금형에 코어 금형을 설치하는 제1 단계(ST100);
    상기 코어 금형에 가스 포집부가 정 위치 되는 제2 단계(ST200);
    상기 베이스 금형의 외측에서 가동 금형이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금형과 서로 간에 밀착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가동 금형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는 제3 단계(ST300); 및
    상기 가동 금형으로 주입된 수지가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외형을 형성하고, 주입된 수지 중의 일부가 상기 가스 포집부와 일체로 사출이 이루어지는 제4 단계(ST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ST100)는 상기 코어 금형을 고정하기 위한 캠 블록이 설치되는 캠 블록 설치 단계(ST110)와, 상기 코어 금형과 결합된 캠 블록을 고정 하기 위한 고정 블록 설치 단계(ST120)를 포함하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성형 방법.
  11. 삭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T200)는 상기 가스 포집부의 전, 후, 좌, 우 위치에서 위치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성형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087933A 2020-07-16 2020-07-16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KR10243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33A KR102432603B1 (ko) 2020-07-16 2020-07-16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33A KR102432603B1 (ko) 2020-07-16 2020-07-16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620A KR20220010620A (ko) 2022-01-26
KR102432603B1 true KR102432603B1 (ko) 2022-08-19

Family

ID=8005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933A KR102432603B1 (ko) 2020-07-16 2020-07-16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4836B (zh) * 2022-10-08 2024-04-02 重庆思普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汽车配件注塑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539A (ja) * 2003-11-28 2005-06-23 Mitsubishi Materials Corp インサート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3727U (ko) * 1990-11-30 1992-07-21
JP3127986B2 (ja) * 1995-07-03 2001-01-29 豊田紡織株式会社 エアークリーナ用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H09314588A (ja) * 1996-05-27 1997-12-09 Michito Kamimura 金属埋込樹脂物品の製造方法、並びに、靴中敷
KR100749608B1 (ko) 2006-03-22 2007-08-14 대기산업 주식회사 에어클리너의 탄화수소 트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539A (ja) * 2003-11-28 2005-06-23 Mitsubishi Materials Corp インサート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620A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2598B1 (en) Fuel supply device and motorcycle using the device
KR102432603B1 (ko) 에어 클리너 하우징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JP4846539B2 (ja) 車両
US20100050980A1 (en) Air cleaner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808595B1 (en) Intak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842066B2 (ja) 車両
EP1977812B1 (en) Air cleaner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70240667A1 (en) Vehicle with variable air intake arrangement
JP2007218243A (ja) 車両
US20060283326A1 (en) Air cleaner and fuel adsorbent member
US7459004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ir cleaner
JP2009180225A (ja) 弾性のあるコネクタを備えた内燃エンジンおよび弾性のあるコネクタ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013083295A (ja) 流量制御弁
US20150136064A1 (en) Oil strainer and oil storage device for vehicle
JP2008128154A (ja) 車両
EP2363231B1 (en) Engine-driven cutter
US8683706B2 (en) Engine-driven cutter
JP5685445B2 (ja) エアクリーナ
US11499506B2 (en) Opening/closing mechanism of intake member
US20110214296A1 (en) Engine-driven cutter
CN107409783B (zh) 绿篱修剪器
US20110214297A1 (en) Engine-driven cutter
CN110857640A (zh) 油雾分离器
JP2009047144A (ja) 車両
KR20210046106A (ko) 흡기 매니 폴드의 마운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