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714B1 -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킨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킨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714B1
KR102431714B1 KR1020200087556A KR20200087556A KR102431714B1 KR 102431714 B1 KR102431714 B1 KR 102431714B1 KR 1020200087556 A KR1020200087556 A KR 1020200087556A KR 20200087556 A KR20200087556 A KR 20200087556A KR 102431714 B1 KR102431714 B1 KR 102431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te gas
filter
circul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176A (ko
Inventor
문성범
Original Assignee
(주)유진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유진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20008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7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기가스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켜 폐기가스에 대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과, 폐기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걸러내어 세정하는 습식필터와, 폐기가스와 함께 이동하는 액적을 걸러내는 데미스터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순환하는 순환 세정수를 상기 습식필터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세정장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유입구로 폐기가스를 토출하는 토출팬;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공간에서 유해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세정하는데 사용된 순환 세정수를 받아서 임시 저장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에 임시 저장된 순환 세정수를 펌핑하여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순환시켜주는 순환펌프; 상기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이송하는 순환 세정수를 내부로 경유시키면서 상기 순환 세정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세정수 필터에 의해 걸러내 주는 세정수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킨 폐기가스 정화시스템{Waste gas purification system that improves the cleaning ability for circulating washing water}
본 발명은 폐기가스를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기가스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켜 폐기가스에 대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조공정이나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기가스는 유독성, 폭발성,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가스는 유해 성분 등의 함량을 허용 농도 이하로 낮추는 정화처리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와 같은 정화처리 과정을 거친 무해 가스만을 대기 중으로 방출하도록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다.
현재 폐기가스를 정화처리하는 방법에는 크게 건식(Burning) 방식과 습식(Wetting) 방식이 있다. 건식 방식은 주로 수소기 등을 함유한 발화성 가스를 고온의 연소실에서 분해, 반응 또는 연소시켜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방식이고, 습식 방식은 폐기가스를 물 등의 세정액에 통과 및 용해시켜 처리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습식 폐기가스 처리 장치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 한 가지는 폐기가스를 몸체 내의 충진물과 물에 통과시켜 유해물질과 분진 등을 충진물에 침전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충진물에 가스 또는 분진이 포집되어 축적되고 순환수를 재이용하게 되므로, 순환수의 염 농도 증가로 인하여 폐기가스 처리 효율은 점점 저하되고 압력 손실이 설계치 이상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폐기가스 처리 장치의 가스 처리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설계 범위 내의 차압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충진물 등을 세정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폐기가스 정화장치는 폐기가스가 출입하도록 유입구(11) 및 유출구(12)가 형성된 몸체(10), 폐기가스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링하는 습식필터(20), 데미스터(30)를 포함하며, 몸체(10) 상부에서 분기관(40)에 설치된 노즐(41)이 습식필터(20)에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폐기가스의 유해성분이 세정액과 혼합되어 습식필터(20)에 포집된다. 이어 데미스터(30)에서는 정화 처리된 후 액적과 함께 이동하는 폐기가스로부터 액적을 포집하여 걸러낸다. 이후 정화 처리된 폐기가스는 배기구(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장치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노즐(41)이 습식필터(20) 상단부 또는 측단부를 통해 세정액이 공급되어 습식필터(20) 전체에 확산되도록 하였으나 이같은 방식으로는 폐기가스가 가장 활발하게 접촉하는 습식필터(20) 전면에 충분한 양의 세정액이 신속하게 공급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폐기가스를 정화하는데 사용된 세정액이 순환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되면서 오염도가 증가하여 상기 습식필터(20)에서 폐기가스를 걸러내는 정화능력이 단기간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오염지에서 흡입된 후 정화되어 배출되는 폐기가스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정화능력이 떨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9020호(2005.03.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가스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켜 폐기가스에 대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은, 폐기가스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유출되도록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순환 세정수를 흡입한 상태에서 순환 세정수를 이용하여 폐기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걸러내어 세정하는 습식필터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유출구 인근에 설치되어 폐기가스와 함께 이동하는 액적을 걸러내는 데미스터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순환하는 순환 세정수를 상기 습식필터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세정장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유입구로 폐기가스를 토출하는 토출팬;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공간에서 유해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세정하는데 사용된 순환 세정수를 받아서 임시 저장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에 임시 저장된 순환 세정수를 펌핑하여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순환시켜주는 순환펌프; 상기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이송하는 순환 세정수를 내부로 경유시키면서 상기 순환 세정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세정수 필터에 의해 걸러내 주는 세정수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습식필터는 서로 이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며, 상기 순환관은 복수의 분기관으로 분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인입되고,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상기 습식필터 각각의 전면 인근을 경유토록 하며, 상기 분사노즐은 각각의 분기관에서 일정 이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상기 습식필터의 전면을 향하여 순환 세정수를 액적 형태로 넓게 확산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의 분기관은 각각의 습식필터에 대응하는 각 지점에서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된 상부 분기관과 하부 분기관으로 분기되어 각 습식필터 전면 전체에 대하여 다수의 분사노즐이 다단, 다열의 위치에서 액적의 순환 세정수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유출구가 형성된 후단부에는 제1유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관경이 줄어드는 관경축소부를 구비하되, 상기 관경축소부의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 밀접하게 설치된 고깔형의 콘필터가 더 구비되어 상기 데미스터를 통과하여 제1유출구를 향하는 폐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폐기가스에 남아 있는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경축소부는 상기 콘필터의 교체 시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팬은 원심팬으로 구비되며, 상기 토출팬의 앞에는 프로펠러팬으로 구비된 흡입팬이 설치되어 폐기가스의 흡입을 담당함으로써 상기 토출팬이 폐기가스 흡입에 대한 부담 없이 폐기가스 토출만을 전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입팬 하나와 병렬 배치된 토출팬 두 개를 한 조로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는, 내부공간이 격판에 의해 제1챔버와 제2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챔버에는 순환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챔버에는 순환 세정수가 유출되는 제2유출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격판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제1챔버로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제2챔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해주는 연통관; 상기 제1챔버에서 상기 연통관의 입구에 설치되어 제1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동하는 순환 세정수로부터 유해물질을 걸러주는 세정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에서 제1챔버와 제2챔버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력과 함께 높이차에 의한 자연유하 방식이 더해져서 상부에 위치한 제1챔버에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필터를 통과하더라도 하부에 위치한 제2챔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필터는 마이크로 필터로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에서 돌출된 연통관의 상부 입구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둘러싼 형태로 상기 연통관에 끼워지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챔버에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필터의 원통형 몸체를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한 후 상기 연통관의 상부 입구를 통해 제2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필터와, 상기 세정수 필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세정수 필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 지지대와, 상기 세정수 필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천장에 압착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가 탄성지지되도록 해주는 스프링이 모듈화된 착탈식 필터 카트리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는 2개가 병렬로 배치된 듀얼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기 순환펌프도 2개가 병렬로 배치된 듀얼 타입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 각각을 전후하여 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펌프 각각을 전후하여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2개의 순환펌프를 모두 가동하면서 순환 세정수가 2개의 세정수 필터장치 모두를 경유하도록 하여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극대화하는 듀얼모드로 운전을 하며,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에서 세정수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2개의 세정수 필터장치 중 세정수 필터를 교체하는 대상이 되는 세정수 필터장치로는 순환 세정수가 경유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다른 세정수 필터장치로는 순환 세정수가 경유하도록 개방하며, 2개의 순환펌프 중 어느 하나만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은, 세정수 필터를 구비한 필터 카트리지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폐기가스에서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순환 세정수를 실시간으로 세정하여 복원함으로써 폐기가스에 대한 정화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습식필터 각각의 전면 전체에 대하여 다수의 분사노즐이 다단, 다열의 위치에서 액적의 순환 세정수를 균일하게 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폐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의 유출구 인근에 내주면에 콘필터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구성에 의해 데미스터를 통과한 폐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폐기가스에 남아 있는 유해물질을 끝까지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원심팬으로 구비된 토출팬 앞에 프로펠러팬으로 구비된 흡입팬을 직렬 배치한 구성에 의해 원심팬으로 구비된 토출팬이 폐기가스 흡입에 따른 부담 없이 폐기가스 토출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시스템 전체적으로 폐기가스의 흐름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주요부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주요부위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세정수 필터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세정수 필터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세정수 필터장치의 필터 카트리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세정수 필터장치의 상부 커버용 클램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A1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세정수 필터장치의 순환 세정수 흐름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일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주요부위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서 주요부위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은 세정장치(110), 토출팬(120a) 및 흡입팬(120b), 저수탱크(130), 순환펌프(140), 세정수 필터장치(150), 약액 저장탱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가스 정화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세정장치(110)는 본체 하우징(111)과, 습식필터(112)와, 데미스터(113)와, 분사노즐(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장치(110)에서 본체 하우징(111)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를 갖고 폐기가스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유출되도록 선단부에 제1유입구(111a)와 후단부에 제1유출구(111b)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1)의 내부공간에는 습식필터(112)와 데미스터(113), 콘필터(115)가 설치되며, 순환관(L1)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L2)이 인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기관(L2)을 따라 설치된 분사노즐(114)이 위치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1)의 상면에는 그 내부에 설치된 습식필터(112)와 데미스터(113)에 각각 대응하여 내부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맨홀뚜껑(M1,M2)이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111) 내부공간에 설치된 습식필터(112)와 데미스터(113)에 대한 교체 및 보수를 위해 접근이 용이해진다.
제1유출구(111b)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111)의 후단부에는 제1유출구(111b)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관경이 줄어드는 관경축소부(111c)가 본체 하우징(1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관경축소부(111c)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콘필터(115)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습식필터(112)는 본체 하우징(111)의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순환 세정수를 흡입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111)의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폐기가스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폐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걸러내 준다. 이때 습식필터(112)에 의해 걸러진 폐기가스의 유해물질은 순환 세정수와 함께 제거된다. 상기 습식필터(112)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 하우징(111)의 내부공간에서 복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폐기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반복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1)에서 데미스터(113)는 본체 하우징(111)의 제1유출구(111b) 인근에 설치되어 폐기가스와 함께 이동하는 액적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데미스터(113)에 걸러진 액적은 데미스터(113)에서 뭉쳐지면서 하부에 설치된 저수탱크(130)에 낙하하여 임시 저장된다.
상기 세정장치(110)의 분사노즐(114)은 본체 하우징(111)의 내부공간에서 분기관(L2)을 따라 설치되어 습식필터(112)를 향해 순환 세정수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114)은 각각의 분기관(L2)에서 일정한 이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며 습식필터(112)의 전면을 향하여 순환 세정수를 액적 형태로 넓게 확산시켜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도 3과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분사노즐(114)이 설치되는 분기관(L2)이 각각의 습식필터(112)에 대응하는 각 지점에서 순환관(L1)으로부터 분기된 것에 더해 상부 분기관(L2)과 하부 분기관(L2)으로 다단 분기되었다는 점이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각 습식필터(112) 전면 전체에 대하여 다수의 분사노즐(114)이 다단, 다열의 위치에서 액적의 순환 세정수를 넓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폐기가스가 가장 활발하게 접촉하면서 유해물질이 걸러지는 습식필터(112)의 전면 전체에 대하여 유해물질을 세정하는데 필요한 순환 세정수를 균일하면서도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유해물질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출팬(120a)은 세정장치(110)의 본체 하우징(111) 제1유입구111a) 쪽에 설치되어 폐기가스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팬(120a)은 원심팬으로 구비된다. 원심팬의 경우 설치면적이 작고 비교적 저압에서 유체의 유동상태가 매우 원활하며 불쾌한 소음, 진동이 없어서 극히 정숙한 운전 특성을 갖는다. 특히 원심팬은 부하에 대하여 급격하게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나 작은 공간에서 공기의 배출방향을 원하는 곳으로 전환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원심팬의 경우 폐기가스를 토출하여 배출하는 능력을 극대화시키려면 폐기가스 흡입에 따른 부하를 줄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원심팬으로 구비된 토출팬(120a) 앞에 폐기가스 흡입을 대신 담당해줄 수 있는 흡입팬(120b)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팬(120b)은 상기 토출팬(120a)의 앞에 직렬로 배치되어 폐기가스의 흡입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프로펠러팬으로 구비된다. 상기 흡입팬(120b)으로 구비된 프로펠러팬은 저압으로 다량의 풍량이 요구될 때 적합한 특성을 가지므로 그 특성상 보다 많은 폐기가스를 흡입하여 끌어당기는 역할을 담당케 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프로펠러팬은 폐기가스의 접촉에 따른 마찰 등으로 부하 발생 시 급격하게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안정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프로펠러팬은 폐기가스가 세정장치(110)의 본체 하우징(111)에 이르는 먼거리에 도달하기까지 마찰 접촉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에 대하여 급격한 성능 저하 없이 충분한 양의 폐기가스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토출팬(120a)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프로펠러팬으로 구비된 흡입팬(120b)은 부하가 많이 걸리는 폐기가스의 흡입을 담당하여 토출팬(120a)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준다. 이로써 원심팬으로 구비된 토출팬(120a)이 폐기가스 흡입에 따른 부담 없이 폐기가스 토출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전체적으로 폐기가스의 흐름은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나아가 이같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흡입팬(120b) 하나와 토출팬(120a) 두 개를 하나의 조로 편성한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이처럼 토출팬(120a)을 듀얼 타입으로 하고 이들을 보조하는 성격의 흡입팬(120b)은 싱글 타입으로 구비하는 독특한 조합을 취하게 되면 보조 성격으로 추가 설치되는 흡입팬(120b)의 설치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정숙운전과 폐기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수탱크(130)는 상기 본체 하우징(111)의 하측에 설치되어 본체 하우징(111) 내부공간에서 유해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세정하는데 사용된 순환 세정수를 받아서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순환펌프(140)는 저수탱크(130)에 임시 저장된 순환 세정수를 펌핑하여 세정수 순환관(L1)을 따라 순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순환 세정수에 대한 실시간 세정능력을 높이기 위해 세정수 필터장치(150) 2개가 듀얼 타입으로 설치되었으며 상기 순환펌프(140)도 세정수 필터장치(150)를 일대일로 충분히 지원할 수 있도록 2개가 병렬 배치된 듀얼 타입으로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은 일차적으로는 순환 세정수에 대한 실시간 세정능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며, 부가적으로 세정수 필터 장치(150) 중 하나가 고정나거나 세정수 필터(153a)를 교체하는 작업 중에도 전체 시스템의 운전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듀얼 타입의 순환펌프(140)를 전후한 지점과 세정수 필터장치(150)를 전후한 지점에 다수의 개폐밸브(V1~V5)들이 설치되어 순환 세정수의 이동경로를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였다.
예컨대, 평상시에는 2개의 순환펌프(140)를 모두 가동하면서 순환 세정수가 2개의 세정수 필터장치(150) 모두를 경유하도록 하여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극대화하는 듀얼모드로 운전을 한다. 그러다가 세정수 필터장치(150)에서 세정수 필터(153a)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2개의 세정수 필터장치(150) 중 세정수 필터(153a)를 교체하는 대상이 되는 세정수 필터장치(150)로는 순환 세정수가 경유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다른 세정수 필터장치(150)로는 순환 세정수가 경유하도록 개방함으로써 시스템의 운전을 지속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순환펌프(140)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킴으로써 순환펌프(140)와 세정수 필터장치(150) 간의 밸런스를 유지시켜 준다.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150)는 세정수 순환관(L1)을 따라 이송하는 순환 세정수를 내부로 경유시키면서 순환 세정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세정수 필터(153a)에 의해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15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필터 하우징(151)과, 연통관(152)과, 필터 카트리지(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150)에서 필터 하우징(151)은 실린더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이 격판(151d)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제1챔버(C1)와 하부에 위치한 제2챔버(C2)로 분리된다. 상기 제1챔버(C1)에는 순환관(L1)과 연결되어 순환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151a)가 형성되며, 상기 제2챔버(C2)에는 순환관(L1)과 연결되어 순환 세정수가 유출되는 제2유출구(151b)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151)의 천정은 개폐 가능한 상부 커버(151c)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커버(151c)는 필터 하우징(151)의 외측벽 상단부에 복수 설치된 클램핑 모듈(155)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거나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하우징(151)에서 제1챔버(C1)와 제2챔버(C2)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순환펌프(140)의 펌핑력과 함께 높이차에 의한 자연유하 방식이 더해져서 상부에 위치한 제1챔버(C1)에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세정수 필터(153a)를 통과하더라도 하부에 위치한 제2챔버(C2)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클램핑 모듈(155)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필터 하우징(151)의 외측벽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지체(155a)와, 상기 지지체(155a)에 대하여 하단부가 힌지결합된 상태로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155c) 형성된 틸팅봉(155b)과, 상기 틸팅봉(155b)의 수나사(155c)와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틸팅봉(155b)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시 회전방향에 따라 하강하거나 승강하면서 상기 필터 하우징(151)의 상부 커버(151c)를 압박하여 잠금 상태로 만들거나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들어주는 승강가압체(155d), 상기 승강가압체(155d)의 상단부에 링 형상을 갖고 접합되어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바이팅한 상태로 회전시키거나 막대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공구장착대(155e)로 이루어진다. 단, 상기 필터 하우징(151)의 상부 커버(151c) 둘레부에는 상기 틸팅봉(155b)의 상방향 틸팅동작 시 틸팅봉(155b)이 인입되고 하방향 틸팅동작 시 틸팅봉(155b)이 인출되는 입출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같은 클램핑 모듈(155)에 의해 필터 하우징(151)의 상부 커버(151c)를 잠금 상태로 만들어 안정적으로 고정하거나 잠금해제 상태로 만들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연통관(152)은 상기 필터 하우징(151)의 격판(151d)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부 제1챔버(C1)로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하부 제2챔버(C2)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통시켜 준다. 상기 연통관(152)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격판(151d)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필터 하우징(151)의 내부공간에서 다수의 지점에 설치된다. 이처럼 연통관(152)이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면 제1챔버(C1)로부터 제2챔버(C2)로 이동하는 순환 세정수의 이동속도를 충분한 수준으로 높이는 한편, 상기 필터 카트리지(153)가 장착 가능한 기반을 충분한 수량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상기 연통관(152)을 기반으로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153)가 필터 하우징(151)의 내부에서 3개 지점에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연통관(152)과 필터 카트리지(153)의 개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153)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세정수 필터(153a)와, 세정수 필터(153a)의 하부에 결합되며 연통관(15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세정수 필터(153a)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 지지대(153c)와, 상기 세정수 필터(153a)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스프링 안착홈(153e)이 형성된 상부 지지대(153d)와, 상기 상부 지지대(153d)의 안착홈(153e)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151)의 천장(상부 커버(151c)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부 지지대(153d)가 탄성지지되도록 해주는 스프링(153f)이 모듈화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 필터(153a)는 연통관(152)을 통해 제1챔버(C1)에서 제2챔버(C2)로 이동하는 순환 세정수로부터 유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정수 필터(153a)는 마이크로 필터로 구비되어 순환 세정수에 포함된 미세한 유해물질까지 걸러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정수 필터(153a)의 형태는 제1챔버(C1)에서 돌출된 연통관(152)의 상부 입구가 내부 중앙(C3)에 위치하도록 연통관(152)을 둘러싼 형태로 연통관(152)에 끼워지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챔버(C1)에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필터(153a)의 원통형 몸체를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한 후 상기 연통관(152)의 상부 입구를 통해 제2챔버(C2)로 이동하게 된다.
이같은 필터 카트리지(153)의 구성에 따르면 필터 하우징(151) 내부에 설치된 연통관(152)에 간단히 끼워지면서도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며, 세정수 필터(153a)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필터 하우징(151)의 상부 커버(151c)를 열어서 필터 카트리지(153)를 통째로 간단히 교체해주면 된다.
상기 약액 저장탱크(160)는 순환 세정수에 필요한 세정용 약액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순환하고 있는 순환 세정수의 양이 부족해지거나, 순환 세정수를 교체하거나, 순환 세정수에 포함된 세정용 약액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저하된 경우 세정용 약액을 공급하게 된다. 세정용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저장탱크(160)에는 약액 공급펌프(165) 2개를 병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약액 공급펌프(165)를 전후로 하여 개폐밸브(V6~V7)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일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세정장치 120a: 토출팬
120b: 흡입팬 130: 저수탱크
140: 순환펌프 150: 세정수 필터장치

Claims (13)

  1. 폐기가스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유출되도록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순환 세정수를 흡입한 상태에서 순환 세정수를 이용하여 폐기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걸러내어 세정하는 습식필터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유출구 인근에 설치되어 폐기가스와 함께 이동하는 액적을 걸러내는 데미스터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순환하는 순환 세정수를 상기 습식필터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세정장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유입구로 폐기가스를 토출하는 토출팬;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공간에서 유해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세정하는데 사용된 순환 세정수를 받아서 임시 저장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에 임시 저장된 순환 세정수를 펌핑하여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순환시켜주는 순환펌프; 및 상기 세정수 순환관을 따라 이송하는 순환 세정수를 내부로 경유시키면서 상기 순환 세정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세정수 필터에 의해 걸러내 주는 세정수 필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습식필터는 서로 이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며, 상기 순환관은 복수의 분기관으로 분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인입되고,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상기 습식필터 각각의 전면 인근을 경유토록 하며, 상기 분사노즐은 각각의 분기관에서 일정 이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상기 습식필터의 전면을 향하여 순환 세정수를 액적 형태로 넓게 확산 분사하며,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는, 내부공간이 격판에 의해 제1챔버와 제2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챔버에는 순환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챔버에는 순환 세정수가 유출되는 제2유출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격판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제1챔버로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제2챔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해주는 연통관; 상기 제1챔버에서 상기 연통관에 설치되어 제1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동하는 순환 세정수로부터 유해물질을 걸러주는 세정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의 분기관은 각각의 습식필터에 대응하는 각 지점에서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된 상부 분기관과 하부 분기관으로 분기되어 각 습식필터 전면 전체에 대하여 다수의 분사노즐이 다단, 다열의 위치에서 액적의 순환 세정수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유출구가 형성된 후단부에는 제1유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관경이 줄어드는 관경축소부를 구비하되, 상기 관경축소부의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 밀접하게 설치된 고깔형의 콘필터가 더 구비되어 상기 데미스터를 통과하여 제1유출구를 향하는 폐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폐기가스에 남아 있는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경축소부는 상기 콘필터의 교체 시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팬은 원심팬으로 구비되며,
    상기 토출팬의 앞에는 프로펠러팬으로 구비된 흡입팬이 설치되어 폐기가스의 흡입을 담당함으로써 상기 토출팬이 폐기가스 흡입에 대한 부담없이 폐기가스 토출만을 전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흡입팬 하나와 병렬 배치된 토출팬 두 개를 한 조로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에서 제1챔버와 제2챔버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력과 함께 높이차에 의한 자연유하 방식이 더해져서 상부에 위치한 제1챔버에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필터를 통과하더라도 하부에 위치한 제2챔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필터는 마이크로 필터로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에서 돌출된 연통관의 상부 입구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둘러싼 형태로 상기 연통관에 끼워지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챔버에 유입된 순환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필터의 원통형 몸체를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한 후 상기 연통관의 상부 입구를 통해 제2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필터와, 상기 세정수 필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세정수 필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 지지대와, 상기 세정수 필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의 스프링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천장에 압착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가 탄성지지되도록 해주는 스프링이 모듈화된 착탈식 필터 카트리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는 2개가 병렬로 배치된 듀얼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기 순환펌프도 2개가 병렬로 배치된 듀얼 타입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 각각을 전후하여 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펌프 각각을 전후하여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2개의 순환펌프를 모두 가동하면서 순환 세정수가 2개의 세정수 필터장치 모두를 경유하도록 하여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극대화하는 듀얼모드로 운전을 하며, 상기 세정수 필터장치에서 세정수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2개의 세정수 필터장치 중 세정수 필터를 교체하는 대상이 되는 세정수 필터장치로는 순환 세정수가 경유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다른 세정수 필터장치로는 순환 세정수가 경유하도록 개방하며, 2개의 순환펌프 중 어느 하나만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KR1020200087556A 2020-07-15 2020-07-15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킨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KR10243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556A KR102431714B1 (ko) 2020-07-15 2020-07-15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킨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556A KR102431714B1 (ko) 2020-07-15 2020-07-15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킨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176A KR20220009176A (ko) 2022-01-24
KR102431714B1 true KR102431714B1 (ko) 2022-08-11

Family

ID=8004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556A KR102431714B1 (ko) 2020-07-15 2020-07-15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킨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5430B (zh) * 2022-05-16 2024-04-30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衣机的净水装置和洗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597B1 (ko) 1993-03-05 2000-06-01 도날드 에이취 스토우 주니어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설퍼디옥사이드를 제거하기 위한 수평습식 집진장치 및 그 방법
JP2004261781A (ja) * 2003-03-04 2004-09-24 Se Kogyo Kk 排気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JP4210587B2 (ja) 2003-12-09 2009-01-21 株式会社ロキテクノ フィルターハウジング
KR101383310B1 (ko) 2012-08-31 2014-04-09 한국기계연구원 다층 고깔형 망 필터와 그을음 제거장치가 장착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696B1 (ko) 2003-09-19 2006-01-26 (주)파이런텍 진공펌프 일체형 폐기가스 처리장치
KR101317712B1 (ko) * 2011-12-16 2013-10-15 원영식 원통형 회전필터를 이용한 습식 폐가스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597B1 (ko) 1993-03-05 2000-06-01 도날드 에이취 스토우 주니어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설퍼디옥사이드를 제거하기 위한 수평습식 집진장치 및 그 방법
JP2004261781A (ja) * 2003-03-04 2004-09-24 Se Kogyo Kk 排気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JP4210587B2 (ja) 2003-12-09 2009-01-21 株式会社ロキテクノ フィルターハウジング
KR101383310B1 (ko) 2012-08-31 2014-04-09 한국기계연구원 다층 고깔형 망 필터와 그을음 제거장치가 장착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176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991B2 (en) Gas-liquid contact system
US8608140B2 (en) Dust removing and cooling apparatus
RU2556664C2 (ru) Мокрый скруббер для очистки отходящего газа
KR20140017481A (ko) 개선된 연도 가스 세정 장치 및 그것의 방법
KR20140073279A (ko) 선박용 배기 가스 정화장치
KR101571093B1 (ko) 폐가스 처리 장치
CN210613329U (zh) 基于液氮冷凝的油气处理装置
KR20150128589A (ko) 해수 거품 제어를 위한 항거품 장치와 사용 방법
KR102431714B1 (ko) 순환 세정수에 대한 세정능력을 향상시킨 폐기가스 정화시스템
KR20190027589A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2383963B1 (ko) 가스 스트림 습식 클리닝 장치 및 방법
KR101546227B1 (ko)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US3224170A (en) Gas purification apparatus
KR101989400B1 (ko) 세정 효율을 향상시킨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KR102002022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CN207012797U (zh) 一种用于废气处理的一体化净化柜
JP2011078928A (ja) 揮発性有機化合物などを濃縮・処理する排気処理装置及び方法
KR102073389B1 (ko) 이중 트랙 진공 집진 시스템
FR3102682A1 (fr) Dispositif de filtration de gaz pollués par absorption
KR20210034950A (ko) 선박의 수처리 시스템
CN207605527U (zh) 一种烟气除尘脱硫脱硝装置
KR200166130Y1 (ko) 폐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25556B1 (ko) 조립식 망상 충진판을 가진 모듈형 폐가스 처리 장치
KR101879769B1 (ko) 모듈형 폐가스 처리 장치
JP2005349350A (ja) 排気ガス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