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005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005B1
KR102431005B1 KR1020190177535A KR20190177535A KR102431005B1 KR 102431005 B1 KR102431005 B1 KR 102431005B1 KR 1020190177535 A KR1020190177535 A KR 1020190177535A KR 20190177535 A KR20190177535 A KR 20190177535A KR 102431005 B1 KR102431005 B1 KR 10243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styren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973A (ko
Inventor
장상준
박동현
양윤정
함민경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005B1/ko
Priority to PCT/KR2020/018714 priority patent/WO2021137489A1/ko
Publication of KR2021008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1 내지 13 중량부; 및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제품 등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강화 유리 제품은 충격강도가 약하고, 비중이 높아 제품의 경량화가 어려우며, 가공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제조 단가가 높고 파손 우려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투명성 수지가 강화 유리 제품을 대신하여 적용되고 있다.
투명도가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되는 투명성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투명 ABS 수지, SAN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PMMA 수지 등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나, 가격이 비싸고,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고, MABS 수지 등의 투명 ABS 수지는 투명성 및 내충격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SAN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및 PMMA 수지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나, 내충격성 등이 부족하여, 외장재 등의 용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등이 모두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 등의 외장재(강화 유리 제품 대체재)로 사용 가능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10800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1 내지 13 중량부; 및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50 내지 80 중량%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일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400,000 g/mol일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는 스티렌 50 내지 80 중량% 및 부타디엔 20 내지 50 중량%의 중합체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및 상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 : 0.01 내지 1 : 1일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9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가 20 내지 70 cm일 수 있고, ISO 306에 의거하여, 5 kg 하중 및 50℃/hr 조건에서 측정한 6.4 mm 두께 굴곡 시편의 Vicat 연화온도가 95 내지 115℃일 수 있으며, 두께 3.2 mm의 ASTM D638 인장 시편에 세제 수용액(세제:물(중량비)=4:1) 300 ml를 도포한 후, 90℃ 및 상대습도 95%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하여도 크랙, 얼룩 및 침식이 발생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헤이즈(haze)가 0.5 내지 20%일 수 있고, 광 투과율이 78 내지 99%일 수 있다.
8.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상기 8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드럼 세탁기용 투명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B)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및 (C)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강성 등의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공지의 중합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시켜,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더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등과 중합되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 중 5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55 내지 7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등과 중합되어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 중 20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25 내지 4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내열성, 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 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중 30 중량부 이하, 예를 들면 1 내지 2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및 α-메틸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4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0 내지 3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 등이 다른 2종 이상의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혼합물일 수 있다.
(B)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본 발명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는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함께 적용되어, 투명성의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스티렌 및 부타디엔을 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는 스티렌 5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55 내지 75 중량%, 및 부타디엔 20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25 내지 45 중량%의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투명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는 ISO 1133 방법으로 측정한 MVR(melt volume rate, 200℃/5 kg)이 5 내지 20 cm3/10min, 예를 들면 10 내지 15 cm3/10min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는 ASTM D1003 방법으로 측정한 투과율이 89 내지 95%, 예를 들면 90 내지 94일 수 있고, 헤이즈가 0.5 내지 4%, 예를 들면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3 중량부, 예를 들면 3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와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용화된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투명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B) 및 상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C)의 중량비(B:C)는 1 : 0.01 내지 1 : 1, 예를 들면 1 : 0.02 내지 1 : 0.6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화학성, 내열성, 투명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280℃, 예를 들면 210 내지 26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9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가 20 내지 70 cm, 예를 들면 30 내지 65 cm일 수 있고, ISO 306에 의거하여, 5 kg 하중 및 50℃/hr 조건에서 측정한 6.4 mm 두께 굴곡 시편의 Vicat 연화온도가 95 내지 115℃, 예를 들면 98 내지 110℃일 수 있으며, 두께 3.2 mm의 ASTM D638 인장 시편에 세제 수용액(세제:물(중량비)=4:1) 300 ml를 도포한 후, 90℃ 및 상대습도 95%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하여도 크랙, 얼룩 및 침식이 발생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헤이즈(haze)가 0.5 내지 20%, 예를 들면 2 내지 15%일 수 있고, 광 투과율이 78 내지 99%, 예를 들면 80 내지 9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등이 모두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 등의 외장재(강화 유리 제품 대체재) 등으로 유용하다. 특히, 상기 성형품은 드럼 세탁기용 투명 소재로 매우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66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34 중량%가 중합된 SAN 수지(중량평균분자량: 140,000 g/mol)를 사용하였다.
(B)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스티렌 65 중량% 및 부타디엔 35 중량%가 중합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제조사: INEOS Styrolution, 제품명: KR38)를 사용하였다.
(C)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C1)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제조사: EK chemicals, 제품명: Polaris-FL®M970)를 사용하였다.
(C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제조사: LG MMA, 제품명: IH830)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3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3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면 충격강도(단위: cm):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9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3.2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를 측정하였다.
(2) Vicat 연화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 VST)(단위: ℃): ISO 306에 의거하여, 5 kg 하중 및 50℃/hr 조건에서 측정한 6.4 mm 두께 굴곡 시편의 Vicat 연화온도를 측정하였다.
(3) 내화학성 평가: 두께 3.2 mm의 ASTM D638 인장 시편에 세제 수용액(세제(제조사: LG생활건강, 제품명: 테크UP):물(중량비)=4:1) 300 ml를 도포하고, 90℃ 및 상대습도 95% 조건의 항온/항습 챔버(ESPEC, SH-661)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시편의 크랙, 얼룩 또는 침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4) 헤이즈 및 광 투과율(단위: %): ASTM D1003에 의거하여 Nippon Denshoku사의 Haze meter NDH 2000 장비를 이용하여 2.5 mm 두께의 시편의 헤이즈(haze) 및 광 투과율(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A) (중량부) 100 100 100 100
(B) (중량부) 5 10 5 5
(C1) (중량부) 1 1 0.1 3
(C2) (중량부) - - - -
면 충격강도 (cm) 50 60 50 35
VST (℃) 101 98 101 100
내화학성 평가 (크랙, 얼룩, 침식 발생 여부)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헤이즈 (%) 10 15 10 15
광투과율 (%) 85 80 85 80
비교예
1 2 3 4 5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0.1 15 5 5 5
(C1) (중량부) 1 1 0.01 6 -
(C2) (중량부) - - - - 5
면 충격강도 (cm) 15 80 50 15 10
VST (℃) 105 93 101 99 100
내화학성 평가 (크랙, 얼룩 또는 침식 발생 여부) 미발생 발생 발생 미발생 발생
헤이즈 (%) 5 25 10 25 5
광투과율 (%) 90 70 85 75 90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5)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내화학성, 투명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대신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2)를 적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화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1 내지 13 중량부; 및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50 내지 80 중량%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4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는 스티렌 50 내지 80 중량% 및 부타디엔 20 내지 50 중량%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및 상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 : 0.01 내지 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9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3.2 mm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가 20 내지 70 cm이고, ISO 306에 의거하여, 5 kg 하중 및 50℃/hr 조건에서 측정한 6.4 mm 두께 굴곡 시편의 Vicat 연화온도가 95 내지 115℃이며, 두께 3.2 mm의 ASTM D638 인장 시편에 세제 수용액(세제:물(중량비)=4:1) 300 ml를 도포한 후, 90℃ 및 상대습도 95%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하여도 크랙, 얼룩 및 침식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헤이즈(haze)가 0.5 내지 20%이고, 광 투과율이 78 내지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드럼 세탁기용 투명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90177535A 2019-12-30 2019-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43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35A KR102431005B1 (ko) 2019-12-30 2019-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CT/KR2020/018714 WO2021137489A1 (ko) 2019-12-30 2020-12-1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35A KR102431005B1 (ko) 2019-12-30 2019-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73A KR20210084973A (ko) 2021-07-08
KR102431005B1 true KR102431005B1 (ko) 2022-08-09

Family

ID=7668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35A KR102431005B1 (ko) 2019-12-30 2019-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005B1 (ko)
WO (1) WO202113748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583A (ja) * 2010-02-04 2011-08-25 Techno Polymer Co Ltd 透明難燃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753A (ko) * 2009-12-29 2011-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13087257A (ja) * 2011-10-21 2013-05-13 Toray Ind Inc 透明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14234408A (ja) * 2013-05-31 2014-12-15 東レ株式会社 天然ゴム含有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6373072B2 (ja) * 2014-06-04 2018-08-15 旭化成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583A (ja) * 2010-02-04 2011-08-25 Techno Polymer Co Ltd 透明難燃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489A1 (ko) 2021-07-08
KR20210084973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160B1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6658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57403B1 (ko) 고온 내열변색 특성이 우수한 asa 수지 조성물
KR1015316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94559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824971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KR10246568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00148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3006277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3658622A1 (en) Scratch-resistant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organopolysiloxane compounds
KR20140087879A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0004932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43100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45208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광판
KR100749670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74452B1 (ko) 드로다운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KR2018007183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10079487A (ko)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58148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177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03721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643913B1 (ko) 내화학성이 개선된 무광택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9613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01210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10023734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