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101B1 -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 Google Patents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101B1
KR102430101B1 KR1020200083215A KR20200083215A KR102430101B1 KR 102430101 B1 KR102430101 B1 KR 102430101B1 KR 1020200083215 A KR1020200083215 A KR 1020200083215A KR 20200083215 A KR20200083215 A KR 20200083215A KR 102430101 B1 KR102430101 B1 KR 102430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n
holding rod
movable blade
fer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707A (ko
Inventor
김사무엘
Original Assignee
김사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무엘 filed Critical 김사무엘
Priority to KR102020008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1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14Handles; Accessories, e.g. scythe baskets,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 A01B1/222Adjust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지나 경작지에서 풀, 나무, 가시 및 해충 등의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전한 위치에서 다량의 고사리를 신속하게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두릅, 엄나무, 옻나무 순을 채취하거나 일정 높이의 과수의 전지작업은 물론 보행이나 등산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지주봉; 손잡이; 보조지주봉; 지면착지부; 작동레버; 절단가위; 작동 케이블; 고사리 유도판; 및 고사리 수거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MULTIFUNCTIONAL BRACKEN PICKER}
본 발명은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지나 경작지에서 풀, 나무, 가시 및 해충 등의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전한 위치에서 다량의 고사리를 신속하게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두릅, 엄나무, 옻나무 순을 채취하거나 일정 높이의 과수의 전지작업은 물론 보행이나 등산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업용 가위는 장대 상단에 절단가위를 장치하고 손잡이의 작동레버를 당겨 가위를 교합시킴으로써 주로 과수의 전지작업이나 과일 수확, 또는 마늘순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으나, 절단가위 부분이 장대와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편한 자세로 채취할 수 없고, 수거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산지나 경작지에 불규칙하게 산재되어있는 고사리를 하나씩 채취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고사리를 채취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불편을 주는 결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사리는 산지는 물론 경작지에서도 밀집도가 낮고 숲속이나 나무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리고 앉아서 일일이 사람 손으로 채취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하기가 어렵고, 상체를 숙이고 손을 뻗는 경우 긴 풀이나 가시, 나뭇가지에 손이나 얼굴, 눈을 상하고 뱀, 벌과 같은 해충의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또한, 고사리를 채취하기 위하여 산지를 다닐 때 신체 안전이나 보조용으로 등산용 스틱을 휴대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고사리를 채취할 때에는 등산용 스틱이 오히려 채취 작업에 방해가 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1989-000762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701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성인 허리 높이의 지주봉에 지면과 평행하게 구부린 절단가위부를 결합시키고, 지주봉의 상단의 손잡이에 구비된 작동레버를 당겨서 고사리를 채취하고 절단가위 하부에 장치된 수거함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고사리를 한꺼번에 수거함으로써 편안하고 안전한 자세로 장시간 고사리 채취 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주봉 하단부의 절단가위부를 분리 후 별도의 지면착지부를 결합하여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도 활용 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는, 경작지나 산지에서 고사리를 채취하거나,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서 사용 가능한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에 있어서, 중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지주봉; 상기 지주봉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 하부가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지주봉;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지주봉 대신에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면착지부; 상기 손잡이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 공간의 전단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와 함께 파지함에 따라 후단이 회동되어 상기 안착 공간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작동레버; 상기 보조지주봉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의 상단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날과 교차됨에 따라 고사리를 절단하는 가동날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를 파지함에 따라 상기 가동날이 회동되어 고사리를 절단하는 절단가위; 상기 지주봉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보조지주봉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날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를 파지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날의 상단 일측을 잡아 당겨 상기 가동날을 회동시켜 주는 작동 케이블; 상기 가동날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날과 함께 회동되어 절단되는 고사리를 상기 가동날의 이동 방향으로 밀어주는 고사리 유도판; 및 상기 절단가위에 의해 절단된 고사리 또는 고사리 유도판에 의해 이동된 고사리가 낙하되면 내부 공간에 담아서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지주봉의 하측에 설치되는 고사리 수거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봉은, 내부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작동 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상부 지지 원판, 상기 상부 지지 원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 스프링의 하측에 안착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작동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하부 지지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레버 회동부가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봉은, 내부 공간의 하측에 상기 작동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하부 원판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하부 원판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측 단부가 상기 하부 원판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원판의 관통홀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링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지주봉과 상기 보조지주봉이 회전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케이블과 꼬이지 아니하도록 상측 단부가 상기 링에 체결되기 위한 붕어고리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봉과 상기 보조지주봉이 결합된 경우, 상기 손잡이에서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상기 절단가위부까지의 높이는 800 내지 900㎜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지주봉은, 하부의 절곡 각도가 130° 내지 150°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가위는, 상기 고정날의 상단에 구비되는 가동날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가동날이 회동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케이블이 체결되는 상기 가동날의 상단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가동날의 상단 다른 일측과 상기 보조지주봉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사리 수거함은, 상기 절단가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가위로부터 낙하하는 고사리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 함체;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거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지주봉의 절곡된 하부의 하측에 안착되는 안착 홀더; 및 상기 보조지주봉의 절곡된 하부의 하측에 안착된 상기 안착 홀더와 상기 보조지주봉의 절곡된 하부를 감싸서 체결하는 부직포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날은, 상부가 상기 보조지주봉의 절곡된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압착되어 체결되며, 상기 제1 케이블이 압착된 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블 유도홈이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면착지부는, 상기 보조지주봉을 분리 후 상기 지주봉에 결합하여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끝이 뭉툭한 평지형 또는 끝이 뾰족한 산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는, 고사리 채취작업이나 보행 또는 등산 시 손목을 보호하고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안전끈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걸어서 체결하기 위한 고정끈이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는, 상기 가동날의 상측에서 상기 고사리 유도판의 전단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날과 상기 가동날이 교차함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고사리 수거함으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고사리 유도판의 내측에 남아 있는 절단된 고사리를 밀어서 상기 고사리 수거함으로 낙하시켜 주는 배출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유도부는, 상기 가동날의 상측에서 상기 고사리 유도판의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회동 바아; 상기 고사리 유도판의 전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회동 바아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동되는 푸시 바아; 상기 가동날의 하측으로 노출된 상기 회동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가동날과 대향하는 상기 고정날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기어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날과 상기 가동날이 교차됨에 따라 상기 제2 기어가 이동하면서 회전되도록 하는 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날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렉기어는, 상기 가동날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자세에서 사용자가 손의 힘만으로 다량의 고사리를 안전하고 손쉽게 채취함으로써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장시간 작업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농가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시 절단가위를 분리하면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과수의 전지작업이나 두릅, 엄나무, 옻나무 순과 같은 식물도 채취할 수 있는 다용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은 도 1의 절단가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지주봉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작동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고사리 수거함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0의 배출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10)는, 경작지나 산지에서 고사리를 채취하거나,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봉(100), 손잡이(200), 보조지주봉(300), 지면착지부(400), 작동레버(500), 절단가위(600), 작동 케이블(700), 고사리 유도판(800) 및 고사리 수거함(900)을 포함한다.
지주봉(100)은, 중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을 따라 작동 케이블(700)이 안착되고, 상부에 손잡이(200)가 설치되고, 하부에 보조지주봉(3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주봉(100)과 보조지주봉(300)이 결합된 경우, 손잡이(200)에서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절단가위(600)까지의 높이는 성인이 허리를 구부리지 아니한 상태로 고사리의 채취가 용이할 수 있도록 800 내지 900㎜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00)는, 지주봉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을 따라 보조지주봉(30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200)는, 고사리 채취작업이나 보행 또는 등산 시 손목을 보호하고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안전끈(S1)이 설치될 수 있다.
보조지주봉(300)은, 하부(310)가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지주봉(100)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측에 절단가위(6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지주봉(300)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파지할 경우 절단가위(600)와 바닥면이 평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310)의 절곡 각도가 130° 내지 150°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며, 지면착지부(400)는, 지주봉(100)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보조지주봉(300) 대신에 지주봉(100)의 하단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면착지부(400)는, 보조지주봉(300)을 분리 후 지주봉(100)에 결합하여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끝이 뭉툭한 평지형(410) 또는 끝이 뾰족한 산지형(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면착지부(400)는, 지주봉(1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작동레버(500)는, 손잡이(200)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 공간의 전단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00)와 함께 파지함에 따라 후단이 회동되어 안착 공간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작동 케이블(700)을 잡아 당겨 준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레버(500)는,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걸어서 체결하기 위한 고정끈(S2)이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절단가위(600)는, 보조지주봉(30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날(610)과, 고정날(610)의 상단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정날(610)과 교차됨에 따라 고사리를 절단하는 가동날(620)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작동레버(500)를 파지함에 따라 작동 케이블(700), 즉 제2 케이블(720)에 의해 도 4의 (a) 상태에서 (b)로 가동날(620)이 회동되어 고사리를 절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가위(600)는, 인장스프링(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630)은, 고정날(610)의 상단에 구비되는 가동날 회전축(611)에 연결 설치되는 가동날(620)이 회동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2 케이블(720)이 체결되는 가동날(620)의 상단 일측의 반대측인 가동날(620)의 상단 다른 일측과 보조지주봉(300) 사이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날(610)은, 상부가 보조지주봉(300)의 절곡된 하부(310)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압착되어 체결되며, 제1 케이블(710)이 압착된 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블 유도홈(612)이 내측을 따라 형성된다.
작동 케이블(700)은, 지주봉(10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케이블(710)과 보조지주봉(30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케이블(720)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작동레버(500)에 체결되고 타단이 가동날(620)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작동레버(500)를 파지함에 따라 작동레버(500)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동날(620)의 상단 일측을 잡아 당겨 가동날(620)을 회동시켜 준다.
고사리 유도판(800)은, 가동날(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가동날(620)과 함께 회동되어 절단되는 고사리를 가동날(620)의 이동 방향으로 밀어 고사리 수거함(900)으로 낙하시켜 준다.
고사리 수거함(900)은, 절단가위(600)에 의해 절단된 고사리 또는 고사리 유도판(800)에 의해 이동된 고사리가 낙하되면 내부 공간에 담아서 수거할 수 있도록 보조지주봉(3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10)는, 자세에서 사용자가 손의 힘만으로 다량의 고사리를 안전하고 손쉽게 채취함으로써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장시간 작업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농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시 절단가위(600)를 분리하고 지면착지부(400)를 체결함으로써,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과수의 전지작업이나 두릅, 엄나무, 옻나무 순과 같은 식물도 채취할 수 있는 다용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지주봉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주봉(100)은, 내부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작동 케이블(700)이 통과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상부 지지 원판(111), 상부 지지 원판(111)의 하측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112), 및 압축 스프링(112)의 하측에 안착되어 압축 스프링(112)에 의하여 지지되며, 작동 케이블(700)이 체결된 상태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하부 지지 원판(113)으로 이루어지는 레버 회동부(110)가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따라서, 레버 회동부(110)는, 작동 케이블(700)에 체결된 작동레버(500)가 압축 스프링(112)에 의해 상부 지지 원판(111)으로부터 멀어지고자 하는 하부 지지 원판(113)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작동레버(500)의 후단과 손잡이(200)의 후단이 서로 멀어져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작동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케이블(710)은, 하부 원판(12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측 단부가 하부 원판(120)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 원판(120)의 관통홀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링(730)에 체결된다.
그리고, 제2 케이블(720)은, 지주봉(100)과 보조지주봉(300)이 회전 결합하는 경우에도 제1 케이블(710)과 꼬이지 아니하도록 상측 단부가 링(730)에 체결되기 위한 붕어고리(740)에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주봉(100)은, 내부 공간의 하측에 작동 케이블(700)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하부 원판(12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작동 케이블(700)은, 지주봉(100)과 결합되는 보조지주봉(300)의 회전에도 제1 케이블(710)과 제2 케이블(720)이 꼬이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고사리 수거함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고사리 수거함(900)은, 수거 함체(910), 안착 홀더(920) 및 부직포 밴드(930)를 포함한다.
수거 함체(910)는, 절단가위(6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절단가위(600)로부터 낙하하는 고사리를 수거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안착 홀더(920)가 설치된다.
안착 홀더(92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수거 함체(9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보조지주봉(300)의 절곡된 하부(310)의 하측에 안착된 뒤 부직포 밴드(930)에 의해 보조지주봉(300)의 절곡된 하부(310)에 체결된다.
부직포 밴드(930)는, 보조지주봉(300)의 절곡된 하부의 하측에 안착된 안착 홀더(920)와 보조지주봉(300)의 절곡된 하부를 감싸서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사리 수거함(900)은, 사용자가 번거롭게 절단된 고사리를 손으로 주운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주머니(B)에 담을 필요 없이, 절단가위(600)에 의해 절단된 고사리가 자동으로 낙하하여 수거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20)는, 지주봉(100), 손잡이(200), 보조지주봉(300), 지면착지부(400), 작동레버(500), 절단가위(600), 작동 케이블(700), 고사리 유도판(800), 고사리 수거함(900) 및 배출 유도부(10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주봉(100), 손잡이(200), 보조지주봉(300), 지면착지부(400), 작동레버(500), 절단가위(600), 작동 케이블(700), 고사리 유도판(800) 및 고사리 수거함(9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배출 유도부(1000)는, 가동날(620)의 상측에서 고사리 유도판(800)의 전단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고정날(610)과 가동날(620)이 교차함에 따라 회동되어 고사리 수거함(900)으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고사리 유도판(800)의 내측에 남아 있는 절단된 고사리를 밀어서 고사리 수거함(900)으로 낙하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20)는, 고사리 유도판(800)만으로 절단된 고사리가 고사리 수거함(900)으로 낙하되지 못하는 경우에 있어서 고사리 유도판(800)에 의해 모여 있는 절단된 고사리를 이동시켜 고사리의 수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0의 배출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배출 유도부(1000)는, 회동 바아(1010), 푸시 바아(1020), 제1 기어(1030), 제2 기어(1040) 및 렉기어(1050)를 포함한다.
회동 바아(1010)는, 가동날(620)의 상측에서 고사리 유도판(800)의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가동날(620)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푸시 바아(1020)가 설치되고, 가동날(620)의 하측으로 노출된 하부에는 제1 기어(1030)가 설치된다.
푸시 바아(1020)는, 고사리 유도판(800)의 전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회동 바아(1010)에 설치되어 회동 바아(1010)가 회동함에 따라 도 16의 (a)로부터 (b)에서와 같이 함께 회동하면서 고사리 유도판(800)의 내측에 모여 있는 고사리를 이동시켜 준다.
제1 기어(1030)는, 가동날(620)의 하측으로 노출된 회동 바아(10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2 기어(104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기어(104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제2 기어(1040)는, 제1 기어(10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렉기어(105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렉기어(1050)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되어 제1 기어(1030)를 회전시켜 준다.
렉기어(1050)는, 가동날(620)과 대향하는 고정날(610)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제2 기어(1040)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고정날(610)과 가동날(620)이 교차됨에 따라 제2 기어(1040)가 이동하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날(610)은, 제1 기어(1030) 및 제2 기어(1040)가 안착되어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613)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렉기어(1050)는, 가동날 회전축(61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배출 유도부(1000)는, 고사리 유도판(800)만으로 절단된 고사리가 고사리 수거함(900)으로 낙하되지 못하는 경우에 있어서 고사리 유도판(800)에 의해 모여 있는 절단된 고사리를 고사리 수거함(900)에 낙하시켜 고사리의 수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100: 지주봉
200: 손잡이
300: 보조지주봉
400: 지면착지부
500: 작동레버
600: 절단가위
700: 작동 케이블
800: 고사리 유도판
900: 고사리 수거함
1000: 배출 유도부

Claims (15)

  1. 경작지나 산지에서 고사리를 채취하거나,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서 사용 가능한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에 있어서,
    중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지주봉;
    상기 지주봉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
    하부가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지주봉;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지주봉 대신에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면착지부;
    상기 손잡이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 공간의 전단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와 함께 파지함에 따라 후단이 회동되어 상기 안착 공간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작동레버;
    상기 보조지주봉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의 상단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날과 교차됨에 따라 고사리를 절단하는 가동날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를 파지함에 따라 상기 가동날이 회동되어 고사리를 절단하는 절단가위;
    상기 지주봉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보조지주봉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날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를 파지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날의 상단 일측을 잡아 당겨 상기 가동날을 회동시켜 주는 작동 케이블;
    상기 가동날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날과 함께 회동되어 절단되는 고사리를 상기 가동날의 이동 방향으로 밀어주는 고사리 유도판; 및
    상기 절단가위에 의해 절단된 고사리 또는 고사리 유도판에 의해 이동된 고사리가 낙하되면 내부 공간에 담아서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지주봉의 하측에 설치되는 고사리 수거함;을 포함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은,
    내부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작동 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상부 지지 원판, 상기 상부 지지 원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 스프링의 하측에 안착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작동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하부 지지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레버 회동부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은,
    내부 공간의 하측에 상기 작동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하부 원판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하부 원판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측 단부가 상기 하부 원판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원판의 관통홀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링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지주봉과 상기 보조지주봉이 회전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케이블과 꼬이지 아니하도록 상측 단부가 상기 링에 체결되기 위한 붕어고리에 체결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과 상기 보조지주봉이 결합된 경우,
    상기 손잡이에서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상기 절단가위까지의 높이는 800 내지 900㎜로 형성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주봉은,
    하부의 절곡 각도가 130° 내지 150° 각도로 형성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위는,
    상기 고정날의 상단에 구비되는 가동날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가동날이 회동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케이블이 체결되는 상기 가동날의 상단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가동날의 상단 다른 일측과 상기 보조지주봉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사리 수거함은,
    상기 절단가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가위로부터 낙하하는 고사리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 함체;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거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지주봉의 절곡된 하부의 하측에 안착되는 안착 홀더; 및
    상기 보조지주봉의 절곡된 하부의 하측에 안착된 상기 안착 홀더와 상기 보조지주봉의 절곡된 하부를 감싸서 체결하는 부직포 밴드;를 포함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은,
    상부가 상기 보조지주봉의 절곡된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압착되어 체결되며, 상기 제1 케이블이 압착된 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블 유도홈이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착지부는,
    상기 보조지주봉을 분리 후 상기 지주봉에 결합하여 보행이나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끝이 뭉툭한 평지형 또는 끝이 뾰족한 산지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고사리 채취작업이나 보행 또는 등산 시 손목을 보호하고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안전끈이 설치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걸어서 체결하기 위한 고정끈이 후단에 구비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의 상측에서 상기 고사리 유도판의 전단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날과 상기 가동날이 교차함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고사리 수거함으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고사리 유도판의 내측에 남아 있는 절단된 고사리를 밀어서 상기 고사리 수거함으로 낙하시켜 주는 배출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도부는,
    상기 가동날의 상측에서 상기 고사리 유도판의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회동 바아;
    상기 고사리 유도판의 전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회동 바아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동되는 푸시 바아;
    상기 가동날의 하측으로 노출된 상기 회동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가동날과 대향하는 상기 고정날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기어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날과 상기 가동날이 교차됨에 따라 상기 제2 기어가 이동하면서 회전되도록 하는 렉기어;를 포함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렉기어는,
    상기 가동날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KR1020200083215A 2020-07-07 2020-07-07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KR10243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15A KR102430101B1 (ko) 2020-07-07 2020-07-07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15A KR102430101B1 (ko) 2020-07-07 2020-07-07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07A KR20220005707A (ko) 2022-01-14
KR102430101B1 true KR102430101B1 (ko) 2022-08-05

Family

ID=7934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15A KR102430101B1 (ko) 2020-07-07 2020-07-07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1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4986A1 (en) 2015-06-23 2017-01-19 Hank Hung Kung Chou Apparatus for ergonomic application of rotational handle garden tool
KR101878097B1 (ko) 2017-03-06 2018-07-12 박중식 등산용 스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576Y1 (ko) * 1984-09-14 1987-02-21 최진영 잭(jak)
KR900010669Y1 (ko) 1987-09-17 1990-1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롬 뱅킹장치
KR960035917U (ko) * 1995-05-16 1996-12-16 민재운 과일 채취기
KR19990022756U (ko) * 1999-04-13 1999-07-05 박희종 가지치기용가위
KR200387011Y1 (ko) 2005-03-16 2005-06-16 서영종 식물 채취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4986A1 (en) 2015-06-23 2017-01-19 Hank Hung Kung Chou Apparatus for ergonomic application of rotational handle garden tool
KR101878097B1 (ko) 2017-03-06 2018-07-12 박중식 등산용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07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800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pruning, and/or trimming
KR20190084220A (ko) 과일 채집기
CN2899424Y (zh) 苹果采摘器
KR102430101B1 (ko) 스틱 겸용 고사리 채취기
CN202168354U (zh) 可视电动采果机
CN205213528U (zh) 果树高枝修剪、摘果器
CN213755755U (zh) 一种花椒采摘器
CN215836054U (zh) 一种高枝剪
JP2010213676A (ja) 高所タラの芽採り器
CN201450861U (zh) 一种水果采摘器
CN209787932U (zh) 一种林业树木幼苗枝丫修剪设备
KR200460268Y1 (ko) 순제거기용 덩굴유도편
CN105850369B (zh) 一种花椒勾枝采摘剪
CN208370290U (zh) 一种柑橘采摘装置
JP2008283913A (ja) 電動式剪定鋏及び電動式剪定鋏を取り付けた高枝用電動鋏
KR101827635B1 (ko) 겨우살이 열매 채취기
CN202958205U (zh) 一种花椒采摘装置
CN205902442U (zh) 一种新型多功能园林剪枝装置
JP2004121198A (ja) 枝鋏
US20020020161A1 (en) Manual fruit harvesting tool
CN211909705U (zh) 一种便捷式核桃采摘器
CN213343403U (zh) 一种百香果种植大棚用修剪采摘装置
CN202455850U (zh) 樱桃采摘器
CN202514317U (zh) 新颖摘果器
CN212184216U (zh) 一种免伤花芽的花椒采收辅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