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057B1 -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057B1
KR102430057B1 KR1020210011722A KR20210011722A KR102430057B1 KR 102430057 B1 KR102430057 B1 KR 102430057B1 KR 1020210011722 A KR1020210011722 A KR 1020210011722A KR 20210011722 A KR20210011722 A KR 20210011722A KR 102430057 B1 KR102430057 B1 KR 10243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concrete ballast
subsidence
roadbed
inj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575A (ko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한강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강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한강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21001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0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7/00Making, maintaining, renewing, or taking-up the ballastway or the track,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E01B27/00 - E01B35/0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0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aising or levelling sunken paving; for filling voids under paving; for introducing material into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04Cleaning or reconditioning ballast or ground beneath
    • E01B2203/047Adding material, e.g. tar, glue, protective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6Fo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Abstract

적은 양의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단시간 내에 매우 정밀하게 노반의 침하량에 대응되는 복구량 만큼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켜 원상 복원시킬 수 있고, 원상 복원된 콘크리트 도상 부위에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간편한 시공으로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에서부터 노반까지 연통되는 복수개의 삽입 홀을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으로 형성하는 삽입 홀 형성단계와, 상기 삽입 홀에 포켓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을 투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과 콘크리트 도상 사이에 포켓을 투입하는 포켓 투입단계와, 상기 주입관을 통해 포켓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포켓을 급속 팽창시켜 침하된 노반에 압밀시킴과 동시에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도상 복원단계 및, 상기 발포우레탄이 투입되어 급속 팽창됨으로써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켜 지지하는 포켓으로부터 주입관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주입관 철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METHOD FOR RESTORING THE SETTLEMENT OF RAILROAD CONCRETE BALLAST}
본 발명은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반 위에 설치된 콘크리트 도상이 침하되었을 시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을 원상태로 상승시켜 복원시킬 수 있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에서 도상이라 함은 노반 위의 일종의 충격 흡수장치로서, 레일과 침목이 받는 하중을 넓게 노반에 분산시키고, 물 빠짐을 좋게 하며 노반의 파손과 움직임을 방지하고 차량의 진동을 흡수해서 승차감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은 도상은 대표적으로 자갈 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으로 나뉜다.
여기서, 상기 자갈 도상은 일반 철도 대부분과 구식 지하철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자갈이 구하기 쉽고 저렴하며, 보수 작업이 쉬울 뿐만 아니라 배수가 잘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자갈이 깨지면서 발생하는 먼지가 많고, 토사가 유입되면 배수가 잘 안되며, 자갈들 사이가 굳어지면 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갈 사이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자갈치기'나 자갈 교체 등을 해줘야 함에 따른 인력과 비용 시간이 소요되고, 자갈이 깨지면서 나오는 비산먼지 중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나오게 됨으로써 지하에 있는 자갈 도상을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하고 있는 결정적인 이유가 되고 있는 실정이며, 석면 문제 때문에 철도 역시 자갈 도상을 콘크리트 도상으로 전면 교체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도상은 대부분의 고속철도와 신식 지하철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한번 시공하고 나면 보수작업을 해야 할 필요성이 적고, 콘크리트가 침목을 꽉 잡아주는 덕에 궤도 틀림이 자갈 도상에 비해 적으며, 자갈이 튀어 올라 바퀴나 차체를 때리는 '자갈 비산' 현상이 적고, 자갈보다 먼지가 덜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콘크리트 도상의 건설비가 자갈 도상보다 1.5배 내지 2배가량 비싸며, 자갈에 비해 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열차 운행 시 충격이 크고 소음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도상은 자갈 도상과 달리 침하가 발생하였을 경우 궤도의 사용성 저하가 큰데 반하여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매우 제한적이다.
일반적으로 노반의 침하로 인하여 콘크리트 도상에 침하가 발생할 경우에는 유압잭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도상을 인상한 후,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을 채움재로 채우거나, 침하가 발생된 노반에 보강재를 직접 주입하여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조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유압잭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도상을 인상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작업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열차의 주행에 상당한 지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도상의 폭이 넓을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으며, 노반에 보강재를 주입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추가적인 침하를 방지하는 정도에 그치기 때문에 침하된 부분을 다시 복원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3697호(등록일 2019.04.23.)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고밀도 급속 팽창성 우레탄의 다중 주입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의 복원 및 지반 보강을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하 '종래기술 1' 이라 한다.)'과,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4529호(등록일 2017.08.29.)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지반 고결용 우레탄관 시멘트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하 '종래기술 2' 라 한다.)' 및,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11502호(등록일 2011.01.2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량 급속복구방법(이하 '종래기술 3' 이라 한다.)'과 같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1 내지 3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발포우레탄이나 시멘트 등과 같은 충전재를 주입관을 통해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에 직접 주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재를 침하가 발생된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에 직접 주입하게 되면 대부분의 충전재가 노반의 공극 사이로 침투되어 침하된 노반을 보강시키기는 하나, 대량의 충전재를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에 장 시간동안 많은 양을 충진시키고도 실질적으로 노반의 침하량에 대응되는 복구량 만큼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키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1258호(등록일 : 2015.06.18.)에 개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 복원장치(이하 '종래기술 4'라 한다.)'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종래기술 4에 의한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 복원장치'의 경우에는 노반과 기층 사이에 플랫 잭을 설치하여 기층과 콘크리트 궤도를 노반으로부터 들어 올리고, 가변패드에 의하여 기층을 지지한 후 그라우팅을 실시함으로써 콘크리트 궤도의 높이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4에 의한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 복원장치의 경우에는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궤도와 노반 사이에 플랫 잭의 설치를 위하여 노반과 콘크리트 기층 사이에 콘크리트 궤도의 종 방향(X)을 따라 복수의 구멍을 굴착해야 함과 동시에 분사관의 설치를 위한 구멍의 굴착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플랫 잭 설치를 위한 구멍의 굴착 작업 시 침하가 발생되어 연약한 노반에 콘크리트 궤도의 종 방향을 따라 천공되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인하여 다시 한 번 노반의 침하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랫 잭과 가변패드를 각각 별도를 구멍에 설치해야 하며, 가변패드 설치 후에는 별도의 그라우팅을 실시해야 함으로써 복원작업이 복잡하고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3697호(등록일 : 2019.04.23.)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4529호(등록일 : 2017.08.29.)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11502호(등록일 : 2011.01.2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1358호(등록일 : 2015.06.1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양의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단시간 내에 매우 정밀하게 노반의 침하량에 대응되는 복구량 만큼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켜 원상 복원시킬 수 있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상 복원된 콘크리트 도상 부위에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편한 시공으로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에서부터 노반까지 연통되는 복수개의 삽입 홀을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으로 형성하는 삽입 홀 형성단계와, 상기 삽입 홀에 포켓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을 투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과 콘크리트 도상 사이에 포켓을 투입하는 포켓 투입단계와, 상기 주입관을 통해 포켓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포켓을 급속 팽창시켜 침하된 노반에 압밀시킴과 동시에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도상 복원단계 및, 상기 발포우레탄이 투입되어 급속 팽창됨으로써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켜 지지하는 포켓으로부터 주입관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주입관 철수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제시한다.
한편, 상기 포켓 투입단계에서 상기 포켓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은 상기 복수개의 삽입 홀 중 홀수 열 또는 짝수 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되어 있는 삽입 홀에 투입되어 침하가 발생된 노반과 콘크리트 도상 사이에 포켓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입관 철수단계 이후에 복수개의 삽입 홀 중 포켓이 투입되지 않은 삽입 홀을 통해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에 발포우레탄을 직접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포켓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을 채워 보강시키는 침하 노반 보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 투입단계에서 상기 주입관과 포켓의 연결 캡은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에 의해 원터치 형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회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를 들면, 상기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은 상기 주입관의 외주면 하단부에 소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와, 상기 연결 캡 내주면 상단에 상기 연결 캡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 캡 내주면에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가이드 홈을 따라 하강되도록 주입관의 하단부를 포켓의 연결 캡에 삽입시킨 후 상기 주입관을 회전시켜 상기 주입관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주입관과 포켓의 연결 캡을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에 의해 원터치 형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회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콘크리트 도상 복원단계에서 상기 포켓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포켓을 급속 팽창시킬 시 상기 주입관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켓의 연결 캡으로부터 포켓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가 발포우레탄에 삽입된 상태로 발포우레탄이 경화되도록 하여 주입관 철수단계에서 주입관을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포켓 연결 캡이 상기 주입관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에 발포우레탄을 직접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에 투입된 포켓에 주입관을 통해 발포우레탄을 주입하는 간단한 시공과 작업만으로 팽창되는 포켓에 의해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을 매우 신속하고 정밀하게 상승시켜 원상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상기 발포우레탄이 충진됨으로써 팽창된 포켓에 의해 콘크리트 도상이 지지되어 원상 복원되도록 한 다음, 포켓이 투입되지 않은 삽입 홀을 통해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부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의 공극 사이로 발포우레탄이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침하가 발생된 노반을 보강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에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주입관에 포켓을 원터치 형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회전 결합시켜 주입관을 통해 포켓에 발포우레탄을 충진시킨 후 상기 주입관을 포켓으로부터 매우 신속하게 제거하여 철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켓에 발포우레탄이 충진되어 경화되면 상기 경화된 발포우레탄에 연결 캡으로부터 포켓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주입관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주입관과 함께 포켓의 연결 캡이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포켓으로부터 주입관을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제거하여 철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매우 간단한 구조의 시공만으로 단시간 내에 콘크리트 도상의 침하량을 정밀하게 원상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의 원상 복원작업으로 인한 열차 통행의 지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하가 발생된 노반에 발포우레탄을 직접 주입하지 않고 포켓에 주입하여 팽창되는 포켓에 의해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을 지지하여 상승시킴으로써 매우 적은 양의 발포우레탄을 사용하면서도 매우 정밀하게 콘크리트 도상을 원상 복원시켜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의 원상 복원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 부위를 보강시켜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상 복원된 콘크리트 도상 부위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열차 통행의 지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을 매우 신속하고 정밀하게 원상 복원시킴은 물론, 침하가 발생된 노반 부위에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도상의 원상 복원 및 침하가 발생된 노반의 보강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부위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 단면을 통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연결 캡에 마련되는 지지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C-C 단면을 통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은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연결 캡에 마련되는 지지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삽입 홀 형성단계(S110), 포켓 투입단계(S120), 콘크리트 도상 복원단계(S130) 및, 주입관 철수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홀 형성단계(S11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에서부터 노반(120)까지 연통되는 복수개의 삽입 홀(130)을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으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 홀(130)은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 부위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 투입단계(S12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홀(130)에 포켓(220)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210)을 투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포켓(220)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주입관(210)과 포켓(220)의 연결 캡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230)에 의해 원터치 형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회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230)은 결합돌기(231), 가이드 홈(232) 및, 결합 홈(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주입관(210)의 외주면 하단부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232)은 상기 주입관(210)의 하단부를 상기 포켓(220)의 연결 캡(221) 내부에 삽입할 시 상기 결합돌기(231)가 삽입되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포켓(220)의 연결 캡(221) 내주면 상단에 상기 연결 캡(221)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223)은 상기 가이드 홈(232)과 연통되도록 상기 포켓(220) 연결 캡 (221)내주면에 연결 캡(221)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주입관(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주입관(21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결합돌기(231)가 삽입되어 분리 결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터치 회전결합수단(230)의 결합돌기(231)가 가이드 홈(232)을 따라 하강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관(210)의 하단부를 포켓(220)의 연결 캡(221)에 삽입시킨 후, 상기 주입관(210)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주입관(21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결합돌기(231)가 상기 결합 홈(233)에 삽입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주입관(210)과 포켓(220)의 연결 캡(221)을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230)에 의해 원터치 형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회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삽입 홀(130)에 포켓(220)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210)을 투입할 시, 상기 포켓(220)은 주입관(2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삽입 홀(130)을 통해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투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주입관(210)의 하단부에 포켓(220)을 결합시켜 상기 주입관(210)의 외부로 포켓(220)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주입관(210)을 삽입 홀(130) 내부로 투입하게 되면 상기 삽입 홀(130)과 주입관(210) 사이에 상기 포켓(220)이 끼이게 됨으로써 상기 삽입 홀(130)에 주입관(210)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 홀(130)과 주입관(210) 사이에 포켓(220)이 끼인 상태로 상기 주입관(210)을 무리하게 삽입 홀(130)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포켓(220)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에서는 상기 주입관(210)을 삽입 홀(130) 내부에 투입하기 전에 상기 주입관(210) 내부로 상기 포켓(22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입관(210)을 상기 삽입 홀(130) 내부로 투입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입관(210)과 삽입 홀(130) 사이에 포켓(220)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주입관(210)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 홀(130) 내부로 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입관(210)과 삽입 홀(130) 사이에 끼인 포켓(220)이 주입관(210)에 의해 눌려 찢어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주입관(210) 내부로 포켓(220)을 삽입시킨 상태로 주입관(210)을 삽입 홀(130) 내부에 투입한 후, 상기 주입관(210)을 통해 포켓(220)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포켓(220)이 주입관(2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포켓(220)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켓 투입단계(S120)에서 상기 포켓(220)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210)은 상기 복수개의 삽입 홀(130) 중 홀수 열 또는 짝수 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되어 있는 삽입 홀(130)에 투입되어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포켓(220)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 도상 복원단계(S13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관(210)을 통해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포켓(220)을 급속 팽창시켜 침하된 노반(120)에 압밀시킴과 동시에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발포우레탄은 에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입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주입관(210)을 통해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투입되어 있는 포켓(220)에 충진되어 포켓(220)을 급속 팽창시킨 후 경화되어 침하된 노반(120)에 포켓(220)을 압밀시킴과 동시에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입관 철수단계(S14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포우레탄이 투입되어 급속 팽창됨으로써 콘크리트 도상(110)을 상승시켜 지지하는 포켓(220)으로부터 주입관(110)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상기 포켓(220)을 급속 팽창시킨 후 발포우레탄이 경화될 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관(210)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켓(220)의 연결 캡(221)으로부터 포켓(220)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222)가 상기 포켓(220)에 충진되는 발포우레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발포우레탄이 경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주입관 철수단계(S140)에서 주입관(210)과 포켓(220)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주입관(210)을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주입관(210)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포켓(220) 연결 캡(221)은 상기 주입관(210)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주입관(210)을 포켓(220) 연결 캡(221)으로부터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침하 노반 보강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하 노반 보강단계(S150)는 상기 주입관 철수단계(S140) 이후에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삽입 홀(130) 중 포켓(220)이 투입되지 않은 삽입 홀(130)을 통해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의 공간(S)에 발포우레탄을 직접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포켓(2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의 공간(S)을 채워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통해 침하가 발생된 철도 콘크리트 도상(110)을 원상 복원시키는 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을 통해 침하가 발생된 철도 콘크리트 도상(110)을 원상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에서부터 노반(120)까지 연통되는 복수개의 삽입 홀(130)을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으로 천공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 부위에 노반(120)까지 연통되는 복수개의 삽입 홀(130)을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천공 형성한 다음에는, 하단부에 포켓(220)이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230)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210)을 상기 삽입 홀(130)에 투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포켓(220)을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켓(220)은 상기 주입관(2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관(210)과 함께 삽입 홀(130) 내부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입관(210)과 삽입 홀(130) 사이에 포켓(220)이 끼여 상기 주입관(210)이 삽입 홀(130)에 용이하게 투입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주입관(210)과 삽입 홀(130) 사이에 끼인 포켓(220)이 상기 주입관(210)에 의해 가압되어 파손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포켓(220)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210)은 삽입 홀(130) 전체에 모두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소정간격 으로 형성된 삽입 홀(130) 중 홀수 열 또는 짝수 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되어 있는 삽입 홀(130)에만 투입되어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포켓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홀수 열 또는 짝수 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되어 있는 삽입 홀(130)에 포켓(220)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210)을 투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포켓(220)을 투입 한 다음에는, 상기 주입관(210)을 통해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상기 포켓(220)을 급속 팽창시켜 침하된 노반(120)에 포켓(220)을 압밀시킴과 동시에 상기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적은 양의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일반적으로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에서부터 노반(120)까지 복수개의 삽입 홀(130)을 천공한 후, 상기 삽입 홀(130)을 통해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에 발포우레탄을 투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상승시켜 원상 복원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 홀(130)을 통해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에 발포우레탄을 직접 주입하게 되면,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로 주입되는 발포우레탄 중 대부분이 노반(120)의 공극 사이로 침투된다.
따라서,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의 공간을 보강하여 상기 콘크리트 도상(110)이 더 이상 침하되지 않게는 할 수 있으나, 발포우레탄이 노반(120)의 공극 사이로 침투됨에 따라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상승시켜 원상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발포우레탄을 오랜 시간동안 주입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의 상승 높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홀수 열 또는 짝수 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되어 있는 삽입 홀(130)에 포켓(220)이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210)을 투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포켓(220)을 투입 한 후, 상기 주입관(210)을 통해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포켓(220)을 급속 팽창시킴으로써 보다 적은 양의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원상 복원되도록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삽입 홀(130)을 통해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직접적으로 발포우레탄을 주입하는 종래의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에 비하여 보다 적은 양의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원상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원상 복원시키기 위해 주입관(210)을 통해 포켓(220) 내부에 발포우레탄을 소정높이 이상 충진시키게 되면 상기 주입관(210)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된 포켓(220)의 연결 캡(221)으로부터 포켓(220)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222)가 포켓(220) 내부에 충진된 발포우레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발포우레탄이 경화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관(210)을 통해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의 주입을 완료한 후 상기 포켓(220)으로부터 주입관(210)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주입관(210)을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주입관(210)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포켓(220) 연결 캡(221)은 상기 주입관(210)과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주입관(210)을 포켓(220) 연결 캡(221)으로부터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홀수 열 또는 짝수 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되어 있는 삽입 홀(130)에 투입된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매우 신속하고 정밀하게 상승시켜 원상 복원시킨 후, 상기 포켓(220)이 삽입되지 않은 삽입 홀(130)에 직접적으로 발포우레탄을 주입시켜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의 공간(S)에 발포우레탄을 충진시키게 되면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의 공극 사이로 발포우레탄이 침투하게 됨으로써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을 보강하게 됨으로써 한 번 침하된 노반(120) 부위가 추가적으로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삽입 홀(130) 중 홀수 열 또는 짝수 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되어 있는 삽입 홀(130)에 포켓(220)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210)을 투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과 콘크리트 도상(110) 사이에 포켓(220)을 투입한 후, 상기 주입관(210)을 통해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포켓(220)을 급속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팽창되는 포켓(220)에 의해 콘크리트 도상(110)이 노반(120)의 침하량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승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원상 복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의 공간(S)에 발포우레탄을 직접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의 공간(S)에 투입된 포켓(220)에 주입관(210)을 통해 발포우레탄을 주입하는 간단한 시공과 작업만으로 팽창되는 포켓(220)에 의해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매우 신속하고 정밀하게 상승시켜 원상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상기 발포우레탄이 충진됨으로써 팽창된 포켓(220)에 의해 콘크리트 도상(110)이 지지되어 원상 복원되도록 한 다음, 포켓(220)이 투입되지 않은 삽입 홀(130)을 통해 콘크리트 도상(110)과 노반(120) 사이의 공간(S)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의 공극 사이로 발포우레탄이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을 보강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에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주입관(210)에 포켓(220)을 원터치 형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회전 결합시켜 주입관(210)을 통해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을 충진시킨 후 상기 주입관(210)을 포켓(220)으로부터 매우 신속하게 제거하여 철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켓(220)에 발포우레탄이 충진되어 경화되면 상기 경화된 발포우레탄에 연결 캡(221)으로부터 포켓(220)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222)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주입관(210)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주입관(210)과 함께 포켓(220)의 연결 캡(221)이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포켓(220)으로부터 주입관(210)을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제거하여 철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은 매우 간단한 구조의 시공만으로 단시간 내에 콘크리트 도상(110)의 침하량을 정밀하게 원상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의 원상 복원작업으로 인한 열차 통행의 지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에 발포우레탄을 직접 주입하지 않고 포켓(220)에 주입하여 팽창되는 포켓(220)에 의해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110)을 지지하여 상승시킴으로써 매우 적은 양의 발포우레탄을 사용하면서도 매우 정밀하게 콘크리트 도상(110)을 원상 복원시켜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110)의 원상 복원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침하가 발생된 노반(120) 부위를 보강시켜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상 복원된 콘크리트 도상(110) 부위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콘크리트 도상 (120) : 노반
(130) : 삽입 홀 (210) : 주입관
(220) : 포켓 (221) : 연결 캡
(222) : 지지리브 (230) : 원터치 회전 결합수단
(231) : 결합돌기 (232) : 가이드 홈
(233) : 결합 홈

Claims (6)

  1. 침하가 발생된 콘크리트 도상에서부터 노반까지 연통되는 복수개의 삽입 홀을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으로 형성하는 삽입 홀 형성단계;
    포켓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입관을 삽입 홀 내부에 투입하기 전에 상기 주입관 내부로 상기 포켓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입관을 상기 삽입 홀 내부로 투입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입관과 삽입 홀 사이에 포켓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하게 삽입 홀 내부로 상기 주입관을 투입하는 침하가 발생된 노반과 콘크리트 도상 사이에 포켓을 투입하는 포켓 투입단계;
    상기 주입관을 통해 포켓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포켓을 급속 팽창시켜 침하된 노반에 압밀시킴과 동시에 침하된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포켓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포켓을 급속 팽창시킬 시 상기 주입관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켓의 연결 캡으로부터 포켓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가 발포우레탄에 삽입된 상태로 발포우레탄이 경화되도록 하여 주입관 철수단계에서 주입관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포켓 연결 캡이 상기 주입관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콘크리트 도상 복원단계; 및
    상기 발포우레탄이 투입되어 급속 팽창됨으로써 콘크리트 도상을 상승시켜 지지하는 포켓으로부터 주입관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주입관 철수단계; 및
    상기 주입관 철수단계 이후에,
    복수개의 삽입 홀 중 포켓이 투입되지 않은 삽입 홀을 통해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에 발포우레탄을 직접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포켓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도상과 노반 사이의 공간을 채워 보강시키는 침하 노반 보강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11722A 2021-01-27 2021-01-27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KR10243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22A KR102430057B1 (ko) 2021-01-27 2021-01-27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22A KR102430057B1 (ko) 2021-01-27 2021-01-27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75A KR20220108575A (ko) 2022-08-03
KR102430057B1 true KR102430057B1 (ko) 2022-10-18

Family

ID=8284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722A KR102430057B1 (ko) 2021-01-27 2021-01-27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0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717A (ja) 2000-11-08 2002-05-22 Nishimatsu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舗装版の沈下修繕方法
KR101011502B1 (ko) * 2009-02-26 2011-01-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량 급속복구방법
KR101175311B1 (ko) 2012-05-21 2012-08-20 (주)건양엔지니어링 상수관의 연결 구조
KR101678950B1 (ko) 2016-06-23 2016-11-23 우경기술주식회사 말뚝을 활용한 구조물 보강복원방법
KR101973697B1 (ko) 2018-12-28 2019-04-29 주식회사 네오그린텍 고밀도 급속 팽창성 우레탄의 다중 주입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의 복원 및 지반 보강을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8526B1 (ko) * 2018-04-18 2019-10-10 동양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지반침하 보강 및 방지를 위한 충전재 주입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반침하 보강 및 방지방법
KR102189264B1 (ko) 2019-10-30 2020-12-11 주식회사 공정 지주 정착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854A (ko) * 2008-01-03 2009-07-08 한미기초개발주식회사 그라우팅 팩을 이용한 지반 보강 공법 및 장치
KR20130075818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
KR101391316B1 (ko) * 2012-09-19 2014-05-02 (주)유로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매설용 너트
KR101546895B1 (ko) * 2013-07-17 2015-08-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도상 궤도의 노반침하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1358B1 (ko) 2014-02-21 2015-06-24 (주)철도안전연구소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 복원 장치
KR101774529B1 (ko) 2016-09-29 2017-09-05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과 시멘트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045324A (ko) * 2016-10-25 2018-05-04 송재하 냉풍장치용 산소충전용기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717A (ja) 2000-11-08 2002-05-22 Nishimatsu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舗装版の沈下修繕方法
KR101011502B1 (ko) * 2009-02-26 2011-01-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량 급속복구방법
KR101175311B1 (ko) 2012-05-21 2012-08-20 (주)건양엔지니어링 상수관의 연결 구조
KR101678950B1 (ko) 2016-06-23 2016-11-23 우경기술주식회사 말뚝을 활용한 구조물 보강복원방법
KR102028526B1 (ko) * 2018-04-18 2019-10-10 동양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지반침하 보강 및 방지를 위한 충전재 주입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반침하 보강 및 방지방법
KR101973697B1 (ko) 2018-12-28 2019-04-29 주식회사 네오그린텍 고밀도 급속 팽창성 우레탄의 다중 주입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의 복원 및 지반 보강을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89264B1 (ko) 2019-10-30 2020-12-11 주식회사 공정 지주 정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75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zorenko et al. Dynamic behavior and stability of soil foundation in heavy haul railway tracks: A review
KR101011502B1 (ko)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량 급속복구방법
KR101893408B1 (ko) 연약지반의 침하 억제를 위해 선단지지력을 강화한 궤도 지지말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0397B1 (ko) 단일말뚝지지 콘크리트 궤도 구조 및 그 구조의 침하복원장치
KR20180098794A (ko) 열차하중의 전달범위를 고려한 토공 접속부의 노반보강 방법
KR101546895B1 (ko) 무도상 궤도의 노반침하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3697B1 (ko) 고밀도 급속 팽창성 우레탄의 다중 주입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의 복원 및 지반 보강을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80224B1 (ko)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의 시공 방법
KR100683589B1 (ko) 철도 교량과 토공 접속부의 노반 강화방법
EP2744942B1 (en) Railway track support system
KR20170118640A (ko)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복구 시공방법
KR102430057B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US4494694A (en) Support system for a railroad track
KR102429100B1 (ko) 비경화성 그라우팅재를 이용한 무도상 궤도의 노반침하 복원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10344433B2 (en) Subgrade peat stabilisation system for railway
RU2277616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земляного полотна
KR101222078B1 (ko) 측면 쐐기의 압입에 의한 침하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
KR102073907B1 (ko) 가설 플랫폼을 이용한 철도 성토노반 보강 공법
JP2004169381A (ja) 既設の鉄道軌道の改修工法
KR102106150B1 (ko) 철도선로나 도로의 토공 접속부에서 노반 보강과 함께 슬래브 침하를 복원하는 급속시공 방법 및 장비
EP2987907A1 (en) Supplementary pile foundation for a railway track
KR102321730B1 (ko) 콘크리트궤도 인상용 중앙부 및 측방 리프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궤도 인상방법
KR102307605B1 (ko) 철도 터널의 콘크리트 도상 보강공법
KR20140036766A (ko) 내진성능을 갖는 철도 노반구조물
CN116163170B (zh) 面向无砟轨道翻浆冒泥病害的聚氨酯注浆修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