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818A -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818A
KR20130075818A KR1020110144068A KR20110144068A KR20130075818A KR 20130075818 A KR20130075818 A KR 20130075818A KR 1020110144068 A KR1020110144068 A KR 1020110144068A KR 20110144068 A KR20110144068 A KR 20110144068A KR 20130075818 A KR20130075818 A KR 20130075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surface portion
floated
main body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상
이지하
서효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5818A/ko
Publication of KR2013007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 E01B29/09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3Injecting, mixing or spraying additives into or onto ballast or under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로의 도상자갈이 국부적으로 침하하면서 침목과 자갈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 뜬 침목의 하부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뜬 침목을 지지하여 보강하는데 이용되는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면부(11)와 하면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내면에 의해 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하여 본체(10)와 결합되어 있는 주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뜬 침목(100)의 하부서 뜬 침목(100)과 도상 자갈 사이에 형성된 공동에 상기 본체(10)가 배치되고, 주입부(20)를 통해 충진재가 상면부(11)와 하면부(12)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 주입되어 상기 본체(10)의 연직방향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공동을 채워 뜬 침목(100)을 지지하여 보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Repairing Apparatus and Repairing Method for Floating Railroad Bed}
본 발명은 뜬 침목을 보강하기 위한 가변받침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뜬 침목을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철로의 도상자갈이 국부적으로 침하하면서 침목과 자갈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 뜬 침목의 하부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뜬 침목을 지지하여 보강하는데 이용되는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에서, 도상부 다짐의 불균질, 경계조건 및 하부노반구조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레일에 열차충격하중이 작용함에 따라 침목의 하부에 존재하던 도상자갈이 국부적으로 침하하면서 침목과 도상 자갈 사이에 틈 즉, 공동(下部空洞)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철도에서 침목(100)이 배치되고 침하가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침목의 하부에서 침목과 도상 자갈 사이에 공동(300)이 발생한 뜬 침목은, 그 하면이 도상 자갈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레일 위로 열차 차량이 통행하여 뜬 침목에 열차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뜬 침목은 침하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침목(100) 위에 설치된 레일(200)에 종방향 구배가 발생하게 되어, 열차의 승차감 저해는 물론이고 열차 안전에 큰 위협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3에는 뜬 침목으로 인하여 레일에 종방향 구배가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뜬 침목을 보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자동화된 자갈 포설장비를 이용하여 뜬 침목 하부의 공동(300)에 자갈을 채우고 다짐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뜬 침목은 매우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므로, 국부적인 위치에서의 자갈 포설 및 다짐을 위하여 자동화된 거대 포설장비를 활용하게 되면 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자갈 포설장비가 레일 위에 있게 되면, 결국 열차의 통행이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도 야기된다.
한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373385호에는 철도 지반의 침하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서 침목 상면과 철도 레일 하면 사이에 높이가 조절되는 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높이 조절장치는 뜬 침목이 침하하는 것에 대해 근본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레일 하면과 침목 상면 사이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미봉책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는 레일을 침목 위에 설치할 때부터 미리 장착해두어야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철로에서 뜬 침목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73385호(2005. 01. 15.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뜬 침목의 하부와 도상 자갈 사이에 발생한 공동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메워서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철로의 도상자갈이 국부적으로 침하하면서 침목과 자갈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 뜬 침목의 하부에,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열차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장기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뜬 침목을 지지하여 보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추가적인 지반 침하 등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대처하여 뜬 침목을 지지 보강할 수 있는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면부와 하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의 내면에 의해 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하여 본체와 결합되어 있는 주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뜬 침목의 하부서 뜬 침목과 도상 자갈 사이에 형성된 공동에 상기 본체가 배치되고, 주입부를 통해 충진재가 상면부와 하면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 주입되어 상기 본체의 연직방향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공동을 채워 뜬 침목을 지지하여 보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는, 상면부 및 하면부와 나란하게 복수개의 격벽부가 위치하게 되어, 상면부, 하면부, 그리고 격벽부의 가장자리가 일체화됨으로써, 상면부와 하면부 사이에는 상기 격벽부에 의해 각각 구분된 별도의 충진재 주입용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한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를 이용하여 뜬 침목을 보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상기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를, 뜬 침목의 하면과 도상 자갈 상면 사이의 공동에 삽입할 때, 상기 본체의 상면부가 뜬 침목의 하면에 밀착하여 일체화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는, 철로의 도상자갈이 국부적으로 침하하면서 침목과 자갈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 뜬 침목의 하부에,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차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장기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뜬 침목을 지지하여 보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추가적인 지반 침하 등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대처하여 뜬 침목을 지지 보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국부적인 위치에 발생하는 뜬 침목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되며, 뜬 침목의 유지보수 시간을 최소화하여 열차 통행에 대한 지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격벽부를 구비한 다층 구조의 본체를 가지도록 본 발명의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를 구성하게 되면, 복수회에 걸쳐 뜬 침목의 보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에서 침목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뜬 침목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뜬 침목으로 인하여 레일에 종방향 구배가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철도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의 본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뜬 침목의 하면에 본 발명의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를 배치하되 아직 충진재를 충진하지 아니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및 도 11은 각각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가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8 및 도 9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격벽부가 구비된 본체를 가지는 본 발명의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가 뜬 침목 아래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면부와 격벽부 사이에 1차적인 충진재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격벽부와 상면부 사이에 추가적으로 충진재가 주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이하, "가변받침 장치"라고 약칭함)(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가변받침 장치(1)는 내부에 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0)를 포함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는, 상면부(11)와 하면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가장자리가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내면에 의해 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입부(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주입부(20)가 상면부(1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입부(20)를 통해서 무수축 모르타르, 무수축 콘크리트, 에폭시 주입제 등의 충진재가 상면부(11)와 하면부(12) 사이로 주입되면서 상기 본체(10)는 두께를 가지도록 팽창하게 된다. 충진재의 주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주입부(2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부(20)는 충진재의 주입이 완료된 후에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받침 장치(1)의 본체(10)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가변받침 장치(1)에서, 본체(10)의 상면부(11)와 하면부(12) 사이에는 추가적인 격벽부(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면부(11) 및 하면부(12)와 나란하게 격벽부(14)가 위치하게 되어, 상면부(11), 하면부(12), 그리고 격벽부(14)의 가장자리가 일체화됨으로써, 상면부(11)와 격벽부(14) 사이 및 격벽부(14)와 하면부(12) 사이에 각각 구분된 별도의 내부 충진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주입부(20) 역시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면부(11)와 격벽부(14)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주입부가 존재하고, 이와 별도로 격벽부(14)와 하면부(12)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주입부가 구분되어 존재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격벽부(14)가 한개만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격벽부(14)는 복수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격벽부(14)가 2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는 격벽부 간의 사이에도 별도의 충진재 주입공간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격벽부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추가적인 주입부가 더 구비된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가변받침 장치(1)를 이용하여 뜬 침목을 보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는 뜬 침목(100)의 하면에 본 발명의 가변받침 장치(1)를 배치하되 아직 가변받침 장치(1) 내에 충진재를 충진하지 아니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7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뜬 침목이 발견되면, 뜬 침목(100)의 하부의 공동 즉, 뜬 침목(100)의 하면과 도상 자갈 상면 사이의 틈에 본 발명의 가변받침 장치(1)를 삽입한다. 상기 가변받침 장치(1)는 납작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뜬 침목(100) 하부의 좁은 틈에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변받침 장치(1)는 뜬 침목(100)과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가변받침 장치(1)의 상면부(11) 외면과 뜬 침목(100)의 하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양면 테이프 등을 개재하여 서로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변받침 장치(1)와 뜬 침목(100)을 일체화시킴에 있어서, 위에서 예시한 방법 이외에, 끈 등의 다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면부(11)의 외면이 뜬 침목(100)의 하면에 밀착한 상태로 가변받침 장치(1)와 뜬 침목(100)을 일체로 묶어줄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뜬 침목의 횡방향으로 양단에 공동(300)이 발생하여 2개의 가변받침 장치(1)가 각각의 공동(300) 내에 위치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공동(300)의 발생장소가 여러 곳이면 각각의 장소에 가변받침 장치(1)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가변받침 장치(1)가 공동에 위치한 후에는 주입부(20)를 통해서 무수축 모르타르, 무수축 콘크리트, 에폭시 주입제 등의 충진재(3)를 주입하게 되면, 그에 따라 가변받침 장치(1)의 본체(10)가 팽창하여 가변받침 장치(1)의 연직방향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공동(300)을 채움과 동시에 공동으로 인하여 침하되어 있던 뜬 침목(100)을 하면에서부터 밀어 올려 정상 높이가 되도록 만들어서 지지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는 각각 가변받침 장치(1)가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8 및 도 9에 대응되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변받침 장치(1)가 팽창하여 뜬 침목(100)이 상승하여 침하가 발생하기 전의 위치로 회복된 상태에서 충진재(3)가 경화됨으로써, 뜬 침목(100)의 지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속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가변받침 장치(1)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 보강방법에 의하면, 필요한 위치 즉, 공동(300)이 발생한 뜬 침목(100)의 하부에 매우 쉽고 신속하게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가변받침 장치(1)를 삽입하여 충진재를 주입하는 것만으로도 뜬 침목(100)을 보강하여 다시 원상 복귀시킬 수 있고, 이러한 보강상태를 매우 안정적으로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화된 자갈 포설장비를 이용한 방법에 비하여, 보수 보강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열차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도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체(10)의 상면부(11)와 하면부(12) 사이에 격벽부(14)를 구비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도상 자갈의 침하 발생시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받침 장치(1)를 이용하여 뜬 침목(100)을 보강한 후에도, 지반의 열악한 사정으로 인하여 도상 자갈에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가변받침 장치(1)의 아래쪽으로 도상 자갈이 더 침하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면부(11)와 하면부(12) 사이에 격벽부(14)가 구비된 본체(10)를 가지는 가변받침 장치(1)를 이용하게 되면, 격벽부(14)로 인하여 구획되었던 공간 내에 충진재(3)를 더 주입하여 이러한 도상 자갈의 추가적인 침하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응하여 뜬 침목(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는 상면부(11)와 하면부(12) 사이에 격벽부(14)가 구비된 본체(10)를 가지는 가변받침 장치(1)가 뜬 침목(100) 아래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면부(12)와 격벽부(14) 사이에 1차적인 충진재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격벽부(14)와 상면부(11) 사이에 추가적으로 충진재(3)가 주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벽부(14)에 의해 구분된 충진재 주입용 내부공간에 대해 개별적으로 충진재(3)를 주입함으로써, 본체(10)를 순차적으로 필요한 시기에 팽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부(11)와 하면부(12) 사이에 격벽부(14)가 구비된 본체(10)를 가지는 가변받침 장치(1)가 뜬 침목(100) 아래에 배치되고,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격벽부(14)와 하면부(12) 사이의 공간에 1차적인 충진재 주입이 완료되어 뜬 침목(10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추가적인 충격 등으로 인하여 도상 자갈에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하여, 또다시 가변받침 장치(1)와 도상 자갈 사이에 공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부(11)와 격벽부(14) 사이로 충진재를 더 가압 주입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발생한 침하에 대응하여 가변받침 장치(1)를 더욱 팽창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뜬 침목(100)이 지속적으로 안정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충진재의 추가 주입이라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새로 발생한 추가적인 도상 자갈의 침하에 대응해서 뜬 침목(100)을 보강하여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격벽부가 2개 이상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상 자갈의 추가적인 침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국부개소에 발생하는 뜬 침목에 대한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며, 뜬 침목의 유지보수 시간을 최소화하여 열차 통행에 대한 지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격벽부를 구비한 다층 구조의 본체를 가지는 본 발명의 가변받침 장치(1)의 경우에는, 복수회에 걸쳐 뜬 침목의 보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 가변받침 장치
3: 충진재
10: 본체
11: 상면부
12: 하면부
14: 격벽부
20: 주입부

Claims (5)

  1. 상면부(11)와 하면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내면에 의해 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하여 본체(10)와 결합되어 있는 주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뜬 침목(100)의 하부서 뜬 침목(100)과 도상 자갈 사이에 형성된 공동(300)에 상기 본체(10)가 배치되고, 상기 주입부(20)를 통해 충진재가 본체(10)의 상면부(11)와 하면부(12)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 주입되어 상기 본체(10)의 연직방향 두께가 증가하면서 상기 공동을 채움으로써, 뜬 침목(100)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면부(11) 및 하면부(12)와 나란하게 복수개의 격벽부(14)가 위치하게 되어, 상면부(11), 하면부(12) 및 격벽부(14)의 가장자리가 일체화됨으로써, 상면부(11)와 하면부(12) 사이에는 상기 격벽부(14)에 의해 각각 구분된 별도의 충진재 주입용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3. 침목의 하부에서 침목과 도상 자갈 사이에 공동이 발생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으로서,
    상면부(11)와 하면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내면에 의해 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하여 본체(10)와 결합되어 있는 주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를, 뜬 침목(100)의 하면과 도상 자갈 상면 사이의 공동에 삽입하고;
    주입부(20)를 통해서 충진재(3)를, 상기 상면부(11)와 하면부(12)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 주입하여 상기 가변받침 장치(1)의 본체(10)를 팽창시켜 가변받침 장치(1)의 연직방향 전체 두께를 두껍게 만들어서 공동을 채우면서 뜬 침목(100)을 하면에서부터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침목의 보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받침 장치(1)는, 상기 본체(10)의 상면부(11) 및 하면부(12)와 나란하게 복수개의 격벽부(14)가 위치하게 되어, 상면부(11), 하면부(12), 그리고 격벽부(14)의 가장자리가 일체화됨으로써, 상면부(11)와 하면부(12) 사이에는 상기 격벽부(14)에 의해 각각 구분된 충진재 주입용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입부(20)를 통해서 충진재(3)를 주입하는 과정은, 상기 격벽부(14)에 의해 구분된 충진재 주입용 내부공간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침목의 보강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를, 뜬 침목(100)의 하면과 도상 자갈 상면 사이의 공동에 삽입할 때, 상기 본체(10)의 상면부(11)가 뜬 침목(100)의 하면에 밀착하여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 침목의 보강방법.
KR1020110144068A 2011-12-28 2011-12-28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 KR20130075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068A KR20130075818A (ko) 2011-12-28 2011-12-28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068A KR20130075818A (ko) 2011-12-28 2011-12-28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818A true KR20130075818A (ko) 2013-07-08

Family

ID=4898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068A KR20130075818A (ko) 2011-12-28 2011-12-28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58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0418A (zh) * 2019-09-26 2020-01-10 中铁四院集团岩土工程有限责任公司 无砟轨道路基基床表层翻浆整治方法
KR20220108575A (ko) * 2021-01-27 2022-08-03 한강테크놀러지(주)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0418A (zh) * 2019-09-26 2020-01-10 中铁四院集团岩土工程有限责任公司 无砟轨道路基基床表层翻浆整治方法
KR20220108575A (ko) * 2021-01-27 2022-08-03 한강테크놀러지(주)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 복원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992B1 (ko) 고정 레일 선로의 높이 조정 방법
CN105525541B (zh) 轨道交通用预制板式减振轨道结构
KR101260397B1 (ko) 단일말뚝지지 콘크리트 궤도 구조 및 그 구조의 침하복원장치
KR101582901B1 (ko) 철도 선로의 침하 복원 방법
KR101722994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궤도 접속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73819A (ko) 연약지반에 시공된 보강노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7724188A (zh) 一种预制式浮置板道床隔振系统
KR20160001011U (ko)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US10138604B2 (en) Rail tie having embedded automatic differential settlement compensation apparatus using oil pressure for railroad tracks
CN105256669A (zh) 一种用于隧道内的嵌入式轨道系统
CN214737083U (zh) 一种软土路基与正常路基交界处防沉降结构
KR20150062284A (ko) 레일이 매립된 개별 빔과 그 하부의 지지말뚝을 이용한 철도궤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P2744942B1 (en) Railway track support system
KR20130075818A (ko) 뜬 침목 보강용 가변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뜬 침목의 보강방법
JP4715571B2 (ja) トンネル内部の構築工法
CN106592449A (zh) 一种d型梁加固既有双线线路结构及施工方法
KR101331013B1 (ko) 침목의 자동 높이유지 장치, 이를 구비한 자동 높이유지 기능의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침목의 자동 높이유지 방법
KR102249391B1 (ko) 고무차륜 agt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주행로 블록 시공 방법
KR101012603B1 (ko) 철도노반용 간격 채움구
CN203846362U (zh) 预防高填土路基桥头跳车的台背
KR10123409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직접 설치를 통한 철도지하횡단 공법
KR101807625B1 (ko) 강관 형태의 궤도변위 저항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675669B1 (ko) 도상 콘크리트층의 복원 방법
CN112281555B (zh) 一种道床浇筑前的预处理工艺
CN107700284B (zh) 采用滑床板增强线路加固效果的箱体顶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