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844B1 -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844B1
KR102429844B1 KR1020150059059A KR20150059059A KR102429844B1 KR 102429844 B1 KR102429844 B1 KR 102429844B1 KR 1020150059059 A KR1020150059059 A KR 1020150059059A KR 20150059059 A KR20150059059 A KR 20150059059A KR 102429844 B1 KR102429844 B1 KR 102429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526A (ko
Inventor
이종건
김경남
김봉기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05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84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METHOD FOR COLLECTING VIDEO INFORMATION AT POSITION WHERE EVENT OCCURRED, SERVER AND SYSTEM}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 자료는 사고의 분쟁 해결 및 범죄 현장의 증거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홍수 및 산사태 등의 재난 현장, 도심지 주요 도로 주변 상황 등의 주변지역을 파악하는 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사고 발생시, 사고 지점 주변에 기설치된 CCTV 장치의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사건의 정황을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CCTV 장치는 지정된 범위 내에서만 촬영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당시의 주변 상황을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IoT(Internet Of Things) 산업의 활성화로 인하여, CCTV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CCTV 장치의 영상 자료를 무선 통신으로 스마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442669호에는 각 범죄행위별 패턴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감시용 단말기로 촬영한 데이터에서 움직임이 있는 객체를 감지하고, 감시용 단말기 구동을 제어하여, 감지된 객체의 움직임 방향, 행동양식을 추적하고, 추적중인 객체의 움직임 방향, 행동양식이 각 범죄 행위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범죄행위로 인식하고, 촬영데이터를 저장 및 범죄발생 데이터를 생성하고, 범죄발생 데이터를 범죄처리를 담당하는 관련자에게 통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자 한다. 또한,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해당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정보 수집 서버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영상 정보 요청부,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복수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은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영상 정보 수집 서버 및 상기 영상 정보 수집 서버에게 상기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수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영상 정보 수집 서버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 수집 서버는 검색된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 수집 서버는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해당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 수집 서버는 이벤트의 발생 시각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영상 검색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영상 정보 수집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은 게이트웨이 장치(100),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 및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 장치(미도시)로부터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소리, 진동, 온도 등의 측정값)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통해, 이벤트(예를 들어, 교통 사고, 화재, 지진 등)의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장치(미도시)는 사물(영상 수집 장치(110), 자동차, 스마트폰 등)에 탑재된 장치일 수 있고, 주변의 이벤트를 자동적으로 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장치(미도시)는 센서 데이터의 수치를 측정하여, 게이트웨치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미도시)는 센서 장치(미도시)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게이트웨치 장치(100)에게 더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복수의 센서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해당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전송한 복수의 센서 장치(미도시)의 위치 정보를 통해, 이벤트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삼각 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시각 정보를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게이트웨이 장치(10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검색된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로부터 복수의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된 영상 정보는 영상을 요청한 개인, 수사 기관 또는 보험사 등에서 사고 분석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후,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여, 영상을 요청한 개인, 수사 기관 또는 보험사 등에게 필터링한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수집 장치의 검색 및 영상 정보의 수집은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서 처리되지만, 게이트웨이 장치(100)가 주변의 영상 수집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해당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 수집을 요청할 수도 있다.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수집 장치(110)는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로부터 영상 정보를 요청받은 경우,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수집 장치(110)는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차량용 블랙박스, CCTV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수집 장치(11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다만, 영상 수집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13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3G, 4G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 발명은 목격자를 찾을 수 없는 교통사고, 화재, 및 붕괴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지점 주변을 운행하고 있던 차량의 블랙박스(이동형 영상 수집 장치), 주변 상점이나 건물의 CCTV 장치(고정형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사고 당시,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주차장 등의 사각지대 및 CCTV 장치의 영상의 화질이 좋지 않아, 사고 정황을 파악하기 힘든 경우에도, 주변의 차량용 블랙박스 및 기타 영상 수집 기능이 있는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사고 발생 시점 및 주변 정보 등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사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130)로 연결된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로부터 사고 발생 당시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사고의 진위여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실제 사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을 필터링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영상 정보의 검색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차후, 도로 교통망에 IoT 센서 장치가 보급될 경우, 해당 IoT 센서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이벤트의 영상 정보를 확보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센서 장치가 장착된 영상 수집 장치를 이용할 경우, 촬영 지역의 커버리지를 증가시킬 수 있고, 유휴시기에 해당 영상 수집 장치를 슬립(Sleep)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입력부(200), 검색부(210), 영상 정보 요청부(220), 영상 정보 수집부(230), 필터링부(240), 리워드 제공부(250) 및 DB(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입력부(200)는 이벤트(예를 들어, 교통 사고, 범죄, 화재, 붕괴 등)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00)는 교통 사고 발생 당시, 주변 목격자 또는 사고의 피해자의 사용자 단말, 보험사, 경찰 등으로부터 교통 사고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200)는 센서 장치(IoT(Internet Of Thing) 장치에 탑재된 센서 장치 등)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의 발생 시각 및 위치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IoT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사물(예를 들어, 전자기기, 스마트카, 스마트폰, 블랙박스, CCTV 장치 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의 OBD(On Board Diagnostic) 정보 분석을 통해, 사고 발생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자이로센서(Gyro Sensor) 정보 분석을 통해, 차량의 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는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소리, 진동, 온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일정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센서 장치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측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입력부(200)는 이벤트를 감지한 복수의 센서 장치로부터 센서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이벤트 감지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의 방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00)는 교통 사고 차량에 설치된 자이로센서 장치로부터 사고 지점의 방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검색부(210)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부(210)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에, 이벤트의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했던 영상 수집 장치(110)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부(210)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시각에, 사고 지역 근방에 있던 차량용 블랙박스, CCTV 장치 등을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서는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검색부(210)는 이벤트 인접 지역에 위치했던 영상 수집 장치(110)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210)는 이벤트 인접 지역에 가용한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검색 쿼리를 브로드캐스팅하고, D2D(Device to Device) 방식으로 영상 수집 장치(110)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검색부(2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 수집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트래킹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요청부(220)는 검색부(210)에서 검색한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에게 영상 정보(영상 수집 장치(110)가 촬영한 영상)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 요청부(220)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전후로 일정 시간 분량의 영상을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수집부(230)는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로부터 복수의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필터링부(240)는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링부(240)는 이벤트 발생 위치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240)는 교통 사고 현장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110) 중에서, 교통 사고가 발생한 위치의 방향과 정방향의 방향 정보를 갖고 있는 영상 수집 장치의 영상 정보만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필터링부(240)는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이벤트 발생 위치의 방향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시야 각도(예를 들어, 110도~130도) 내에 있는 영상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부(240)는 영상 조건 검색식을 이용한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해,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실제로 유효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조건 검색식은 특정 색상의 분포 정보, 영상의 흔들림 정보, 특정 사물 또는 사람의 포함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250)는 필터링된 영상 정보를 제공한 영상 수집 장치(110)에게 소정의 리워드(예를 들어, 상품권, 적립금 등)를 제공할 수 있다.
DB(260)는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와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DB(260)는 게이트웨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60)는 복수의 센서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260)의 일 예에는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당업자라면, 입력부(200), 검색부(210), 영상 정보 요청부(220), 영상 정보 수집부(230), 필터링부(240), 리워드 제공부(250) 및 DB(2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영상 수집 장치(111) 내지 제 3 영상 수집 장치(113) 각각에 탑재된 센서 장치는 자신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리, 진동, 온도, 조도 등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게이트웨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는 센서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센서 데이터의 수집 시간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100)에게 더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수집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300)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장치로부터 이벤트(300)의 발생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측정된 소리의 세기(센서 데이터)를 거리로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제 1 영상 수집 장치(111)의 위치 좌표가 (x1, y1, z1)인 경우, 제 1 센서 데이터(제 1 영상 수집 장치(111)의 센서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 장치에서 이벤트(300)의 발생 위치까지의 상대적인 거리(
Figure 112015040922704-pat00001
)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제 2 영상 수집 장치(112)의 위치 좌표가 (x2, y2, z2)인 경우, 제 2 센서 데이터(제 2 영상 수집 장치(112)의 센서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 장치에서 이벤트(300)의 발생 위치까지의 상대적인 거리(
Figure 112015040922704-pat00002
)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제 3 영상 수집 장치(113)의 위치 좌표가 (x3, y3, z3)인 경우, 제 3 센서 데이터(제 3 영상 수집 장치(113)의 센서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 장치에서 이벤트(300)의 발생 위치까지의 상대적인 거리(
Figure 112015040922704-pat00003
)를 계산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거리 측정의 정확도를 위하여, 센서 데이터를 거리로 환산할 수 있는 테이블을 미리 구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이벤트(300)의 발생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하여, 센서 데이터와 센서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삼각 측량 방법을 통해 이벤트(300)의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계산된 이벤트(300)의 위치 정보를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게이트웨이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을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수집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100), 영상 수집 장치(110), 및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게이트웨이 장치(100), 영상 수집 장치(110), 및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수집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센서 장치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삼각 측량 방법을 통해 측정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단계 S403에서 검색된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영상 정보 수집 서버(120)는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정보 수집 방법은 단계(S403)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에,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했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정보 수집 방법은 단계(S403) 이전에,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정보 수집 방법은 단계(S407)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정보 수집 방법은 단계(S407)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시야 각도 내에 있는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정보 수집 방법은 단계(S407)에서, 영상 조건 검색식을 이용한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해,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조건 검색식은 특정 색상의 분포 정보, 영상의 흔들림 정보, 특정 사물 또는 사람의 포함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정보 수집 방법은 단계(S407) 이후에, 필터링된 영상 정보를 제공한 영상 수집 장치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7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게이트웨이 장치
110: 영상 수집 장치
120: 영상 정보 수집 서버

Claims (21)

  1.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는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정보인 것인,영상 정보 수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에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했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시야 각도 내에 있는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영상 조건 검색식을 이용한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조건 검색식은 특정 색상의 분포 정보, 영상의 흔들림 정보, 특정 사물 또는 사람의 포함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센서 장치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의 위치 정보인 것인, 영상 정보 수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삼각 측량 방법을 통해 측정된 정보인 것인, 영상 정보 수집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영상 정보를 제공한 영상 수집 장치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정보 수집 방법.
  10.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정보 수집 서버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영상 정보 요청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복수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는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정보인 것인, 영상 정보 수집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에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했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방향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시야 각도 내에 있는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서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영상 조건 검색식을 이용한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조건 검색식은 특정 색상의 분포 정보, 영상의 흔들림 정보, 특정 사물 또는 사람의 포함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정보 수집 서버.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영상 정보를 제공한 영상 수집 장치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정보 수집 서버.
  17.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각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에게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이벤트의 분석에 유용한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영상 정보 수집 서버 및
    상기 영상 정보 수집 서버에게 상기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수집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는 상기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정보인 것인,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에게 전달하는 센서 장치 및
    삼각 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 수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 정보는 상기 센서 장치의 위치 정보인 것인,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수집 서버는 상기 필터링된 영상 정보를 제공한 영상 수집 장치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인,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수집 서버는 영상 조건 검색식을 이용한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인,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조건 검색식은 특정 색상의 분포 정보, 영상의 흔들림 정보, 특정 사물 또는 사람의 포함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
KR1020150059059A 2015-04-27 2015-04-27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429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059A KR102429844B1 (ko) 2015-04-27 2015-04-27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059A KR102429844B1 (ko) 2015-04-27 2015-04-27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526A KR20160127526A (ko) 2016-11-04
KR102429844B1 true KR102429844B1 (ko) 2022-08-05

Family

ID=5753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059A KR102429844B1 (ko) 2015-04-27 2015-04-27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94B1 (ko) * 2017-09-14 2018-10-18 (주)글루버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71217B1 (ko) * 2022-11-16 2023-08-29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84B1 (ko) * 2011-07-13 2012-03-15 (주)블루비스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영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21B1 (ko) * 2011-04-05 2013-07-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난 차량 추적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차량
KR101395246B1 (ko) * 2012-05-16 2014-05-15 (주)이지펙스 영상 전송 단말기 및 그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84B1 (ko) * 2011-07-13 2012-03-15 (주)블루비스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영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526A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07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CN105849790B (zh) 一种路况信息获取方法
KR20170081920A (ko) 차량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7631B1 (ko) 포트홀 실시간 감지 장치
WO20140001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perative electronic data collection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JP6048246B2 (ja) 車間距離計測装置及び車間距離計測方法
KR102429844B1 (ko)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474790B1 (ko) 협업용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20130102235A (ko) 차량용 블랙박스, 감시카메라장치 및 이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고영상 처리방법
KR20140126852A (ko) 사고 영상 수집 시스템 및 그의 사고 영상 수집 방법
KR101494514B1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 탐지 시스템
KR20170004652A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범죄 영상 제공 시스템
JP6656290B2 (ja) 事故情報記録装置および事故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30057265A (ko) 스마트폰용 블랙박스 영상 제보 시스템 및 방법
JP2019004373A (ja) 映像情報共有装置、映像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映像情報共有方法
KR102067547B1 (ko) 이동통신단말 및 건물 cctv카메라 간의 통신연결 및 영상분석 기반의 주변차량 위험상황 감지 및 방법
WO2016132772A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11350A (ko) 차량 안전 운행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47927B1 (ko)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2480011B1 (ko) 차량 블랙박스와 gps를 이용한 스마트 불법 감시 방지 시스템
KR102505353B1 (ko) 스마트폰 연동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불법 감시 방지 시스템
KR20160106975A (ko) 영상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방법
KR20210001606A (ko)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자동 수집이 가능한 객체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4849A (ko) 스마트폰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사고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