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585B1 -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585B1
KR102429585B1 KR1020210022721A KR20210022721A KR102429585B1 KR 102429585 B1 KR102429585 B1 KR 102429585B1 KR 1020210022721 A KR1020210022721 A KR 1020210022721A KR 20210022721 A KR20210022721 A KR 20210022721A KR 102429585 B1 KR102429585 B1 KR 10242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se
garbage
terminal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도원
김종엽
이나영
송명진
윤근영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와 통신됨으로써 상태정보의 전달 및 조작이 가능한 압축 쓰레기통에 있어서, 케이스;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수용공간 측을 가압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용함; 및 수용공간으로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모터 및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장부;를 포함하는, 압축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PRESS TYPE WASTE BASKET AND CONTROL SYSTEM COTRI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버려질 물건이나 다양한 부산물들을 최종적으로 처리하기 전에 임시로 수용하는 용기이다. 따라서, 수용되는 쓰레기는 청결한 상태라고 하기 어렵고 부피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배출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정량의 쓰레기가 채워지게 되면 뚜껑을 열고 내부에 있는 쓰레기를 손이나 발로 눌러 압축시킨 후 다시 쓰레기를 채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쓰레기통에 채워진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손이나 발로 쓰레기를 압축시키는데 있어서 불쾌감을 갖기 때문에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지 않고 부풀어진 상태로 쓰레기를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담아 버림으로써 쓰레기봉투의 낭비로 인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쓰레기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쓰레기통이 다수 출원되었지만, 이들은 압축쓰레기통의 뚜껑을 손으로 눌러서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기술구성으로 일일이 사람의 손을 사용하여 뚜껑을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나아가 쓰레기통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을 확인하고 배출시점을 관리하기에는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공실용신안공보 제 20-2008-0004479 호 (2008. 10. 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쓰레기통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쓰레기통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에 의한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와 통신됨으로써 상태정보의 전달 및 조작이 가능한 압축 쓰레기통에 있어서, 케이스;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수용공간 측을 가압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용함; 및 수용공간으로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모터 및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장부;를 포함하는, 압축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그리고, 전장부는, 수용함의 개구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2모터, 케이스로부터 기 결정된 거리 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전장부와 연결된 표시부를 포함하고, 표시부는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쓰레기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와 수용함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구획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 측의 설치공간에 적어도 전장부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함은,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제1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복수 개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에 의해 수용공간에 쓰레기의 수용량이 기 결정된 양을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케이스 및 수용함이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모터는 제1-1모터 및 제1-2모터를 포함하고, 제1-1모터 및 제1-2모터는 조인트로 연결되며 교차되는 각각의 관절의 일단을 이격 및 근접시키면서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제1-1모터 및 제1-2모터의 축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며, 이동플레이트가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축이 향할 수 있다.
단말기; 및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하고 단말기를 통한 조작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압축 쓰레기통;을 포함하고, 압축 쓰레기통은, 케이스;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수용공간 측을 가압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용함; 및 수용공간으로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모터 및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장부;를 포함하는, 압축 쓰레기통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리고, 단말기는, 통신부를 통해, 수용공간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 및 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쓰레기통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동되어, 쓰레기통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에 의한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동되는 전장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동되는 압축 쓰레기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정면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평면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측면측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와 연동되는 전장부(300)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와 연동되는 압축 쓰레기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와 통신됨으로써 상태정보의 전달 및 조작이 가능한 압축 쓰레기통은, 케이스(100), 수용함(200) 및 전장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압축 쓰레기통은, 수용함(20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100), 케이스(100) 내측에 위치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01)이 마련되며 수용공간(201) 측을 가압하는 이동플레이트(221)를 포함하는 수용함(200) 및 수용공간(201)으로 이동플레이트(221)를 이동시키는 제1모터(311) 및 단말기(10)와 통신하는 통신부(330)를 포함하는 전장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통신가능한 구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단말기(10)가 해당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조작함으로써 압축 쓰레기통을 제어하는데 용이성이 있기 때문이므로,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말기(10)와 압축 쓰레기통 간의 통신방식이 선택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한 통신방식이 채택되는 경우 통신가능한 반경 내에 비교적 근접한 거리에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단말기(10)인 것이 유리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단말기(10)를 통해 압축 쓰레기통을 제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압축 쓰레기통의 상태 정보를 단말기(10)는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함(200)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이나 이동플레이트(221)의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전장부(300)는 수용함(200)에 형성된 개구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커버부(211)를 제어하는 제2모터(312), 케이스(100)로부터 기 결정된 거리 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321) 및 수용공간(201) 내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제2센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란, 쓰레기가 수용공간(201) 내에 유입되기 위해 개방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제1모터(311)는 수용공간(201) 내에서 쓰레기를 압축하기 위해 이동플레이트(221)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고, 제2모터(312)는 상기 커버부(211)를 동작시켜 상기 개구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개폐는 커버부(211)의 회동에 의한 것일 수 있고, 커버부(211)의 인출 및 인입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장부(300)는 제1모터(311), 제2모터(312), 제1센서(321), 제2센서(322) 및 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330)는 단말기(10)와 통신을 위한 구성이며, 송신을 통해 압축 쓰레기통의 상태정보를 단말기(10)로 전달할 수 있고, 수신을 통해 단말기(10)로부터 조작정보를 전달받아 적어도 제1모터(311) 및 제2모터(312)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201) 내에 수용된 제1모터(311)는 압축을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기 결정된 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쓰레기가 투입되는 시점 즉, 새로 유입되는 쓰레기를 감지한 경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및 쓰레기가 기 결정된 양을 초과한 경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은 조작정보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여기서, 기 결정된 양은 쓰레기가 수용공간(201) 내에 소정량 수용되어 배출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된 것을 의미하며, 배출이 필요한 상태는 제2센서(32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즉, 제2센서(322)에 의해 기 결정된 양을 초과하는 양이 감지되면, 배출시점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센서(322)는 예를 들어 초음파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송신한 음파에 대하여 반사되는 반사파의 수신정보(수신까지 소요되는 시간 및 파형의 변화 등)에 의해 수용공간(201) 내 쓰레기의 누적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센서(322)에 의해 쓰레기의 누적량을 파악하는 시점은 이동플레이트(221)에 의해 쓰레기가 압축된 이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악된 누적량은 통신부(330)를 통해 단말기(10)로 전달될 수도 있고, 케이스(100)의 외표면 일측에 마련된 표시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1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전장부(300)의 구성은 케이스(100) 측과 수용함(200) 측에 부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0)에는 제1센서(321) 및 통신부(330)가 마련될 수 있고, 수용부에는 제1모터(311), 제2모터(312) 및 제2센서(32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장부(300)의 구성 간에는 전기 및 통신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상으로의 연결은 유무선의 연결을 의미하며, 일 예로, 케이스(100)와 수용함(200)이 물리적으로 이격되는 구조인 경우 서로 무선연결이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표시부(110)는 전장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10)는 제2센서(322)에 의해 감지된 쓰레기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10)와의 연결상태 및 연결선택 조작부, 쓰레기의 수용량, 압축 쓰레기통의 개방여부, 압축상태, 자동제어 여부 및 조작부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표시정보는 선택적으로 단말기(1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용함(200)은 이동플레이트(221)를 이동시키고, 제1모터(31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복수 개의 관절(2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221)는 지그재그로 교차되며 조인트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관절(235)이 상기 조인트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접철되는 과정에서 수용공간(201)으로 진입 및 후퇴를 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221)의 이동방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일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221)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때 가압이 될 수 있도록 커버부(211)는 미개구되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플레이트(221)가 수용공간(201)으로 진입하며 수용공간(201)에 수용된 쓰레기를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센서(322)에 의해 수용공간(201)에 쓰레기의 수용량이 기 결정된 양을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케이스(100) 및 수용함(200)이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적어도 수용공간(201) 내측으로 쓰레기 양을 감지하기 위해 제2센서(322)는 초음파와 같은 감지목적의 파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이동플레이트(22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311)는 제1-1모터(311a) 및 제1-2모터(311b)를 포함하고, 제1-1모터(311a) 및 제1-2모터(311b)는 조인트로 연결되며 교차되는 각각의 관절(235)의 일단을 이격 및 근접시키면서 이동플레이트(221)를 이동시키고, 제1-1모터(311a) 및 제1-2모터(311b)의 축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며, 이동플레이트(221)가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축이 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모터(311a) 및 제1-2모터(311b)는 수용함(200) 내에 마련된 지지플레이트(222)와 연결된 서로 다른 관절(23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1모터(311a) 및 제1-2모터(311b)의 회전운동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지지플레이트(222) 상에서 연결된 각각의 관절(235)의 일단 간의 거리를 좁히거나 멀게 이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을 통해 복수 개의 관절(235)은 이동플레이트(2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모터의 축은 웜기어가 연결되고, 지지플레이트(222)의 상면에는 래크가 마련되어, 상기 웜기어와 지지플레이트(222)에 고정된 래크가 연동되어 제1-1모터(311a) 및 제1-2모터(311b)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00)와 수용함(200)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150)을 더 포함하고, 구획프레임(150)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100) 측의 설치공간(150a)에 적어도 전장부(3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프레임(150)은 케이스(1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구획프레임(150)이 “ㄷ”자 형태로 3방향을 대향하도록 형성되었으나, 한 방향만을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구획프레임(150)은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100) 내측에 수용함(200)이 배치된 상태에서도 구획프레임(15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구획프레임(150)은 케이스(100) 측에 설치공간(150a)을 형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설치공간(150a)에는 전장부(300)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부(300)의 통신부(330)가 설치공간(150a)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획프레임(150)은 랙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즉, 통신부(330)가 구획프레임(15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ㄷ” 형태의 구획프레임(150)에 의해 양측방 및 전방에 설치공간(150a)이 형성되고, 전술한 설치방식에 따라 설치공간(150a) 중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설치공간(150a)에 전장부(300)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슬라이더는 상하방향으로 압축을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과정에서는 복수개의 관절(235)과 연결되어 동일한 높이만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모터(311) 및 조인트 등의 마찰 등의 문제로 인해 이동되는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수평을 유지하며 상방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151)가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151)는 바람직하게는 일면에 복수 개 마련된다. 본 예시의 경우 6 개가 마련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151)를 마련할 경우에는 마주하는 구획플레이트를 각각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측면측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용함(200) 및 케이스(100)는 물리적으로 비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0) 내의 공간에 수용함(200)이 배치될 수 있다. 수용함(200) 및 케이스(100) 중 하나 이상은 지면에 롤러(210a)를 통해 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210a)의 회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는 쓰레기의 배출을 위해 이동되어 케이스(100)와 수용함(200)이 이격될 수 있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수용함(200)에 롤러(210a)가 장착되어 이동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케이스(100)에 롤러(210a)가 장착되어 케이스(100)가 이동함으로써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단말기
100 : 케이스
101 : 개폐부
110 : 표시부
150 : 구획프레임
151 : 가이드
150a : 설치공간
200 : 수용함
201 : 수용공간
210 : 바디
210a : 롤러
211 : 커버부
221 : 이동플레이트
222 : 지지플레이트
235 : 관절
300 : 전장부
301 : 제어부
311 : 제1모터
311a : 제1-1모터
311b : 제1-2모터
312 : 제2모터
321 : 제1센서
322 : 제2센서
330 : 통신부

Claims (9)

  1. 단말기와 통신됨으로써 상태정보의 전달 및 조작이 가능한 압축 쓰레기통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 측을 가압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용함;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부는,
    상기 수용함의 개구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2모터, 상기 케이스로부터 기 결정된 거리 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수용함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 측의 설치공간에 적어도 전장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압축 쓰레기통.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장부와 연결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쓰레기의 양을 표시하는, 압축 쓰레기통.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쓰레기의 수용량이 기 결정된 양을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수용함이 이격되어 분리되는, 압축 쓰레기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복수 개의 관절을 포함하는, 압축 쓰레기통.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는 제1-1모터 및 제1-2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모터 및 상기 제1-2모터는 조인트로 연결되며 교차되는 각각의 상기 관절의 일단을 이격 및 근접시키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1모터 및 제1-2모터의 축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축이 향하는, 압축 쓰레기통.
  8.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한 조작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압축 쓰레기통;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쓰레기통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 측을 가압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용함;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부는,
    상기 수용함의 개구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2모터, 상기 케이스로부터 기 결정된 거리 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수용함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 측의 설치공간에 적어도 전장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압축 쓰레기통을 제어하는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쓰레기의 양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달받는, 압축 쓰레기통을 제어하는 시스템.
KR1020210022721A 2021-02-19 2021-02-19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KR102429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21A KR102429585B1 (ko) 2021-02-19 2021-02-19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21A KR102429585B1 (ko) 2021-02-19 2021-02-19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585B1 true KR102429585B1 (ko) 2022-08-03

Family

ID=8284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721A KR102429585B1 (ko) 2021-02-19 2021-02-19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479U (ko) 2007-04-05 2008-10-09 김종남 압축쓰레기통
KR100877148B1 (ko) * 2008-06-03 2009-01-07 김택영 압축 쓰레기 저장 장치
KR101960704B1 (ko) * 2017-08-18 2019-03-22 백복현 전동 압축 쓰레기통
KR102122954B1 (ko) * 2019-10-18 2020-06-16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적재물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479U (ko) 2007-04-05 2008-10-09 김종남 압축쓰레기통
KR100877148B1 (ko) * 2008-06-03 2009-01-07 김택영 압축 쓰레기 저장 장치
KR101960704B1 (ko) * 2017-08-18 2019-03-22 백복현 전동 압축 쓰레기통
KR102122954B1 (ko) * 2019-10-18 2020-06-16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적재물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598B1 (en) Public access trash compactor
KR101506283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KR100877148B1 (ko) 압축 쓰레기 저장 장치
KR100957064B1 (ko) 쓰레기 수거를 위한 신호를 자동으로 송신하는 쓰레기통
KR20110011756U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KR102429585B1 (ko)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US20220267087A1 (en) Refuse distribution and compaction devices and methods
KR20210118427A (ko)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CN110294243A (zh) 收纳机器人
US20110041711A1 (en) Article compaction apparatus
KR101044850B1 (ko) 금속음료용기 처리장치
US6588330B1 (en) Trash compactor system
US5307607A (en) Apparatus for compacting trash or the like
JP3667873B2 (ja) ごみ圧縮機能付きごみ箱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ごみ箱施設装置
KR20210047473A (ko)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ITAR20010036A1 (it) Macchina compattatrice per la raccolta differenziata dei rifiuti solidi
KR102213384B1 (ko) 쓰레기 수거용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를 갖는 쓰레기 콤팩터
CN108711218B (zh) 一种可以回收商品的智能货柜
CN217805024U (zh) 仓储结构及配送机器人
CN206981230U (zh) 一种快递纸箱有偿回收装置
CN216806740U (zh) 一种智能垃圾可回收箱
CN219135254U (zh) 智能垃圾桶
CN116495374B (zh) 一种环保垃圾收集设备及其收纳桶
KR101668678B1 (ko) 다기능 쓰레기통,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180125762A (ko) 음료용기 압축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