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473A -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473A
KR20210047473A KR1020190131113A KR20190131113A KR20210047473A KR 20210047473 A KR20210047473 A KR 20210047473A KR 1020190131113 A KR1020190131113 A KR 1020190131113A KR 20190131113 A KR20190131113 A KR 20190131113A KR 20210047473 A KR20210047473 A KR 20210047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module
container
container modul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용
Original Assignee
신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규용 filed Critical 신규용
Priority to KR1020190131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473A/ko
Publication of KR2021004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 모듈;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기 쓰레기의 수량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압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Smart Garbage Separation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려지는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 쓰레기의 개수 또는 저장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제도적으로도 관련 법규 및 규칙 등이 마련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러한 쓰레기 중, 길거리 및 공원 등 공공시설에서 주로 배출되는 쓰레기는 페트병, 알루미늄캔, 유리병, 종이팩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 54% 이상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거리에 설치된 쓰레기통은 일반쓰레기 및 재활용 쓰레기통 2개 종류의 쓰레기통이 있다. 재활용 쓰레기통에는 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비닐, 공병, 종이류 등이 하나의 통에 혼합 배출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페트병이나 캔, 공병과 같은 경우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거함이 빨리 차게 되고, 각각의 쓰레기 종류에 따라 쓰레기를 회수하는 기간이 달라 쓰레기의 수거 효율성이 떨어지고, 제 때에 회수하지 못하는 쓰레기들부터 발생하는 악취로 인해 불쾌감을 주기도 한다. 무엇보다 혼합배출된 경우 재활용하기 위해서 종류별로 선별하고 재활용하기 위해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99636호
본 발명은 버려지는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 쓰레기의 개수 또는 저장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 모듈;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기 쓰레기의 수량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압축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 모듈;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기 쓰레기의 수량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압축모듈;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로부터 쓰레기 회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서버; 및 상기 컨테이너 모듈과 상기 서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쓰레기를 버릴 때 직접 쓰레기를 압축하여 버릴 수 있다.
둘째, 쓰레기가 압축되어 저장되므로 압축하지 않고 버릴 때 보다 더 많은 양의 쓰레기를 모아둔 후 회수할 수 있다.
셋째, 저장되는 쓰레기의 개수 또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쓰레기의 회수 주기를 컨트롤할 수 있고 수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의 일부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압축모듈의 작동 과정에 도시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에 의한 쓰레기 수거 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쓰레기는 페트병인 것을 예로 든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100)은 컨테이너 모듈(110), 센서(130), 압축모듈(150), 서버(170) 및 송수신모듈(190)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쓰레기(1)를 저장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공간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은 쓰레기 저자용기(111, 113) 및 하우징(115)을 포함한다.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는 내부에 상기 쓰레기(1)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있고, 일측에는 상기 쓰레기(1)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부(111a, 1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는 두 개 이상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정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의 개수와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는 직육면체 형태이며, 상기 개구부(111a, 113a)는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5)은 상기 쓰레기(1)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거나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를 보호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도면을 참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5)이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의 측면들(미표기) 및 상하면(미표기)만 보호하는 형태로 둘러싸고 있다.
상기 하우징(115)이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의 모든 면들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쓰레기(1)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의 상기 개구부(111a, 113a)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센서(130)는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130)는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 내부로 상기 쓰레기(1)가 투입되면 상기 쓰레기(1)의 수량을 측정하거나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 내부에 저장되는 쓰레기들의 무게를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130)는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의 상기 개구부(111a, 113a)에 설치되거나,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130)는 상기 개구부(111a, 113a)와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의 하면 중 어느 한 곳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두 곳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모듈(150)은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 내부로 투입된 상기 쓰레기(1)를 압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압축모듈(150)은 페달(151), 압축부재(153), 회전기어(155) 및 링크암(157)들을 포함한다.
상기 페달(151)은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의 외부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상기 페달(151)에 누르는 힘을 가하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페달(151)은 기존에 공개된 페달의 구조를 차용할 수 있다. 상기 페달(151)은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사용자가 상기 페달(151)을 발로 가압하면 이 누르는 힘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압축부재(153)는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압축부재(153)에 대하여 제1 압축부재(153a) 및 제2 압축부재(153b)를 병행 표기하기로 한다. 상기 압축부재(153)는 후술되는 상기 회전기어(155) 및 상기 링크암(157)들에 의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회전기어(155) 및 상기 링크암(157)들에 대한 설명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압축부재(153)는 도면을 참고하는 바와 같이 갈빗살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 압축부재(153a)와 상기 제2 압축부재(153b)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압축부재(153a)의 갈빗살과 갈빗살 사이에 상기 제2 압축부재(153b)의 갈빗살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런 배치에 의해 상기 제1 압축부재(153a)와 상기 제2 압축부재(153b)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360°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155)는 상기 압축부재(153)와 마찬가지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기어(155)도 상기 압축부재(153)와 마찬가지로 제1 회전기어(155a) 및 제2 회전기어(155b)를 병행 표기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회전기어(155a) 및 상기 제2 회전기어(155b)는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회전구동력에 의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1 회전기어(15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회전기어(155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기어(155)와 상기 압축부재(153)는 동축(Coaxial)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회전기어(155a)와 상기 제1 압축부재(153a)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기어(155b)와 상기 제2 압축부재(153b)가 동축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부재(153)는 상기 회전기어(155)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된다.
상기 링크암들(157)들은 상기 페달(151)과 상기 회전기어(155)를 연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어(155)는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데, 상기 페달(151)에 의한 상기 회전 구동력이 상기 링크암(157)들을 통해 상기 회전기어(155)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암들(157)은 복수 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페달(151)과 연결되며 상기 페달(151)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암(157a)과,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암(157a)의 자유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암(157a)과 교차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링크암(157b)과,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암(157b)의 자유단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 회전기어(155a)와 연결되는 제3 링크암(157c)과,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암(157b) 및 상기 제3 링크암(157c)과 연결되며 타단은 제2 회전기어(155b)와 연결되는 제4 링크암(157d)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4개의 상기 링크암들(157)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페달(151)을 발로 밟아 가압하면, 상기 페달(151)이 회전을 하면서 회전 구동력을 상기 링크암들(157)에 전달한다. 상기 페달(151)에서 전달된 회전운동은 상기 링크암들(157)에서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상기 링크암들(157)의 직선운동은 상기 회전기어(155)에서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155)가 회전운동을 하면 상기 회전기어(155)와 동축으로 연결된 상기 압축부재(153)가 상기 회전기어(155)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압축부재(153a)와 상기 제2 압축부재(153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압축부재(153a)와 상기 제2 압축부재(153b)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쓰레기(1)가 상기 압축부재(153)에 가압되어 압축된다. 상기 압축부재(153)에 의해 압축된 상기 쓰레기(1)는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111, 113)에 더 많은 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170)는 상기 센서(130)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쓰레기의 회수주기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170)와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 각각에는 상기 센서(130)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기 송수신모듈(190)이 설치된다. 상기 컨테이너 모듈(110)에는 송신부(191)가 설치되고, 상기 서버(170)에는 수신부(193)가 설치된다. 상기 송신부(191)와 상기 수신부(193)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작업자의 무선 통신기기와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쓰레기 저장유닛(111, 113)에 저장된 쓰레기의 개수 또는 무게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수신모듈(190) 및 상기 센서(130)는 별도로 전원을 공급할 필요 없이 태양광 전원을 사용하여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기어(155)가 무동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155)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110: 컨테이너 모듈 111, 113: 쓰레기 저장용기
115: 하우징 130: 센서
150: 압축모듈 151: 페달
153: 압축부재 155: 회전기어
157: 링크암들 170: 서버
190: 송수신모듈

Claims (7)

  1. 서로 다른 종류의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 모듈;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기 쓰레기의 수량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압축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2. 서로 다른 종류의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 모듈;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기 쓰레기의 수량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모듈 내부로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압축모듈;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로부터 쓰레기 회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서버; 및
    상기 컨테이너 모듈과 상기 서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모듈은,
    상기 쓰레기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두 개 이상 구비되는 쓰레기 저장용기; 및
    상기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거나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를 보호하도록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를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로 투입되는 상기 쓰레기를 인식하면서 상기 쓰레기의 수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축모듈은,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가하여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페달;
    상기 쓰레기 저장용기 내부에 상호 대칭되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압축부재;
    각각의 상기 압축부재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서로 맞물려 있어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페달과 상기 회전기어를 연결하며, 상기 페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회전 구동력을 상기 회전기어로 전달하여 상기 압축부재를 회전시키는 복수 개의 링크암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쓰레기가 상기 압축부재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기어와 연동하여 상기 압축부재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쓰레기를 압축시킨 후 낙하시키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컨테이너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서버에 구비되어 상기 송신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는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KR1020190131113A 2019-10-22 2019-10-22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KR20210047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13A KR20210047473A (ko) 2019-10-22 2019-10-22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13A KR20210047473A (ko) 2019-10-22 2019-10-22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73A true KR20210047473A (ko) 2021-04-30

Family

ID=7574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113A KR20210047473A (ko) 2019-10-22 2019-10-22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4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0985A (zh) * 2021-08-19 2021-11-16 安徽世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称重采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36A (ko) 2018-02-19 2019-08-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쓰레기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36A (ko) 2018-02-19 2019-08-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쓰레기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0985A (zh) * 2021-08-19 2021-11-16 安徽世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称重采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4191039U (zh) 用于垃圾分类和收集分类的垃圾的装置
US20130112791A1 (en)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having a monitor
KR20210047473A (ko) 스마트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CN111573036A (zh) 一种快递包装智能回收装置及其工作方法
JP2004001991A (ja) 収集装置、ごみ集積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EP2514586A1 (en) Press device
CN105416918A (zh) 一种垃圾分类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109016613A (zh) 一种垃圾处理装置
CN209216204U (zh) 一种含回收柜的智能快递柜
CN11151703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城市生活垃圾分类回收方法
CN212314555U (zh) 一种再生资源智能回收机
CN206981230U (zh) 一种快递纸箱有偿回收装置
KR20070106229A (ko) 이동가능한 재활용 쓰레기통
CN212268459U (zh) 一种快递包装智能回收装置
RU2727549C1 (ru)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приему 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бутылок и алюминиевых банок
CN113264297A (zh) 一种小区废纸回收装置
KR102429585B1 (ko) 압축 쓰레기통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KR101411002B1 (ko) 태양광 가로등을 이용한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68678B1 (ko) 다기능 쓰레기통,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RU2674598C1 (ru) Система сбора, сортировки и переработки коммунальных отходов
CN211365756U (zh) 一种环保废弃物分类存放装置
CN210708996U (zh) 一种具有压缩功能的垃圾分类放置垃圾桶
KR102121621B1 (ko) 자동 재활용기
CN216970770U (zh) 一种可以显示垃圾装填量的垃圾分类装置
CN109516035A (zh) 智能环卫清运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