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248B1 -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248B1
KR102428248B1 KR1020190131692A KR20190131692A KR102428248B1 KR 102428248 B1 KR102428248 B1 KR 102428248B1 KR 1020190131692 A KR1020190131692 A KR 1020190131692A KR 20190131692 A KR20190131692 A KR 20190131692A KR 102428248 B1 KR102428248 B1 KR 10242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fall prevention
wire
rotation shaf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742A (ko
Inventor
이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3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2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93Fall arrest ree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는, 와이어를 둘러싸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몸체; 일 단이 상기 제1 몸체의 일 단과 연결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부분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구비하는 제2 몸체; 일부분에 상기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와 연결되는 제3 몸체; 상기 제3 몸체의 일 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톱니부; 및 상기 제3 몸체의 타 단에 형성되고, 로프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 TO PREVENTING FALLING}
본 발명은 추락 방지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송전 지지물에 설치되는 와이어에 적용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 지지물은 고압의 전류를 발전소에서 공장 등으로 수송하기 위한 고압전선이나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일반적으로 철탑이 사용된다.
송전 지지물에 각종 전선이나 케이블을 설치하거나 다른 외부적인 요인으로 수리가 필요할 때, 작업자가 송전 지지물에 올라간다. 이때, 송전 지지물 특성상 고소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작업하는 경우 추락할 수 있다.
그런데, 송전 지지물은 종래에 앵글형 철탑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관형 지지물 철탑으로 교체되고 있다.
관형 지지물에 발판이 존재하나, 이는 철탑을 오르고 내려가는 보조역할에 불과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만 놓아도 추락 사고로 직결되는데 현재 이에 대한 안전 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에 추락 방지를 위한 레일과 Key-lock 장치가 존재하지만 이는 라이선스로 인해 설치 비용이 비싸며,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사용자가 설치된 송전 지지물의 상부에서 작업하기 위해 송전 지지물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와이어에 설치가 간편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와이어를 손에서 놓치더라도 사용자의 추락이 자동으로 방지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와이어를 손에서 놓쳐 추락이 방지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는, 와이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 단에 이음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일 단에 상기 이음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일 측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제2 몸체; 일 측에 상기 연결홀과 대응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와 연결되는 제3 몸체; 상기 제3 몸체의 일 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톱니부; 및 상기 제3 몸체의 타 단에 형성되고, 로프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연결홀과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3 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 몸체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 측을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에 상기 제2 몸체를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잠금부의 일 측에 소정 길이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이 고정부재에 구속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여 고정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상기 고정부재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의 이동 경로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은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이 상기 관통부를 지난 위치에 상기 회전축이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속부에 체결된 이후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은, 상기 제2 몸체가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상기 커버가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커버와 맞닿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상에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사용자와 연결되는 로프가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톱니부는,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하는 일면이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몸체의 타 단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는 회전축과 단속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송전 지지물에서 작업하기 위해 와이어를 타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제3 몸체가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올라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제2 몸체에 결합된 제3 몸체를 인위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없이 제3 몸체가 사용자가 올라가는 것에 맞춰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가 와이어에 체결된 경우 잠금부가 회전축을 고정하며, 제2 몸체의 제1 돌출부는 제1 몸체의 고정홀을 관통하므로 제2 몸체가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손잡이부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가 와이어에 체결된 상태가 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는 톱니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가 로프에 체결된 경우 사용자가 와이어에서 손을 놓치더라도 톱니부가 와이어를 가압하여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가 와이어에 고정되어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추락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와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로프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로프의 규격에 따라 홀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복수 개를 구비할 수 있고, 여러 명의 작업자를 동시에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에 로프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제1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제2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제3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평면도다.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정면도다.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저면도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평면도다.
도 6d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또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다.
도 7a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저면도다.
도 7b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다른 일 예의 저면도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구성 및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는 제1 몸체(100), 제2 몸체(200), 제3 몸체(300)를 포함한다.
제1 몸체(100)는 와이어(1)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00)의 내부를 와이어(1)가 관통한다. 제1 몸체(100)의 상면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1 몸체(100)의 일 단에 이음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음부(130)에는 후술할 연결부(260)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결합하여 제2 몸체(200)가 회전 가능하다.
제1 몸체(100)의 타 단에는 잠금부(400)가 연결된다. 이때, 제1 몸체(100)의 타 단에 형성되는 잠금부(400)는 제1 몸체(100)의 일 단에 형성되는 이음부(13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제2 몸체(200)는 제1 돌출부(230), 제2 돌출부(240), 연결부(260), 연결홀(210)을 포함한다.
제2 몸체(200)의 일 측에 연결홀(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220)이 연결홀(210)을 관통한다. 회전축은(220)은 후술할 제3 몸체(300)와 제2 몸체(200)을 연결한다.
제2 몸체는 회전축(220)에 결합되어 제2 몸체(200)와 제3 몸체(3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속부재(250)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제3 몸체(300)는 결합홀(310), 톱니부(320), 체결부(330)를 포함하고, 제2 몸체(2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3 몸체(300)는 제2 몸체(200)의 상면에 위치한다.
결합홀(310)은 제3 몸체(300)의 일 측에 구비된다. 또한, 결합홀(310)은 제2 몸체(200)의 연결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220)이 결합홀(310)을 관통한다.
따라서, 회전축(220)은 제2 몸체(200)의 연결홀(210)과 제3 몸체(300)의 결합홀(3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제2 몸체(200)와 제3 몸체(300)를 연결한다.
톱니부(320)는 제3 몸체(300)의 일 단에 형성된다.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가 와이어(2)에 체결되는 경우, 추락 시 와이어(2)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함이다.
톱니부(320)는 와이어(2)와 맞닿는 일면이 톱니 모양으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면이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톱니부(320)가 와이어(2)에 맞닿는 경우, 와이어(2)와 맞닿는 일면이 평평한 경우보다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몸체(300)의 타 단에는 로프(2)와 연결되는 체결부(330)가 형성된다. 체결부(330)는 사용자와 연결되는 로프(2)가 고정되는 부위이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의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의 체결부(330)에 로프(2)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의 제1 몸체(100)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몸체(100)는 구속부(111), 고정홀(112), 안착부(110), 이음부(130)를 포함한다.
구속부(111)는, 제1 몸체(100)의 타 단이 일부 함몰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때, 구속부(111)는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220)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구속부(111)의 너비는 회전축(220)의 폭보다 크다.
고정홀(112)은 제1 몸체(100)에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2 몸체(200)의 제1 돌출부(230)의 커버(232)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안착부(110)는 제1 몸체(100)의 내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착부(110)는 와이어(2)를 감싸고, 안착부(110)에 구속부(111)와 고정홀(112)이 포함된다.
이음부(130)는 제1 몸체(100)의 일 단에 형성된다. 이음부(130)는 후술할 제2 몸체(200)의 연결부(260)와 결합한다.
이음부(130)의 형태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에 결합되어 제2 몸체(200)가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형태면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의 제2 몸체(200)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몸체(200)는 제1 돌출부(230), 제2 돌출부(240), 연결홀(210), 연결부(260)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30)는 제2 몸체(200)의 상면을 향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면은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항하여 회전한 상태에서, 제1 몸체의 내면과 가까운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돌출부(230)는 제2 몸체(200)의 일 측에 형성된다. 제1 돌출부(230)는 탄성부재(231), 커버(232), 수용부(23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31)는 제1 돌출부(230)의 내부에 배치된다. 탄성부재(231)는 후술할 커버(232)와 연결된다.
커버(232)는 제1 돌출부(2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커버(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31)의 일 측을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33)는 제1 돌출부(230)에서 제2 몸체(200)의 상면에 가까운 부위에 형성된다.
커버(232)의 폭은 수용부(233)의 폭보다 크다. 이때, 커버에 대하여 탄성부재(2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탄성부재(231)가 압축되면서 커버(232)는 수용부(233)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232)는 수용부(233)에 삽입된다.
제2 돌출부(240)는 제2 몸체(200)의 일 측에 상면을 향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돌출부(240)는 제2 몸체(200)의 상면 상에서 고정홀(112)보다 구속부(11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제2 돌출부(240)의 돌출 방향은 제1 돌출부(23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60)는 제2 몸체(200)의 일 단에 형성된다. 연결부(260)는 제1 몸체(100)의 이음부(130)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연결부(260)의 형태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몸체(200)와 제1 몸체(100)가 결합하여 제2 몸체(200)가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형태면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의 제3 몸체(300)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홀(310)은 제3 몸체의 일 측에 회전축(220)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3 몸체(300)는 제2 몸체(200)의 상면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3 몸체(300)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톱니부(320)는 제3 몸체(300)의 일 단에 연결되며,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2 몸체의 상면에 연결된 제3 몸체(300)가 제1 몸체(100)가 감싸는 와이어(1)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톱니부(320)의 단면은,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가 와이어(1)에 체결되어 와이어(1)를 가압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톱니부(320)의 단면은 제3 몸체(300)로부터 제1 돌출부(2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체결부(330)는 사용자와 연결되는 로프(2)가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체결홀(331)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331)은 그 모양이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도 가능하다. 또한, 로프(2)의 규격에 따라 체결홀(331)의 크기도 다양하게 형성된다.
체결홀(331)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복수의 로프(2)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로부터 이탈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송전 지지물에서 작업하는 경우 하나의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에 복수의 로프(2)를 각각 복수의 홀(331)에 연결하여 고정하여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의 평면도이고, 도 5b은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의 정면도이며,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저면도다.
구체적으로 도 5a, 도 5b, 도 5c는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 몸체(300)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제2 몸체(200)의 상면에 연결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30)는 제3 몸체(300)의 타 단과 연결되어 제3 몸체(300)의 타 단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체결부(330)에 로프(2)를 체결하여 송전 지지물 상에서 작업하는 경우 로프(2)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제3 몸체(300)와 체결부(330)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약하지 않는다.
제1 돌출부(230)는, 제2 몸체(200)의 상면 상에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1 몸체(100)의 고정홀(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회전축(220)은 연결홀(210)과 결합홀(310)을 관통하여 제2 몸체(200)와 제3 몸체(300)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제3 몸체(300)가 제2 몸체(200)의 상면에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잠금부는 제1 몸체(100)의 타 단에 제2 몸체(200)를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잠금부(400)는 바디(410), 스프링(420), 고정부재(430)를 포함한다.
바디(410)는 후술할 고정부재(410)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후술할 고정부재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는 관통부(411)를 구비한다.
관통부(411)는 잠금부(400)의 바디(410)에서 고정부재(430)가 노출되는 관통부(411)는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200)의 이동경로 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관통부(411)는 제1 몸체(100)의 타 단에 형성되는 구속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해 회전하면, 회전축(220)은 잠금부(400)에 형성되는 관통부(411)를 지나 구속부(111)에 위치하게 된다.
스프링(420)은 바디(4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벽면에 부착된다. 후술할 손잡이부(431)에 스프링(420)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평형상태를 유지한다.
고정부재(430)는 스프링(420)과 연결되어 바디(4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고정부재(430)가 스프링(420)을 향하여 바디(4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여 스프링(420)이 압축되면, 관통부(411)를 통해 보이던 고정부재(430)의 일 측이 보이지 않게 된다.
고정부재(430)는 바디(410)의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부(4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410)와 잠금부(400)에 홈(412)을 형성한다. 손잡이부(431)는 홈 밖으로 돌출된다.
잠금부(400)의 외면에 형성된 홈은 손잡이부(431)가 잠금부(400)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홈(412)은 고정홀(411)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손잡이부(431)를 고정홀(411)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형성된 홈(412)을 따라 이동시키면 손잡이부(431)와 이어진 고정부재(430)가 스프링을 향하여 이동하며, 고정부재(430)는 스프링을 압축한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제1 몸체(100)가 와이어(1)를 감싸고,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한 상태에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가 와이어(1)에 체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한 상태에서 제2 몸체(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240)는, 제1 몸체(100)가 감싸는 와이어(1)가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에 체결된 이후 꼬여지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1 몸체(100)의 타 단은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220)이 관통부(411)를 지난 위치에 회전축(220)이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속부(111)를 구비한다.
회전축(220)은 고정부재(430)에 의해 손잡이부(431)에 외력을 가하여 고정부재(430)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고정부재(430)로 인해 구속부(111)에 계속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된 상태는 유지된다.
패드(120)는 제1 몸체(100)의 내측인 안착부(110)에 부착된다. 패드(120)는 마찰력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와이어(1)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패드(120)의 재질에는 합성 수지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네오프렌과 같이 내열성, 노화성이 우수한 물질이 사용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12)는 잠금부(400)에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고정부재(430)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31)는 홈 밖으로 돌출되어 홈(412)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평면도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톱니부(320)는 제1 몸체(100)가 감싸는 와이어(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한 경우, 회전축은 구속부(111)를 지나며, 고정부재(430)는 회전축(220) 위에 위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단속부재(250)는 회전축(220)의 단부에 위치하여 제2 몸체(200)와 제3 몸체(3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d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를 또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다.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톱니부(320)는 와이어(1)와 접하는 일면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 와이어(1)에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가 체결되는 경우 와이어(1)를 가압하여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를 와이어(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사용자가 공중에서 와이어(1)를 놓치는 경우 제3 몸체(300)가 제2 몸체(200)의 상면에 수직하도록 회전하여 톱니부(320)가 와이어(1)를 가압하는 힘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10)가 와이어(1)상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지면으로 추락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7a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7b는 도 6a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의 다른 일 예의 저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홀(112)은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1 돌출부(230)의 커버(232)가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몸체(100)의 타 단에서 커버(23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부재(430)의 손잡이부(431)는 홈(412)을 따라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로 인해, 고정부재(430)가 스프링(420)을 압축하여 관통부(411)에서 노출되던 고정부재(430)가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부(431)는 커버(232)와 닿게 되어 커버를 누르게 된다. 커버(232)에 연결된 탄성부재(231)가 압축되어 제1 돌출부(230)는 고정홀(112)을 관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를 향하여 회전하여 고정되던 상태가 회전 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와이어 2: 로프
10: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100: 제1 몸체
110: 안착부 111: 구속부
112: 고정홀 120: 패드
130: 이음부 200: 제2 몸체
210: 연결홀 220: 회전축
230: 제1 돌출부 231: 탄성부재
232: 커버 233: 수용부
240: 제2 돌출부 250: 단속부재
260: 연결부 300: 제3 몸체
310: 결합홀 320: 톱니부
330: 체결부 331: 체결홀
400: 잠금부 410: 바디
411: 관통부 412: 홈
420: 스프링 430: 고정부재
431: 손잡이부

Claims (16)

  1. 와이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 단에 이음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일 단에 상기 이음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일 측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제2 몸체;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과 대응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와 연결되는 제3 몸체;
    상기 제3 몸체의 일 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톱니부; 및
    상기 제3 몸체의 타 단에 형성되고, 로프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상에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 측을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연결홀과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3 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부재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 몸체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에 상기 제2 몸체를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잠금부의 일 측에 소정 길이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이 고정부재에 구속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스프링을 일 방향으로 압축하여 고정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고정부재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의 이동 경로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은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이 상기 관통부를 지난 위치에 상기 회전축이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속부에 체결된 이후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은, 상기 제2 몸체가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상기 커버가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커버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사용자와 연결되는 로프가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는,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하는 일면이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3 몸체의 타 단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KR1020190131692A 2019-10-22 2019-10-22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KR10242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92A KR102428248B1 (ko) 2019-10-22 2019-10-22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92A KR102428248B1 (ko) 2019-10-22 2019-10-22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42A KR20210047742A (ko) 2021-04-30
KR102428248B1 true KR102428248B1 (ko) 2022-08-04

Family

ID=7574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692A KR102428248B1 (ko) 2019-10-22 2019-10-22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2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977A (en) 1996-12-27 2000-01-04 Dalloz Fall Protection Fall prevention device for vertical cable
JP2004215863A (ja) 2003-01-15 2004-08-05 Fuji Kogyo:Kk ロープ把持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969Y2 (ja) * 1989-11-29 1995-08-09 新日軽株式会社 外壁板の取付装置
KR20170001545U (ko) * 2015-10-23 2017-05-08 하현학 추락방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977A (en) 1996-12-27 2000-01-04 Dalloz Fall Protection Fall prevention device for vertical cable
JP2004215863A (ja) 2003-01-15 2004-08-05 Fuji Kogyo:Kk ロープ把持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691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42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660B1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JP5285708B2 (ja) 風力発電装置
JP5113906B2 (ja) 落下阻止アセンブリ
ITMI991900A1 (it) Dispositivo antinfortunistico per edifici particolarmente per il montaggio di manufatti prefabbricati in calcestruzzo o simili
KR102297500B1 (ko)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
CN206619886U (zh) 紧线组合装置
KR102428248B1 (ko)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KR20210048308A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102131520B1 (ko) 사다리용 안전벨트 버클
CN106972413A (zh) 一种紧线组合装置
KR20180138443A (ko) 케이블 절단부용 고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정착부의 보수방법
KR200472209Y1 (ko)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KR100593506B1 (ko) 송전선 진동/처짐 방지장치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0718195B1 (ko) 송전선용 진동방지장치
KR20240007500A (ko)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KR20110134121A (ko)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CN110420408B (zh) 一种高空作业安全导索组件以及高空作业安全导索系统
CN210542957U (zh) 一种安全导索组件以及安全导索系统
CN106869769B (zh) 便于攀爬绝缘子串的攀爬工具
KR200490913Y1 (ko) 전력케이블 보호구용 고정장치
KR102679874B1 (ko)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US7644894B1 (en) Cable management and tie-off apparatus
JP2022098728A (ja) 足場装置
JP7571525B2 (ja) 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