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822B1 -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822B1
KR102424822B1 KR1020220017647A KR20220017647A KR102424822B1 KR 102424822 B1 KR102424822 B1 KR 102424822B1 KR 1020220017647 A KR1020220017647 A KR 1020220017647A KR 20220017647 A KR20220017647 A KR 20220017647A KR 102424822 B1 KR102424822 B1 KR 10242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lophyte
skin
strengthen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인
정재우
김청룡
김제욱
Original Assignee
인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코스(주) filed Critical 인코스(주)
Priority to KR102022001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피부항산화,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의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SKIN BARRIER}
본 발명은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피부항산화,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의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 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장벽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 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각화 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외부 환경 변화, 노화 등으로 인하여 피부 내 여러 가지 변화가 생겨나면서 피부 장벽 손상을 입게 되고 이에 따라 피부 염증, 건조증, 가려움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염생식물 (halophyte)이란 염전 및 바닷가 등과 같은 주위에 염기가 있는 염습지에 서식하는 식물이다. 생육 환경은 담수와 해수가 끊임없이 교차하며 염분 농도가 계속해서 변화하는 곳으로, 이와 같은 환경에서 살아가는 염생식물은 염분에 의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도록 방어 체계를 잘 발달시켜 왔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은 Isorhamnetin, naringenin, quercetin, chlorogenic acid, capillarin, sakuranetin 등과 같은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 피부재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429073호(2014.08.05.) 한국특허등록 제10-2069712호(2020.01.17.)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피부항산화,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의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은 25 내지 400 ㎍/mL가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은 염생식물 혼합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용매로 추출하는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 상기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염생식물 혼합물은 순비기나무, 해홍나물, 칠면초, 사데풀, 나문재, 갯메꽃, 퉁퉁마디, 지충이, 갯끈풀, 해당화, 지채, 비쑥, 갯질경, 수송나물 및 모래지치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염생식물 혼합물은 해당화 및 비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염생식물 혼합물은 해당화 100 중량부 및 비쑥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는 질량농도가 65 내지 75%인 에탄올로 이루어진 용매를 이용하여 45 내지 55℃의 온도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말화단계 이후에는 상기 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분말을 배지와 혼합한 후에 젖산간균을 혼합하고 발효하는 발효단계 및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발효물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효단계는 32 내지 38℃의 온도와 150 내지 250 rpm의 속도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피부항산화,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의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생식물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생식물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 15 종의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농도에 따른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실험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농도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피부보습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며,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은 25 내지 100 ㎍/mL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은 피부항산화,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의 함량이 25 ㎍/mL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의 함량이 100 ㎍/mL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의 향상이 미미하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은 염생식물 혼합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용매로 추출하는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S101), 상기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S103) 및 상기 여과단계(S103)를 통해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분말화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 염색식물추출물제조단계(S101)는 염생식물 혼합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로, 염생식물 혼합물을 질량농도가 65 내지 75%인 에탄올로 이루어진 용매를 이용하여 45 내지 55℃의 온도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염생식물 혼합물은 순비기나무, 해홍나물, 칠면초, 사데풀, 나문재, 갯메꽃, 퉁퉁마디, 지충이, 갯끈풀, 해당화, 지채, 비쑥, 갯질경, 수송나물 및 모래지치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염생식물 혼합물은 해당화 및 비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염생식물 혼합물은 해당화 100 중량부 및 비쑥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해당화(Rosa rug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색이 곱고 향이 좋아 관상용으로도 많이 재배되며 색조 화장품이나 향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비쑥(Atermisia scoparia)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유라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염생 습지에 자생하는 염생 식물의 일종이며, 쑥속에 속하는 식물들 특유의 독특한 향기와 맛을 지닌다. 상기 해당화와 비쑥은 Isorhamnetin, naringenin, quercetin, chlorogenic acid, capillarin, sakuranetin 등과 같은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항산화,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강화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상기 여과단계(S103)는 상기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로, 상기 상기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을 메시 필터(mesh filter)로 여과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말화단계(S105)는 상기 여과단계(S103)를 통해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로, 상기 여과단계(S103)를 통해 여과된 추출물을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에 투입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추출물을 분말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과정을 통해 분말화된 추출물은 멸균처리된 용기에 투입하고 3 내지 5℃의 온도로 냉장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말화단계(S105) 이후에는 상기 분말화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분말을 배지와 혼합한 후에 젖산간균을 혼합하고 발효하는 발효단계(S107) 및 상기 발효단계(S107)를 통해 발효된 발효물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S109)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발효 및 원심분리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추출물은 발효의 과정에서 효소들의 작용에 의해 추출물 내에 함유된 주요 생리활성 성분들이 분해되어 저분자화 됨으로써 보다 쉽게 체내로 흡수되어 약리적 활용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효단계(S107)는 상기 분말화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분말을 배지와 혼합한 후에,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젖산간균 0.1 내지 1.0 중량부를 접종하고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32 내지 38℃의 온도와 150 내지 250 rpm의 속도로 24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단계(S109)는 상기 발효단계(S107)를 통해 발효된 발효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고 7500 내지 8500 rpm의 속도와 3 내지 5℃의 온도에서 15 내지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원심분리단계(S109)를 통해 원심분리된 발효물은 실린지 필터 등으로 제균한 후에 냉동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염생식물 추출물은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25 내지 400 ㎍/mL으로 함유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순비기나무, 해홍나물, 칠면초, 사데풀, 나문재, 갯메꽃, 퉁퉁마디, 지충이, 갯끈풀, 해당화, 지채, 비쑥, 갯질경, 수송나물 및 모래지치 각각 100g을 각각 질량농도가 70%인 에탄올 1000 ml로 50℃에서 3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추출액을 메시 필터(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 mesh)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회전증발기(DL10-3000, Greatwall, 20 L)로 감압농축하여 용매가 제거된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고, 제조된 분말을 멸균처리(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고 4℃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 15 종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1999)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well당 1 mg/mL 농도의 각 시험 물질을 10 μg/mL와 증류수 90 μL를 혼합한 후 Folin-Ciocalteu's 용액을 10 μL를 넣고 상온에서 6 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10% (w/v) Na2CO3 90 μL를 넣고 실온에서 90 분간 반응시킨 뒤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를 사용하여 표준곡선을 구하고 이를 따라서 총 폴리페놀 함량(μg of Gallic acid equivalent / mg of extract)을 계산하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법은 Chang et al.(2002)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고 flavonoid에 알칼리를 작용시켜 측정하였다. 1 mg/mL 농도의 각 시험 물질을 20 μL 취하여 증류수 120 μL, 5% (w/v) sodium nitrite(NaNO2) 6.67 uL와 혼합하여 6 분간 상온에서 반응한 후, 10% (w/v) aluminum chloride(AlCl3) 13.33 μ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6 분간 반응하였다. 1 M sodium hydroxide(NaOH) 40 μL를 첨가하고 15 분간 배양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Quersetin을 표준 물질로 이용하여 표준 곡선을 그리고 이에 따라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μg of Quersetin equivalent/mg of extract)을 계산하였다.}
<표 1>
Figure 112022015194424-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염생식물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우수하며, 그중에서도, 해당화와 비쑥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 15 종의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아래 도 3에 나타내었다.
{단,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Brand-Williams, 1997)은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DPPH를 0.2 mM 농도가 되게 70% EtOH에 녹여 준비 한다. DPPH 용액과 시료를 1:1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DPPH 용액과 농도별로 용매에 용해시킨 시료를 혼합하여 10 분간 반응 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Ascorbic acid(100 ㎍/mL 농도)를 대조군(Positive control, PC)으로 하고 시료를 넣은 것을 실험군(sample)으로 하여 소거 활성의 크기는 다음 식에 의해 DPPH의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Inhibition (%)={〔OD control - OD sample〕/OD control}× 100
아래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 중 해당화와 비쑥의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해당화와 비쑥을 7:3의 비율로 100g을 칭량하여 질량농도가 70%인 에탄올 1000 ml로 50℃의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추출액을 메시 필터(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 mesh)로 여과하여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회전증발기(DL10-3000, Greatwall, 20 L)로 감압농축하여 용매가 제거된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 분말을 멸균 처리(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4℃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을 0.2 μm 실린지 필터로 제균하여 멸균된 MRS broth(121℃, 15 분 멸균)와 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배지로 제조한 후에, 상기 배지 100 중량부에 젖산간균 0.05 중량부를 접종하고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35℃의 온도와 200 rpm의 속도로 48 시간 동안 발효하고, 발효된 발효물을 원심분리(8,000 rpm, 4℃, 20 분)하여 발효된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때, 접종된 젖산간균의 생육 정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전산산균의 산 생성 정도는 pH meter를 통해 확인하였고, 원심분리 후에는 발효된 추출물 분말을 0.2 μm 실린지 필터로 제균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농도에 따른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아래 도 4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은 DPPH radical에 대해 우수한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소거활성이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실험하여 아래 도 5에 나타내었다.
{단, 추출물 분말의 독성은 WST-8 cell viability assay ki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HaCaT cells을 10×104 cells/well의 밀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한 후 24 시간 동안 5% CO2, 37℃ 조건에서 부착 및 안정화를 시켰다. 각 추출물을 serum free DMEM medium을 이용하여 농도 별로 (50, 100, 200, 400 ug/mL) 24 시간 처리한 다음 100 μL 의 CCK-8 시약을 첨가하여 2 시간 동안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세포 활성 측정은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비첨가구의 사이 값은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아래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은 세포독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나, 400 ㎍/mL의 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세포의 생존능력이 지나치게 저하되어 독성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의 농도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도 6에 나타내었다.
{단, 항염증 효과는 Nitrite Oxide assay를 통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하여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24 well plate에 macrophage인 RAW 264.7 Cell을 10 ×104 Cells/well로 분주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RAW 264.7 Cell에 LPS(100 ng/ml)와 시료를 농도 별로 첨가하여 1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층액 50 ul에 greiss reagent 50 ul을 첨가하여 30 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ve control(PC)로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20 ug/mL을 사용하였으며, 표준품으로 아질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표준정량곡선을 작성하여 질소산화물 생성량을 산출하였다.}
아래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은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이 보습 관련 및 피부 장벽 유전자인 HAS2, FLG, AQP3, INV, TGM1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아래 도 7 내지 8에 나타내었다.
{단, HaCaT cell에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에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보습 인자인 Hyaluronan synthase2(HAS2), Filaggrin(FLG), Aquaporin3(AQP3), Involucrin(INV), Transglutaminase(TGM1)을 mRNA 수준에서 Real-time qPCR을 측정하였다. HaCaT cells을 25×104 cells/well의 밀도로 6 well plate에 분주하여 24 시간 동안 5% CO2, 37℃ 조건에서 부착 및 안정화를 시킨 후, 샘플을 serum free DMEM medium에 50, 100 μg/mL 배양한 HaCaT cell에서 RNA는 TaKaRA MiniBest Universal RNA extraction Kit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GScript First Strand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RNA를 cDNA로 합성하였고,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Simply Green qPCR Master Mix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유전자 정보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합성된 cDNA은 95℃에서 3 분 동안 warming을 한 후에 BIO-RAD CFX ConnectTM으로 95℃에서 10 초간 denaturimg을, 59℃에서 10 초 동안 annealing을, 72℃에서 30 초의 extension을 40 Cycle 반복하였다. Cycle이 완료된 후에는 housekeeping gene인 GAPDH를 이용해 melting curve를 분석하여 계산 하였다.}
<표 2>
Figure 112022015194424-pat00002
아래 도 7 내지 8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분말이 50 ㎍/mL 이상 함유되면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피부항산화,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의 효과를 나타낸다.
S101 ;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
S103 ; 여과단계
S105 ; 분말화단계
S107 ; 발효단계
S109 ; 원심분리단계

Claims (9)

  1. 염생식물 추출물이 함유되며,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은 염생식물 혼합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용매로 추출하는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
    상기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되고,
    상기 분말화단계 이후에는 상기 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분말을 배지와 혼합한 후에 젖산간균을 혼합하고 발효하는 발효단계; 및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발효물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가 더 진행되며,
    상기 발효단계는 32 내지 38℃의 온도와 150 내지 250 rpm의 속도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상기 염생식물 혼합물은 해당화 100 중량부 및 비쑥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생식물 추출물은 25 내지 100 ㎍/mL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생식물추출물제조단계는 질량농도가 65 내지 75%인 에탄올로 이루어진 용매를 이용하여 45 내지 55℃의 온도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KR1020220017647A 2022-02-10 2022-02-10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4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47A KR102424822B1 (ko) 2022-02-10 2022-02-10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47A KR102424822B1 (ko) 2022-02-10 2022-02-10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822B1 true KR102424822B1 (ko) 2022-07-28

Family

ID=8260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647A KR102424822B1 (ko) 2022-02-10 2022-02-10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8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073B1 (ko) 2012-12-21 2014-08-13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007119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9712B1 (ko) 2019-06-21 2020-01-23 주식회사 티에스트릴리온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완화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1271A (ko) * 2020-05-15 2021-11-23 진안당 영농조합법인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073B1 (ko) 2012-12-21 2014-08-13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007119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9712B1 (ko) 2019-06-21 2020-01-23 주식회사 티에스트릴리온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완화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1271A (ko) * 2020-05-15 2021-11-23 진안당 영농조합법인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ung-Hong Lee외, HERIES AND AQUATIC SCIENCES, 23:6, 2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1481481A (zh) 一种金丝皇菊纳米技术护肤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3200B1 (ko) 로즈마리, 연꽃잎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7797056B (zh) 一种改善皮肤状态的复方精油和含有其的护肤品组合物
KR102051939B1 (ko) 황칠나무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
KR102004322B1 (ko) 자귀나무껍질, 숙근안개초, 시계꽃, 권백 및 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6287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6955B1 (ko) 유산균을 이용한 지유 및 필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21518B1 (ko)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4822B1 (ko)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4357A (ko)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6602B1 (ko)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2666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73406B1 (ko) 망고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9811B1 (ko) 지충이 및 다실불레기말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9921B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4481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sdcm 1002 및 사카로마에세스 세르비지에 sdcm 3017의 혼합 균주, 그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