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909B1 - 수직형 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형 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909B1
KR102423909B1 KR1020210153293A KR20210153293A KR102423909B1 KR 102423909 B1 KR102423909 B1 KR 102423909B1 KR 1020210153293 A KR1020210153293 A KR 1020210153293A KR 20210153293 A KR20210153293 A KR 20210153293A KR 102423909 B1 KR102423909 B1 KR 102423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heating device
guide rail
vertical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충남
Original Assignee
드라이스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라이스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드라이스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88Broilers with vertically disposed heat sources and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조리 대상물을 고정하는 그릴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출입가능한 그릴 출입구가 형성된 가열장치;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되어 그릴 출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그릴을 받아들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 및 그릴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그릴의 측면에 배치되어 그릴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의 식품을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고, 조리후 세척 등 유지보수가 간편해진다.

Description

수직형 조리 시스템{Vertical-type Cooking System}
본 발명은 육류나 생선 등의 식품을 굽는 등 조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량의 식품을 지면에 수직하게 걸어 측면에서 가열하여 조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삼겹살이나 생선과 같이 길이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식품(이하, '조리 대상물' 또는 '대상물'이라 하기도 한다)을 굽는 등 조리할 때에는, 보통 불판이나 석쇠(그릴)에 대상물을 수평방향으로 눕히고, 하방, 상방 또는 상하 양방에서 숯불, 가스, 전기, 가열공기 또는 과열증기 등의 열원으로 가열한다.
이와 같이 대상물을 수평하게 눕혀서 조리하는 경우에는, 대상물이 그릴에 눌어붙고 대상물에 내재된 기름이 아래로 흘러내려 열원(히터)이나 그릴에 눌어붙게 되어 가열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조리된 대상물을 떼어내기가 번거로우며, 열원이나 그릴의 청소가 매우 번거롭다.
이에,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1607990호)이나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16477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수직형 구이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구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소량의 대상물을 조리하는 용도의 비교적 소규모의 장치로서, 단체급식 용도나 조리된 식품을 대량으로 유통하기 위한 용도의 대량 조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래, 육류나 생선은 대량으로 구워서 유통하지는 않고, 소량으로 구워서 바로 소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육류나 생선 등에 내재된 기름이 조리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공기 중의 산소에 노출되어 산화가 진행되어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육류나 생선 등은 조리과정에서 수분이 배출되어 마르고 재가열하면 더욱 딱딱해져 먹기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육류나 생선을 대량으로 굽는 경우 오일 미스트(oil mist)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이는 대기오염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오일 미스트의 대기 방출을 저감하기 위해 구이 장치의 배기 덕트에 필터를 장착할 수 있지만, 얼마 안 가서 필터가 막힌다. 더욱이, 오일 미스트를 걸러낼 수 있는 필터는 고가의 고성능 필터로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식당 등에서는 배기 덕트와 팬으로 연기와 오일 미스트를 거의 그대로 대기중으로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607990호 등록특허 제10-16477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대량의 식품을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후 세척 등 유지보수가 간편한 수직형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의 대기중 배출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조리 대상물을 고정하는 그릴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출입가능한 그릴 출입구가 형성된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그릴 출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상기 그릴을 받아들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릴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그릴 출입구는 상기 가열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그릴 입구와, 상기 가열장치의 타측에 형성된 그릴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출입구에는 상기 그릴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가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상기 가열장치의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을, 상기 그릴의 출입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그릴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릴 출입구는 상기 가열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그릴 입구와, 상기 가열장치의 타측에 형성된 그릴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 입구 및 그릴 출구의 각각에는 상기 그릴 입구 및 그릴 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 도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그릴 구동부는 한 쌍의 개폐 도어 각각의 외측에서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각각 관통하여 진퇴하는 한 쌍의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공압 실린더가 서로 교대로 진퇴함으로써 상기 그릴의 양단을 교대로 밀어 상기 그릴을 왕복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상기 열원과 상기 가열장치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원으로부터의 복사열이 상기 내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는 복사열 차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사열 차폐부는 서로 평행하게 중첩하여 배치된 적어도 2장의 반사경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상기 가열장치에서 상기 그릴 출입구가 형성된 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상기 가열장치의 바닥면 상에 상기 도어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원이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원은 과열증기 또는 가열공기를 상기 그릴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가열장치의 외부에서 생성된 과열증기 또는 가열공기를 상기 분사 노즐로 도입하는 도입관의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튜브 또는 신축가능한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기체를 흡입하여 기체 중의 미세 액체 성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기액 분리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더욱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원으로서 상기 과열증기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과열증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증기를 상기 과열증기 발생장치로 도입하는 수증기 도입부는, 상기 보일러로부터 수증기를 도입하는 도입 유로; 상기 도입 유로에서 분기하는 제1유로와 제2유로; 및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합류되어 상기 과열증기 발생장치로 수증기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에는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수증기 유량제어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수증기 유량제어 밸브의 개폐와 무관하게 상시적으로 미량의 수증기를 통과시키는 바이패스 유로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유로에는 수증기 중에 포함된 물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 및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분리된 물만을 배출하여 상기 보일러로 보내는 스팀 트랩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원은,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그릴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을 양측면에서 가열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상기 그릴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동하거나 상기 그릴 출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장치로 반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그릴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는 그릴 캐리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릴 캐리어는 상부에 그릴을 매달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로서,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된 그릴 가이드 레일과 동일한 구조의 그릴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그릴 캐리어의 그릴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열장치의 그릴 가이드 레일 간에 상기 그릴을 주고받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그릴 캐리어의 그릴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열장치의 그릴 가이드 레일은 중공관 형태를 가지고, 상기 중공관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그릴은 상단부에 상기 중공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바가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가 상기 중공관의 개구를 통해 중공관의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캐리어는 상기 그릴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그릴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그릴의 하단부를 상기 그릴 캐리어의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캐리어는 상기 그릴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그릴을 상기 그릴 캐리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직형 조리 시스템에 의하면, 대량의 식품을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후 세척 등 유지보수가 간편한 수직형 조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시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의 대기중 배출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형 조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열원으로서 과열증기를 사용하는 경우 수증기 도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사용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고 가열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사용되는 그릴 및 그릴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은 도 6에 도시된 그릴 및 그릴 캐리어를 경사 하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7a는 그릴이 지면에 수직하게 매달린 상태를, 도 7b는 그릴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면에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그릴과 그릴 캐리어의 일부인 그릴 가이드 레일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그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그릴 본체부 및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그릴 본체부의 일부 구성인 대상물 고정바와 핀플레이트 고정부 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대상물 고정바와 핀플레이트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9에 도시된 그릴 본체부와 액받이가 각각 결합 및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연결', '장착', '고정' 등의 용어는,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에 직접 결합, 연결, 장착, 고정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중간부재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 연결, 장착, 고정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전, 후, 좌, 우, 상, 하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관측자의 위치나 대상의 놓여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Y축 방향의 음의 방향 및 양의 방향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하고, X축 방향의 음의 방향 및 양의 방향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하여,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의 방향을 나타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형 조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형 조리 시스템(이하, '시스템'으로 약칭한다)은, 주요 구성으로서 가열장치(100), 그릴(200) 및 그릴 캐리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장치(10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반입되어 장착된 그릴(200)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W)을,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조리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 그릴(200)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매달린 상태로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열원은 수직하게 세워진 그릴(200)의 양면에 배치되어 그릴(200)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W)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리 대상물(W)로서 삼겹살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삼겹살 이외의 다른 육류나 생선, 나아가 야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리 대상물(삼겹살)을 가열하여 굽지만, 대상물을 굽지 않고 단순히 데우거나 건조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조리'란 대상물에 열을 가해 상태의 변화를 일으키는 모든 종류의 처리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열증기를 주 열원으로 사용하고, 전기 히터를 보조 열원으로서 사용하지만, 열원의 종류와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주 열원인 과열증기는 보일러에 의해 생성된 포화 수증기를 더욱 가열하여 생성된 무색 투명의 기체로서, 대류 이외에 복사나 응축에 의해서도 전열(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짐으로써 열효율이 높아 음식물의 조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과열증기는 조리시에 기체상태의 수증기가 대상물의 표면에서 액체상태의 물로 상 전환되면서 응축할 때 539cal/g이라는 엄청난 열량을 대상물에 전달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대상물의 표면에 응축된 물은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일반 조리시에 대상물의 수분이 배출되어 말라 딱딱해지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육류나 생선을 과열증기로 조리한 후, 유통 등으로 시간이 지나 식은 다음 재가열하더라도 바로 구은 것에 뒤지지 않는 맛과 식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과열증기는 가열공기와 달리 산소를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대상물의 가열시 대상물의 산화가 발생하지 않아 맛의 유지시간이 길고, 화재가 발생할 위험도 현저하게 낮다.
본 실시형태에서 주 열원은 과열증기 발생장치(20)와 과열증기 발생장치(20)에서 생성된 과열증기를 대상물에 분사하는 분사 노즐(123)로 이루어지며, 과열증기 발생장치(20)는 가열장치(100)의 외부(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장치(100)의 위)에, 분사 노즐(123)은 가열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보조 열원인 전기 히터(125)도 가열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가열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123)과 전기 히터(125)에 대해서는 가열장치(100)의 내부 구성과 함께 후술하고, 가열장치(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2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과열증기 발생장치(20)는 보일러(도시 생략)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를 수증기 도입부를 통해 받아들여 더욱 가열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장치(100) 위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수증기 도입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로부터 수증기를 도입하는 도입 유로(10), 도입되는 수증기에 있는 고체 상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11), 압력계(12), 제1유로(13)와 제2유로(14)를 포함하는 분기 유로, 다시 합류하여 한 쌍의 과열증기 발생장치(20)로 수증기를 나누어 공급하는 공급 유로(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13)에는 유량제어 밸브(15)가 설치되어 시스템의 사용여부, 즉 조리 실행여부에 따라 개폐됨으로써 과열증기 발생장치(20)로의 수증기의 공급/차단을 제어한다. 유량제어 밸브(15)에는, 수증기 중에 포함된 물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와, 기수분리기에서 분리된 물(응축수)만을 배출하여 귀환 유로(17)를 통해 보일러로 보내는 스팀 트랩이 일체로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유로(14)는, 유량제어 밸브(15)에 의해 수증기의 공급/차단이 제어되는 제1유로(13)와 달리, 시스템의 완전 정지시 이외에는 상시적으로 미량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유로이다. 가열장치(100)에 그릴(200)을 반출입하는 등 시스템이 완전히 정지하지 않고 일시 정지나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제1유로(13)를 통한 수증기의 공급은 차단되지만, 조리 재개시(제1유로(13)를 통한 수증기의 공급 재개시)에 과열증기를 신속하게 생성하기 위해 과열증기 발생장치(20)는 계속 가동중인 상태에 있다. 히터(23;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20)는 생성된 과열증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과열증기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히터(23)의 가동을 중단하는 온도 센서(28)를 과열증기 출구(27)측에 구비하고 있는데, 온도 센서로는 조리에 사용되는 과열증기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과열증기의 유량에 감응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유형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제2유로(14)가 없다면 시스템의 일시 정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는 과열증기 발생장치(20)로의 수증기의 공급이 전혀 없으므로, 온도 센서(28)는 온도를 감지하지 못하여 과열증기 발생장치(20) 중의 히터(23)의 가동을 중단하지 못하고, 따라서 히터(23)나 씰링이 과열되어 소손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미량의 수증기를 상시적으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유로인 제2유로(14)를 구비한다.
과열증기 발생장치(20)는, 그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면, 내관(21)과 외관(22)을 포함하는 이중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관(21)의 내부에는 전술한 전기 히터(23)가 배치되고, 내관(21)과 외관(22)의 사이 공간은 수증기 공급 유로(16)를 통해 공급되는 수증기가 흐르는 유로(24)를 형성한다. 이 유로(24)에는 수증기가 히터(23)에 의해 가열된 내관(21)의 표면과 충분히 열교환하면서 가열되도록, 지그재그로 통공(25a)이 뚫린 다수의 배플(격벽)(2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100℃ 내외의 수증기는 과열증기 발생장치(20)를 거치면서 300℃ 내지 400℃의 과열증기로 되어 과열증기 출구(27)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과열증기 출구(27)측에는 전술한 온도 센서(28)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고 가열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도 4에서는 전면 도어(106; 도 1 참조)와 복사열 차폐부(130; 도 5 참조)를 생략하고, 도 5에서는 전면 도어(106)를 포함하여 가열장치(100)의 외연을 규정하는 측벽 및 천정과 기액분리기(140; 도 4 참조)를 생략하였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열장치(100)에는 그릴(200)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출입가능한 그릴 출입구(102; 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릴 출입구(102)는 가열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된 그릴 입구와, 가열장치(100)의 타측에 형성된 그릴 출구를 포함하여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그릴 출입구(102)에는 개폐 도어(10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도어(104)는 공압 실린더(105)와 같은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개폐 도어(104)는, 그릴(200)을 가열장치(100)의 내부 공간에 반입하여 장착한 다음 그릴 출입구(102)를 막아 가열장치(100)의 내외부를 열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이면서 일정 시간 대상물을 가열 조리하고, 조리후 개폐 도어(104)를 열고 그릴(200)을 반출하는 배치식(batch type)으로 시스템을 운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그릴(200)이 일측의 그릴 출입구(102)로 반입되어 연속적으로 가열장치(100)를 지나 타측 그릴 출입구(102)로 반출되는 연속식 조리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개폐 도어(104)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 출입구(102)를 가열장치(100)의 양측에 하나씩 한 쌍을 마련하고 개폐 도어(104)도 마찬가지로 한 쌍을 마련했지만, 그릴 출입구(102)와 개폐 도어(104)는 가열장치(100)의 일측에 하나씩만 마련할 수도 있다.
가열장치(100)의 전면(前面)에는 전면의 면적에 가까운 면적을 가진 전면 도어(106; 도 1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전면 도어(106)는 사용자(작업자)가 가열장치(100)의 내부에 접근하여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가열장치(100)의 후면에도 전면 도어(106)와 마찬가지의 후면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가열장치(100)의 상면(천정)에는 과열증기 출구(27)와 연결되고 상면을 관통하여 과열증기 발생장치(20)에서 생성된 과열증기를 가열장치(100) 내부로 도입하는 과열증기 도입관(12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열장치(100)의 상면(천정)에는 가열장치(100) 내부의 폐증기(조리에 사용된 후의 기체 상태의 증기)를 가열장치(100)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141)이 상면을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배기관(141)에는 폐증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팬(도시 생략)이 마련될 수 있다.
가열장치(100)의 내부 공간의 상부(본 실시예에서는 천정 내면)에는 그릴 출입구(102)를 통해 반입된 그릴(200)을 받아들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150; 도 5 참조)이 마련된다. 그릴 가이드 레일(150)은, 도 8을 참조하면, 대략 다각형 또는 원형(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그릴(200)의 장착부(250)가 삽입가능한 중공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직선상의 개구(3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그릴(200)의 장착부(250)는 그릴 가이드 레일(150)의 중공관 내부에 삽입되는 판상 또는 봉상의 수평바(251)와 이 수평바(25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판상의 수직부(253)를 포함하여 대략 T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수직부(253)가 그릴 가이드 레일(15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352)를 통해 중공관의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그릴 가이드 레일(150)의 내부에는 장착부(250)의 수평바(251)와 수직부(25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롤러(354)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그릴 가이드 레일(150)과 그릴(200)의 장착부(250)에 의해 그릴(200)은 그릴 가이드 레일(150)에 매달린 상태로 수직하게 지지되고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가열장치(100) 내에는 그릴 가이드 레일(150)에 매달려 지지되는 그릴(200)의 양면에서 그릴에 고정된 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원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열원인 과열증기와 보조 열원인 전기 히터(125)를 사용한다.
주 열원인 과열증기는 전술한 과열증기 발생장치(20)에서 생성되어 과열증기 도입관(121)을 통해 도입되어 분사 노즐(123)을 통해 그릴(200)에 고정된 대상물로 분사된다. 분사 노즐(1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 구조로 분기되어 그릴(200)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123)에서 그릴(200)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과열증기가 분사되는 노즐공이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한편, 과열증기 도입관(121)의 적어도 일부(121a)는 플렉시블한 또는 신축가능한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유와 효과는 후술한다.
보조 열원인 전기 히터(125)는 분사 노즐(123)을 사이에 두고 그릴(20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기 히터(125)는 지그재그로 배치된 분사 노즐(123)들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분사 노즐(123)에 의해 직접 커버되지 못하는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대상물의 균일한 가열을 도모할 수 있다.
분사 노즐(123)과 전기 히터(125)는 각각 한 쌍씩 마련되어 가열장치(100)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그릴(20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열원을 그릴(대상물)에 대해 되도록 균일하게 커버하도록 배치한다 하더라도, 이는 완벽하지는 않고 불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릴(200)이 양측에 배치된 열원 사이를 연속적으로 지나가는 방식의 연속식 조리에서는 이러한 불균일한 가열이 해소될 수 있지만, 배치식 조리시에는 이러한 불균일이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배치식 조리에서는 대상물의 균일한 가열을 위해 그릴(200)을 가열장치(100) 내에서 좌우로 왕복운동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은 그릴 가이드 레일(150)에 매달려 지지되는 그릴(200)을 그릴의 출입방향(X축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그릴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그릴 구동부는, 한 쌍의 개폐 도어(104) 각각의 외측에서 그릴(200)의 장착부(250)에 대응되는 높이에, 개폐 도어(104)를 관통하여 진퇴하는 한 쌍의 공압 실린더(107)로 구현될 수 있다. 이 한 쌍의 공압 실린더(107)는 서로 교대로 진퇴함으로써 가열장치(100) 내의 그릴(200)의 장착부(250)의 양단을 교대로 밀어 그릴(200)을 좌우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공압 실린더(107)를 마련함으로써, 가열장치(100) 내에 그릴(200)을 반입할 때 반입 깊이를 정확히 맞추지 않아도 된다. 즉, 가열장치(100) 내에 그릴(200)을 적당한 깊이까지 반입하고 개폐 도어(104)를 닫은 후, 한 쌍의 공압 실린더(107)를 교대로 구동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릴(200)의 반입 깊이를 맞출 수 있다.
한편, 가열장치(100) 내에서 열원과 내벽(전면 도어 또는 후면 도어) 사이에는 열원, 특히 전기 히터(125)로부터의 복사열을 차폐하고 그릴(200) 쪽으로 반사하는 복사열 차폐부(130)를 마련할 수 있다. 복사열 차폐부(130)는 전형적으로 반사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가열장치(100) 내에서 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얼마 지나지 않아 대상물에서 나온 기름이나 대상물의 일부가 반사경에 튀어 반사경에 눌어붙으면 열을 반사하지 못하고 오히려 복사열을 흡수하여 제 기능을 다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2장의 반사경을 약간 이격시켜 중첩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그러면, 열원에 대향하는 첫번째 반사경은 쉽게 오염되지만 두번째 반사경은 쉽게 오염되지 않는다. 첫번째 반사경이 오염되어 복사열이 흡수되면 흡수된 열의 일부는 첫번째 반사경의 뒷면에서 복사열로 방출되고, 이 복사열은 오염되지 않은 두번째 반사경에 의해 첫번째 반사경 쪽으로 반사된다. 이 반사된 열은 다시 첫번째 반사경에서 흡수되고, 다시 첫번째 반사경에서 복사열로 방출됨으로써, 한 장의 반사경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가열장치(100) 내벽으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훨씬 더 많이 차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2장의 반사경을 중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적어도 2장의 반사경은, 내부에 반사경을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이 마련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에 삽입되어 복사열 차폐부(13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케이스의 열원과 대향하는 표면 자체를 첫번째 반사경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복사열 차폐부(130)는, 전후방향으로 대략 복사열 차폐부의 두께만큼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브라켓(132a, 132b)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사열 차폐부(130)의 착탈이 용이하고, 세척 등의 유지보수에 유리하다.
또한, 복사열 차폐부(130)를 포함하여 전술한 열원인 분사 노즐(123)과 전기 히터(125)는 베이스(1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10)는 가열장치(100)의 바닥면에 가이드 레일(112)을 개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도어(106) 또는 후면 도어를 열고 베이스(110)를 인출함으로써 복사열 차폐부(130), 열원(123, 125), 베이스(110) 및 가열장치(100)의 바닥면을 쉽게 세척 등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과열증기 도입관의 일부(121a)를 플렉시블한 또는 신축가능한 튜브로 형성함으로써, 과열증기 도입관(121)이 베이스(110)의 인출에 방해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기 히터(125)의 상단부 전선을 플렉시블한 또는 신축가능한 전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전기 히터(125)가 베이스(110)의 인출에 방해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가열장치(100)의 내부 공간에는 기액분리기(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기액분리기(140)는 가열장치(100)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기체 중에 포함된 수분, 오일 미스트 등의 미세 액체 성분을 분리하여 가열장치(100)의 바닥면에 배출한다. 한편, 액체 성분이 분리되어 제거된 기체는 전술한 배기관(141)을 통해 배기된다.
이와 같이 가열장치(100)의 내부 공간에 기액분리기(140)를 마련함으로써 대기중에 방출되는 오일 미스트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기액분리기(140)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더욱더 오일 미스트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기액분리기(140)의 전후단 압력차를 감지하여 소정 이상의 압력차가 나오면 해당 기액분리기(140)는 오일에 의해 거의 막힌 것으로 보아, 해당 기액분리기는 바이패스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오일에 의해 막힌 기액분리기는 떼어내어 내부 세척을 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액분리기(140)는 가열장치(100)의 내부에 배치하였지만, 기액분리기는 가열장치(100)의 외부, 배기관(14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직형 조리 시스템은, 그릴(200)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동하거나 그릴 출입구(102)를 통해 가열장치(100)로 반출입 가능하도록 그릴(200)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며 이동하는 그릴 캐리어(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릴 캐리어(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나 부가적인 기능과 구조가 약간 다른 두 종류의 그릴 캐리어(300a, 300b)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그릴 캐리어(300a)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그릴 캐리어(300b)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그릴(200)이 그릴 캐리어(300a)에 장착된, 즉 그릴(200)이 그릴 캐리어(300a)에 매달려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은 그 하방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그릴 캐리어(300a)는 프레임(310), 다리(316), 바퀴(318) 및 그릴 가이드 레일(3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은 전후좌우 네 측방 중 적어도 좌우 양측방이 개방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판(312)과 하판(314)에 의해 상하가 막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310)의 크기는 그릴(200)을 지면에 수직하게 장착했을 때 그릴(200)을 프레임(310)의 내부에 포함하도록 약간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그릴(200)의 상단부에 결합된 장착부(250)는 프레임(310)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부(250)의 적어도 수평바(531)의 좌우방향 길이는 장착부(250)를 제외한 그릴(200)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와 효과는 장착부(250)의 구체적인 구성과 함께 후술한다.
다리(316)는 그릴 캐리어(300a)가 전후방향(Y축방향)으로 전도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전후방향 길이가 프레임(31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퀴(318)는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부가되는 요소로서 다리(316)의 하부(다리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31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릴 가이드 레일(350)은 그릴(200)의 상단부에 결합된 장착부(2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그릴(200)이 그릴 캐리어(300)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가열장치(100)의 내부 공간 상부에 마련된 그릴 가이드 레일(15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그릴(200)과 그릴 캐리어(300)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만을 도시한 도 8을 참조하면, 그릴 가이드 레일(350)은 대략 다각형 또는 원형(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그릴(200)의 장착부(250)가 삽입가능한 중공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직선상의 개구(3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그릴(200)의 장착부(250)는 그릴 가이드 레일(350)의 중공관 내부에 삽입되는 판상 또는 봉상의 수평바(251)와 이 수평바(25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판상의 수직부(253)를 포함하여 대략 T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수직부(253)가 그릴 가이드 레일(35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352)를 통해 중공관의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그릴 가이드 레일(350)의 내부에는 장착부(250)의 수평바(251)와 수직부(25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롤러(354)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과 그릴(200)의 장착부(250)에 의해 그릴(200)은 그릴 가이드 레일(350)에 매달린 상태로 수직하게 지지되고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250)의 적어도 수평바(531)의 좌우방향 길이가 그릴(200)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는 경우, 그릴 캐리어(300a)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의 좌우방향 길이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200)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크되 프레임(31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레임(310)의 좌우 측방으로 돌출된 장착부(250)를 단순히 밀어 그릴 캐리어(300a)에 장착된 그릴(200)을 다른 그릴 캐리어(300b)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이나 가열장치(100) 내부의 그릴 가이드 레일(150) 간에 주고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다시 도 7a를 참조하면, 그릴 가이드 레일(350)은 그릴 캐리어(300a)의 상판(312)의 저면에, 회동축(355)과 베어링(320)을 개재하여 X축과 평행한 회동축(35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200)은 그릴 캐리어(30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단부를 중심으로 프레임(310)의 전후방향으로 대략 수평에 가까운 각도까지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그릴(200)이 그릴 캐리어(30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리전 대상물(W)을 그릴(200)에 고정하거나, 조리된 대상물(W)을 그릴(200)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그릴 캐리어(300b)는, 도 1을 참조하면 기본 구성, 즉 프레임(310'), 상판(312'), 하판(314), 다리(316), 바퀴(318) 및 그릴 가이드 레일(350)의 구성은, 상술한 그릴 캐리어(300a)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그릴 캐리어(300b)는 상술한 그릴 캐리어(300a)와 달리, 그릴(200)을 프레임(310)의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지 않고 그릴 가이드 레일(350)이 상판(312')의 저면에 직접 고정된다.
또한, 그릴 캐리어(300b)는 장착된 그릴(200)을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그릴 캐리어(300b)의 상판(312')에는 프레임(310')의 단면 형상과 위치에 맞춰 네 귀퉁이에 프레임(310')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프레임(310')이 끼워짐으로써 상판(312')은 프레임(310')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판(312')의 상부에는, 프레임(3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동부 고정판(3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구동부 고정판(315)의 대략 중앙에는 상판(312')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330)가 설치된다. 승강 구동부(330)는 예컨대 공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공압 실린더의 로드(rod)(331)가 구동부 고정판(315)을 관통하여 로드(331)의 선단이 상판(312')에 고정됨으로써, 상판(312') 및 그 하부에 장착된 그릴(200)을 상하 승강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릴 캐리어(300b)에서 그릴(200)을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성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그릴(200)은, 예컨대 70cm×70cm(가로×세로)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가열장치(100)는 그 구조상 그릴(200)의 장착부(250)를 받아들이는 그릴 가이드 레일(150; 도 5 참조)의 높이가 1m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상물(W)을 포함한 그릴(200)의 무게는 상당하므로 이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들어올려 가열장치(100)에 반입하려면 신체적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장착부(250)를 그릴 가이드 레일(150)에 정확히 정렬하여 삽입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릴(2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그릴 캐리어(300b)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릴 캐리어(300b)의 승강 구동부(330)에 의한 승강가능 범위, 즉 스트로크는, 두 그릴 캐리어(300a, 300b) 각각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의 높이가 같게 되는 위치와, 그릴 캐리어(300b)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과 가열장치(100) 내부의 그릴 가이드 레일(150)의 높이가 같게 되는 위치를 각각 하사점과 상사점으로 하여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두 종류의 그릴 캐리어(300a, 300b)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조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릴(200)을 그릴 캐리어(300a)에 장착한 후, 도 7b와 같이 그릴(200)을 회동시키고 그릴(200)의 하단을 작업대에 걸쳐 대상물(W)을 그릴(200)에 고정하는 작업을 하게 되면, 그릴(200)은 대략 작업자의 허리 높이에 위치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대상물을 모두 그릴(200)에 고정하였으면, 다시 그릴(200)을 회동하여 도 6의 상태로 한다(도면에는 2개의 대상물(W)만 고정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사용시에는 그릴(20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대상물이 고정된다).
이어서, 그릴 캐리어(300a)를 그릴 캐리어(300b)에 근접시킨다. 이때 그릴 캐리어(300b)는 승강 구동부(330)를 작동하여 그릴 가이드 레일(350)을 하강시켜 두 그릴 캐리어(300a, 300b) 각각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이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두 그릴 캐리어(300a, 300b) 각각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을 상호 정렬하고, 그릴 캐리어(300a)에 장착되어 있는 조리전 대상물이 고정된 그릴(200)을 그릴 캐리어(300b)로 밀어 그릴(200) 상단부의 장착부(250)를 그릴 캐리어(300b)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로 삽입함으로써 그릴(200)을 그릴 캐리어(300a)에서 그릴 캐리어(300b)로 전달한다.
이어서, 가열장치(100)의 일측 개폐 도어(104)를 열고 그릴 캐리어(300b)를 그릴 출입구(102)에 근접시킨다. 이때 그릴 캐리어(300b)는 승강 구동부(330)를 작동하여 그릴(200)을 상승시켜(도 1의 우측에 도시된 그릴 캐리어(300b) 참조) 그릴 캐리어(300b)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과 가열장치(100) 내부의 그릴 가이드 레일(150)이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그릴 캐리어(300b)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과 가열장치(100) 내부의 그릴 가이드 레일(150)을 상호 정렬하고, 그릴 캐리어(300b)에 장착되어 있는 조리전 대상물이 고정된 그릴(200)을 가열장치(100) 안으로 밀어넣어 그릴(200) 상단부의 장착부(250)를 가열장치(100) 내부의 그릴 가이드 레일(150)에 삽입함으로써 그릴(200)을 그릴 캐리어(300b)에서 가열장치(100)로 반입한다.
이어서, 개폐 도어(104)를 닫고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가열장치(100) 내에서 조리한 후, 조리가 끝나면 타측 개폐 도어(104)를 열고 반입시와 반대의 동작으로 그릴(200)을 반출하여 그릴 캐리어(300b), 그릴 캐리어(300a)의 순으로 전달하고 조리된 대상물을 떼어낸다. 이때, 가열장치(100) 내의 그릴(200)을 그릴 캐리어(300b)로 반출하는 동작은, 조리전 대상물이 고정된 그릴(200)을 장착하고 있는 다른 그릴 캐리어(300b)로부터 이 그릴(200)을 가열장치(100)로 반입하여 가열장치(100) 내의 그릴(200)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릴(200)이 다른 그릴(200)을(보다 정확하게는 한 그릴의 장착부(250)가 다른 그릴의 장착부(250)를) 밀어낼 때 또는 단순히 장착부(250)를 비어있는 그릴 가이드 레일(150, 350)에 삽입할 때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50)의 좌우방향(X축방향) 길이를 그릴 캐리어(300a, 300b)의 좌우방향(X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하여 장착부(250)의 양단부가 그릴 캐리어(300a, 300b)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그릴 캐리어(300a, 300b) 및 가열장치(100) 내의 그릴 가이드 레일(150, 350) 간의 상하 높이 정렬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구동부(330)의 스트로크를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수평방향 위치 정렬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는 경우 번거롭고 부정확할 수 있다. 이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위치가 고정되어 설치된 가열장치(100)를 중심으로, 그릴 가이드 레일(150, 350) 간의 수평위치 정렬이 이루어진 위치로 그릴 캐리어(300a, 300b)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면에 캐리어 가이드 레인(lane) 또는 캐리어 가이드 레일을 마련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그릴(200)을 회동가능한 그릴 캐리어(300a)와 그릴을 승강가능한 그릴 캐리어(300b)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릴(200)을 그릴 캐리어(300a)→그릴 캐리어(300b)→가열장치(100)→그릴 캐리어(300b)→그릴 캐리어(300a)의 순으로 순차 전달하였지만, 두 종류의 그릴 캐리어(300a, 300b)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구성과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다. 즉, 그릴 승강기능을 구비한 그릴 캐리어(300b)의 상판(312')의 저면에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 그릴 회동을 위한 구성인 회동축(355)과 베어링(320을 더 부가함으로써 그릴 회동기능과 승강기능을 겸비한 그릴 캐리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그릴(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릴(200)의 분해 사시도인 도 9를 참조하면, 그릴(200)은 대상물(W)을 고정하는 그릴 본체부(210), 조리시 대상물(W)로부터 나오는 기름이나 물을 받아 배출하는 액받이(260), 그릴의 이동시 또는 조리시에 대상물(W)이 그릴 본체부(210)에서 이탈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막는 그릴 커버(270), 및 그릴(200)을 그릴 가이드 레일(150, 35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그릴 가이드 레일(150, 350)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릴(200)을 구성하는 그릴 본체부(210), 액받이(260) 및 그릴 커버(270)는, 가열장치(100) 내부에 그릴(20)이 반입되었을 때(도 5 참조) 한 쌍의 분사 노즐(123) 사이에 끼워져 전후 양방으로부터 열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릴(200) 자체의 열용량을 낮추기 위해(그릴 자체가 흡수하여 소모되는 열량을 적게 하기 위해), 나아가 조리된 대상물(W)이 그릴(200)에 눌어붙는 것을 저감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전후방향으로 트인 프레임 또는 그물 형태를 가진다. 또한, 이들은 대상물(W)의 형상과 대상물이 그릴(200)에 고정되는 형태에 따라 구조가 달라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물이 가로로 길게 소정 길이로 절단된 삼겹살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W)을 가로로 길게, 또한 상하로 평행하게 복수의 행으로 배열하여 고정하기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릴 본체부(210), 액받이(260) 및 그릴 커버(27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가로로 긴 복수의 수평부재(220, 263, 271)들과, 이 가로로 긴 복수의 수평부재(220, 263, 271)들을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부재(211, 261, 273 등)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릴 본체부(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로서 대상물에 꽂히는 고정핀(221c)이 형성된 대상물 고정바(220)를 구비하고, 복수의 대상물 고정바(220)와 교차하며 결합되는 수직바(211)를 수직부재로서 구비한다(나머지 그릴 본체부(21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고정핀(221c)이 형성된 대상물 고정바(220)를 그릴 본체부(210)의 수평부재로 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수직부재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대상물 고정바로 구성하거나, 나아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모두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대상물 고정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액받이(260)는 액체 유로(263)를 수평부재로서 구비한다. 액체 유로(263)는 액받이(260)가 그릴 본체부(210)에 결합되었을 때 그릴 본체부(210)의 각 행의 대상물 고정바(220)에 고정된 대상물(W)로부터 조리시에 나오는 기름이나 물을 받을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액체 유로(263)는 길이방향(X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이루어져 대상물에서 떨어진 기름이나 물을 받아 배출할 수 있는 유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액체 유로(263)는 길이방향 중앙부를 정점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미세한 경사를 가져 기름이나 물이 액체 유로(263)의 양측으로 배출되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액받이(260)의 수직부재는 복수의 액체 유로(263)들의 양단에 결합하는 한 쌍의 기둥(26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기둥(261)은 중공관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기둥(261)의 액체 유로(263)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액체 유로(263)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유로 결합공(261b)이 형성되어, 액체 유로(263)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이나 물이 기둥(261)의 중공을 통해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유로(263)의 양단부에는 유로 후크(263a)를 형성하고 이 유로 후크(263a)를 유로 결합공(261b)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액체 유로(263)를 액받이(260)의 기둥(261)에 간단히 결합/분리할 수 있어 액받이(260)의 세척 등 유지보수가 쉬어진다.
또한, 기둥(261)의 그릴 커버(270)와 대향하는 전면에는 커버 결합공(261a)이 형성되고, 기둥(261)의 상단에는 브라켓(265)이 마련될 수 있다. 커버 결합공(261a)에는 그릴 커버(270)가 결합되는데 상세히는 그릴 커버(270)와 함께 후술한다. 브라켓(265)은 결합핀(281)을 개재하여 액받이(260)를 그릴 본체부(210)에 결합할 때 사용되는데 상세히는 후술한다.
그릴 커버(270)는 커버바(271)를 수평부재로서 구비한다. 커버바(271)는 그릴 커버(270)가 그릴 본체부(210)에 결합되었을 때 그릴 본체부(210)의 각 행의 대상물 고정바(220)에 고정된 대상물(W)의 전방을 가로막는 높이로 설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버바(271)는 두께와 폭이 작고 길이가 큰 하나 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바(271)의 양단에는 전술한 액받이(260)의 기둥(261)에 형성된 커버 결합공(261a)에 걸려 고정되는 커버 후크(271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커버 후크(271a)를 각각 대응되는 커버 결합공(261a)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그릴 커버(270)를 액받이(260)에 간단히 결합/분리할 수 있어 그릴 커버(270)의 세척 등 유지보수가 쉬어진다.
그릴 커버(270)의 수직부재는 복수의 커버바(271)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바(2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바(273)는 복수의 커버바(271)들을 관통하거나, 복수의 커버바(271)들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용접 등으로 접합됨으로써 복수의 커버바(271)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그릴 본체부(210)의 대상물 고정바(220)와 수직바(211) 간의 결합에 적용되는 십자짜임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그릴 커버(270)는 액받이(260)를 개재하여 그릴 본체부(210)와 결합되는데, 대상물에 따라서 액받이(26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그릴 커버(270)를 상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 또는 다른 방식으로 그릴 본체부(21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장착부(250)는 전술한 그릴 가이드 레일(150, 35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 본체부(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그릴(200)이 가열장치(100)나 그릴 캐리어(300a, 300b)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도록 한다. 장착부(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 T자형을 이루는 수평바(251)와 수직부(253)를 포함하며, 수직부(253)의 하부에는 그릴 본체부(210) 및 액받이(260)와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255, 257)이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255)은 그릴 본체부(210) 및 액받이(260)와 장착부(250)의 결합에, 브라켓(257)은 그릴 본체부(210)와 장착부(250)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브라켓(255, 257)을 사용한 장착부(250)와 그릴 본체부(210) 및 액받이(26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릴 본체부(210)는, 그릴 본체부(210) 및 장착부(250)의 분해 사시도인 도 10을 참조하면, 수평부재로서 전술한 대상물 고정바(220)를 포함하고, 수직부재로서 전술한 수직바(211)를 포함한다. 대상물 고정바(220)의 후단부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220a)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바(211)의 전단부에는 대상물 고정바(220)의 결합홈(220a)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211a)이 형성되어 있어, 두 결합홈(220a, 211a)을 서로 끼우는 예컨대 십자짜임 방식으로 대상물 고정바(220)와 수직바(211)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그릴 본체부(210)는, 장착부(250)와의 결합 및 대상물 고정바(220)와 수직바(211)의 안정적인 결합의 유지를 위해 보조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결합수단은 결합봉(241~243)과 결합블럭(246~248)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봉(241~243)은 그릴 본체부(210)의 네 변을 이루는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결합블럭(246~248)은 그릴 본체부(210)의 네 귀퉁이에 각각 배치되어, 결합봉(241~243)과 결합블럭(246~248)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그릴 본체부(210)의 외곽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두 결합블럭(246)의 각각의 상면과 두 결합블럭(246)이 서로 대향하게 되는 각각의 측면에는, 각각 결합봉(242)과 결합봉(241)이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삽입홈(246a, 246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일측(도면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결합블록(247)의 하면과 결합블록(248)에 대향하게 되는 측면에는 각각 결합봉(242)과 결합봉(243)이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타측(우측)에 배치되는 결합블록(248)의 하면에는 결합봉(242)이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블록(248)의 양측면(결합블록(247)에 대향하게 되는 측면과 그 반대면)을 관통하는 결합봉(243)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대상물 고정바(220) 각각의 양단에는 결합봉(242)이 관통가능한 관통공(220b; 도 11 참조)이 뚫려 있고, 장착부(250)의 수직부(253) 하부에는 전술한 브라켓(255, 257)이 결합되며, 이 브라켓(255, 257)의 각각에는 결합봉(243)이 관통가능한 관통공(255a, 257a; 도 12a 참조)이 뚫려 있다. 또한 복수의 수직바(211) 각각의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결합봉(241) 및 결합봉(243)이 관통가능한 관통공(211b)이 뚫려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조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부재들을 결합하여 그릴 본체부(220)를 조립하고 장착부(250)와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십자짜임 방식으로 결합된 대상물 고정바(220)와 수직바(211) 결합체의 수직바(211) 하단에 뚫린 관통공(211b)에 결합봉(241)을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결합봉(241)의 양단을 결합블럭(246)의 삽입홈(246b)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두 결합봉(242)을 대상물 고정바(220)의 양단에 뚫린 관통공(220b; 도 11 참조)에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두 결합봉(242)의 하단을 두 결합블럭(246)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246a)에 삽입 고정함과 함께, 두 결합봉(242)의 상단을 두 결합블럭(247, 248)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한다.
이어서, 결합블럭(247), 대상물 고정바(220)와 수직바(211) 결합체의 수직바(211)의 상단, 브라켓(255, 257) 및 결합블럭(248)을 정렬한 다음, 결합블럭(248)의 우측에서 결합봉(243)을 결합블럭(248)의 관통공, 브라켓(255, 247)의 각 관통공(255a, 257a; 도 12a 참조), 수직바(211)의 상단 관통공을 모두 통과하도록 결합봉(243)을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결합봉(243)의 좌측단을 결합블럭(247)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그릴 본체부(220)를 조립하고 장착부(250)와의 결합까지 완료할 수 있다. 이어서, 선택적으로, 결합블럭(248)의 관통공 우측에 예컨대 무두 볼트(249; 도 12a 참조)를 체결함으로써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대상물을 고정하는 그릴 본체부(210)의 대상물 고정바(2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그릴 본체부(210)의 대상물 고정바(220)를 중심으로 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11에는 편의상 하나의 대상물 고정바(220)만을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대상물 고정바(220)에는 대상물(W)의 일면에 꽂힘으로써 대상물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핀(221c)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221c)은 그릴(200)의 이동시나 조리시에 대상물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예컨대 화살촉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12a 참조).
한편, 그릴(200)의 이동시나 조리시에는 대상물이 쉽게 빠지지 않아야 하지만, 조리 완료후에는 대상물을 그릴(200)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대상물을 일거에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는 대상물이 고정핀(221c)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고정핀(221c)이 도 12a와 같이 전방(-Y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분리시에는 도 12b와 같이 고정핀(221c)이 일거에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대상물 고정바(2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21c)을 구비하는 핀 플레이트(221)와, 핀 플레이트(221)를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고정 플레이트(223 및 225)로 이루어진다. 핀 플레이트(221)와 고정 플레이트(223, 225)의 각각의 양단에는 전술한 결합봉(242)이 관통되는 관통공(220b; 221b, 223b, 225b)이 형성되고, 핀 플레이트(221)와 고정 플레이트(223, 225)의 각각의 후단부에는 전술한 수직바(211; 도 10 참조)의 결합홈(211a)에 대응되는 결합홈(220a; 221a, 223a, 225a)이 형성된다. 또한, 핀 플레이트(221)의 양단에는, 고정 플레이트(223, 225)의 양단과 달리, 전방(-Y축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돌출부(221d)가 형성된다.
여기서, 핀 플레이트(221)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221b)과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홈(221a)은, 고정 플레이트(223, 225)에 형성된 관통공(223b, 225b)과 결합홈(223a, 225a)에 비해 전후방향(Y축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핀 플레이트(221)와 고정 플레이트(223, 225)가 적층된 상태로 관통공(220b) 및 결합홈(220a)이 각각 결합봉(242) 및 수직바(211)의 결합홈(211a; 도 10 참조)과 결합되었을 때, 고정 플레이트(223, 225)는 전후방향으로 진퇴불가능하게 고정되는 반면, 핀 플레이트(221)는 상대적으로 진퇴가능하다.
또한, 고정핀(221c)에 대상물을 고정할 때는 핀 플레이트(221)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고 대상물을 분리할 때는 핀 플레이트(221)를 후퇴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릴 본체부(210)에는 핀플레이트 고정부(230)가 마련된다.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포스트(231)와, 수직 포스트(231)의 일측에서 각각의 대상물 고정바(220)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편(233)과, 각각의 고정편(233)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후크(233a)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고정편(233)에는 결합봉(242)이 관통가능한 결합공(23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는, 전술한 그릴 본체부(210)의 조립시 결합봉(242)을 대상물 고정바(220)의 결합공(220a)에 관통시켜 결합할 때, 결합봉(242)을 고정편(233)의 결합공(230a)에도 관통시킴으로써 그릴 본체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233)의 고정 후크(233a)는 대상물 고정바(220)의 핀 플레이트(221)의 양단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결합공(221b)의 전방쪽에 삽입되고, 핀 플레이트(221)는 고정 후크(233a)에 걸려 후방(+Y축방향)으로 후퇴할 수 없게 고정되어 대상물(W)을 고정핀(221c)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조리 완료된 대상물을 분리하기 위해 핀 플레이트(221)를 고정 플레이트(223, 225)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시킬 때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를 상방(+Z축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려 고정 후크(233a)를 핀 플레이트(221)의 결합공(221b)에서 빼낸다. 그러면 핀 플레이트(221)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핀 플레이트(221)를 고정 플레이트(223, 225)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b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핀플레이트 고정부(230)의 고정 후크(233a)를 핀 플레이트(221)의 결합공(221b)에서 빼낸 후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를 Z축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동시켜 수직 포스트(231)가 대상물 고정바(220)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였지만, 실제 대상물 분리 작업시에는 고정 후크(233a)를 결합공(221b)에서 빼낸 후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를 Z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동시켜 수직 포스트(231)가 대상물 고정바(2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수직 포스트(231)의 내면이 핀 플레이트(221)의 돌출부(221d)를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밀면서 복수의 핀 플레이트(221) 전체가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모든 고정핀(221c)이 후퇴하여 대상물(W)이 일거에 분리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그릴 본체부(210)의 우측에 하나의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만을 도시하였지만, 도시된 핀플레이트 고정부(230)와 좌우 대칭인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를 하나 더 마련하여 그릴 본체부(210)의 좌측에도 결합함으로써 핀 플레이트(221)의 고정 및 후퇴 동작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직 포스트(231)의 적당한 위치에 손잡이를 마련하여, 작업자가 이 손잡이를 잡고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를 들어올리고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와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그릴 본체부(210)와 액받이(260)의 결합/분리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액받이(260)는 도 9에 도시된 좌우 한 쌍의 기둥(261) 상단에 각각 마련된 브라켓(265)을, 한 쌍의 결합핀(281)을 개재하여 장착부(250)에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255)에 결합함으로써,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봉(243), 결합블럭(247, 248) 및 브라켓(255, 257)에 의해 장착부(250)와 결합된 그릴 본체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릴 본체부(210)와 액받이(260)의 결합/분리는 각각 좌우 한 쌍의 브라켓(265), 결합핀(281) 및 브라켓(255)을 개재하여 좌우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일측(우측)의 결합/분리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받이(260)의 기둥(261) 상단에 마련된 브라켓(265)과 장착부(250)에 마련된 브라켓(255)에는 각각 결합핀(281)이 관통가능한 결합공(265a, 265b, 255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공들(265a, 265b, 255b)을 정렬하고 결합핀(281)을 삽입하여 관통시킴으로써 액받이(260)는 장착부(250) 및 그릴 본체부(2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액받이(260)의 기둥(261) 상단에 마련된 브라켓(265),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착부(250)에 마련된 브라켓(255)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결합핀(281)도 복수개로 마련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합핀(281)은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결합핀(281)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281b, 281a)를 구비할 수 있다. 선단부 스토퍼(281b)는 두 브라켓(265와 255)이 결합 해제되었을 때 바깥쪽 브라켓(265)의 내면에 걸려 결합핀(281)이 브라켓(265)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13b 참조). 이때 안쪽 브라켓(265)의 결합공(265b)과 장착부(250)에 마련된 브라켓(255)의 결합공(255b)은 선단부 스토퍼(281b)가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결합핀(281)의 브라켓(265) 바깥쪽 외주면에는 스프링(283)이 브라켓(265) 외면과 후단부 스토퍼(281a)에 의해 양단이 탄성지지되어 끼워짐으로써, 두 브라켓(265와 255)이 결합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283)이 결합핀(281)을 후단부 쪽으로 밀어 해제 위치(한 쌍의 브라켓(265) 사이에 장착부(250)에 마련된 브라켓(255)이 진입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두 브라켓(265와 255)이 결합핀(281)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안쪽 브라켓(265)의 안쪽으로 돌출된 결합핀(281)의 선단부를 클램핑하는 예컨대 집게 형태의 클램프(285)를 마련하여, 결합핀(281)이 브라켓(265, 255)에서 빠지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13a 참조).
한편, 이상에서는 액받이(260)의 브라켓(265)을 두 개로 하여 장착부(250)의 하나의 브라켓(255)이 액받이(260)의 두 브라켓(265) 사이에 배치되고, U자형의 결합핀(281)이 각각 상하로 두 개씩 형성된 결합공(265a, 255b, 265b)에 삽입됨으로써 액받이(260)가 장착부(250)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서로 결합되는 브라켓(265, 255)의 개수와 안팎의 배치관계, 결합공(265a, 255b, 265b)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다. 또한, 결합핀도 U자형 결합핀(281)이 아닌 1자형 결합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클램프(285)를 생략하고, 1자형 결합핀을 결합공에 삽입한 후, 1자형 결합핀을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예컨대 90도 회전시켜 1자형 결합핀의 선단부 스토퍼(281b)가 결합공(265b)의 홈과 어긋나는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쪽 브라켓(265)의 내면에 걸려 1자형 결합핀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그릴(200)에 대상물(W)을 고정하고 떼어내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 본체부(210)와 장착부(250)가 결합된 상태로 장착부(250)를 그릴 캐리어(300a)의 그릴 가이드 레일(350)에 삽입하여 도 6과 같이 그릴(200)을 그릴 캐리어(300a)에 장착한다. 다만, 도 6에는 그릴(200)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액받이(260) 및 그릴 커버(270)는 아직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이때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후크(233a)가 핀 플레이트(221)의 결합공(221b)에 삽입되어, 고정핀(221c)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핀 플레이트(221)는 전후방향으로 진퇴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그릴(200)을 도 7b와 같이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그릴 하단부를 작업대(도시 생략)에 걸치고, 작업자는 핀 플레이트(221)의 고정핀(221c)에 대상물(W)을 꽂아 고정한다.
대상물을 모두 고정핀(221c)에 고정하면, 도 13b와 같이 액받이(260)의 기둥(261) 상단부 브라켓(265)을 장착부(250)의 브라켓(255)에 수평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액받이(260)를 그릴 본체부(210)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도 13a와 같이 결합핀(281)을 브라켓(265, 255)의 각 결합공(265a, 255b, 265b)에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클램프(285)로 결합핀(281)의 선단부를 클램핑함으로써 액받이(260)를 그릴 본체부(21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그릴 커버(270)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액받이(260)의 기둥(261)에 형성된 커버 결합공(261a)에 커버바(271)의 양단에 형성된 커버 후크(271a)를 걸어 결합할 수 있는데, 그릴 커버(270)를 액받이(260)에 결합하는 것은, 상술한 액받이(260)를 그릴 본체부(210)에 결합하기 전 또는 후에 수행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된 대상물(W)을 그릴(200)로부터 떼어내는 분리 작업은, 상술한 액받이(260)를 그릴 본체부(210)에 결합하는 동작과 역순으로 액받이(260)를 그릴 본체부(210)로부터 결합 해제하고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a에 도시된 상태에서 클램프(285)를 해제하고 결합핀(281)을 브라켓(265, 255)의 결합공(265b, 255b)에서 뽑아 두 브라켓(265와 255)의 결합을 해제한다(도 13b 참조). 이로써 액받이(260)와 그릴 커버(270)가 그릴 본체부(210)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도 12a에 도시된 상태에서,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를 상방(+Z축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려 고정 후크(233a)를 핀 플레이트(221)의 결합공(221b)에서 빼내고, 핀플레이트 고정부(230)를 Z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동시켜 수직 포스트(231)의 내면이 핀 플레이트(221)의 돌출부(221d)를 후방(+Y축방향)으로 밀어 복수의 핀 플레이트(221) 전체를 후방으로 후퇴시키면, 모든 고정핀(221c)이 후퇴하여 대상물(W)이 일거에 분리되게 된다(도 12b 참조).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형태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증기 도입 유로
15: 유량제어 밸브
16: 수증기 공급 유로
20: 과열증기 발생장치
100: 가열장치
102: 그릴 출입구
104: 개폐 도어
105: 공압 실린더
106: 전면 도어
107: 공압 실린더(그릴 구동부)
123: 과열증기 분사 노즐(열원)
125: 전기 히터(열원)
130: 복사열 차폐부
140: 기액분리기
141: 배기관
150, 350: 그릴 가이드 레일
200: 그릴
300, 300a, 300b: 그릴 캐리어
310, 310': 그릴 캐리어의 프레임
330: 승강 구동부
W: 조리 대상물

Claims (20)

  1. 내부 공간을 가지며 조리 대상물을 고정하는 그릴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출입가능한 그릴 출입구가 형성된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그릴 출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상기 그릴을 받아들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릴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 및
    상기 가열장치의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을, 상기 그릴의 출입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그릴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릴 출입구는 상기 가열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그릴 입구와, 상기 가열장치의 타측에 형성된 그릴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 입구 및 그릴 출구의 각각에는 상기 그릴 입구 및 그릴 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 도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그릴 구동부는 한 쌍의 개폐 도어 각각의 외측에서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각각 관통하여 진퇴하는 한 쌍의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공압 실린더가 서로 교대로 진퇴함으로써 상기 그릴의 양단을 교대로 밀어 상기 그릴을 왕복운동시키도록 구성된 수직형 조리 시스템.
  2. 내부 공간을 가지며, 조리 대상물을 고정하는 그릴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출입가능한 그릴 출입구가 형성되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그릴 출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상기 그릴을 받아들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릴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
    상기 가열장치에서 상기 그릴 출입구가 형성된 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가열장치의 바닥면 상에 상기 도어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열원이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수직형 조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과열증기 또는 가열공기를 상기 그릴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장치의 외부에서 생성된 과열증기 또는 가열공기를 상기 분사 노즐로 도입하는 도입관의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튜브 또는 신축가능한 튜브로 이루어진 수직형 조리 시스템.
  4. 내부 공간을 가지며 조리 대상물을 고정하는 그릴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출입가능한 그릴 출입구가 형성된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그릴 출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상기 그릴을 받아들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릴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더욱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열원으로서 상기 과열증기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과열증기를 이용하며,
    상기 수증기를 상기 과열증기 발생장치로 도입하는 수증기 도입부가,
    상기 보일러로부터 수증기를 도입하는 도입 유로;
    상기 도입 유로에서 분기하는 제1유로와 제2유로; 및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합류되어 상기 과열증기 발생장치로 수증기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에는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수증기 유량제어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수증기 유량제어 밸브의 개폐와 무관하게 상시적으로 미량의 수증기를 통과시키는 바이패스 유로인 수직형 조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에는 수증기 중에 포함된 물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 및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분리된 물만을 배출하여 상기 보일러로 보내는 스팀 트랩이 더 설치되어 있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6. 내부 공간을 가지며 조리 대상물을 고정하는 그릴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출입가능한 그릴 출입구가 형성된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그릴 출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상기 그릴을 받아들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릴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 및
    상기 그릴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동하거나 상기 그릴 출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장치로 반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그릴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는 그릴 캐리어를 구비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캐리어는 상부에 그릴을 매달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로서,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된 그릴 가이드 레일과 동일한 구조의 그릴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그릴 캐리어의 그릴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열장치의 그릴 가이드 레일 간에 상기 그릴을 주고받을 수 있게 구성된 수직형 조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캐리어의 그릴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열장치의 그릴 가이드 레일은 중공관 형태를 가지고, 상기 중공관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그릴은 상단부에 상기 중공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바가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가 상기 중공관의 개구를 통해 중공관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캐리어는 상기 그릴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그릴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그릴의 하단부를 상기 그릴 캐리어의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수직형 조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캐리어는 상기 그릴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그릴을 상기 그릴 캐리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된 수직형 조리 시스템.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출입구는 상기 가열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그릴 입구와, 상기 가열장치의 타측에 형성된 그릴 출구를 포함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12.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출입구에는 상기 그릴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13.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의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을, 상기 그릴의 출입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그릴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과 상기 가열장치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원으로부터의 복사열이 상기 내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는 복사열 차폐부를 더 구비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 차폐부는 서로 평행하게 중첩하여 배치된 적어도 2장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16.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열장치에서 상기 그릴 출입구가 형성된 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구비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의 내부 공간의 기체를 흡입하여 기체 중의 미세 액체 성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기액 분리기를 더 구비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18. 제1항, 제2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더욱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원으로서 상기 과열증기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과열증기를 이용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상기 그릴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상기 그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그릴에 고정된 조리 대상물을 양측면에서 가열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수직형 조리 시스템.

  20. 삭제
KR1020210153293A 2021-11-09 2021-11-09 수직형 조리 시스템 KR102423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293A KR102423909B1 (ko) 2021-11-09 2021-11-09 수직형 조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293A KR102423909B1 (ko) 2021-11-09 2021-11-09 수직형 조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909B1 true KR102423909B1 (ko) 2022-07-21

Family

ID=8261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293A KR102423909B1 (ko) 2021-11-09 2021-11-09 수직형 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90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444U (ko) * 1997-06-27 1999-01-25 임동환 이동식 육류구이기
KR20110020552A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음식물 구이장치
KR20120030741A (ko) * 2010-09-20 2012-03-29 김성호 숯불구이기
KR20130060650A (ko) * 2011-11-30 2013-06-10 이인재 기액 분리기가 장착되는 수냉식 조리장치
KR101607990B1 (ko) 2015-04-07 2016-04-01 박재범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647724B1 (ko) 2015-01-15 2016-08-11 곽인주 직화 구이장치
KR20160145006A (ko) * 2014-03-11 2016-12-19 보니 리 부지크 외부 드립트레이 모듈이 구비된 수직형 그릴
KR20180089344A (ko) * 2018-07-27 2018-08-08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 조리기
CN210869691U (zh) * 2019-09-18 2020-06-30 河南科技学院 一种用于鸡胴体的喷淋减菌箱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444U (ko) * 1997-06-27 1999-01-25 임동환 이동식 육류구이기
KR20110020552A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음식물 구이장치
KR20120030741A (ko) * 2010-09-20 2012-03-29 김성호 숯불구이기
KR20130060650A (ko) * 2011-11-30 2013-06-10 이인재 기액 분리기가 장착되는 수냉식 조리장치
KR20160145006A (ko) * 2014-03-11 2016-12-19 보니 리 부지크 외부 드립트레이 모듈이 구비된 수직형 그릴
KR101647724B1 (ko) 2015-01-15 2016-08-11 곽인주 직화 구이장치
KR101607990B1 (ko) 2015-04-07 2016-04-01 박재범 측면직화구이장치
KR20180089344A (ko) * 2018-07-27 2018-08-08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 조리기
CN210869691U (zh) * 2019-09-18 2020-06-30 河南科技学院 一种用于鸡胴体的喷淋减菌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6518A (en) Convertible grill/rotisserie barbecue
US4886044A (en) Infrared gas grill
US4121509A (en) Controlled atmosphere broiler
CN109579473B (zh) 一种具备自动送料机构的热风循环烘箱
US3269299A (en) Apparatus for grilling of chickens
DE19730829A1 (de) Gerät zum erhitzenden Garen von Speisen
US4366182A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roasting and grilling skin-covered meat product, such as poultry and particularly chicken
KR102423909B1 (ko) 수직형 조리 시스템
DK153036B (da) Apparat til behandling, isaer plukning af slagtet fjerkrae
CA2838854C (en) Roasting oven
KR102423910B1 (ko) 수직형 조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직형 그릴 및 그릴 캐리어
KR200464129Y1 (ko) 접이식 구이기
US4023007A (en) Broiler with an endless bar conveyor
US4154152A (en) Thermally shielded gas broiler
KR101496279B1 (ko) 수증기대류형 육류구이장치
KR101922847B1 (ko) 고품질 고추건조 트레이 장치
DE2403488A1 (de) Verfahren und durchlaufofen zur behandlung von nahrungsmitteln
KR101007237B1 (ko) 꼬치구이장치
JP7063728B2 (ja) 加熱調理装置、および加熱調理方法
KR101255814B1 (ko) 자동 구이기
US2926655A (en) Frankfurter oven
KR102217309B1 (ko) 오토방식의 꼬치구이장치
CN109788764A (zh) 具有模块化加热元件的烘焙烤箱
ITTV20130171A1 (it) "un forno per la cottura nella ristorazione collettiva con dispositivo per aromatizzare gli alimenti"
KR20120083169A (ko)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