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492B1 - 카나비제롤 유도체 - Google Patents

카나비제롤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492B1
KR102422492B1 KR1020167025830A KR20167025830A KR102422492B1 KR 102422492 B1 KR102422492 B1 KR 102422492B1 KR 1020167025830 A KR1020167025830 A KR 1020167025830A KR 20167025830 A KR20167025830 A KR 20167025830A KR 102422492 B1 KR102422492 B1 KR 10242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dimethyl
dienyl
octa
benzoquin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006A (ko
Inventor
지오반니 아펜디노
마리아 루즈 벨리도 카벨로 드 알바
에듀라도 무노즈 블랑코
Original Assignee
에메랄드 헬스 파마수티컬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메랄드 헬스 파마수티컬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에메랄드 헬스 파마수티컬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2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0Quinones
    • C07C50/26Quinones containing groups having oxygen atoms singly bound to carbon atoms
    • C07C50/28Quinones containing groups having oxygen atoms singly bound to carbon atoms with monocyclic quinoi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61K31/125Camphor; Nuclear substitu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3Amines having hydroxy groups, e.g. sphing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 C07C225/2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carbon atoms of quinone rings
    • C07C225/2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carbon atoms of quinone ring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quinone rings or of condensed ring systems containing quinone rings
    • C07C225/28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carbon atoms of quinone ring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quinone rings or of condensed ring systems containing quinone rings of non-condensed quinon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0Qui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0Quinones
    • C07C50/26Quinones containing groups having oxygen atoms singly bound to carbon atoms
    • C07C50/30Quinones containing groups having oxygen atoms singly bound to carbon atoms with polycyclic non-condensed quinoi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2/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2/30Unsaturated compounds
    • C07C62/38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4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75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95Esters of quinone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the ring being unsatu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신규 카나비제롤 퀴논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6090911135-pct00050

[여기서,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기의 탄소 원자로써, 아릴,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카르보닐 기로 표현되는 것이거나; 또는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기의 질소 원자로써,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케닐아미노 또는 알키닐아미노 기로 표현되는 것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R은 이량체를 형성하는 화학식 (I)의 두 분자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 약제로써 사용되는, 특히 친전자체 활성(Nrf2 활성화) 및 세포독성 활성이 없이 높은 PPARg 작용제 효과로 인하여 PPARg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임의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 화합물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나비제롤 유도체{NOVEL CANNABIGEROL DERIVATIVES}
본 발명은 신규 카나비제롤 퀴논 유도체, 및 이 화합물의 합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로써 및 치료법에, 특히 퍼옥시좀 증식인자 활성화된 수용체 감마(PPARg) 조절에 반응성인 질환 및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PPARg 조정제(modulator)로 사용되는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핵 수용체(NR)는 약물 발견의 주요 표적이다. NR은 DNA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보유하여 목표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조절하는 리간드-의존적 전사 인자이다. 이 수용체는 발육, 세포 항상성(homeostasis) 및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NR은 광범위한 질환에 연루되어 있고, 이러한 이유로 약학 산업에서 약물 개발 노력의 중심이 되고 있다.
핵 수용체, 페릭솜(perixome) 증식인자 활성화된 수용체(PPAR)의 최신 명명법에 따르면, 핵 서브패밀리 1C(NR1C)는 포유동물 PPAR의 3가지 아형을 함유한다: PPARα(NR1C1이라고 불리기도 함), PPARβ/δ(NR1C2라고 불리기도 함) 및 PPARγ(PPARg, 글리타존 수용체 또는 NR1C3이라 불리기도 함).
PPAR은 지방세포형성, 지질 대사, 염증 및 대사 항상성의 유지에 관여하는 유전자망의 발현을 조절한다[Barish et al., 2006]. 이 핵 수용체들은 퍼옥시좀 증식인자 반응 인자(PPRE)로 알려진 DNA 서열 인자들에 레티노이드 X 수용체(RXR로 알려져 있음)와 이종이량체 형태로 결합하여 전사를 활성화한다.
전형적인 핵 수용체와 유사하게, PPAR은 N-말단 전사활성화 도메인(AF1), 고도로 보존된 DNA 결합 도메인(DBD) 및 리간드 의존적 전사활성화 기능(AF2)을 담고 있는 C-말단 리간드 결합 도메인(LBD)을 비롯한 상이한 기능성 도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Poulsen et al., 2012]. 2개의 아연 핑거(finger)로 구성된 DNA 결합 C 도메인은 PPAR 표적 유전자의 조절 영역에 있는 퍼옥시좀 증식인자 반응 인자(PPRE)에 결합한다.
PPAR은 활성인자 단백질-1(AP-1), 핵인자-카파 B(NF-kB), 전사 시그널 변환인자 및 활성인자 3(STAT3) 및 활성화된 T 세포의 핵 인자(NFAT) 시그널링 경로에 길항작용하여 염증성 반응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negatively) 조절한다[Vanden Berghe et al. 2003].
퍼옥시좀 증식인자-활성화된 수용체 감마(PPARg)는 지방세포 형성, 인슐린 민감성 및 염증의 조절에 관여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Foevet et al. 2006][Stienstra et al. 2007][Tontonoz and Spiegelman, 2008]. 이 핵 수용체는 지방 조직, 골격근 세포, 파골세포, 골모세포, 여러 면역형 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조직에서, 그리고 뇌 및 말초 신경계에서 발현된다.
분명한 것은, PPARg가 지방세포 분화에 충분하면서 필수적이라는 사실로 인해, 지방세포형성의 우성 또는 "주" 조절인자라는 것이다. 지질생성 및 인슐린 민감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다수의 유전자의 조절 영역들은 aP2, LPL, 아디포넥틴 및 Glut4를 비롯한 PPARg의 결합 부위를 함유한다[Rosen and MacDougald, 2006]. 따라서, 지방조직에서 PPARg의 활성화는 전신 인슐린 민감성에 영향을 준다.
다른 한편, PPARg의 활성화는 여러 세포 종류에서, 염증촉진성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사이토킨, 금속프로테아제 및 급성기 단백질의 생산을 감소시킴으로써 소염 활성을 발휘한다[Tontonoz and Spiegelman, 2008]. 또한, 소염성 사이토킨을 증가시키고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iNOS) 발현을 억제하는 작용도 한다[Szeles et al., 2007].
PPARg는 소염성 표현형쪽으로 면역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능력을 통해서 면역 반응에 기본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Tontonoz and Spiegelman, 2008]. 흥미롭게도, PPARg 작용제(agonist)는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및 뇌졸중의 여러 실험 모델뿐 아니라 몇몇 임상 연구에서 소염 효과 및 신경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Bernardo and Minghetti, 2008]. 또한, PPARg는 공식적으로 유전자 측면에서 종양 억제인자 유전자로 간주되어야 한다. 다양한 종양 세포에서 발현되며, 리간드들에 의한 PPARg의 활성화는 세포 증식 억제 또는 아폽토시스(apoptosis) 유도를 야기했다[Tachibana et al., 2008][Tontonoz and Spiegelman, 2008].
PPARg 활성화의 유익한 효과는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여러 PPARg 매개의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들에서 PPARg 매개의 질환은 비-병리학적 정상 상태에서 PPARg 기능의 변경으로 인한 것으로 관찰되는 임의의 병리학적 효과를 의미한다. 이 표는 염증성 질환, 암 질환 및 기타 질환들에서 PPAR의 작용을 정리한 것이다.
질환 PPARγ 및 이의 리간드의 효과
죽상동맥경화증 면역세포 모집↓
VSMC의 이동 및 증식↓
염증성 장질환 대장 상피 세포에서 IL-1β 유도된 IL-8 및 MCP-1↓
염증성 반응의 조정:Th1↓ 및 Th2↑
마우스 모델에서 대장염의 호전.
4/15 환자에서 대장염의 호전.
류마티스성 관절염 윤활막세포 및 연골세포 아폽토시스↑
류마티스성 윤활막세포에서 TNFα, IL-1β 및 COX-2↓
마우스 모델에서 관절염 호전
간 섬유증 HSC 활성화↓
쿠퍼(Kupffer) 세포 활성화↓
신장병증 혈관사이세포에서 IL-1β, MCP-1, COX-2, iNOS, 증식↓ 및 아폽토시스↑
II형 당뇨 환자 및 당뇨 래트에서 미세단백뇨증의 호전
건선 및 피부 상처 치유 마우스 모델 및 환자에서 건선성 병변의 호전
피부경화증(SSc) 콜라겐 생산↓
섬유아세포 증식 및 분화↓
Wnt 경로와 상호작용
신경변성 장애 성상세포 및 미세아교세포에서 iNOS, TNFα, IL-1β, IL-6, INFγ, MCP-1 및 COX-2↓
뉴런 아폽토시스↓
신경 줄기 세포의 분화↑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 및 증식↓
마우스 모델의 대장염 관련 대장암↓

약어: ↓억제, ↑자극, 간 성상세포(HSC), 혈관 평활근 세포(VSMC),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1(MCP-1), T-헬퍼(Th), 종양괴사인자-α(TNF-α),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 인터페론-감마(INFγ), 유도성 산화질소 신타제(iNOS), 세포내 부착 분자-1(ICAM-1)[Kostadinova et al., 2005에서 인용됨].
핵인자(적혈구 유래의 2)-유사 2는 NFE2L2 또는 (Nrf2)로도 알려진 것으로, 인간에서 NFE2L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전사 인자이다. Nrf2 항산화반응 경로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세포독성 효과에 대한 1차 세포 방어이다. 무엇보다도 Nrf2는 여러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Keap1-Nrf2 경로는 반응성 산소 종(ROS) 및 친전자체에 의해 유발되는 내인성 및 외인성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보호 반응의 주요 조절인자이다. 이 경로 내에 존재하는 주요 시그널링 단백질은 표적 유전자의 조절 영역에서 작은 Maf 단백질과 함께 항산화반응인자(ARE)에 결합하는 전사 인자 Nrf2이다. 기본 조건 하에, Nrf2 의존적 전사는 음성 조절인자, Keap1(Kelch ECH 관련 단백질 1)에 의해 억제된다. 세포들이 산화적 스트레스, 친전자체 또는 화학방어제에 노출되면, Nrf2는 Keap1 매개의 억제에서 벗어나서 항산화반응인자(ARE) 의존적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시켜 세포의 산화환원 항상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Nrf2 의존적 세포 방어 반응은 여러 기관 또는 여러 조직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Nrf2의 활성화는 암, 신경변성 질환, 심장혈관 질환, 급성 및 만성 폐 손상,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을 비롯하여 많은 인간 질환에 대해 보호작용을 부여하는데 연루되어 있다.
Nrf2는 다수의 세포보호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다양한 독성제 및 발암물질로부터 세포 및 조직을 보호할 수 있다. Nrf2가 정상 세포를 보호하는 것처럼, 암세포도 화학치료제로부터 보호하고 암 진행을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었다[Na and Surh 2013].
암 세포는 지속적인 내인성 산소스트레스(oxystress) 또는 반응성 산소 종(ROS) 유도의 세포 스트레스에서 생존하고, ROS 생산을 통해 세포독성을 발휘하는 특정 항암제에 내성이 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활성 Nrf2 경로는 암 세포에서 이의 성장 및 생존을 촉진하는 범위 내의 ROS 수준을 유지시켜 암 세포에 유리한 산화환원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Nrf2의 지속적인 축적 또는 활성화는 전암성 또는 암성 세포의 서브세트에 증식하고 아폽토시스를 피하고 대사하고 치료적 중재를 견디기에 유리한 환경을 부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Nrf2 과잉발현의 억제 시, 암 세포의 표현형 특성이 역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해준다[Sporn and Liby, 2012]. Nrf2의 구성적 과잉활성화는 수많은 종류의 악성종양, 예컨대 편평 상피세포 암, 폐암, 유방암, 담낭암, 전립선 암, 신장 암, 상의세포종, 난소 상피 암, 자궁 내막 암, 및 췌장암에서 관찰되었다[Na and Surh, 2013]. 자신의 종양에서 Nrf2의 발현 수준이 구성적으로 상승된 암 환자는 일반적으로 낮은 생존률을 보여준다[Solis et al., 2010]. 따라서, Nrf2는 암 진행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예후 분자 마커인 것으로 생각되며, 선천적 및 후천적 화학내성 모두에 기여한다. 따라서, 이 항산화 전사인자는 원발암유전자(proto-oncogene)로 작용할 수도 있고, 증진된 Nrf2 활성은 고형암의 형성 및 화학내성을 촉진한다[Sporn and Liby, 2012].
본 발명의 CBG-Q 화학적 유도체(화합물 II 내지 XII)의 전구체인 CBG-Q(화합물 I)는 PPARg에 활성화 효과를 발휘한다. 하지만, CBG-Q는 Nrf2의 활성화도 유도하여(비교예 4 및 도 4 참조), 종양이 화학치료제에 내성이 되게 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촉발하고, Nrf2 활성화제로의 장기 치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암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CBG 유도체는 Nrf2 과잉발현으로 인해 CBG가 시험관내 투여되었을 때 관찰되는 유도된 화학요법 내성의 부작용이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해, 더욱 효과적인 암 대체 치료법을 제공한다.
PPARg 리간드의 활성화제 중에서, 임상적 중요성이 가장 큰 것은 티아졸리딘디온(TZD)이다[Lehmann et al., 1995]. 이러한 이유로,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과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은 지금까지 임상 실습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혈당 조절에 대한 유사한 효과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 유체 잔류 및 심부전 위험의 증가와 같이 PPARg 매개인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유사 부작용을 제공한다. 흥미롭게도, 상기 티아졸린들은 지질 및 심혈관 안전성 프로필에 대한 효과는 달라서, PPARg 독립적인 기전을 시사한다. 실제로, 로지글리타존은 최근 유럽에서 철회되었고, 미국에서는 2형 당뇨 환자의 심혈관 사건의 위험이 증가한 결과로써 사용이 제한되었다.
TZD는 강력한 PPARg 완전 작용제(PPARg-fa)이지만, 이의 기전에 기초한 부작용이 이 화합물의 완전 치료 가능성을 제한했다[Gelman et al., 2007][Ciudin et al., 2012]. 그러나, PPARg 경로의 생리학적 및 치료적 관련성은 부작용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새로운 분자 클래스를 개발하려는 연구를 새롭게 촉발시켰다[Ahmadian et al., 2013]. 따라서, PPARg-fa보다 더 안전한 대체재로써 선택적 PPARg 조정제(PPARg-m)의 발견 및 개발로 더 많은 진보가 이루어졌다. 예비임상 및 임상 발견은 선택적 PPARg-m이 차세대 PPARg 작용제, 즉 PPARg-fa보다 우수한 안전성 프로필을 가진 효과적인 인슐린 민감제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분명하게 암시한다[Doshi et al. 2010].
이러한 의미에서, 천연 및 합성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는 PPARg의 활성화를 통해 염증 과정을 경감시키는 PPARg-m으로 생각된다. 카나비노이드 기반의 PPARg-m의 몇몇 예는 아줄레믹산(ajulemic acid)[Liu et al., 2003],[Burstein S. 2005], WIN55212-2[Sun and Bennett, 2007], 9△-THC 및 CBD[O'Sullivan 2007] 및 CBG와 유도체[Granja et al., 2012]이다.
약물이 될만한 단백질의 소분자에 의한 공유 변형 시 임상 관련성은 지난 몇 년동안 약학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어 왔고, 때로 공유 변형은 성공적인 약물 활성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Singh et al., 2011].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유 약물이 궁극적으로 생체분자에 결합하는 기전에 상관없이 공유 약물에 대한 뿌리깊은 편견은 여전히 있다. 퀴논은 급성 세포독성 및 면역독성을 비롯한 다양한 생체내 유해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독성학적 중간체 부류를 나타낸다[Bolton et al., 2000]. 퀴논이 이러한 효과를 일으키는 기전은 꽤 복잡할 수 있다. 퀴논은 마이클(Michael) 수용체이고, 세포 손상은 중요한 세포 단백질 및/또는 DNA의 알킬화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퀴논은 이의 세미퀴논 라디칼과 산화환원 순환을 할 수 있는 고도의 산화환원 활성 분자로써, 반응성 산소 종(ROS)의 형성을 초래하고, 이는 세포 내에서 산화된 세포 거대분자, 예컨대 지질, 단백질 및 DNA의 형성을 통해 심각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Monks and Jones, 2012]. 비특이적 독성 및 선택성 부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치료적 용도를 가진 퀴논계 화합물의 예는 다수가 있지만, 이러한 예비 약물의 설계에 마이클 수용체 모티프(motif)가 도입되는 예는 드물다.
퀴논계 치료 화합물의 한가지 예는 특허 WO2011117429에 보고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카나비제롤 하이드록시-퀴논(상기 국제특허출원에서 CBG-Q 또는 VCE-003이라고 지칭되기도 하고, 본 명세서의 목적 상, 화합물 I이라고도 지칭됨)의 합성 및 이의 PPARg 조정에 반응성인 질환 및 증상에의 용도를 기술한다. WO 2011/117429에 언급된 질환으로는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간 섬유증, 신장병증, 건선, 피부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췌장염, 위염, 신경변성 장애, 암; 고혈압, 과혈당,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및 II형 당뇨병을 포함한다. 카나비제롤 분자에 퀴논 모티프의 도입은 PPARg에 결합하는 친화성을 증가시키고, 전사 활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추가 연구는 카나비제롤 하이드록시퀴논(CBG-Q 또는 화합물 I)도 산화적/친전자성 스트레스의 세포 센서인 전사 인자 Nrf2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카나비제롤에 퀴논 모티프의 도입은 PPARg 작용제 및 Nrf2 활성화제로써 발휘되는 활성과 같은 2가지 독립된 활성을 산출한다.
화학요법에 대한 내성 유도를 피하기 위하여 Nrf2의 활성화를 유도함이 없이 PPARg 작용제 활성만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주형으로써 카나비제롤 하이드록시퀴논에서 시작하는 신규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개발했고, 놀랍게도 위치 2의 특이적 변형이 친전자 활성(Nrf2 활성화) 및 세포독성 활성 없이 높은 PPARg 작용제 효과로 인하여 PPARg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신규 화합물을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카나비제롤 하이드록시퀴논 유도체는 위치 2의 변형이 본 발명의 화합물에 PPARg를 활성화시키고 글루타메이트-유도성 세포독성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WO20011117429에 기술된 화합물과는 다른 것이다. 이 화합물들은 또한 최신 기술에 함유된 CBG-Q(화합물 I)에 비해 뉴런 기원의 세포주에서 놀라울 정도로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이 화합물의 유도체는 PPARg 작용제의 임상 효능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질환(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 및 헌팅턴 질환)의 동물 모델에서 치료 효능을 나타낸다.
선행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Nrf2의 활성화를 유도함이 없이 PPARg를 조정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카나비제롤 하이드록시-퀴논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이의 유사체, 유도체, 호변이성질체 형태, 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다형체, 약학적 허용성 염, 약학적 허용성 용매화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유사체"란 용어는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상동성이거나 구조적으로 유도된 임의의 실체(entity)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정황에서, 화학식 (I) 화합물의 "유도체"는 항상 위치 2가 치환되고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위치 2의 치환과 관련된 약리학적 성질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상기 화학식 (I)에 나타낸 기와 다른, CBG-Q 분자의 다른 위치들의 대체 모이어티(moiety)들을 보유하는, 임의의 CBG-Q 유사체로써 해석되는 것이 좋다.
"호변이성질체"란 용어는 화학적 반응(호변이성질체화)에 의해 쉽게 상호변환되는 유기 화합물의 구조 이성질체이다.
"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란 용어는 화학적 구조가 동일하지만, 공간에서 원자 또는 기의 배열이 상이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다형체"는 화학적 조성은 동일하지만, 결정을 형성하는 분자, 원자 및/또는 이온의 공간 배열이 상이한 결정체 형태를 의미한다.
"약학적 허용성 염"이란 용어는 환자에게 투여 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약학적 허용성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성인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산 첨가 염이다. 산 첨가 염의 예로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설페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산첨가염, 및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말리에이트, 푸마레이트, 시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말레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 산첨가염을 포함한다. 알칼리 첨가염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및 암모늄 염과 같은 무기 염, 및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N,N-디알킬렌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염기성 아미노산 염과 같은 유기 알칼리염을 포함한다. 하지만, 비약학적 허용성 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될 것인데, 그 이유는 이 염이 약학적 허용성 염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염의 형성 절차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매화물"이란 용어는 특히 수화물 및 알코올화물(alcoholate)을 포함하여, 다른 분자(보통 극성 용매)에 비공유 결합에 의해 결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임의의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해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카나비제롤-하이드록시퀴논 유도체(CBG-Q 유도체)의 유도체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6095051674-pct00107

여기서, R은 아릴,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카르보닐 기로 표현되는 그룹의 탄소 원자이거나; 또는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아미노,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아미노 기로 표현되는 그룹의 질소 원자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R은 이량체를 형성하는 화학식 (I)의 두 분자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I), (III), (IV), (V), (VI), (VII), (VIII), (X), (XI) 및 (X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16095051674-pct00108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톡시카르보닐-[1,4]벤조퀴논.
화학식 (III)
Figure 112016095051674-pct00109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에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IV)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0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펜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1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이소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2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I)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3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II)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4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이소프로필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IX)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5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벤질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6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2,2-디메틸-프로필 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I)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7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3-메틸-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II)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8

3,3'-비스((E)-3,7-디메틸-옥타-2,6-디에닐)-4,4'-디하이드록시-6,6'-디펜틸-1,1'-비(사이클로헥사-3,6-디엔)-2,2',5,5'-테트라온
이하의 실시예 및 도면에서 유추되는 바와 같이, 일반 화학식(I)에 포함된 위치 (2)의 변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PPARg를 활성화시키고 글루타메이트-유도된 세포독성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을 부여한다. 또한, 이 화합물은 최신 기술에 포함된 CBG-Q(화합물 I)에 비해 뉴런 기원의 세포주에서 놀라울 정도로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이 화합물 시리즈의 대표로써 화합물 III 및 XII는 PPARg 작용제의 임상 효능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질환(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 및 헌팅턴 질환)의 동물 모델에서 치료 효능을 나타냈다.
CBG-Q(화합물 I)는 화합물 II 내지 XII로 예시되는,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유도체 전부의 전구체이다. CBG-Q 전구체는 먼저 CBG(카나비제롤) 및 CBGA(카나비제롤 산)와 같은 천연 카나비노이드로부터 시작해서 몇몇 특정 라디칼의 치환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카나비제롤 하이드록시퀴논 유도체에 대한 언급은 이 화합물의 약학적 허용성 염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약학적 허용성 염"이란 용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기 염기 또는 산과 유기 염기 또는 산을 비롯한 약학적 허용성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된 염 또는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약제로써, 특히 Nfr2 활성화를 유도하지 않는 PPARg 수용체의 PPARg 작용제로써, 특히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간 섬유증, 신경병증, 건선, 피부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췌장염, 위염, 신경변성 장애, 신경염증성 장애, 피부 경화증, 암, 고혈압, 비만, II형 당뇨병 및 PPARg 작용제로 치료할 수 있는 다른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간 섬유증, 신장병증, 건선, 피부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췌장염, 위염, 신경변성 장애, 신경염증성 장애, 피부경화증, 암, 고혈압, 비만, II형 당뇨병 및 PPARg 작용제로 치료할 수 있는 다른 질환과 같이 세포독성이 낮은 PPARg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식 (I)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이와 조합된 부가적 또는 상승작용적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특히 약학 조성물로 조제되거나 단독의 전술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 조성물은 운반체 또는 부형제로써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 성분, 예컨대 공용매, 계면활성제, 오일, 습윤제, 연화제, 보존제, 안정제 및 항산화제와 배합될 수 있다. 임의의 약리학적 허용성 완충액, 예컨대 TRIS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 또는 활성 본질"이란 용어는 동의어로써 간주되어야 하고,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 시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적 실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전형적인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이와 연합된 약학적 허용성 부형제, 하나의 예시로써 운반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캡슐, 사쉐(sachet), 종이 또는 다른 용기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에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통상적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운반체와 혼합되거나, 운반체에 의해 희석되거나, 또는 앰플, 캡슐, 사쉐, 종이 또는 다른 용기 형태일 수 있는 운반체 내에 밀봉될 수 있다. 운반체가 희석제로 작용할 때, 운반체는 활성 화합물에 대해 매개제(vehicle), 부형제(excipient) 또는 매질(medium)로써 작용하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 있다. 당해의 화합물은 사쉐와 같은 과립형 고체 용기에 흡착될 수 있다. 적당한 운반체의 몇몇 예는 물, 염 용액,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하이드록시에톡시화된 피마자유, 땅콩유, 올리브유, 락토오스, 백토(terra alba), 수크로오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아밀로오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젤라틴, 아가, 펙틴, 아카시아, 스테아르산 또는 셀룰로오스의 저급 알킬 에테르, 규산, 지방산, 지방산 아민,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디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운반체 또는 희석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지속 방출 물질,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왁스와의 혼합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포뮬레이션은 또한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화제, 보존제, 감미제 또는 향미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은 당업계에 공지된 절차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투여한 후 활성 성분의 급속, 지속 또는 지연 방출을 제공하도록 조제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살균되고 필요하다면 활성 화합물과 유해한 반응을 하지 않는 보조제, 유화제, 삼투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염, 완충액 및/또는 착색 물질 등과 혼합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간 섬유증, 신장병증, 건선, 피부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췌장염, 위염, 신경변성 장애, 신경염증성 장애, 피부경화증, 암, 고혈압, 비만, II형 당뇨병 및 PPARg 작용제로 치료할 수 있는 다른 질환과 같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당해의 화합물을 적당한 또는 바람직한 작용 부위에 효과적으로 수송하는 임의의 경로일 수 있는 투여 경로, 예컨대 경구, 비측, 국소, 폐, 경피 또는 비경구, 예컨대 직장, 피하, 정맥내, 요도내, 근육내, 비내, 안과용 용액 또는 연고에 관한 것이다.
비측 투여를 위한, 제제는 에어로졸 적용을 위해 액체 운반체, 특히 수성 운반체에 용해 또는 현탁된 당해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운반체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용해제, 계면활성제, 레시틴(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흡수 증강제, 또는 파라벤과 같은 보존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국소 포뮬레이션을 제조하기 위해, 당해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피부학적 매개제에 첨가된다. 국소 포뮬레이션에서 투여할 당해의 화합물의 양 및 화합물의 농도는 선택한 매개제, 전달 시스템 또는 장치, 환자의 임상 상태, 부작용 및 포뮬레이션 중의 화합물의 안정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의사는 당해의 화합물을 적당한 농도로 함유하는 적당한 제제를 이용하고 투여되는 포뮬레이션의 양을 당해의 환자 또는 유사 환자에 대한 임상적 경험에 따라 선택한다.
안과적 적용을 위해, 당해의 화합물은 눈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용액, 현탁액 및 연고로 조제한다. 농도는 일반적으로 국소 제제용으로 앞에서 논한 바와 같다.
경구 투여를 위해, 고체 또는 유체 단위 투여량 형태를 제조할 수 있다. 정제와 같은 고체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당해의 화합물은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디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칼슘 설페이트, 전분, 락토오스, 아카시아, 메틸셀룰로오스 및 약학적 희석제 또는 운반체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물질과 같은 통상의 성분과 포뮬레이션으로 혼합된다.
캡슐은 당해의 화합물을 불활성 약학적 희석제와 혼합한 뒤, 이 혼합물을 적당한 크기의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제조한다. 연질 젤라틴 캡슐은 허용되는 식물성 오일, 경질 액체 바셀린 또는 다른 불활성 오일과 당해의 화합물의 슬러리를 기계식 캡슐화하여 제조한다. 시럽, 엘릭서 및 현탁액과 같은 경구 투여용 유체 단위 투여량 형태도 제조할 수 있다. 이 수용성 형태는 당, 방향족 향미제 및 보존제와 함께 수성 매개제에 용해하여 시럽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엘릭서는 방향족 향미제와 함께 당 및 사카린과 같은 적당한 감미제와 하이드로알코올성(예컨대, 에탄올) 매개제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현탁액은 아카시아, 트라가칸트, 메틸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사물과 같은 현탁화제의 보조하에 수성 매개제로 제조할 수 있다.
비경구용에 적당한 포뮬레이션은 통상의 기술을 수행하는 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예컨대 적당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의 사용이 있다. 살균된 이 포뮬레이션은 다양한 국소 또는 비경구 경로, 예컨대 피내, 근육내, 혈관내 및 피하 경로에 적합하다.
당해의 화합물 외에도 조성물은 포뮬레이션 및 원하는 전달 방식에 따라, 동물 또는 인간 투여용 약학 조성물의 형성에 상용되는 매개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허용성, 비독성 운반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희석제는 조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한다.
주사용 포뮬레이션에 특히 유용한 이러한 희석제의 예는 물, 다양한 식염수, 유기 또는 무기 염 용액,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및 행크스 용액이다. 또한, 약학 조성물 또는 포뮬레이션은 다른 운반체; 보조제; 또는 비독성, 비치료성, 비면역원성 안정제 및 이의 유사물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형제도 포뮬레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로는 공용매, 계면활성제, 오일, 습윤제, 연화제, 보존제, 안정제 및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임의의 약리학적 허용성 완충액, 예컨대 트리스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액이 사용될 수 있다. 희석제, 첨가제 및 부형제의 효과적인 양은 용해성, 생물학적 활성 등의 측면에서 약학적 허용성 포뮬레이션을 수득하는데 효과적인 양이다.
당해의 화합물은 미소구(microsphere)에 혼입될 수 있다. 당해의 화합물은 알부민 미소구에 부하될 수 있고, 이로부터 이러한 미소구를 비측 투여를 위한 건조 분말로 복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미소구의 제조에 적당한 다른 물질로는 아가, 알긴산염, 키토산, 전분,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알부민, 아가로스, 덱스트란, 히알우론산, 젤라틴, 콜라겐 및 카제인을 포함한다. 미소구는 분무 건조 공정 또는 유화 공정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부민 미소구는 포스페이트 완충액 중의 토끼 혈청 알부민을 교반 하에 올리브 오일에 첨가하여 유중수 에멀젼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에멀젼에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에멀젼을 교반하여 알부민을 가교결합시킨다. 미소구는 그 다음 원심분리하여 분리하고, 오일은 제거한 다음, 구는 예컨대 석유 에테르와 그 다음 에탄올로 세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소구는 체질하고 수집한 뒤 여과 건조할 수 있다.
전분 미소구는 따뜻한 수성 전분 용액, 예컨대 감자 전분 용액을 교반 하에 가열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용액에 첨가하여 에멀젼으로 제조할 수 있다. 2상계가 형성되면(전분 용액이 내부상으로), 혼합물을 지속적인 교반 하에 실온으로 냉각하고, 이때 내부 상이 겔 입자로 변환된다. 이 입자는 그 다음 실온에서 여과하고, 에탄올과 같은 용매에 슬러리화하고, 그 후 입자는 다시 여과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다. 미소구는 열처리 및 화학적 가교제의 사용과 같은 공지된 가교 절차를 사용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적당한 제제로는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하이드, 석시닉알데하이드, 아디프알데하이드,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및 프탈알데하이드와 같은 디알데하이드류, 부타디온, 에피클로로히드린, 폴리포스페이트 및 보레이트와 같은 디케톤류를 포함한다. 디알데하이드는 아미노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알부민과 같은 단백질을 가교결합하는데 사용되고, 디케톤은 아미노기와 쉬프 염기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에피클로로히드린은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실과 같은 친핵체를 가진 화합물을 에폭사이드 유도체로 활성화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본 발명의 양태는 투여량 체계이다. "단위 투여량 형태"란 용어는 검체, 예컨대 포유동물 검체, 예컨대 인간, 개, 고양이 및 설치류에게 단위 투여량으로써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의미하며, 각 단위는 필요한 약학적 희석제, 운반체 또는 매개제와 함께 바람직한 약학적 효과를 생산하도록 계산된 소정량의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단위 투여량 형태에 대한 세부사항은 (a) 활성 물질의 독특한 특성 및 달성하고자 하는 특별한 효과와 (b) 인간 및 동물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활성 물질을 배합하는 기술 고유의 제한에 따라 좌우되고 의존적이다. 단위 투여량 형태의 예는 정제, 캡슐, 환제, 분말 패킷, 웨이퍼, 좌약, 과립, 카시에(cachet), 티스푼 제제(teaspoonfuls), 테이블스푼 제제(tablespoonfuls), 점적기 제제(dropperfuls), 앰플, 바이엘, 계량식 배출을 하는 에어로졸, 임의의 전술한 분리된 복수 제제,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른 형태이다.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위 투여량 형태의 조성물과 본원에 기술된 장애들 중 하나 이상의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지침서를 보유할 수 있는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서방형 또는 장기 방출 전달 시스템, 예컨대 다수의 생물중합체(생물학적 기반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 리포좀, 콜로이드, 수지 및 다른 중합체성 전달 시스템 또는 구획화된 저장소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에 이용하여 치료 화합물의 연속 또는 장기 급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방형 시스템은 국소, 안내, 경구 및 비경구 경로를 통해 전달하기 위한 포뮬레이션에 적용가능하다.
당해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치료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의 투여량은 화합물 및 치료되는 상태, 예컨대 수용체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임상 증상에 따라 달라진다. 다른 요인으로는 투여 경로, 환자, 환자의 의학적 이력, 질환 과정의 중증도, 및 특정 화합물의 효능을 포함한다. 용량은 환자에게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을 나타냄이 없이 치료하는 질환의 증후군 또는 징후를 경감시키기에 충분한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화합물의 유효량은 임상가 또는 다른 자격이 있는 관찰자가 확인했을 때 객관적으로 확인가능한 향상 또는 증후군의 객관적인 경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지막 양태는 상기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PPARg 작용제로 치료할 수 있는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간 섬유증, 신장병증, 건선, 피부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췌장염, 위염, 신경변성 장애, 신경염증성 장애, 피부경화증, 암, 고혈압, 비만 및 II형 당뇨병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어:
CBG: 카나비제롤
CBGA: 카나비제롤 산.
CBG-Q(화합물 I): 카나비제롤 하이드록시퀴논
DCC: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Keap1: 켈크(Kelch) ECH 관련 단백질 1
NFE2L2 또는 (Nrf2): 핵인자(적혈구 유래 2)-유사 2
NR1C: 핵 서브패밀리 1 C
NRs: 핵 수용체
PPARs: 페릭솜(Perixome) 증식인자 활성화된 수용체
PPARg: PPARγ, 글리타존 수용체 또는 NR1C3이라고도 불리는 퍼옥시좀 증식인자-활성화된 수용체 감마
PPARα: NR1C1로도 불리는 퍼옥시좀 증식인자-활성화된 수용체 알파
PPARβ/δ: NR1C2로도 불리는 퍼옥시좀 증식인자-활성화된 수용체 베타/델타
본 발명의 도면은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관련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다.
도면 약어:
I: CBG-Q
II: 화학식 (II)의 화합물
III: 화학식 (III)의 화합물
IV: 화학식 (IV)의 화합물
V: 화학식 (V)의 화합물
VI: 화학식 (VI)의 화합물
VII: 화학식 (VII)의 화합물
VIII: 화학식 (VIII)의 화합물
IX: 화학식 (IX)의 화합물
X: 화학식 (X)의 화합물
XI: 화학식 (XI)의 화합물
XII: 화학식 (XII)의 화합물
도 1. HEK-293 세포에서 PPARg 전사활성화 분석
시험된 화합물의 농도(μM)는 x축에 제시했고, PPARg 활성화 배율(fold)은 y축에 제시했다. 이 도면은 PPARg 활성에 미치는 CBG-Q 또는 화합물 I의 효과 vs. 화합물 II-VI의 효과(도 1a) 및 vs. 화합물 VII 내지 XII의 효과(도 1b)를 도시하여, CBG-Q(화합물 I)의 유도체들, 구체적으로 화합물 II, III, IV, V, VII, VIII 및 XII가 CBG-Q(화합물 I)보다 높은 효율로 PPARg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PPARγ 완전 작용제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RZG)) 1μM은 비교 대조군으로써 사용했다. 활성화 배율 수준은 참조물질로써 임의의 PPARg 작용제 또는 활성화제의 존재가 없는 대조 샘플(-)을 가지고 계산했다. 데이터는 적어도 3회의 독립 실험의 평균±S.D.로써 나타냈다.
도 2. 인간 피부 1차 섬유아세포에서 PPARg 전사활성화 분석
시험된 화합물의 농도(μM)는 x축에 제시했고, PPARg 활성화 배율은 y축에 제시했다. 이 도면은 CBG-Q(화합물 I) vs. 화합물 II, III, IV 및 V가 PPARg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화합물들 II, III, IV 및 V가 CBG-Q(화합물 I)보다 높은 효율로 PPARg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PPARγ 완전 작용제 로지글리타존(RZG) 1μM은 비교 대조군으로써 사용했다. 활성화 배율 수준은 참조물질로써 임의의 PPARg 작용제 또는 활성화제의 존재가 없는 대조 샘플(-)을 가지고 계산했다. 데이터는 적어도 3회의 독립 실험의 평균±S.D.로써 나타냈다.
도 3. 세포독성 활성
세포주 N2a(A), HT22(B) 및 MO3.13(C) 세포를 표시된 용량의 CBG-Q(화합물 I) vs. 화합물 II 내지 XII와 24h 동안 항온처리하고, 세포 생육성을 MTT 분석으로 정량분석했다. 결과는 적어도 3회의 독립 실험의 평균±S.D.로 표시하고, 임의의 PPARγ 작용제 또는 활성화제의 존재가 없는 대조 샘플(-)에 대한 세포 생육성의 백분율로써 나타냈다. 대조군은 100%로 설정했고, 데이터는 이 값으로 언급했다. 결과는 CBG-Q(화합물 I)에 관련된 세포독성 활성이 본 발명에 기술된 위치 2의 CBG-Q 유도체 전부에서는 없어진 것을 입증한다.
도 4. Nrf2 전사 분석
HaCaT-ARE-Luc 세포는 화합물 CBG-Q 화합물 (I) 및 화합물 I 내지 VI(A) 또는 화합물 VII 내지 XII(B)와 표시된 농도로 6h 동안 항온처리했고, 단백질 용해물을 제조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을 분석했다. 세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는 화합물인 산화촉진제 tert-부틸하이드로퀴논(tBHQ) 20μM 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참고적으로, 임의의 PPARg 작용제 또는 활성화제의 존재가 없는 대조 샘플(-)을 가지고 활성화 배율 수준을 계산했다. 데이터는 적어도 3회의 독립 실험으로부터 평균±S.D.로 나타냈다. 결과는 CBG-Q(화합물 I)와 관련된 반응성 친전자체 활성이 본 발명에 기술된 모든 화합물(위치 2의 유도체)에서 없어진 것을 확인시켜준다.
도 5. 신경보호활성
N2a 세포는 표시된 농도의 화합물 (II) 내지 (V) 및 (XII)와 1h 동안 예비항온처리했다. 그 다음, 세포는 24h 동안 5mM 글루타메이트로 처리하여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유도된 뉴런 세포의 흥분성독성(excitotoxicity) 또는 세포독성을 유도했다. 세포 생육성은 MTT 분석으로 정량분석했다. 결과는 적어도 3회 독립 실험의 평균 ± S.D.로 나타내고, 임의의 PPARg 작용제 또는 활성화제의 존재가 없는 대조 샘플(-)에 대하여, 그리고 글루타메이트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세포 생육성의 백분율로써 나타냈다. 대조군은 100%로 설정했고, 데이터는 이 값으로 언급했다.
도 6. 화합물 (III)은 EAE를 경감시킨다
C57BL/6 마우스는 MOG35-55로 면역화했고, 이의 임상 점수는 매일 평가했다. 마우스는 화합물 (III)(10mg/kg)으로 면역화후 6일째와 그 다음 21일간 매일 처리했다. 그래프는 매일의 평균 임상 점수(평균±SEM)를 보여준다. 값들은 그룹당 동물 10마리의 평균±SEM으로 나타냈다.
도 7. 염증촉진성 마커(EAE)에 미치는 화합물 (III)의 효과
척수에서 염증성 마커, 예컨대 CCL2, IFNγ, INOS, TNFα, IL-1β 및 IL-17의 유전자 발현은 EAE+화합물 (III)(10mg/kg) 그룹에서 EAE+매개제 마우스에 비해 억제조절되었다. 발현 수준은 2-△△C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도 8. 화합물 (XII)는 EAE를 완화시킨다.
C57BL/6 마우스를 MOG35-55로 면역화하고, 이의 임상 점수는 매일 평가했다. 마우스는 화합물 (XII)(5mg/kg)로 면역화 후 6일째와 그 다음 21일 동안 매일 처리했다. 그래프는 매일의 평균 임상 점수(평균±SEM)를 보여준다. 값들은 그룹 당 6마리 동물의 평균±SEM으로 나타냈다.
도 9. 3NP 중독 후 행동 점수
마우스는 화합물 I(10mg/kg)(A), III(10mg/kg)(B) 및 XII(10mg/kg)(C)로 처리 후 신경학적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행동 시험으로 처리했다. 뒷다리 접힘(clasping), 보행성운동 활동, 뒷다리 근육긴장이상 및 체간근육긴장이상을 중증도에 따라 0 내지 2로 등급화했고, 0의 점수는 일반적으로 정상 기능을 나타내고 2는 심각한 질환을 나타낸다. 값들은 그룹당 8마리 동물의 평균±SEM으로 나타냈다.
도 10. 화합물 III은 선조체에서 염증성 마커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염증성 마커, 예컨대 COX-2, TNFα, IL-6 및 iNOS의 유전자 발현은 3NP+화합물 III(10mg/kg) 처리된 마우스에서 3NP+매개제 마우스에 비해 억제조절되었다. 발현 수준은 2-△△C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값들은 그룹당 6마리 동물의 평균±SEM으로 나타냈다.
도 11. 화합물 XII는 선조체에서 염증성 마커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염증성 마커, 예컨대 COX-2, TNFα, IL-6 및 iNOS의 유전자 발현은 3NP+화합물 XII(10mg/kg) 처리된 마우스에서 3NP+매개제 마우스에 비해 억제조절되었다. 발현 수준은 2-△△C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값들은 그룹당 6마리 동물의 평균±SEM으로 나타냈다.
도 12. 신경변성 마커(3NP)에 대한 화합물 XII의 효과
매개제, 3NP+ 매개제, 3NP+화합물 XII(10mg/kg) 및 XII(10mg/kg)로 처리된 마우스의 선조체에서 관상단면을 면역염색하여 NeuN(뉴런 마커), GFAP(성상세포 마커) 및 IbaI(미세아교세포 마커)을 검출했다. 마우스 선조체에서 NeuN(A), GFAP(B) 및 Iba1(C) 양성 세포의 정량. 뉴런, 성상세포 및 미세아교세포의 총 평균 수를 나타냈다. 값들은 그룹 당 6마리 동물의 평균±SEM으로 나타냈다.
도 13. 6-OHDA-유도된 파킨슨 증상학에 대한 화합물 (III)의 효과
C57BL/6 마우스의 한측에 6-하이드로도파민(6-OHDA) 또는 식염수(대조용 마우스)를 뇌실내로 주사하고, 6-OHDA 주사 후 16h부터 시작해서 화합물 III(10mg/ml) 또는 매개제(14일)로 장기 복강내 치료로 처리했다. 운동 협응은 로타로드(rotarod) 수행력으로 평가하고 운동 활성은 컴퓨터 지원을 갖춘 운동량 측정기로 평가했다. 값은 그룹 당 6마리 동물의 평균±SEM으로 나타냈다.
실시예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호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화학적 합성 및 NMR 분석
CBGA 유래 화합물들의 일반적 절차. 화합물 (II)및 (XII)의 합성
메탄올(10ml) 중의 CBGA(카나비제롤 산)(360mg, 0.80mml) 용액에,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331mg, 1.6mmol) 및 촉매성 p-톨루엔설폰산(약 10mg)을 첨가했다. 4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은 증발시켜 워크업했다(반응식 1). 잔류물은 톨루엔(약 10ml)에 용해시키고, 냉각(-18℃)하여 우레아를 침전시켰다. 1h 후 용액은 소결유리필터로 여과하고, 잔류물은 RP C-18 실리카겔 섬광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60mg의 (E)-메틸 3-(3,7-디메틸옥타-2,6-디에닐)-2,4-디하이드록시-6-펜틸벤조에이트[무색 포말, 수율: 70%]를 수득했다.
* 1H NMR (CDCl3, 300 MHz) δ ppm 12.00 (bs, 1H), 6.25 (s, 1H), 5.27 (bt, J = 6.5 Hz, 1H), 5.04 (bt, J = 6.5 Hz, 1H), 3.90 (s, 3H), 3.41 (d, J = 6.8 Hz, 1H), 2.05 (bm, 4H), 1.80 (bs, 3H), 1.66 (bs, 3H), 0.89 (t, J = 6.0 Hz, 3H).
반응식 1
Figure 112016095051674-pct00119

제조 화합물 II.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톡시카르보닐-[1,4]벤조퀴논
반응식 2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0

4ml EtOAc에 (E)-메틸 3-(3,7-디메틸옥타-2,6-디에닐)-2,4-디하이드록시-6-펜틸벤조에이트) 100mg(0.27mmol)을 용해한 용액에, SIBX(465mg, 0.77mmol, 3mol 당량)를 첨가했고, 반응물을 1h 동안 환류시켰다. 냉각 및 셀라이트 상으로의 여과 후, 여액은 포화 NaHCO3 및 염수로 연속 세척했다. 건조(Na2SO4) 및 증발 후, 잔류물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로써 석유 에테르-CH2Cl2 8:5)로 정제하여 28mg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톡시카르보닐-[1,4]-벤조퀴논[갈색 고체, 수율: 25%]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6.95 (bs, 1H), 5.11 (bt, J = 6.5 Hz, 1H), 5.04 (bt, J = 6.5 Hz, 1H), 3.89 (s, 3H), 3.13 (d, J = 6.5 Hz, 2H), 2.38 (m, 2H), 1.72 (bs, 3H), 1.65 (bs, 3H), 1.57 (bs, 3H), 0.89 (t. J = 6.5 Hz, 3H).
제조 화합물 XII
3,3'-비스((E)-3,7-디메틸옥타-2,6-디에닐)-4,4'-디하이드록시-6,6'-디펜틸-1,1'-비(사이클로헥사-3,6-디엔)-2,2',5,5'-테트라온
반응식 3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1

톨루엔(100ml) 중의 카나비제롤(CBG)(500mg, 0.16mmol) 용액에, NaH(95%, 150mg, 0.48mmol, 3mol 당량)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플라스크를 열은 채 강력하게 교반했다(반응식 3). 거의 즉시 바이올렛색이 발현되었고, 12h 후 반응물을 2N H2SO4로 pH 3으로 산성화하여 워크업했고, 염수와 EtOAc 사이에 분할했다. 유기 상은 건조(Na2SO4)하고 증발시켰고, 잔류물은 실리카겔 중력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용출제로써, 석유 에테르-EtOAc 9:1), 120mg 3,3'-비스((E)-3,7-디메틸옥타-2,6-디에닐)-4,4'-디하이드록시-6,6'-디펜틸-1,1'-비(사이클로헥사(3,6-디엔)-2,2',5,5'-테트라온 [암갈색 검(gum), 수율: 24%]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6.99 (bs, 2H), 5.10 (bt, J = 6.5 Hz, 2H), 5.05 (bt, J = 6.5 Hz, 2H) 3.13 (d, J = 6.5 Hz, 4H), 1.71 (s, 6H), 1.65 (s, 6H), 1.57 (s, 6H), 0.81 (t, J = 7.0 Hz.
실시예 2. 화학적 합성 및 NMR 분석
CBG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의 일반적 절차 (화합물 (III) 내지 (XI)의 합성)
CBG(카나비제롤)로부터 시작한 CBG-Q(화합물 I)의 합성은 톨루엔 중의 tBuOK를 사용하여 r.t.에서 공기의 존재 하에 수행했다(반응식 4).
반응식 4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2

tBuOK(2.00 g, 17.824 mmol)을 톨루엔(400ml) 중의 카나비제롤(CBG)(2.00g, 6.319mmol) 용액에 첨가하여 자주색 용액을 제공했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공기 노출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교반하고, 변환은 TLC 분석(용출제: 10% EtOAc/헥산)으로 모니터했다(반응식 5). 2h 후 반응 혼합물은 HCl(5% 수용액, 300ml)로 세척하고, 수성 층은 EtOAc(100ml)로 추출했다. 합한 유기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뒤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SiO2 상에서의 섬광 크로마토그래피(2 내지 4% EtOAc/헥산)로 정제하여 1.10g의 CBG-Q(화합물 I)[오렌지색 고체, 수율: 53%]를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d 6.94 (s, -OH, 1H), 6.45 (s, 1H), 5.13 (br t, J = 6.8 Hz, 1H), 5.04 (br t, J = 6.8 Hz, 1H), 3.14 (s, J = 6.8 Hz, 2H), 2.41 (t, J = 7.8 Hz, 2H), 2.09-1.92 (m, 4H), 1.73 (br s, 3H), 1.57 (br s, 3H), ca. 1.52 (m, 2H), 1.38-1.17 (m, 4H), 0.89 (t, J = 7.8 Hz, 3H).
위치 2에서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케닐아미노 또는 알키닐아미노로 치환된 유도체의 합성은 CBG-Q(화합물 I)를 다량의 아민과 실온에서 공기 개방된 반응 시스템 하에 반응시켜 수행했다(반응식 5).
반응식 5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3

수 시간 내에 높은 변환이 달성되어 반점 대 반점 반응을 제공했다. 용매는 농축시키고, 미정제 잔류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도가 약 95%인 산물을 제공했다.
화합물 III의 제조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에틸아미노-[1,4]벤조 퀴논
반응식 6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4

에틸아민(5.2㎖, H2O 중의 70% 용액, 65.403 mmol)을 EtOH(50ml) 중의 CBG-Q (화합물 I) (510 ㎎, 1.543 mmol)의 용액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6). 이것을 H2O(12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2x8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의 CH3CN/H20)로 정제하여 2-(3,7-디메틸-옥타-2,6-디에닐)-6-에틸아미노-3-하이드록시-5-펜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75 %] 435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6.39 (bs, 1H), 5.09 (m, 2H), 3.54 (t, J = 6.6 Hz, 2H), 3.05 (d, J = 6.6 Hz, 2H), 2.49 (m, 2H), 1.99 (m, 4H), 1.72 (s, 3H), 1.64 (s, 3H), 1.57 (s, 3H), 1.44-1.22 (m, 9H), 0.88 (m, 3H).
제조 화합물 IV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펜틸아미노-[1,4] 벤조 퀴논
반응식 7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5

아밀아민(1.5㎖, 12.943 mmol)을 EtOH(10ml) 중의 화합물 CBG-Q (화합물 I) (109 ㎎, 0.330 mmol)의 용액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7). 이것을 H2O(5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3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의 CH3CN/H20)로 정제하여 2-(3,7-디메틸-옥타-2,6-디에닐)-3-하이드록시-5-펜틸-6-펜틸아미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64 %] 88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6.38 (bs, 1H), 5.13 (t, J = 7.1 Hz, 1H), 5.05 (t, J = 6.0 Hz, 1H), 3.47 (q, J = 6.6 Hz, 2H), 3.06 (d, J = 7.1 Hz, 2H), 2.49 (m, 2H), 2.08-1.93 (m, 4H), 1.72 (s, 3H), 1.65 (s, 3H), 1.57 (s, 3H), 1.42-1.28 (m, 12H), 0.91 (m, 6H).
제조 화합물 V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이소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반응식 8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6

이소부틸아민(1.3 ㎖, 13.082 mmol)을 EtOH(10ml) 중의 화합물 CBQ-G (화합물 I) (101 ㎎, 0.306mmol)의 용액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8). 이것을 H2O(5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3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의 CH3CN/H20)로 정제하여 2-(3,7-디메틸-옥타-2,6-디에닐)-3-하이드록시-6-이소부틸아미노-5-펜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48 %] 59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250 MHz) δ ppm: 6.60 (bs, 1H), 5.11 (m, 2H), 3.28 (t, J = 6.3 Hz, 2H), 3.06 (d, J = 7.1 Hz, 2H), 2.49 (m, 2H), 2.07-1.84 (m, 4H), 1.72 (s, 3H), 1.65 (s, 3H), 1.57 (s, 3H), 1.41-1.27 (m, 7H), 1.02 (s, 3H), 0.98 (s, 3H), 0.89 (m, 3H).
제조 화합물 VI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반응식 9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7

n-부틸아민(1.2ml, 12.143mmol)을 EtOH(12ml) 중의 화합물 CBQ-G (화합물 I) (102 ㎎, 0.309mmol)의 용액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9). 이것을 H2O(5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3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2-부틸아미노-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98 %] 190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250 MHz) δ ppm: 6.50 (bs, 1H), 5.09 (m, 2H), 3.47 (q, J = 7.1 Hz, 2H), 3.05 (d, J = 7.1 Hz, 2H), 2.48 (m, 2H), 2.08-1.90 (m, 4H), 1.72 (s, 3H), 1.64 (s, 3H), 1.57 (s, 3H), 1.50-1.22 (m, 10H), 1.00-0.84 (m, 6H).
제조 화합물 VII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틸아미노-[1,4]벤조퀴논
반응식 10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8

메틸아민(0.6ml, EtOH 중의 8M 용액, 4.8mmol)을 EtOH(10ml) 중의 화합물 CBG-Q(화합물 I) 용액(102mg, 0.309mmol)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10). 이것을 H2O(5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3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 CH3CN/H2O)로 정제하여 2-(3,7-디메틸-옥타-2,6-디에닐)-3-하이드록시-6-메틸아미노-5-펜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20 %] 23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6.48 (bs, 1H), 5.12 (t, J = 6.6 Hz, 1H), 5.06 (t, J = 6.6 Hz, 1H), 3.20 (d, J = 6.0 Hz, 3H), 3.06 (d, J = 7.1 Hz, 2H), 2.55 (t, J = 7.1 Hz, 2H), 2.07-1.92 (m, 4H), 1.72 (s, 3H), 1.65 (s, 3H), 1.57 (s, 3H), 1.49-1.23 (m, 6H), 0.89 (m, 3H).
제조 화합물 VIII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이소프로필아미노-[1,4]벤조퀴논
반응식 11
Figure 112016095051674-pct00129

이소프로필아민(1.0ml, 11.639mmol)을 EtOH(10ml) 중의 화합물 CBG-Q(화합물 I) 용액(101mg, 0.306mmol)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11). 이것을 H2O(5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3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 CH3CN/H2O)로 정제하여 2-(3,7-디메틸-옥타-2,6-디에닐)-3-하이드록시-6-이소프로필아미노-5-펜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52 %] 62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6.37 (s, 1H), 5.13 (t, J = 6.6 Hz, 1H), 5.05 (t, J = 6.6 Hz, 1H), 3.98 (m, 1H), 3.06 (d, J = 7.1 Hz, 2H), 2.47 (m, 2H), 2.08-1.92 (m, 4H), 1.72 (s, 3H), 1.65 (s, 3H), 1.57 (s, 3H), 1.42-1.29 (m, 6H), 1.28 (s, 3H), 1.25 (s, 3H), 0.89 (m, 3H).
제조 화합물 IX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벤질아미노[1,4]벤조퀴논
반응식 12
Figure 112016095051674-pct00130

벤질아민(1.3ml, 11.913mmol)을 EtOH(13ml) 중의 화합물 CBG-Q(화합물 I)(100mg, 0.302mmol) 용액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12). 이것을 H2O(5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3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 CH3CN/H2O)로 정제하여 2-벤질아미노-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46 %] 61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7.43-7.27 (m, 5H), 6.80 (bs, 1H), 5.18-5.02 (m, 2H), 4.67 (d, J = 5.5 Hz, 2H), 3.07 (d, J = 6.6 Hz, 2H), 2.47 (t, J = 7.7 Hz, 2H), 2.09-1.92 (m, 4H), 1.72 (s, 3H), 1.65 (m, 3H), 1.57 (s, 3H), 1.47-1.24 (m, 6H), 0.88 (m, 3H).
제조 화합물 X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2,2-디메틸-프로필아미노)-[1,4]벤조퀴논.
반응식 13
Figure 112016095051674-pct00131

네오펜틸아민(1.4 ㎖, 12.063 mmol)을 EtOH(14ml) 중의 화합물 CBG-Q(화합물 I) (100 ㎎, 0.303 mmol)의 용액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8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13). 이것을 H2O(5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3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 CH3CN/H2O)로 정제하여 2-(3,7-디메틸-옥타-2,6-디에닐)-6-(2,2-디메틸-프로필아미노)-3-하이드록시-5-펜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65 %] 72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6.62 (s, 1H), 5.14 (t, J = 6.6 Hz, 1H), 5.05 (t, J = 6.6 Hz, 1H), 3.27 (d, J = 6.0 Hz, 2H), 3.07 (d, J = 7.1 Hz, 2H), 2.50 (t, J = 7.1 Hz, 2H), 2.09-1.92 (m, 4H), 1.72 (s, 3H), 1.65 (s, 3H), 1.57 (s, 3H), 1.47-1.25 (m, 6H), 1.02 (s, 9H), 0.90 (t, J = 6.6 Hz, 3H).
제조 실시예 XI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3-메틸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반응식 14
Figure 112016095051674-pct00132

이소펜틸아민(1.4ml, 11.886mmol)을 EtOH(14ml) 중의 화합물 CBG-Q(화합물 I) (100 ㎎, 0.303 mmol)의 용액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8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반응식 14). 이것을 H2O(50ml)에 붓고 HCl(10% 수용액)로 최대 pH=2로 맞추고 CH2Cl2(30ml)로 추출했다. 유기 층은 Na2SO4(무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했다. 미정제 잔류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 CH3CN/H2O)로 정제하여 2-(3,7-디메틸-옥타-2,6-디에닐)-3-하이드록시-6-(3-메틸-부틸아미노)-5-펜틸-[1,4]벤조퀴논[자주색 고체, 수율 55 %] 40mg을 수득했다.
1H NMR (CDCl3, 300 MHz) δ ppm: 6.38 (bs, 1H), 5.09 (m, 2H), 3.50 (q, J = 6.0 Hz, 2H), 3.06 (d, J = 7.1 Hz, 2H), 2.51 (t, J = 7.1 Hz, 2H), 2.11-1.92 (m, 4H), 1.72 (s, 3H), 1.65 (s, 3H), 1.57 (s, 3H), 1.48-1.24 (m, 7H), 0.96 (s, 3H), 0.94 (s, 3H), 0.89 (m, 3H).
시험관내 분석
실시예 2. PPARg 작용제 활성
신규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HEK-293 세포 및 인간 1차 섬유아세포에서 PPARg 전사활성화 분석을 수행했다.
HEK293T 세포 및 인간 1차 섬유아세포는 10% 소태아혈청(FBS), 및 1%(v/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DMEM에서 5% CO2 함유 가습 대기 하에 37℃에서 유지시켰다. 로지글리타존은 케이맨 케미컬 컴패니(Ann Arbor, MI, USA)에서 구입했다. 다른 모든 시약은 시그마 컴패니(St. Lousi, MO, USA)에서 구입했다. HEK293T 세포(2x103/웰)(도 1) 또는 인간 피부 1차 섬유아세포(5x103/웰)(도 2)는 BD Falcon™ White와 클리어 바텀(Clear Bottom) 96웰 Microtest™ Optilux™ 평판에 24시간 동안 접종했다. 그 후, 세포는 Rotiⓒ-Fect(Carl Roth, Karlsruhe, Germany)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사용하여 발현 벡터 GAL4-PPARγ 및 루시퍼라제 리포터 벡터 GAL4-luc로 일시적으로 동시형질감염시켰다. 24시간 형질감염 후, 세포는 증가하는 용량의 화합물로 6시간 동안 전처리했다. 그 다음, 세포는 25mM 트리스포스페이트 pH7.8, 8mM MgCl2, 1mM DTT, 1% Triton X-100 및 7% 글리세롤에 용해시켰다. 루시퍼라제 활성은 TriStar LB 941 멀티모드 마이크로평판 판독기(Berthold)를 사용하고 루시퍼라제 분석 키트(Promega, Madison, WI, USA)의 지시에 따라 세포 용해물에서 측정했다. 단백질 농도는 Bradford 검정(Bio-Rad, Richmond, CA, USA)으로 측정했다. 용해 완충액으로 수득한 배경값은 각 실험 값에서 빼고, 특이적 전사활성화는 미처리 세포 대비 유도 배율로 나타냈다. 모든 실험은 적어도 3회 반복했다. 사용한 플라스미드는 Gal4-hPPAR감마(플라스미드 명칭: pCMV-BD-hPPARg, Sinal Laboratory, Dept. of Pharmacology, Dalhousie University에서 제조됨) 및 루시퍼라제 유전자에 융합된 5개의 Gal4 DNA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Gal4 luc 리포터 플라스미드였다. 이러한 분석은 도 1과 도 2에 예시했으며, 이 도면들은 화합물들로 6시간 동안 처리한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와 함께 PPARg를 일시적으로 과잉발현하는 세포(PPARg-GAL4/GAL4-LUC)에서 수행된 전사활성화 분석을 통해 PPARg 활성에 미치는 CBG-Q(화합물 I) 및 유도체들의 효과를 보여준다. 데이터는 3반복한 결과의 평균 및 표준편차 오차 막대로 제시했다. 루시퍼라제 활성의 유의적인 증가는 미처리 세포에 비해 퀴논 유도체로 처리된 세포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화합물 II가 1 내지 25μM 농도에서 PPARg의 활성화에 화합물 CBG-Q(화합물 I)보다 유의적으로 더 강력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화합물 III 내지 XII는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PPARg 전사활성화를 증가시키며, III, IV, V 및 XII가 가장 활성적인 화합물이다. 또한, 이 화합물들의 고 농도(25 및 50μM)는 CBG-Q(화합물 I)에 비해 PPARg를 활성화시키는데 특히 강력하다. 완전 PPARg 작용제인 로지글리타존은 1μM의 농도에서 PPARg의 활성을 100배 넘게 증가시켰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기술된 화합물들의 1μM 농도에 의해 유도된 PPARg 활성의 최대 유도는 12배보다 높지 않았고(즉, 화합물 II), 이는 이 신규 화합물들이 PPARg 조정제(modulator)이며, PPARg 완전 작용제(full agonist)는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3. 세포독성 분석
친전자성 퀴논은 세포독성을 유도하고 반응성 산소 종 생성의 세포 센서인 Nrf2 경로를 활성화시킨다. 도 3에서는 3가지 다른 종류의 세포(N2a, HT22 및 MO3.13)가 화합물 CBG-Q(화합물 I) 및 화합물 (II) 내지 (XII)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cell death)를 분석했다.
3가지 세포주 MO3.13, N2A 및 HT22 세포는 10% 소태아혈청(FBS), 및 1%(v/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DMEM에서 5% CO2 함유 가습 대기 하에 37℃에서 유지시켰다. N2A, HT22 및 MO3.13 세포 생육성은 MTT 분석으로 측정했다. 간략히 설명하면, 세포는 96웰 평판에 104 세포/웰의 밀도로 접종하고, 웰당 200㎕ 세포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배양했다. 그 다음, 세포를 여러 농도의 화합물과 24시간 동안 항온처리했다. 그 후, MTT:DMEM(1:2) 혼합 용액으로부터 100㎕ MTT(5mg/ml)를 각 웰에 첨가하고, 세포를 암실에서 37℃ 하에 4시간 동안 항온처리했다. 그 다음, 반응을 정지시키고, 상청액을 제거한 뒤, 각 웰에 100㎕ DMSO를 첨가한 뒤, 저속 진탕하에 10분 동안 항온처리했다. 마지막으로, TriStar LB 941(Berthold Technologies, GmbH & Co. KG)을 사용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대조용 세포는 100%로 설정했고, 데이터는 그 값으로 언급했다. 세포주 N2a(도 3a), HT22(도 3b) 및 MO3.13(도 3c) 세포는 제시된 용량의 화합물 CBG-Q(화합물 I) 및 화합물 (II) 내지 (XII)와 24h 동안 항온처리했고, 세포 생육성은 MTT 분석으로 정량분석했다. 결과는 적어도 3회 독립된 실험의 평균±S.D로 나타냈고, 대조군 샘플(-)에 대한 세포 생육성의 백분율로 표현했다. 대조군은 100%로 설정했고, 데이터는 그 값으로 언급했다. 결과들은 CBG-Q(화합물 I)와 관련된 세포독성 활성이 Nrf2 활성화를 유도하는 능력과 상관성이 있음을 입증해 보인다. 동일한 의미로, 본 발명에 기술된 CBG-Q의 위치 2에서의 유도체인 화합물 II 내지 XII의 세포독성 활성의 결여는 Nrf2를 활성시키지 못하는 능력과 상관성이 있다.
실시예 4. Nrf2 전사 활성
Nrf2 경로에 미치는 화합물들의 활성을 연구하기 위해, HaCaT-ARE-Luc 세포주를 제조했다. HaCat 세포를 Lipofectamineⓒ 2000 형질감염 시약(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Nqo1 ARE-Luc 리포터 플라스미드 및 pPGK-Puro 플라스미드로 동시형질감염시켰다. 안정한 형질전환체를 선택했고,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ml 퓨로마이신을 함유하는 RPMI 1640에서 유지시켰다. HaCaT-ARE-Luc 세포는 표시된 농도의 CBG-Q(화합물 I) 및 화합물 (II) 내지 (VI)(A) 또는 화합물 (VII) 내지 (XII)(B)와 6h 동안 항온처리했고, 단백질 용해물을 제조하여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루시퍼라제 활성에 대해 분석했다. 산화촉진제 tert-부틸하이드로퀴논(tBHQ) 20μM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활성화 배율 수준을 계산했고, 대조군 샘플(-)을 참조군으로 사용했다(도 4a 및 4b). 데이터는 적어도 3회 독립된 실험의 평균±S.D로 나타냈다. 결과는 CBG-Q(화합물 I)와 관련된 반응성 친전자 활성이 본 발명에 기술된 모든 화합물(위치 2의 유도체)에서 없어진 것을 확인시켜 준다.
실시예 5. 신경보호 분석
소염성 핵 수용체 PPARg의 활성화는 신경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PPARg 작용제가 뉴런 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 유도 세포독성을 차단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배양된 N2A 세포를 제시된 농도의 화합물 II, III, IV, V 및 XII와 1h 동안 예비항온처리하고, 그 다음 5mM 글루타메이트로 처리하여 24h 동안 흥분성독성을 유도했다(도 5). 세포독성은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MTT 방법으로 측정했다. 결과는 적어도 3회 독립된 실험의 평균±S.D.로 나타냈고, 대조군 샘플(-)에 대한 세포 생육성의 백분율로써 나타냈다. 대조군은 100%로 설정했고, 데이터는 이 값으로 언급했다.
결과는 PPARg 조정제인 화합물 II, III, IV, V 및 XII가 또한 글루타메이트 유도 아폽토시스로부터 뉴런 세포를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체내 분석
실시예 6.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AE)의 유도
PPARg 조정제는 신경변성 및 염증성 장애의 치료적 용도가 있고, 본 발명의 대표적인 2가지 화합물이 3종의 잘 알려진 염증 및 신경변성의 동물 모델에서 나타내는 효과를 조사했다.
EAE는 6 내지 8주 된 C57BL/6 암컷 마우스에게 프로인트 불완전 보조제(CFA, Sigma-Aldrich, Madrid, Spain)와 1:1 혼합물로 만든 미엘린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폴리펩타이드(MOG35-55)(300㎍) 및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 Difco, Franklin Lakes, NJ, USA) 200㎍을 피하 면역화시켜 유도했다. 같은 날, 그리고 2일 후에는 0.1ml PBS 중의 200ng 백일해 독소(Sigma-Aldrich, Madrid, Spain)를 복강내(ip) 주사했다. 대조용 동물(CFA)에게는 MOG 없이 동일한 에멀젼을 접종했고, 백일해 독소를 투여하지 않았다. 처리는 면역화(p.i.)후 6일째 시작했고, 이후 21일 동안 화합물 III(도 6) 및 XII(도 8)를 제시된 용량으로 매일 주사하거나 또는 매개제만(DMSO/PBS)을 주사했다. 마우스의 EAE 임상 징후를 매일 검사했고, 질환 점수는 다음과 같이 측정했다: 0, 무 질환; 1, 약한 꼬리; 2, 약한 꼬리 및 뒷다리 허약; 3, 뒷다리 마비; 4, 뒷다리 및 앞다리 마비; 5, 빈사 및 사망. 모든 동물은 추가 분석을 위해 28일째(p.i.) 죽였다. 죽이자마자, 동물을 해부하고, 척수를 빠르게 뽑아서 RNAlater(Sigma-Aldrich, Germany)에서 급속 동결시켰다.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 III은 (MOG35-55)를 피하 면역화하여 유도한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AE)의 임상 징후를 분명하게 약화시켰다. 매개제-처리된 마우스는 주사 후(pi) 16일경에 최고점인 2.5의 점수에 달하는 (최대 점수 3) 중증 질환을 발현시켰다. 화합물 III을 투여받은 마우스에서는 주사 후 17일째 최고에 달하는 질환이 실험의 전과정(6일 내지 28일) 동안 1.3의 점수에 이르지 않았다. EAE의 임상 징후는 매개제만을 투여받은 EAE 마우스의 척수에서 염증촉진성 유전자 Ccl2, iNOs, TNFa, IFNg, IL-1b IL-17의 발현과 상관성이 있었다. 이에 반해, 화합물 III을 투여받은 EAE 마우스에서는 상기 모든 매개변수들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도 7). 또한, 화합물 XII도 화합물 III과 같은 정도로 EAE 마우스의 임상 증상을 완화시켰음은 도 8에서 보여주며, 이는 본 발명에 기술된 화합물들의 소염 활성을 확인시켜 준다.
실시예 7. 헌팅턴병(3NP 모델)의 유도
미토콘드리아 복합 II 효소의 강력한 비가역성 억제제인 3-니트로프로피온산(3-NP)을 이용한 마우스의 중독은 동물 모델에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과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HD 병리상태의 몇 가지 양상을 생각나게 하는 무수한 신경학적,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효과를 초래한다. 예컨대, 3NP-처리된 마우스는 대조용 동물에 비해 뒷다리 접힘, 근육긴장이상, 곱사등 및 일반 보행성운동 활동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선조체의 병변은 성숙한(16주; 30g) C57BL/6 수컷 마우스(Harlan Iberica, Barcelona, Spain)에서 3-NP로 유도했다. 이를 위해, 마우스에게 50mg/kg 용량의 3NP(인산염 완충 식염수에 제조됨)를 3일 동안 7회 복강내(i.p.) 주사(12시간마다 1회 주사)로 처리했다. 이 동물들과 이들 각각의 무병변 대조군을 화합물 CBG-Q(화합물 I) 및 화합물 III 및 XII를 이용한 약리학적 연구에 사용했다(도 9). 적어도 6 내지 8마리의 동물을 실험 그룹마다 사용했다. 처리는 3NP 주사 30분 전에 매개제(DMSO 0.2%, BSA 5% 함유 PBS) 주사 또는 화합물을 제시된 용량으로 4회 i.p. 주사(매 24시간마다 1회 주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동물은 마지막 3NP를 주사하고 12시간 후에 안락사시켰다. 안락사시킨 즉시, 동물을 해부하고 뇌를 빠르게 분리했다. 우 반구는 선조체 해부에 사용했고, RNAlater(Sigma-Aldrich, Germany)에서 급속 동결시키고, 염증성 마커는 실시간 PCR로 분석했다. 좌 반구는 갓 제조한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0.1M 인산염 완충 식염수 중에)에 4℃에서 48시간 동안 고정시키고 조직 분석을 위해 파라핀 왁스에 매립시켰다. 마우스의 신경학적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행동 검사도 했다. 일반적 보행성 운동 활동, 뒷다리 접힘 및 근육긴장이상, 및 체간근육긴장이상을 평가했다. 모든 행동 검사는 조사 중인 화합물의 급성 효과를 피하기 위해 약물 주사 전에 수행했다.
도 9는 CBG-Q(화합물 I)가 3-NP 중독에 의해 유도된 임상 증상을 방지할 수 없지만, 화합물 III과 XII는 분명하게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3NP-병변이 있는 마우스의 선조체 실질은 이 실험 모델이 앓고 있는 염증 및 신경변성과 관련된 몇몇 조직학적 및 분자 마커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했다. 염증성 효소인 COX-2 및 iNOs의 발현은 3NP-병변이 있는 마우스에서 염증촉진성 사이토킨인 TNFα 및 IL-6의 발현 증가와 나란히 유의적으로 상승조절되었다. 화합물 III(도 10) 및 XII(도 11)는 3NP 처리된 마우스의 선조체에서 염증촉진성 마커 COX-2, iNOS, TNFα 및 IL-6의 상승조절을 약화시켰다.
도 12에서는 이 3NP 병변이 있는 동물의 선조체 실질이 이 선조체 실질에서 뉴런 마커의 면역표지화 시에 50%가 넘는 감소를 입증한 NeuN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확인되는 중요한 정도의 뉴런 사망을 나타냈음을 보여준다. 뉴런의 상실은 GFAP+ 세포의 현저한 감소(성상교세포증) 및 Iba-1+ 세포의 증가 발현(반응성 미세아교세포증)을 동반했다. 화합물 XII는 NeuN 염색으로 드러나는 것처럼, 3NP 독성에 대하여 선조체 뉴런의 보존을 야기했다. 더욱이, 화합물 XII에 의한 치료는 3NP에 의해 유도된 GFAP+ 세포의 상실을 상쇄시켰고, 반응성 미세아교세포증(Iba-1+ 세포)의 유도를 차단했다.
실시예 8. 파킨슨 질환의 유도(6-OHDA 모델).
화합물 III은 파킨슨 질환(PD)의 뮤린 모델에도 치료적 용도가 있었다.
뇌실내(i.c.v.)내로 전처리된 C57BL/6 마우스는 2,2,2-트리브로모에탄올(Sigma-Aldrich) 200mg/kg을 복강내(i.p.) 주사하여 마취시키고, 마우스 어댑터가 있는 정위(stereotaxic) 프레임(David Kopf Instruments, Tujunga, CA, USA)에 넣어두었다. 해밀턴 주사기(Hamilton, Bonaduz, Switzerland)를 사용하여 0.02% 아스코르브산 중의 6-OHDA-HBr 용액(5㎍/㎕)(Sigma Aldrich) 4㎕를 좌측 선조체에 다음과 같은 정위 좌표(전정점으로부터 mm)에 2회 침착물로 주사했다: AP, +0.65; L, -2.0; 배외측 선조체를 목표로 하는 V1, -4 및 V2, -3.5. 주사 후, 피부를 봉합하고, 동물을 정위 기구에서 빼내어, 가열 패드 위에 30분 동안 방치했다. 마우스에게 6-OHDA 주사 후 16h부터 시작해서 화합물 III(10mg/ml) 또는 매개제(14일)로 장기 복강내 치료를 받게 했다. 운동 좌표는 로타로드 검사(Ugo Basile, Rome, Italy)로 크레센트 속도(crescent speed)로 평가했다. 매일 마우스는 고정 막대에서 1min 훈련 기간을 갖게 했다. 마우스가 훈련 기간 동안 로타로드로부터 떨어지면, 다시 올려놓았다. 그 다음, 마우스의 수행력은 20분마다 5분 기간 동안 검사했다. 따라서, 막대의 속도는 5분 동안 40rpm까지 가동시켰다. 화합물 III 투여 또는 매개제 대조군 투여 후 병변이 있는 마우스가 막대에서 떨어지는 대기 시간을 매일 측정했다. 운동 활동(보행 활동, 평균 속도, 휴식 시간, 빠른 이동 및 뒷발로 서기(rearing) 횟수)은 컴퓨터 지원을 받는 활동량측정기로 평가했다(도 13).
도 13은 6-하이드록시도파민(6OHDA)에 의해 생긴 인간 PD(보행 활동, 평균 속도, 휴식 시간, 빠른 이동, 뒷발로 서기 횟수 및 로타로드 수행력의 변화)와 닮은 운동 증상의 출현이 화합물 III에 의한 치료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억제되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9. 조직학적 분석(실시예 7)
3NP 모델로부터 뇌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고정시키고, 뉴런의 마커인 NeuN(도 12a), 성상세포의 마커인 GFAP(도 12b) 및 미세아교세포의 마커인 Iba-1(도 12c)의 면역조직화학분석을 위해 5㎛ 두께의 절편을 이용했다. 면역조직화학을 위해, 절편은 4℃에서 (i) 1/100로 사용된 모노클로널 항마우스 NeuN 항체(Millipore, MA, USA); (ii) 1/50로 사용된 모노클로널 항마우스 Iba-1 항체(Millipore, MA, USA), (iii) 1/50로 사용된 모노클로널 항마우스 GFAP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CA, USA)와 밤새 항온처리했다. 각각의 1차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 절편은 0.1M PBS에 세척하고, 4℃에서 염소 항마우스(Millipore, MA, USA) 2차 항체와 밤새 항온처리했다. 반응은 디아미노벤지딘으로 발현시켰다. 1차 항체를 제외한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음성 대조군 절편도 수득했다. 각 면역조직화학 절차의 모든 절편들은 동시에 동일한 조건 하에 처리했다. 슬라이드 관찰 및 사진촬영을 위해 Leica DM2500 현미경과 Leica DFC 420C 카메라를 사용했고, 모든 영상 처리는 미국 국립보건원(Bethesda, MD, USA)에서 개발하고 무료로 배포한 소프트웨어인 ImageJ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실시예 10. 본 발명에 사용된 실시간 정량 PCR(실시예 6 및 7).
총 RNA는 선조체(3NP 모델) 또는 척수(EAE 모델)로부터 RNeasy Lipid Tissue Mini Kit(Qiagen, GmbH)를 사용하여 분리했다. 추출된 RNA의 총량은 분광분석법으로 260nm에서 정량분석하고 260nm와 280nm 사이의 흡광도 값 간의 비로부터 순도를 평가했다. 게놈 DNA는 DNA 오염을 없애기 위해 제거했다. 일본쇄 상보성 DNA는 1㎍ 이하의 총 RNA(그룹 당 동물 적어도 3마리의 합산물)로부터 iScript™ cDNA 합성 키트(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합성했다. 반응 혼합물은 효소적 증폭을 수행할 때까지 -20℃에 동결시켜두었다. iQ™ SYBR Green Supermix(Bio-Rad)는 질환 모델에 따라 COX-2, TNF-α, IL-6, IL-7, IL-1β, IFN-γ, CCL-2 또는 iNOS의 mRNA 수준을 정량분석하는데 사용했다. 실시간 PCR은 CFX96 실시간 PCR 검출 시스템(Bio-Rad)을 사용하여 수행했다. GAPDH 하우스키핑 유전자를 사용하여 각 샘플의 mRNA 발현 수준을 표준화했다. 발현 수준은 2-△△Ct 방법으로 계산했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의 서열은 표 2에 제시했다.
정량적 폴리머라제 사슬 반응에 사용된 마우스 프라이머 서열 목록
유전자 순방향 역방향
IL-6 5'-GAACAACGATGATGCACTTGC-3' 5'-TCCAGGTAGCTATGGTACTCC-3'
IL-1β 5'-CTCCACCTCAATGGACAGAA-3' 5'-GCCGTCTTTCATTACACAGG-3'
Ccl2 5'-GGGCCTGCTGTTCACAGTT-3' 5'-CCAGCCTACTCATTGGGAT-3'
IFNγ 5'-CTCAAGTGGCATAGATGTGGAAG-3' 5'-GCTGGACCTGTGGGTTGTTGA-3'
IL-17 5'-CCTCAGACTACCTCAACCGTTC-3' 5'-TTCATGTGGTGGTCCAGCTTTC-3'
iNOS 5'-AACGGAGAACGTTGGATTTG-3' 5'-CAGCACAAGGGGTTTTCTTC-3'
COX-2 5'-TGAGCAACTATTCCAAACCAGC-3' 5'-GCACGTAGTCTTCGATCACTATC-3'
TNFα 5'-AGAGGCACTCCCCCAAAAGA-3' 5'-CGATCACCCCGAAGTTCCCATT-3'
GAPDH 5'-TGGCAAAGTGGAGATTGTTGCC-3' 5'-AAGATGGTGATGGGCTTCCCG-3'

본 발명의 결과는 본 발명에 기술된 화합물들, 특히 화합물 II, III, IV, V 및 XII가 신경염증 및 신경독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변성 질환 및 외상성 뇌 장애에 치료적 용도가 있음을 입증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특히 염증 질환(최신 기술의 표 1 참조), 대사 질환 및 II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PPARg 작용제로써 특히 적합하다.
참고 문헌:
* Ahmadian M, Suh JM, Hah N, Liddle C, Atkins AR, Downes M, Evans RM. PPARγ signaling and metabolism: the good, the bad and the future. 2013. Nat Med. 19:557-66
* Barish GD, Narkar VA, Evans RM. 2006. PPARδ: a dagger in the heart of the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6:590-597
* Bernardo, A., Minghetti, L., 2008. Regulation of Glial Cell Functions by PPAR- gamma natural and Synthetic Agonists. PPAR Res. 2008, 864140.
* Bolton JL, Trush MA, Penning TM, Dryhurst G, Monks TJ. Role of quinones in toxicology. 2000. Chem Res Toxicol. 3:135-60.
* Burstein S. 2005. PPAR-gamma: a nuclear receptor with affinity for cannabinoids. Life Sci. 77:1674-84.
* Ciudin A, Hernandez C, Simo R. 2012. Update on cardiovascular safety of PPARgamma agonists and relevance to medicinal chemistry and clinical pharmacology. Curr Top Med Chem.. 12: 585-604.
* Doshi LS, Brahma MK, Bahirat UA, Dixit AV, Nemmani KV. 2012.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selective PPAR gamma modulators as safe and effective antidiabetic agents. Expert Opin Investig Drugs. 19:489-512.
* Fievet C, Fruchart JC, Staels B, 2006. PPAR alpha and PPAR gamma dual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type2 diabetes and the metabolicsyndrome. Curr. Opin. Pharmacol. 6: 606-614.
* Gelman, L., Feige, J.N., Desvergne, B., 2007. Molecular basis of selective PPARgamma modulation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Biochim. Biophys.Acta 1771: 1094-1107.
* Granja AG, Carrillo-Salinas F, Pagani A, Gomez-Canas M, Negri R, Navarrete C, Mecha M, Mestre L, Fiebich BL, Cantarero I, Calzado MA, Bellido ML, Fernandez-Ruiz J, Appendino G, Guaza C, Munoz E. 2012. A cannabigerol quinone alleviates neuroinflammation in a chronic model of multiple sclerosis. J Neuroimmune Pharmacol. 4:1002-16
* Kostadinova R, Wahli W, Michalik L. 2005. PPARs in diseases: control mechanisms of inflammation. Curr Med Chem. 12: 2995-3009
* Lehmann JM, Moore LB, Smith-Oliver TA, Wilkison WO, Willson TM, Kliewer SA. 1995. An antidiabetic thiazolidinedione is a high affinity ligand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 gamma). J Biol Chem. 270:12953-6.
* Liu J, Li H, Burstein SH, Zurier RB, Chen JD, 2003. Activation and binding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by synthetic cannabinoid ajulemic acid. Mol. Pharmacol. 63: 983-992.
* Monks TJ, Jones DC. 2002. The metabolism and toxicity of quinones, quinonimines, quinone methides, and quinone-thioethers. Curr Drug Metab. 4:425-38.
* Na HK, Surh YJ. 2013. Oncogenic potential of Nrf2 and its principal target protein heme oxygenase-1. Free Radic Biol Med. 67:353-365
* O'Sullivan SE. 2007. Cannabinoids go nuclear: evidence for activ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Br J Pharmacol. 152:576-82.
* Poulsen L, Siersbaek M, Mandrup S. PPARs: fatty acid sensors controlling metabolism. 2012. Semin Cell Dev Biol. 23:631-639.
* Rosen ED, MacDougald OA.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7:885-96.
* Singh, J. Petter, R. C. Baillie, T. A. Whitty, A. 2011. The resurgence of covalent drugs. Nat. Rev. Drug Discov. 10: 307-17
* Solis LM, Behrens C, Dong W, Suraokar M, Ozburn NC, Moran CA, Corvalan AH, Biswal S, Swisher SG, Bekele BN, Minna JD, Stewart DJ, Wistuba II. 2010. Nrf2 and Keap1 abnormalities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and association with clinicopathologic features. Clin Cancer Res. 16:3743-53
* M.B. Sporn, K.T. Liby. 2012. NRF2 and cancer: the good, the bad and the importance of context. Nat. Rev. Cancer. 12: 564-57
* Stienstra R, Duval C, Muller M, Kersten S, 2007. PPARs, obesity, and inflammation. PPAR Res. 95974.
* Sun Y, Bennett A. 2007. Cannabinoids: A New Group of Agonists of PPARs. PPAR Res. 23513.
* Szeles, L., Torocsik, D., Nagy, L., 2007. PPARgamma in immunity and inflammation: cell types and diseases. Biochim. Biophys. Acta 1771: 1014-1030.
* Tachibana K, Yamasaki D, Ishimoto K, Doi T. 2008. The Role of PPARs in Cancer. PPAR Res. 102737.
* Tontonoz P, Spiegelman BM. 2008. Fat and beyond: the diverse biology of PPARgamma. Annu Rev Biochem. 77: 289-312.
* Vanden Berghe W, Vermeulen L, Delerive P, DeBosscher K Staels B, Haegeman G. 2003. A paradigm for gene regulation: inflammation, NF-kB and PPAR. Adv.Exp.Med.Biol. 544:181-196.
* Vivacell Biotechnology Espana, S.L. 2011. Cannabinoid quinone derivatives. WO 2011117429 A1.

Claims (10)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
    화학식 (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83

    [여기서, R은 아릴,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카르보닐 기로 표현되는 그룹의 탄소 원자이거나; 또는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아미노,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아미노 기로 표현되는 그룹의 질소 원자이거나; 또는 R은 이량체를 형성하는 화학식 (I)의 두 분자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2. 다음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화학식 (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84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톡시카르보닐-[1,4]벤조퀴논.
    화학식 (I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85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에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IV)
    Figure 112021149174283-pct00086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펜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
    Figure 112021149174283-pct00087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이소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88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89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0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이소프로필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IX)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1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벤질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2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2,2-디메틸-프로필 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3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3-메틸-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4

    3,3'-비스((E)-3,7-디메틸-옥타-2,6-디에닐)-4,4'-디하이드록시-6,6'-디펜틸-1,1'-비(사이클로헥사-3,6-디엔)-2,2',5,5'-테트라온.
  3.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 및 경우에 따라 부가적 또는 상승작용적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적어도 추가 활성 화합물 및/또는 적어도 약학적 불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간 섬유증, 신장병증, 건선, 피부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췌장염, 위염, 신경변성 장애, 신경염증성 장애, 피부경화증, 암, 고혈압, 비만 또는 II형 당뇨병 중에서 선택되는 PPARg 매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5

    [여기서, R은 아릴,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카르보닐 기로 표현되는 그룹의 탄소 원자이거나; 또는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아미노,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아미노 기로 표현되는 그룹의 질소 원자이거나; 또는 R은 이량체를 형성하는 화학식 (I)의 두 분자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4. 화학식 (II) 내지 (X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 및 경우에 따라 부가적 또는 상승작용적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적어도 추가 활성 화합물 및/또는 적어도 약학적 불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간 섬유증, 신장병증, 건선, 피부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췌장염, 위염, 신경변성 장애, 신경염증성 장애, 피부경화증, 암, 고혈압, 비만 또는 II형 당뇨병 중에서 선택되는 PPARg 매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화학식 (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6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톡시카르보닐-[1,4]벤조퀴논
    화학식 (I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7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에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IV)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8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펜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
    Figure 112021149174283-pct00099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이소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
    Figure 112021149174283-pct00100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101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메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VI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102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이소프로필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IX)
    Figure 112021149174283-pct00103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벤질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
    Figure 112021149174283-pct00104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2,2-디메틸-프로필 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I)
    Figure 112021149174283-pct00105

    6-(3,7-디메틸-옥타-2,6-디에닐)-5-하이드록시-3-펜틸-2-(3-메틸-부틸아미노)-[1,4]벤조퀴논
    화학식 (XII)
    Figure 112021149174283-pct00106

    3,3'-비스((E)-3,7-디메틸-옥타-2,6-디에닐)-4,4'-디하이드록시-6,6'-디펜틸-1,1'-비(사이클로헥사-3,6-디엔)-2,2',5,5'-테트라온.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약제로써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PPARg 매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간 섬유증, 신장병증, 건선, 피부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췌장염, 위염, 신경변성 장애, 신경염증성 장애, 피부경화증, 암, 고혈압, 비만 또는 II형 당뇨병 중에서 선택되는 PPARg 매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약제로써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KR1020167025830A 2014-02-27 2015-02-12 카나비제롤 유도체 KR102422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6954.1A EP2913321B1 (en) 2014-02-27 2014-02-27 Novel cannabigerol derivatives
EP14156954.1 2014-02-27
PCT/EP2015/053032 WO2015128200A1 (en) 2014-02-27 2015-02-12 Novel cannabigerol derivat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006A KR20160126006A (ko) 2016-11-01
KR102422492B1 true KR102422492B1 (ko) 2022-07-19

Family

ID=5018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830A KR102422492B1 (ko) 2014-02-27 2015-02-12 카나비제롤 유도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802880B2 (ko)
EP (1) EP2913321B1 (ko)
JP (1) JP6619349B2 (ko)
KR (1) KR102422492B1 (ko)
CN (1) CN106061937B (ko)
AU (1) AU2015222384B2 (ko)
BR (1) BR112016019891B1 (ko)
CA (1) CA2937275C (ko)
DK (1) DK2913321T3 (ko)
ES (1) ES2894760T3 (ko)
IL (1) IL247149B (ko)
MX (1) MX358084B (ko)
RU (1) RU2684913C2 (ko)
WO (1) WO2015128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396637A1 (en) 2018-12-11 2021-07-08 Emerald Health Pharmaceuticals Inc Cannabigerol quinone acid and salts thereof
WO2021102567A1 (en) * 2019-11-26 2021-06-03 Canopy Growth Corporation Cannabigerol derivatives and use thereof as cannabinoid receptor modulators
GR1010219B (el) * 2021-01-22 2022-04-08 Ekati Alchemy Lab Sl, Φαρμακευτικα προϊοντα βασισμενα σε εστερες κανναβινοειδων οξεων
AU2022361227A1 (en) * 2021-10-06 2024-03-28 Juva Life, Inc. Cannabigeroquinone compounds, compositions including such compounds, and uses of such compounds and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2273B (fi) * 1989-09-11 1998-11-13 Eisai Co Ltd Kinonijohdannaiset, niiden valmistaminen ja niiden farmakologinen käyt tö
EP1766407A2 (en) * 2004-06-18 2007-03-28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and use of compounds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drug resistant cancer cells
WO2011117429A1 (es) 2010-03-26 2011-09-29 Vivacell Biotechnology España, S.L Derivados quinona de cannabinoid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IMICA AND BIOPHYSICA ACTA. MOLECULAR AND CELL BIOLOGY OF LI PIDS, 2007, 1771(8), pp.1094-11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3321A1 (en) 2015-09-02
WO2015128200A1 (en) 2015-09-03
IL247149B (en) 2019-11-28
IL247149A0 (en) 2016-09-29
BR112016019891A2 (pt) 2017-10-24
RU2016132415A (ru) 2018-04-02
MX2016010952A (es) 2017-02-02
CA2937275A1 (en) 2015-09-03
CA2937275C (en) 2022-03-29
KR20160126006A (ko) 2016-11-01
DK2913321T3 (da) 2021-10-25
JP6619349B2 (ja) 2019-12-11
MX358084B (es) 2018-08-03
US9802880B2 (en) 2017-10-31
RU2684913C2 (ru) 2019-04-16
CN106061937A (zh) 2016-10-26
JP2017513810A (ja) 2017-06-01
ES2894760T3 (es) 2022-02-15
CN106061937B (zh) 2021-07-27
AU2015222384A1 (en) 2016-10-06
AU2015222384B2 (en) 2019-04-18
RU2016132415A3 (ko) 2018-09-28
EP2913321B1 (en) 2021-07-21
BR112016019891B1 (pt) 2023-01-10
US20170247308A1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1618B2 (en) Cannabidiol quinone derivatives
KR102422492B1 (ko) 카나비제롤 유도체
EP2551255B1 (en) Cannabinoid quinone derivatives
WO2015176539A1 (zh) 异喹啉生物碱衍生物用于制备促进ampk活性的药物的用途
KR20010071822A (ko) 특이적 티-형 칼슘 경로 차단제로서의 하이퍼리신 및하이퍼리쿰 추출물 및 이것의 특이적 티-형 칼슘 통로차단제로서의 용도
AU2014398232A1 (en) Pharmaceutical compounds
JP2019519464A (ja) ヒドロキサメートトリテルペノイド誘導体
CA2965898C (en) Fatty acid analogs
TW200302091A (en) Methods of treating sepsis
JP2020083811A (ja) 1,5−アンヒドロフルクトース誘導体を含むampk活性化剤
KR101349578B1 (ko) 식용 꾀꼬리버섯에서 분리된 신규 아세틸렌산 유도체 및 이의 용도
TWI478902B (zh) Glp-1增效劑及其應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