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118B1 -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 Google Patents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118B1
KR102422118B1 KR1020210064256A KR20210064256A KR102422118B1 KR 102422118 B1 KR102422118 B1 KR 102422118B1 KR 1020210064256 A KR1020210064256 A KR 1020210064256A KR 20210064256 A KR20210064256 A KR 20210064256A KR 102422118 B1 KR102422118 B1 KR 10242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hair
squalan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즈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즈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즈코스
Priority to KR102021006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plant component and hair shampoo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 중 가장 큰 기관으로 항상 외부환경과 직접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 가지 자극이나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기관에 비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성과 소멸이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이다. 또한, 물리적인 찰과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신체 내부의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며 태양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고, 몸의 체온을 조절해주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는 여러 가지 물리적 요인, 외부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한 외부 자극을 받게 되면 주름 생성, 탄력손실, 각질화 등과 같은 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 노화(혹은 내인성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자연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 인자로는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외적인 노화 현상은 주름 형성이다(Daniell HW, Ann. Intern. Med., 1971, 75(6), 873; Grove GL 등, J. Am. Acad. Dermatol., 1989, 21(3), 631; Griffiths CE 등, Arch. Dermatol., 1992, 128, 347). 자외선에 의해 야기되는 광노화 메커니즘 중의 하나는 자유 라디칼 경로를 경유하는 것이다(Harman D, J. Gerontol., 1956, 11(3), 298).
자유 라디칼들은 피부 콜라겐 등의 결합 조직 형성 파괴, 세포막 기능 저해, DNA 변이 촉진, 단백질 작용 변형, 세포 간 에너지 전이, 신진 대사와 관련된 분자들의 변형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avker RM 및 Kligman AM, J. Invest. Dermatol., 1988, 90, 325). 노화에 자유 라디칼이 관여한다는 사실은 자유 라디칼을 불활성화시키는 항산화제 또는 여러 가지 화학적 소거제들을 사용하여 노화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정상적인 세포에서도 대사과정 중 어느 정도의 자유 라디칼 (free radical)과 기타 활성산소 및 과산화물이 생성되고 있으나, 생체 내에는 이들에 대한 방어기구로서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제(SOD), 카탈라아제(catalase), 퍼록시다제 (peroxidase) 등의 항산화성 효소와 함께, 비타민 C, 비타민 E, 글루타치온(glutathione), 유비퀴논(ubiquinone), 요산(uric acid) 등의 항산화 물질이 존재하여 스스로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체방어기구에 이상이 초래되거나 각종 물리적, 화학적 요인들에 의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이 생체방어계의 용량을 초과하게 될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야기된다. 그러므로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것은 화장료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의 중화를 목적으로 토코페롤, 폴리페놀류, Coenzyme Q 10, BHT, BHA 등 항산화제가 폭 넓게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합성품으로서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 안전성이 문제화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높고, 사람의 피부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보증되며, 경제적이고 식물기원의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기대 속에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246호에는 항산화 및 노화 억제 활성을 가지는 박태기나무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6108호에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신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45575호에는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한 다양한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으나 항산화 활성 이외에 화장료에 요구되는 보습기능이나, 헤어제품에 요구되는 비듬/탈모방지, 모발의 윤기/부드러움을 개선하는 기능은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천연 식물을 이용하여친환경적이면서도 안전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보습성능이 우수하고, 헤어제품에 요구되는 비듬/탈모방지, 모발의 윤기/부드러움을 개선할 수 있는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막사리와 댕댕이덩굴을 포함하는 식물성분 및 스쿠알란의 혼합물을 발효시킨 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허브오일, 목초액, 죽초액, 프로폴리스, 꿀 및 맥반석 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쿠알란은 식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발효물은 스쿠알렌을 더 포함하며,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 중량 총합은 식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함유되되,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은 1:0.3 ~ 0.5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샴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식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안전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보습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헤어제품에 요구되는 비듬/탈모방지, 모발의 윤기/부드러움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뛰어나 피부 관련 제품뿐만 아니라 헤어제품에도 널리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가막사리와 댕댕이덩굴을 포함하는 식물성분 및 스쿠알란의 혼합물을 발효시킨 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식물성분은 가막사리와 댕댕이덩굴을 포함한다. 상기 가막사리(Bidens tripartita)는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논이나 개울에서 흔히 자란다. 가막사리는 결핵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하며 어린 순은 식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댕댕이덩굴(Coculus trilobus)은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서, 댕강넝쿨이라고도 한다. 생약의 목방기(木防己)는 줄기와 뿌리를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치열(治熱), 사습제(瀉濕劑), 신경통, 류머티즘, 수종(水腫), 이뇨(利尿) 등에 사용한다. 연한 순은 식용이 가능하나, 쓴맛이 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가막사리와 댕댕이덩굴은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 등과 같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가막사리 및 댕댕이덩굴은 1: 0.5 ~ 1.5 중량비로 함유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분에는 상술한 가막사리 및 댕댕이 덩굴 이외에 부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들로 콩, 흰민들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콩과 흰민들레는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더욱 증대시키기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부재료로 무환자나무 열매 껍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무환자나무 열매 껍질이 혼합되어 발효 시 모발의 윤기, 부드러운 촉감 개선에 도움이 되고, 특히 가려움증, 비듬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무환자나무 열매는 껍질을 이용함이 좋고, 열매 과실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인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부재료들로 복숭아, 참깨, 들깨, 다시마, 미역, 뽕나무, 들국화, 석창포, 인삼, 홍삼, 감초, 박하, 귤껍질, 무, 녹차, 편백나무, 측백나무, 동충하초, 호두, 양배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료들을 통해 다양한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다.
한편, 부재료들의 총 혼합량은 가막사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중량부일 수 있다. 다만, 무환자나무 열매 껍질을 함유 시 20 ~ 30 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중량부를 초과 시 가려움증이 오히려 커질 수 있고, 20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 시 상술한 무환자나무 열매 껍질 함유에 따른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술한 식물성분들은 잘게 분쇄된 상태로 후술하는 발효공정을 거치는 것이혼합될 보다 유리하다.
상기 식물성분들의 혼합물에 스쿠알란이 혼합된 뒤 발효를 거쳐 발효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
스쿠알란은 주로 심해산 상어류의 간유로부터 얻어진 스쿠알렌에 수소첨가로 수득된 것으로서 물리적으로 안정적이고, 피부 침투성도 우수해서 종래에 화장품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스쿠알란을 발효된 식물에 혼합하지 않고, 발효 전 상태의 가막사리 및 댕댕이덩굴 혼합물에 함께 혼합된 상태로 발효공정을 거침으로써 사용된 함량에 대비해 보다 높은 수준의 보습성능, 헤어의 윤기 및 부드러움 개선효과를 달성하는 것에 나아가 비듬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종래 스쿠알란이 화장료에 사용시 발현하는 효과로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써, 가막사리 및 댕댕이덩굴과 함께 발효됨으로써 발현되는 효과로 예상된다.
상기 스쿠알란은 식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고, 만일 5중량부 미만으로 함유시 상술한 스쿠알란 함유에 따른 효과의 발현이 미미할 수 있고, 만일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 시 발효물의 부패가 쉽고, 발효물의 층분리가 발생해 저장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쿠알란 이외에 스쿠알렌을 함께 사용 시 상술한 효과에 더욱 상승된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리하다. 이때, 상기 스쿠알란과 스쿠알렌의 중량 총합은 식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고, 상기 스쿠알란과 스쿠알렌은 1:0.3~0.5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스쿠알렌이 스쿠알란에 대비해 0.3 중량비 미만으로 함유 시 상승된 효과의 발현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스쿠알렌이 0.5 중량비를 초과해 함유 시 발효물의 부패가 쉽고, 헤어제품에 사용 시 가려움증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상술한 식물 성분과 스쿠알란의 혼합물은 미생물을 접종 및 발효시켜서 혼합 발효물로 구현될 수 있다. 발효 시 사용되는 미생물은 효모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세스 속 균주를 이용할 수 있다. 사카로미세스 속 균주로 사카로미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미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미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을 들 수 있다. 효모균으로 시판중인 건조효모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효모균을 배지에 접종한 후 40 내지 60℃에서 1 내지 3일 동안 배양시킨 미생물 배양액을 혼합 발효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배양액 1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로 물에 트립톤(tryptone),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글루코스(glucose), 염화나트륨(NaCl), 인산수소칼륨(K2HPO4)을 가하여 조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증류수 1ℓ에 트립톤 3g, 효모 추출물 3g, 글루코스 3g, NaCl 5g, K2HPO4 1g를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혼합물에 미생물을 접종한 후 20 내지 40℃에서 30 내지 60일 동안 발효시켜서 발효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발효 혼합물은 발효 후 체나 여과포로 걸러내어 고형분이 제거된 혼합 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발효과정을 통해 혼합 발효물을 수득한 후 각종 공지의 성분 등을 추가하여 제형화시킬 수 있다. 제형의 종류로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오일, 바디로션, 클렌징오일, 클렌징폼, 헤어오일, 헤어샴푸, 헤어린스 및 헤어트리트먼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제형으로 혼합 발효물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헤어샴푸이다. 계면활성제는 세정효과를 보다 개선시키는데 유리하며,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인 범위 이내에서 적절하게 첨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DLS(Disodium Lauryl Sulfosuccinate),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마그네슘, CDA, LE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코코베타인(coco betain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로 천연계면활성제를 이용한다. 천연계면활성제로 호호바 오일, 코코넛, 콩, 올리브, 쌀겨, 달맞이꽃 오일 등에서 추출된 식물성 천연계면활성제(biosurfactant) 등이 있다. 또한, 천연계면활성제로 레시틴, 사포닌, 아르간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 발효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발효물이 0.01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함량에 비해 상승된 효과를 가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팩인 경우 공지의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셀롤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비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스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롤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세정제인 경우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공지된 성분인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천연 향료 등이 이용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사용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형의 일 예로 화장수는 에탄올 1.5중량%, 내추럴 리퀴드 1.0중량%, 베타인 3.0중량%, 디엘 판테놀 3.0중량%, 세붐-A 1.0중량%, 알부틴 페이스트 2.0중량%, 아네노신 2.0중량%, 에코검 0.03중량%, 글리세린 4.0중량%, 콜라겐 1.0중량%, 혼합 발효물 5.0중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일 예로 로션은 카보머 1.0중량%, 디메치콘 2.0중량%, 호호바 오일 5.0중량%, 프로비타민E 0.5중량%, 올리브 유화왁스 1.0중량%, 알부틴 페이스트 5.0중량%, T-믹스처 1.2중량%, 폼믹스처 1.0중량%, 바타인 1.0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플렉스오일 5.0중량%, 알부틴 페이스트 5.0중량%, 혼합 발효물 5.0중량%, 블랜딩 에센스 오일(미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일 예로 크림은 세테아릴알코올 1.5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중량%, 폴리소르베이트60 1.0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중량%, 세틸옥타노에이트 6.0중량%,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중량%,디메치콘 2.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중량%, 혼합 발효물 5.0중량%, 블랜딩 에센스 오일(미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일 예로 에센스는 에탄올 1.5중량%, 내추럴 리퀴드 1.0중량%, 카보머 1.0중량%, 베타인 3.0중량%, 아데노신 2.0중량%, 알부틴 페이스트 5.0중량%, 히알루론산나트륨수용액(1%) 0.03중량%, 디엘 판테놀 3.0중량%, 글리세린 4.0중량%, 세붐-A 1.0중량%, 혼합 발효물 5.0중량%, 블랜딩 에센스 오일(미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일 예로 파운데이션은 스테아릭애씨드 2.0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5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중량%, 폴리소르베이트60 0.5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7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랩씨드오일 2.0중량%, 해바라기유 5.0중량%, 스쿠알란 6.0중량%, 세틸옥타노에이트 4.0중량%, 사이클로메치콘 2.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6중량%, 산탄검 0.05중량%, 이산화티탄 10.0중량%, 탈크 3.0중량%, 하이드레이티드페릭옥사이드 1.3중량%, 페릭옥사이드 0.3중량%, 페러스-페릭옥사이드 0.15중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 혼합 발효물 5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일 예로 팩은 프로필렌글리콜 0.5중량%, 내추럴 리퀴드 1.0중량%, 폴리비닐알코올 3.0중량%, 에탄올 3.0중량%, 카보머 1.0중량%, 콜라겐 2.0중량%, 에코검 1.0중량%, 펩타이드RF 1.0중량%, 디엘 판테놀 3.0중량%, 글리세린 4.0중량%, 세붐 -A 1.0중량%, 아데노신 2.0중량%, 혼합 발효물 5.0중량%, 블랜딩 에센스오일(미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일 예로 헤어샴푸는 폴리 쿼터니움 0.5중량%, 내추럴 리퀴드 1.0중량%, 코카미도 프로필베타인 3.0중량%, 베타인 3.0중량%, CDA 7.0중량%, LES 25.0중량%, 코코베테인 5.0중량%, 콜라겐 1.0중량%, 디엘 판테놀 3.0중량%, 글리세린 4.0중량%, 세붐-A 1.0중량%, 아데노신 2.0중량%, 혼합 발효물 5.0중량%, 블랜딩 에센스오일(미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로 조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 발효물 외에 허브오일, 목초액, 죽초액, 프로폴리스, 꿀, 맥반석 가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0.01 내지 5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허브오일, 목초액, 죽초액, 프로폴리스, 꿀, 맥반석 가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제형화단계에서 각종 첨가물과 함께 첨가될 수 있다. 또한, 금가루나 은가루가 더 첨가될 수 있다.
허브오일로 통상적인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라벤더, 로즈마리, 제라늄, 카모마일, 아보카드, 썬플라워, 호호바, 라임블라섬, 세이지, 레몬그라스, 레몬버베나, 로즈힙, 시나몬, 자크로, 스위트펜넬, 진저, 샤프란, 에키나세아, 쟈스민, 캐러웨이, 히비스커스, 마리골드, 티트리, 아카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잎, 꽃 또는 줄기에서 추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목초액, 죽초액, 프로폴리스, 꿀, 맥반석 가루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참깨, 알로에, 율무, 녹두, 미강, 사과, 숯, 밤나무, 복숭아, 하수오, 녹차, 수세미, 대황 등의 분말이나 추출물이 더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실리실산, 피리티온 아연액, 비오틴, 덱스판테놀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실리실산, 피리티온 아연액, 비오틴, 덱스판테놀은 헤어 샴푸에 유용하다. 실리실산은 두피각질 개선과 모발의 영양공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피리티온 아연액은 두피트러블과 비듬개선에 도움을 주며, 피지 발란스 조절에 도움을 준다. 비오틴은 가늘고 힘이 없는 모근을 강화시키고, 덱스판테놀은 손상된 모발과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진정 및 보습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 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가막사리의 잎과 댕댕이덩굴의 잎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믹서기로 분쇄하여 식물 성분을 준비하였다.
식물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쿠알란을 5중량부 혼합시킨 혼합물 100 중량부에 설탕 20중량부를 혼합한 후 효모균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DSM Food, France) 0.1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에서 45일 동안 발효시킨 다음 여과포로 걸러 혼합 발효물을 얻었다.
상기 혼합 발효물 25중량%에 식물성 천연계면활성제 20중량%(코코베타인), 정제수 55중량%를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로써 헤어샴푸를 제조하였다.
<피부 테스트 실험>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1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피부 테스트를 위해 총 20명의 남녀(평균연령 32.6세)의 등 부위에 시료를 함유한 특수한 첩포(IQ chamber,Chemotechnique, Sweden)를 붙인 후 24시간이 경과하여 떼어내고 30분 후 판독하는 표준화된 안전성 평가방법인 24h single epicutaneous patch test로 수행하였다.
피부의 반응정도는 홍반, 부종, 가피 및 얕은 궤양 등에 관한 ICDRG(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평가 기준표에 의해 1~4점으로 결정하여 총 평균값으로 기록하였다.
피부자극의 개연성은 평균평점기준으로 전체 피시험자의 20%인 4명 이상에서 피부반응 2 이상의 반응이 있는 경우로 약 평균평점 4.5 이상인 경우이다(ICDRG score index 0~1.5: 피부 자극 없음, 1.5~2.5: 피부 자극이 없는 수준의 미약한 홍반, 2.5~4.5: 경미한 홍반과 부종으로 추가 확인시험 필요, >4.5:피부자극의 개연성이 있음).
피부테스트 실험결과 피부자극도가 1.5 미만으로 평가되어 피부 자극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스쿠알란을 스쿠알란과 스쿠알렌이 1: 0.4 중량비로 함유된 혼합물로 변경하여 헤어샴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스쿠알란을 포함하지 않고 발효시킨 발효물을 포함하는 헤어샴푸를 제조했다.
<비교예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스쿠알란을 혼합물에 함유시키지 않고, 식물성분이 발효된 발효물에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중량부 포함시켜서 헤어샴푸를 제조했다.
<실험예1>
실시예1 ~ 2, 비교예 1 ~ 2에 따른 헤어샴푸에 대해서 보습효과, 비듬방지, 가려움방지 효과를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이를 위해 10~50세의 연령대인 성인 남녀 40명을 선발하였다. 피검자들을 무작위로 10명씩 실시예1~2, 비교예1~2 각각의 헤어샴푸로 그룹별로 매일 한번씩 통상적인 방법으로 머리를 감도록 하였다. 실험시작 세 달 후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비듬방지 정도에 대해서 5점척도법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비듬방지 모발윤기/부드러움
실시예1 4.7 4.8 4.6 4.5
실시예2 4.9 4.8 4.8 4.8
비교예1 4.1 4.5 4.1 2.5
비교예2 4.2 4.5 4.2 2.9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헤어샴푸는 보습, 가려움증완화, 비듬방지 및 모발윤기, 부드러움 개선에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스쿠알란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1이나, 발효 후 스쿠알란을 함유시킨 비교예2의 경우 실시예1에 대비해 보습, 가려움증 완화, 비듬방지, 모발윤기, 부드러움 개선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가막사리와 댕댕이덩굴을 1:0.5 ~ 1.5 중량비로 포함하는 식물성분,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의 혼합물을 발효시킨 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의 중량 총합은 식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함유되며,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은 1:0.3 ~ 0.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허브오일, 목초액, 죽초액, 프로폴리스, 꿀 및 맥반석 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샴푸.
KR1020210064256A 2021-05-18 2021-05-18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242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56A KR102422118B1 (ko) 2021-05-18 2021-05-18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56A KR102422118B1 (ko) 2021-05-18 2021-05-18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118B1 true KR102422118B1 (ko) 2022-07-20

Family

ID=8260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56A KR102422118B1 (ko) 2021-05-18 2021-05-18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11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616A (ko) * 2001-06-15 2002-12-28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약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JP2006290775A (ja) * 2005-04-08 2006-10-26 Haba Laboratories Inc 油性皮膚外用剤
KR20120101897A (ko) * 2011-03-07 2012-09-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발효 및 가수분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KR20150105091A (ko) * 2014-03-07 2015-09-16 서명숙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JP2016169215A (ja) * 2015-03-13 2016-09-23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毛髪処理用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毛髪のキューティクル損傷を抑制する方法
KR20170025542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4411B1 (ko) * 2017-07-13 2018-08-02 주식회사 뷰티채널 미백 및 보습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616A (ko) * 2001-06-15 2002-12-28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약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JP2006290775A (ja) * 2005-04-08 2006-10-26 Haba Laboratories Inc 油性皮膚外用剤
KR20120101897A (ko) * 2011-03-07 2012-09-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발효 및 가수분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KR20150105091A (ko) * 2014-03-07 2015-09-16 서명숙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JP2016169215A (ja) * 2015-03-13 2016-09-23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毛髪処理用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毛髪のキューティクル損傷を抑制する方法
KR20170025542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4411B1 (ko) * 2017-07-13 2018-08-02 주식회사 뷰티채널 미백 및 보습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880561B (zh) 用于调节皮肤温度的含有紫竹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102100646B1 (ko)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27171B1 (ko) 아피오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7235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0828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2118B1 (ko) 발효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60062401A (ko)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3B1 (ko) 수선화 비늘줄기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027B1 (ko) 천연 추출물 및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931A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4241B1 (ko) 감 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2461687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1685B1 (ko)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