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47B1 - 냉장고용 김치통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김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47B1
KR102421447B1 KR1020180018821A KR20180018821A KR102421447B1 KR 102421447 B1 KR102421447 B1 KR 102421447B1 KR 1020180018821 A KR1020180018821 A KR 1020180018821A KR 20180018821 A KR20180018821 A KR 20180018821A KR 102421447 B1 KR102421447 B1 KR 10242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kimchi
depression
partition wal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645A (ko
Inventor
송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866Other details
    • B65D2501/24872Information, identification or 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은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하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버킷; 및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는 염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염도 센서는, 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이 상기 함몰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센서 커버;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며, 상기 함몰부 내로 유입되는 김치의 액상성분의 염도를 측정하는 전극이 구비되는 피시비; 및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시비를 차폐하는 피시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상기 함몰부의 내부를 액상수용공간과 상기 액상수용공간 하방의 피시비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 및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획벽이 상기 함몰부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구획벽과 상기 지지벽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피시비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구획벽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김치의 액상 성분을 하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구획벽의 하단에는 상기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김치통{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도 센서가 장착되는 냉장고용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김치를 보관할 수 있고, 김치의 신선한 맛을 보존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온도에서 오래 저장할 수 있도록 운전될 수 있다.
김치를 담는 김치통은 냉장고에 형성된 저장실에 투입되어 보관되고, 사용자는 필요시 김치통을 냉장고의 저장실에서 외부로 꺼내어 사용한다.
냉장고는 김치통 내부의 김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맛을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김치가 쉽게 시어지지 않고 맛을 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장고는 저장성을 향상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로 김치통 내부의 김치를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김치는 환경, 기후 또는 지역 특성 등에 따라 염도가 다를 수 있고, 염도에 따라 김치의 발효 속도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는 동일한 온도로 김치통을 보관하더라도 김치통 내부에 보관 중인 김치의 염도에 따라 김치의 숙성 정도가 달라지거나, 어느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저장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는 김치통 내부의 김치 염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김치 염도를 고려하여 저장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김치의 염도를 센싱할 수 있는 냉장고용 김치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김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수납공간 내 수납된 김치의 염도를 청결하고 신뢰성 높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김치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김치의 염도 센싱 결과를 냉장고로 무선 전송 가능한 염도 센서를 구비한 냉장고용 김치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은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하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버킷; 및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는 염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염도 센서는, 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이 상기 함몰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센서 커버;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며, 상기 함몰부 내로 유입되는 김치의 액상성분의 염도를 측정하는 전극이 구비되는 피시비; 및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시비를 차폐하는 피시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상기 함몰부의 내부를 액상수용공간과 상기 액상수용공간 하방의 피시비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 및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획벽이 상기 함몰부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구획벽과 상기 지지벽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피시비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구획벽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김치의 액상 성분을 하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구획벽의 하단에는 상기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시비에는 한 쌍의 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에는 한 쌍의 슬리브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전극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지지벽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바텀 피시비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상기 구획벽과 지지벽과 바텀 피시비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몰딩된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 상기 구획벽에서 상기 피시비를 향해 연장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리브의 하단은 상기 피시비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 커버에는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 관통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센서 커버의 중앙을 기준으로 최내측 투입홀들 사이의 거리 보다 길고, 최외측 투입홀들 사이의 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시비에는 한 쌍의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한 쌍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측정 소자; 상기 측정 소자의 측정 결과를 리더기로 전송하는 태그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에는 상기 함몰부에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킷의 하면에는 상기 김치통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버킷이 결합되고, 상기 로어 버킷에는 상기 함몰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킷의 하판 상면과, 상기 센서 커버의 상면은 동일 높이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김치의 염도를 감지하는 염도 센서는 센서 커버에 의해 김치의 수납공간과 분리되게 장착되어 김치 보관의 청결성과 위생성을 확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염도 센서는 피시비가 수용되는 피시비수용공간이 김치가 수용 또는 수납되는 공간과 분리되게 장착되어, 피시비가 김치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김치가 수용되는 액상수용공간의 바닥면을 전극 관통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배지게 형성함으로써, 전극을 통한 염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김치의 액상 성분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도 김치의 염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피시비 케이스의 지지벽은 구획벽을 지지하는 동시에 피시비수용공간을 형성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피시비 케이스의 지지 리브는 센서 커버를 통과한 김치에 의해 구획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로어 버킷의 하판에는 함몰부가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김치의 수납공간의 높이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워를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형성된 드로워가 출납되는 저장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장실에 출납되는 드로워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김치통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에 장착되는 염도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에 장착되는 염도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과, 드로워 및 김치통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냉장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워를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형성된 드로워가 출납되는 저장실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장실에 출납되는 드로워 및 드로워에 수용되는 김치통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복수개의 저장실(U)(C)(L)이 형성된 캐비닛(90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저장실(U)(C)(L)은 캐비닛(901)에 형성된 베리어(911)(912)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저장실(U)(C)(L)은 어퍼 저장실(U)과 센터 저장실(C)과 로어 저장실(L)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은 내부에 어퍼 저장실(U)이 형성된 어퍼 이너 케이스(913)와, 내부에 센터 저장실(C)이 형성된 센터 이너 케이스(914)와 내부에 로어 저장실(L)이 형성된 로어 이너 케이스(915)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복수개의 저장실(U)(C)(L)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거나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 드로워(918)(9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918)(920)는 저장실 내부를 향해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저장실로 삽입될 수 있고,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캐비닛(1)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냉장고는 어퍼 저장실(U), 센터 저장실(C) 및 로어 저장실(L) 중 드로워(918)(920)가 배치되지 않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9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어퍼 저장실(U), 센터 저장실(C) 및 로어 저장실(L) 중 드로워(918)(920)가 배치되는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리더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리더부(300)에 대해서는 도 17 내지 도 1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919)는 캐비닛(1)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회전 동작되면서 드로워(918)(920)가 배치되지 않는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도어(919)는 어퍼 저장실(U)을 개폐하게 연결될 수 있고, 센터 저장실(C)과 로어 저장실(L) 각각에는 드로워(918)(920)가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저장실(C)과 로어 저장실(L) 각각에 배치되는 드로워(918)(920)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서로 상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드로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920)에는 보관공간(R)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920)는 전, 후, 좌, 우 총 4개의 벽체(29A)(29B)(29C)(29D)를 갖는 바스켓(929)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공간(R)은 전방 벽체(29A), 후방 벽체(29B), 좌측 벽체(29C) 및 우측 벽체(29D)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관공간(R)을 갖는 드로워(920)는 바스켓(929)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도어(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930)는 드로워(920)가 삽입되는 저장실(C)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저장실(C)의 전방에서 저장실(C)을 개폐할 수 있다.
드로워(920)의 보관공간(R)에는 후술하는 김치통(1)이 보관될 수 있고, 드로워(920)는 저장실에 출납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
한편, 냉장고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1)와, 압축기(20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202)와, 응축기(202)로 외기를 송풍하는 응축팬(203)과, 응축기(20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204)(205)(206)와, 저장실(U)(C)(L)을 냉각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07)(208)(209)와, 저장실의 냉기를 증발기(207)(208)(209)와 저장실로 순환하는 냉각팬(210)(211)(212)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각 저장실(U)(C)(L)이 각각의 증발기에 의해 독립 냉각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어퍼 저장실(U)을 냉각하는 어퍼 증발기(207)와, 센터 저장실(C)을 냉각하는 센터 증발기(208) 및 로어 저장실(L)을 냉각하는 로어 증발기(209)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210)(211)(212)은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저장실로 송풍하는 것으로서, 각 저장실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냉각팬(210)(211)(212)은 어퍼 저장실(U)의 냉기를 어퍼 증발기(207)와 어퍼 저장실(U)로 순환시키는 어퍼 냉각팬(210)과, 센터 저장실(C)의 냉기를 센터 증발기(208)와 센터 저장실(C)로 순환시키는 센터 냉각팬(211) 및 로어 저장실(L)의 냉기를 로어 증발기(209)와 로어 저장실(L)로 순환시키는 로어 냉각팬(212)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어퍼 증발기(207)와 센터 증발기(208) 및 로어 증발기(209)로 유동되는 냉매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213)(214)(215)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증발기(207)에는 어퍼 팽창기구(204)가 연결될 수 있고, 어퍼 팽창기구(204)에는 어퍼 팽창기구(204)로 유동되는 냉매를 단속하는 어퍼 밸브(213)가 연결될 수 있다.
센터 증발기(208)에는 센터 팽창기구(205)가 연결될 수 있고, 센터 팽창기구(205)에는 센터 팽창기구(205)로 유동되는 냉매를 단속하는 센터 밸브(214)가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증발기(209)에는 로어 팽창기구(206)가 연결될 수 있고, 로어 팽창기구(206)에는 로어 팽창기구(206)로 유동되는 냉매를 단속하는 로어 밸브(215)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팬에서 송풍된 공기를 저장실로 토출하는 냉기토출구(237)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덕트(238)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덕트(238)는 도어(219)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9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팬에서 송풍된 공기를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덕트(D1)(D2)가 형성된 냉기덕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덕트(40)는 한 쌍의 수납공간(R1)(R2)이 삽입되는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91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보관공간(R)을 가열하는 히터(9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980)는 드로워(920)나 캐비닛(1)에 장착될 수 있다.
히터(980)는 드로워(920), 특히 바스켓(929)에 장착되어 보관공간(R)이 형성된 부분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히터(980)는 드로워(920)의 하판에 장착될 수 있고, 드로워(920)와 조립된 상태에서 드로워(92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히터(980)는 캐비닛(1), 특히 드로워(920)가 삽입되는 이너 케이스(914)에 장착되고, 드로워(920)가 삽입되었을 때 드로워(920)의 하판과 접촉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980)는 캐비닛(1)에 고정된 상태에서 드로워(920)와 접촉/분리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김치통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1)은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2)이 형성되는 버킷(20)과, 버킷(20)의 하판(25) 저면(27)을 커버하는 로어 버킷(10)과, 수납공간(2)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감지하는 염도 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킷>
버킷(2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2)이 형성될 수 있다. 버킷(20)은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버킷(20)의 상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김치통커버(3)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버킷(20)은 전판(21), 후판(22), 좌판(24), 우판(23) 및 하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버킷(2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2)에는 김치가 보관될 수 있다.
버킷(20)의 하판(25)에는 함몰부(30)가 형성될 수 있고, 함몰부(30)에는 염도 센서(100)가 수용될 수 있다.
<함몰부>
함몰부(30)는 하판(25)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0)는 하판(2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함몰부(30)는 하판(25)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5)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높이가 하판(25) 보다 낮을 수 있다. 함몰부(30)는 후술하는 센서 커버(110)와, 로어 버킷(1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센서 커버(110) 및 로어 커버(10)에 의해 차폐 및 보호될 수 있다. 함몰부(30)는 냉장고용 김치통의 위에서 볼 때, 센서 커버(1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냉장고용 김치통의 옆이나 아래에서 볼 때, 로어 버킷(1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로어 버킷>
로어 버킷(10)은 버킷(20)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버킷(10)은 냉장고용 김치통(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일 수 있다
로어 버킷(10)은 버킷(20)과 열융착 등의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로어 버킷(10)은 버킷(20)의 하판(25) 저면(27)을 향할 수 있고, 버킷(20)의 하판(25) 저면(27)을 커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로어 버킷(10)은 판체 형상인 것이 가능하고, 입체 형상인 것도 가능하다.
로어 버킷(10)이 입체 형상일 경우, 로어 버킷(10)은 전판(15), 후판(16), 좌판(18), 우판(17) 및 하판(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로어 버킷(10)의 전판(15), 후판(16), 좌판(18) 및 우판(17)의 높이는 함몰부(30)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함몰부(30)는 버킷(20)의 전판(21), 후판(22), 좌판(24) 및 우판(23)과 함께 로어 버킷(10)의 전판(15), 후판(16), 좌판(18) 및 우판(17)에 의해 지지되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로어 버킷(10)의 내부에는 함몰부(30)가 수용되는 로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버킷(10)의 하판(11) 상면에는 함몰부(30)의 하판(31)이 안착되어 수용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은 하판(11)의 상면에 함몰된 홈일 수 있고, 함몰부(3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안착홈(12)의 크기는 함몰부(30) 하판(31)의 크기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안착홈(12)의 형상은 함몰부(30) 하판(31)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함몰부(30)는 안착홈(12)에 안착되었을 때,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안착홈(12)에 수평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 즉, 함몰부(30)는 로어 버킷(10)에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로어 버킷(10)에 안착홈(12)이 형성될 경우 김치통(1)의 최대 높이를 높이지 않아도 된다. 김치통(1)에 염도 센서(100)가 수용되는 함몰부(30)를 형성하기 위해 수납공간(2)의 부피가 줄어드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김치통(1)의 크기를 늘릴 수 있으나, 이 경우 기존 냉장고에 형성된 저장실의 크기와 맞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안착홈(12)을 통해 김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의 부피를 최대한 확보하면서, 김치통(1)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염도 센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에 장착되는 염도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버킷(20)에 형성된 함몰부(30)에는 염도 센서(100)가 수용될 수 있다.
염도 센서(100)는 수납공간(2)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염도 센서(100)는 김치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센서 커버(110), 피시비(140), 개구부를 통과한 김치가 수용되는 액상수용공간(S1)과 피시비(140)가 수용되는 피시비수용공간(S2)을 구획하는 구획벽(127)을 포함하는 피시비 케이스(120) 및 액상수용공간(S1)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을 측정하는 전극(1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염도 센서(100)는 슬리브(150) 또는 바텀 피시비 케이스(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커버>
센서 커버(110)는 수납공간(2)에 수용된 김치 중 액상 성분만이 아래로 이동되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센서 커버(110)에는 수납공간(2)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을 액상수용공간(S1)으로 이동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는 후술하는 투입홀(111a) 및 투입구(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커버(110)는 액상수용공간(S1)을 덮을 수 있고, 센서 커버(110)의 개구부는 그 적어도 일부가 액상수용공간(S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수납공간(2)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은 센서 커버(110)의 개구부를 통과한 후, 액상수용공간(S1)으로 낙하될 수 있고, 염도 센서(100)는 수납공간(2)에서 개구부를 통과해 액상수용공간(S1)에서 낙하된 액상 성분의 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수납공간(2)에 수납된 김치 중 일부는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로는 김치국물과 같은 김치의 액상 성분이 통과할 수 있다. 개구부는 김치의 액상 성분이 통과하는 액상 성분 투입구일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개구부로는 고춧가루, 배추 등과 같은 김치의 고상 성분이 통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커버(110)에는 원형 형상의 투입홀(111a)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투입홀(111a)의 크기는 김치의 액상 성분만 통과할 정도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홀(111a)의 크기는 후술하는 전극 관통공(121)(122)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센서 커버(110)에는 크기가 작은 투입홀(111a)이 복수개 형성되어, 수납공간(2)에 수용된 김치 중 액상 성분만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120)의 액상수용공간(S1)은 센서 커버(110)의 저면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센서 커버(110)는 김치가 수용되는 수납공간(2)과,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액상 성분이 수용되는 액상수용공간(S1)을 구획할 수 있다.
즉, 센서 커버(110)는 수납공간(2)에 보관 중이고 투입홀(111a)를 통과하지 못한 김치가 피시비 케이스(120), 전극(130) 등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수납공간(2)과 액상수용공간(S1)을 분리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공간(2)에 김치를 보관하고, 보관된 김치를 먹을 수 있다. 이 때, 수납공간(2)에 보관된 김치가 전극, 피시비 등과 같은 금속 소재의 소자에 직접 접촉됨에 따라 위생이 상태가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센서 커버(110)는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2)을 전극, 피시비 등과 같은 소자와 분리시켜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센서 커버(110)는 함몰부(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함몰부(30)에는 센서 커버(110)가 안착되는 커버수용홈(32)이 형성될 수 있고, 센서 커버(110)는 커버수용홈(32)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커버(110)는 지지측벽(11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측벽(115)늠 센서 커버(11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측벽(115)의 높이는 커버수용홈(32)으로부터 버킷(20)의 하판(25)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지지측벽(115)에 의해 센서 커버(110)는 함몰부(30)에 장착시 김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의 바닥면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커버(110)는 버킷(20)의 하판(25)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센서 커버(110)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커버(110)의 일측에는 고정부(113)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13)는 센서 커버(110)가 커버수용홈(32)에 안착될 때 버킷(20)의 하판(25)에 걸릴 수 있다. 고정부(113)는 센서 커버(110)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김치를 옮기기 위해 수납공간(2)에 손을 넣는 경우, 하판(25)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센서 커버(110)가 사용자의 손에 걸릴 수 있다. 이 때, 고정부(113)에 의해 센서 커버(110)는 커버수용홈(32)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 커버(110)는 버킷(20)의 하판(25)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센서 커버(110)를 버킷(20)의 하판(25)에서 상측으로 분리한 후, 피시비 케이스(120)의 상면 특히, 액상수용공간(S1)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커버(110)는 상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14)는 투입홀(111a)을 통과한 김치의 액상 성분이 액상수용공간(S1)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
피시비 케이스(120)는 안착 바디(126), 김치가 수용되는 액상수용공간(S1)과 후술하는 피시비(140)가 수용되는 피시비수용공간(S2)을 구획하는 구획벽(127), 구획벽(127)을 지지하는 지지벽(128) 및 함몰부(30)에 수용될 때 탄성 작용하는 후크(125)를 포함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120)는 함몰부(30)에 배치되고, 김치가 수용되는 액상수용공간(S1)과, 후술하는 피시비(140)가 수용되는 피시비수용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구획벽(127)을 기준으로 액상수용공간(S1)은 구획벽(127)의 위에 형성되고, 피시비수용공간(S2)은 구획벽(127)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구획벽(127)은 액상수용공간(S1)에 수용된 김치가 피시비수용공간(S2)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획벽(127)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고, 개구부을 통해 액상수용공간(S1)에 투입된 김치를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구획벽(127)의 상면은 액상수용공간(S1)에 수용된 김치, 특히 김치의 액상 성분을 가이드하는 김치 가이드면일 수 있다.
구획벽(127)에는 후술하는 전극 관통공(121)(122)이 형성될 수 있고, 구획벽(127)은 전극 관통공(121)(122)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배질 수 있다. 전극(130)은 전극 관통공(121)(122)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일단이 액상수용공간(S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관통공(121)(122)을 관통하여 배치된 전극(130)은 액상수용공간(S1)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전극 관통공(121)(122)은 구획벽(127) 중 하판(31)으로부터의 높이(h)가 가장 낮은 영역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전극 관통공(121)(122)은 구획벽(127)에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130)은 액상수용공간(S1) 중 김치의 액상 성분이 가장 많이 모이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전극(130)에 의한 염도 측정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구획벽(127)에 의해 가이드되는 일측에는 전극(130)이 배치될 수 있어 전극(130)의 측정률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측정률은 측정 감도를 의미할 후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공간(2)에 수납되는 김치는 특성에 따라 액상 성분은 많거나 적을 수 있고, 김치의 액상 성분이 적은 경우 액상수용공간(S1)으로 적은 양의 액상 성분이 이동될 수 있다. 구획벽(127)이 수평하게 형성된 경우 전극(130)까지 염도 측정을 위한 충분한 액상 성분이 이동되지 못할 수 있고, 이 경우, 염도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구획벽(127)을 전극(130)이 배치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전극(130)에 의한 염도 측정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전극 관통공(121)(122)의 개수는 투입홀(111a)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 관통공(121)(122) 사이의 거리(l1)는 최내측 투입홀들(111a) 사이의 거리(l2) 보다 길고, 최외측 투입홀들(111a) 사이의 거리(l3) 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 관통공(121)(122)은 투입홀(111a)들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전극 관통공(121)(122)에 배치되는 전극(131)(132)은 투입홀(111a)들을 통과하는 김치의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어, 염도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구획벽(127)은 안착 바디(126) 및 지지벽(128) 중 전부 또는 일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안착 바디(126)는 함몰부(30)에 수용될 수 있다. 안착 바디(126)에는 구획벽(127), 지지벽(128) 및 후크(125) 중 적어도 일부가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안착 바디(126)는 후크(125)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후크(125)는 안착바디(126)나 구획벽(127)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크(125)는 탄성력을 갖도록 단면 형상이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125)는 피시비 케이스(120)가 함몰부(30)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함몰부(30)에 접촉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고, 피시비 케이스(120)가 함몰부(30) 내부에 깊숙히 삽입되어 장착 완료되면,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함몰부(30)에 밀착 유지될 수 있고, 피시비 케이스(120)가 임의 탈거되지 않게 피시비 케이스(120)를 함몰부(30)에 지지 및 유지시킬 수 있다.
안착 바디(126)는 지지벽(128)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염도 센서(100)는 피시비 케이스(120)의 일부를 수용하는 바텀 피시비 케이스(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피시비 케이스(120)는 바텀 피시비 케이스(160)의 하판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피시비 케이스(160)에는 피시비(140)와 구획벽(127), 지지벽(128), 전극(130) 및 슬리브(150)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공간(161)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 피시비 케이스(160)은 지지벽(128)이 수용될 때 지지벽(128)과 면접촉되는 네 개의 측벽(162)을 포함할 수 있다. 네 개의 측벽(162)은 내부에 케이스 공간(161)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 공간(161)은 내부에 피시비(140), 지지벽(128), 전극(130) 및 후술하는 슬리브(150)가 수용된 뒤 기밀부재로 몰딩될 수 있다. 즉, 케이스 공간(161) 중 피시비수용공간(S2)은 기밀부재로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기밀부재는 에폭시(epoxy)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에폭시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기밀부재는 에폭시와 같이 물과 습기에 강하며, 빨리 굳고 접착력이 강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시비수용공간(S2)이 기밀부재로 몰딩됨에 따라, 습기나 진동에 의한 피시비(140)에 열화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김치통(1)은 일반적으로 습기가 있는 저장실에 보관되는 바, 몰딩을 통해 피시비(140)가 고장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시비(140)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교체 비용을 절감 가능한 이점이 있다.
지지벽(128)은 구획벽(127)을 바텀 피시비 케이스(160)의 하판과 이격되게 지지하고, 내부에 피시비수용공간(S2)이 형성할 수 있다.
지지벽(128)은 피시비 케이스(1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벽(128)은 액상수용공간(S1)에 김치가 많이 수용될 경우 구획벽(127)이 쳐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피시비수용공간(S2)은 지지벽(128)과 바텀 피시비 케이스(16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피시비수용공간(S2)에 수용된 피시비(140)는 지지벽(128)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고, 보호될 수 있다.
지지벽(128)은 안착 바디(126)와 구획벽(127)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120)는 구획벽(127)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리브(129)는 구획벽(127)에서 피시비(140)를 향해 연장되며, 하단(129a)은 피시비(14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 리브(129)는 구획벽(127) 중 전부 또는 일부가 김치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구획벽(127)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리브(129)는 구획벽(127)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도 있다.
<전극>
염도 센서(100)는 전극(130)을 포함할 수 있고, 전극(130)은 한 쌍의 전극(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김치의 액상 성분에 포함된 이온 농도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달라질 수 있고, 한 쌍의 전극(131)(132)은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김치의 염도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염도는 용액에 녹아있는 전체 염분의 양을 말하며, 염분의 양이 많을수록 용액의 전기 저항이 감소하여 전기 전도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피시비(140)는 전극(13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145)와, 전류를 감지하는 측정소자(144), 측정소자(144)의 측정 결과를 후술하는 리더부(300)로 전송하는 태그칩(146) 등으로 구성되는 측정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인가부(145)에 의해 전극(130)은 액상수용공간(S1)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에서 전압이 인가되고, 인가된 전압에 의해 한 쌍의 전극(131)(132)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한 쌍의 전극(131)(132)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양이 많을수록 염도가 높고, 전류의 양이 적을수록 염도가 적을 수 있다. 측정소자(144)는 한 쌍의 전극(131)(132)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양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전류의 양에 따라 염도가 결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131)(132)은 각각 일단이 전극 관통공(121)(122)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액상수용공간(S1)으로 연장되고, 타단이 피시비(140)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131)(132)은 일단이 전극 관통공(121)(122) 에 압입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전극(131)(132)이 전극 관통공(121)(122)에 압입됨에 따라, 액상수용공간(S1)에 수용된 김치의 일부가 피시비수용공간(S2)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전극(131)(132)은 타단이 슬리브(151)(152)에 장착될 수 있다.
피시비(140)에는 한 쌍의 장착홀(141)(142)이 형성될 수 있고, 장착홀(141)(142)에는 한 쌍의 슬리브(151)(152)가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리브(151)(152)에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홀(153)(154)이 형성되고, 관통홀(153)(154)에는 한 쌍의 전극(131)(132)이 장착될 수 있다.
<슬리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염도 센서(100)는 슬리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150)는 한 쌍의 슬리브(151)(152)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슬리브(151)(152) 각각에는 내부에 관통홀(153)(15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53)(154)에는 한 쌍의 전극(131)(132)이 수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전극(131)(132)은 일단이 전극 관통공(121)(122)에 수용되고, 타단이 관통홀(153)(154)에 수용될 수 있다.
전극(131)(132)은 슬리브(151)(152)에 면접촉될 수 있다. 전극(131)(132)은 피시비(140)에 점접촉될 때 보다 슬리브(151)(152)에 면접촉될 때 전극(131)(132)의 감지 결과를 피시비(140)에 더 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50)는 전극(131)(132)의 하부를 감쌀 수 있고,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전극(131)(132)을 보호할 수 있다.
<피시비>
피시비(140)는 피시비수용공간(S2)에 수용될 수 있고, 피시비(140)는 측정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회로는 한 쌍의 전극(131)(13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145)와 한 쌍의 전극(131)(132)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소자(144), 측정소자(144)의 측정 결과를 리더부(300), 특히 리더기(302)로 전송하는 태그칩(146)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칩(146)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태그칩(146)은 측정 소자(144)의 측정 결과를 리더기(302)로 전송할 수 있다. 측정 결과는 전극(130) 사이를 흐르는 전류값과 같은 김치의 전기 전도도이거나, 전극(130) 사이를 흐르는 전류값을 통해 산출한 염도값을 포함할 수 있다.
리더기(302)는 도 17 내지 도 1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피시비(140)는 구획벽(127)과 유사하게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에 장착되는 염도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은 제1 실시 예와 유사하게 버킷(20)과 로어 버킷(10)을 포함하고, 버킷(20)에 형성된 함몰부(30)에 장착되는 염도 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함몰부(30)의 형상, 염도 센서(100)의 구조 등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제1 실시 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20)은 전판(21), 후판(22), 좌판(24), 우판(23) 및 하판(25)을 포함하고, 하판(25)에 함몰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30)에는 염도 센서(10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염도 센서(10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센서 커버(110), 피시비(140), 피시비 케이스(120) 및 전극(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커버(100)는 수납공간(2)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을 액상수용공간(S1)으로 이동시키는 투입구(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커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111b)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111b)의 너비는 김치의 액상 성분만 통과할 정도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구(111b)는 피시비(140)의 길이방향(x, 도 7 참고)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111b)는 센서 커버(110)에 형성된 슬릿일 수 있고, 센서 커버(110)의 상면에 낙하된 액상 성분은 투입구(111b)를 통해 센서 커버(110)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커버(110)는 함몰부(30)에 장착시 커버수용홈(32)에 놓여지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염도 센서(100)가 함몰부(30)에 장착되었을 때, 센서 커버(110)의 상면은 버킷(20)의 하판(25) 상면과 수평 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다. 즉, 센서 커버(110)는 함몰부(30)에 장착되었을 때, 그 상면(112) 높이가 버킷(20)의 하판(25) 상면(28)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버킷(20)의 하판(25) 상면과 센서 커버(110)의 상면(112)는 수납공간(2)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수납공간(2)의 바닥면은 전체적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고 평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 수납공간(2)으로 삽입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은 센서 커버(110)에 걸리지 않고, 염도 센서(100)는 그 상면(즉, 센서 커버(110)의 상면)이 수납공간(2)을 향하면서 하판(25)에 매립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피시비 케이스(1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피시비 케이스(120)는 바텀 피시비 케이스(16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피시비 케이스(120)는 함몰부(30)의 하판(31)에 지지될 수 있다.
센서 커버(100)는 복수개의 투입구(111b)를 포함할 수 있고, 투입구(111b)의 개수는 전극 관통공(121)(122)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 관통공(121)(122) 사이의 거리(d1)는 최외측 투입구들(111b) 사이의 거리(d2) 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투입구(111b)의 개수가 복수개일 때, 투입구(111b)를 통과한 김치의 액상 성분은 투입구(111b)들의 외측보다는 내측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은 바, 전극 관통공(121)(122)은 최외측 투입구들(111b)들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 상 또는 그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염도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커버(110)에 투입구(111b)가 형성될 경우에는, 투입홀(111a)이 형성될 때 보다 개구부의 크기가 크고 개수가 적어, 개구부에 음식물이 낄 가능성이 줄어들고, 세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함몰부(30)의 상부에는 커버수용홈(32)과 함께 단턱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단턱홈(33)은 커버수용홈(32)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단턱홈(33)에는 안착 바디(126)가 안착되고, 안착 바디(126)의 상면과 커버수용홈(32)에는 센서 커버(110)가 안착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피시비(140)는 함몰부(30)의 하판(3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피비시(140)에는 체결부재(52)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0)의 하판(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부(52)가 배치될 수 있고, 피시비(140)는 보스부(5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2)에 의해 관통되어 피시비수용공간(S2)에 고정될 수 있다.
피시비(140)는 김치통(1)의 이동과 관계없이 고정 배치됨으로써 피시비수용공간(S2)에서 움직이지 않아 파손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 쌍의 전극(131)(132)은 일단이 구획벽(127)에 형성된 전극 관통공(121)(122)에 수용되고, 타단이 피시비(140)에 형성된 관통홀(152)(154)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커버(110)의 형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보관 및 관리가 쉽고, 슬리브(150), 서브 피시비 케이스(150) 등의 구성을 생략 가능하여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은 하나의 버킷(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킷(200)의 하판(225)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벽(226)(227)(22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착벽(226)의 상단과 제2 장착벽(227)의 상단은 연결부(2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연결부(210)에는 센서 커버(110)가 안착될 수 있다. 연결부(210)의 아래는 개방될 수 있다.
제2 장착벽(227)과 제3 장착벽(228)의 사이에는 염도 센서(100)가 장착되는 함몰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염도 센서(100) 또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염도 센서(1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김치통(1)은 하나의 버킷으로 형성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리더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과, 드로워 및 김치통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리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더부(300)는 드로워(920)가 출납되는 저장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부(300)는 센터 저장실(C)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리더부(300)는 저장실(C)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914)의 하판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리더부(300)는 이너 케이스(914)의 하판 중 드로워(920)의 수납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김치통(1)에 포함된 태그칩(146)으로부터 염도의 측정 결과의 수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김치통(1)을 드로워(920)에 수납하거나 인출할 뿐이지, 드로워(920)를 냉장고(1)의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는 비교적 적은 점에서, 리더부(300)를 드로워(920)의 하판에 설치함으로써 리더부(300)를 보호하고, 리더부(300)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외관을 형성 가능한 이점이 있다.
리더부(300)는 어퍼 리더피시비 케이스(310)와, 리더기(302)가 형성된 리더피시비(320)와, 로어 리더피시비 케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리더피시비 케이스(310)와 로어 리더피시비 케이스(330)는 스크류(301)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어퍼 리더피시비 케이스(310)와 로어 리더피시비 케이스(330)는 체결시 내부에 리더피시비수용공간(331)이 형성될 수 있고, 리더피시비(320)는 리더피시비수용공간(331)에 수용될 수 있다.
리더피시비(320)에는 태그칩(146)으로부터 염도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리더기(302)가 형성될 수 있다.
리더기(302)는 태그칩(146)으로부터 염도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냉장고용 김치통 2: 수납공간
10: 로어 버킷 20: 버킷
100: 염도 센서 110: 센서 커버
120: 피시비 케이스 130: 전극
140: 피시비 S1: 액상수용공간
S2: 피시비수용공간

Claims (15)

  1.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하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버킷; 및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는 염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염도 센서는,
    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김치의 액상 성분이 상기 함몰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센서 커버;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며, 상기 함몰부 내로 유입되는 김치의 액상성분의 염도를 측정하는 전극이 구비되는 피시비; 및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시비를 차폐하는 피시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
    상기 함몰부의 내부를 액상수용공간과 상기 액상수용공간 하방의 피시비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 및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획벽이 상기 함몰부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구획벽과 상기 지지벽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피시비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구획벽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김치의 액상 성분을 하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구획벽의 하단에는 상기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 관통공이 형성되는 냉장고용 김치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에는 한 쌍의 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에는 한 쌍의 슬리브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전극이 수용되는 냉장고용 김치통.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지지벽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바텀 피시비 케이스가 구비되는 냉장고용 김치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과 지지벽과 바텀 피시비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몰딩된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 상기 구획벽에서 상기 피시비를 향해 연장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리브의 하단은 상기 피시비의 상면에 접촉되는 냉장고용 김치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 커버에는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 관통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센서 커버의 중앙을 기준으로 최내측 투입홀들 사이의 거리 보다 길고, 최외측 투입홀들 사이의 거리 보다 짧은 냉장고용 김치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에는
    한 쌍의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한 쌍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측정 소자;
    상기 측정 소자의 측정 결과를 리더기로 전송하는 태그칩이 형성되는 냉장고용 김치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에는 상기 함몰부에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하면에는 상기 김치통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버킷이 결합되고,
    상기 로어 버킷에는 상기 함몰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냉장고용 김치통.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킷의 하판 상면과, 상기 센서 커버의 상면은 동일 높이인 냉장고용 김치통.
  15. 삭제
KR1020180018821A 2018-02-14 2018-02-14 냉장고용 김치통 KR10242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21A KR102421447B1 (ko) 2018-02-14 2018-02-14 냉장고용 김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21A KR102421447B1 (ko) 2018-02-14 2018-02-14 냉장고용 김치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645A KR20190098645A (ko) 2019-08-22
KR102421447B1 true KR102421447B1 (ko) 2022-07-18

Family

ID=6776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821A KR102421447B1 (ko) 2018-02-14 2018-02-14 냉장고용 김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490A (ko) 2019-11-15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김치통
KR20210059491A (ko) 2019-11-15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김치통
KR20210059492A (ko) 2019-11-15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김치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5985A (ja) * 2006-12-26 2008-07-10 Kirin Brewery Co Ltd 液漏れ検査装置及び容器検査装置
KR100878822B1 (ko) * 2007-07-12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JP5244261B2 (ja) * 2010-09-29 2013-07-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体試料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387A (ja) * 1993-10-25 1995-05-09 Tokyo Gas Co Ltd 衣類乾燥機
KR101019609B1 (ko) * 2008-09-29 2011-03-0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고정장치
KR20110006033U (ko) * 2009-12-10 2011-06-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염도측정센서 결합체와 냉장고
KR20110139844A (ko) * 2010-06-24 2011-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장치를 갖는 냉장고용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821019B1 (ko) * 2015-11-26 2018-01-2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욕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5985A (ja) * 2006-12-26 2008-07-10 Kirin Brewery Co Ltd 液漏れ検査装置及び容器検査装置
KR100878822B1 (ko) * 2007-07-12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JP5244261B2 (ja) * 2010-09-29 2013-07-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体試料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645A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893732U (zh) 最下方储物间室与箱体底壁具有特定距离的冰箱
KR102421447B1 (ko) 냉장고용 김치통
KR101670086B1 (ko) 냉장고
KR100457274B1 (ko) 냉장고
MX2008001329A (es) Una estructura para el suministro de aire frio de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para refrigerador.
JP2007516402A (ja) キャビネット冷蔵システム
US8336320B2 (en) Refrigerator and drawer for refrigerator
US20200200466A1 (en) Refrigerator
KR101564101B1 (ko) 냉장고
CN106931718B (zh) 制冷设备的过冷却控制方法
CN216716697U (zh) 冰箱及加湿器
CN110375486B (zh) 冰箱及其散热控制方法
CN110131947B (zh) 一种干燥室组件和具有其的风冷冰箱
KR102584606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CN107014130B (zh) 制冷装置
US104298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tor control
KR101694663B1 (ko) 냉장고
CN111578583A (zh) 冰箱
CN220771599U (zh) 一种保鲜储物容器及冰箱
JP7017384B2 (ja) 冷蔵庫
CN115507604B (zh) 冰箱
RU2512324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0210107B1 (ko) 냉장고용 야채 보존 구조
JP3258736B2 (ja) 高湿度低温貯蔵庫
KR2011005135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