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019B1 - 욕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욕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019B1
KR101821019B1 KR1020150166623A KR20150166623A KR101821019B1 KR 101821019 B1 KR101821019 B1 KR 101821019B1 KR 1020150166623 A KR1020150166623 A KR 1020150166623A KR 20150166623 A KR20150166623 A KR 20150166623A KR 101821019 B1 KR101821019 B1 KR 10182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water
bathtub
unit
flo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496A (ko
Inventor
방걸원
조재우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0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부양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욕조와, 상기 욕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염도 및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욕조센서부와, 상기 부양수를 저장하는 부양수저장부와, 상기 욕조 및 상기 부양수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양수를 상기 부양수저장부로부터 상기 욕조로 공급하는 부양수공급부와, 상기 욕조 및 상기 부양수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양수를 상기 욕조로부터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욕조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양수의 염도 및 상기 부양수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부양수공급부와 상기 배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부양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욕조 시스템{BATHTUB SYSTEM}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도 측정기를 포함한 욕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욕조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욕조에 받아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욕조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욕조 내부로 공압을 가하거나 따뜻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욕조 시스템에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도록 미네랄이 풍부한 부양수를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부양수는 인위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바닷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농도의 부양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부양수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시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양수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염도측정용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염도측정용 센서는 전기저항 값을 이용한 센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온도 차, 측정하는 용액의 종류에 따라 전기전도 값이 수시로 변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센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온도보상 등의 회로가 추가되어야 한다. 전기전도방식의 센서는 정밀도가 떨어지며, 천일염을 생산하는 바닷물의 경우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지역에 따라 함유물질이 달라 전기전도 값의 오차가 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염도측정용 센서를 사용하여 욕조 내부의 농도를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확한 농도의 부양수를 욕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농도를 갖는 부양수를 공급하는 욕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부양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욕조와, 상기 욕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염도 및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욕조센서부와, 상기 부양수를 저장하는 부양수저장부와, 상기 욕조 및 상기 부양수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양수를 상기 부양수저장부로부터 상기 욕조로 공급하는 부양수공급부와, 상기 욕조 및 상기 부양수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양수를 상기 욕조로부터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욕조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양수의 염도 및 상기 부양수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부양수공급부와 상기 배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부양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욕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양수저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욕조에서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이동하는 상기 부양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와, 상기 욕조에서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상기 부양수를 이동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양수저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양수공급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저장부에서 상기 욕조로 공급되는 상기 부양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양수공급부가 작동한 후 상기 욕조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양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부양수공급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양수공급부의 작동이 중지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욕조의 부양수를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욕조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양수의 염도가 기 설정된 염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양수가 상기 욕조와 상기 부양수저장부를 순환하도록 상기 부양수공급부 및 상기 배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센서부는 상기 부양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도센서부는, 상기 욕조에 설치되며, 상기 부양수가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출입에 따라 부양하는 부유부와, 상기 부유부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부양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부는 자기력을 생성하고,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부양부의 자기력의 세기를 통하여 상기 부유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도센서부는, 상기 부유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유부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최적의 농도를 갖는 부양수를 욕조에 공급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부양수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조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욕조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염도센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조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욕조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염도센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욕조 시스템(100)은 욕조(110), 욕조센서부(120), 부양수저장부(130), 부양수공급부(140), 배수부(150), 입력부(160), 온도조절부(170), 표시부(180), 온도센서부(191), 필터부(192) 및 제어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욕조(110)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욕조(110)에는 배수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욕조센서부(120)는 욕조(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욕조센서부(120)는 욕조(110)에 저장되는 부양수의 염도 및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욕조센서부(120)는 부양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부(121) 및 부양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염도센서부(121)는 바디부(121a), 부유부(121b), 위치검출부(121c) 및 가이드부(12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21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욕조(110)의 부양수가 통과하는 이동홀(121a-1)이 형성될 수 있다. 부유부(121b)는 바디부(121a) 내부의 부양수의 염도에 따라 바디부(121a) 내부에서 부양될 수 있다. 이때, 부유부(121b)는 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유부(121b)는 자기력을 생성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21c)는 부유부(121b)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검출부(121c)는 부유부(121b)의 위치에 따라 상이해지는 자기력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부유부(121b)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위치검출부(121c)는 부유부(121b)의 위치를 근거로 부양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위치검출부(121c)에서 검출된 부유부(121b)의 위치를 제어부(193)로 전송하여 제어부(193)에서 부유부(121b)의 위치에 따른 부양수의 염도를 비교하여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위치검출부(121c)에서 부유부(121b)의 위치를 근거로 염도를 산출하여 제어부(193)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부(121d)는 바디부(121a)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21d)는 부유부(121b)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부(121b)는 부양수의 수위에 따라 가이드부(121d)를 따라 바디부(121a)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부양수저장부(1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부양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양수저장부(130)는 탱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양수저장부(130)는 외부의 부양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장소와 연결될 수 있다.
부양수공급부(140)는 부양수저장부(130) 및 욕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부양수공급부(140)는 부양수저장부(130)로부터 욕조(110)로 부양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양수공급부(140)는 부양수저장부(130)와 욕조(110)를 연결하는 급수배관(141)과, 급수배관(141)에 설치되는 급수펌프(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150)는 부양수저장부(130)와 욕조(1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배수부(150)는 욕조(110)로부터 부양수저장부(130)로 부양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수부(150)는 욕조(110)와 부양수저장부(130)를 연결하는 배수배관(151)과 배수배관(151)에 설치되는 배수펌프(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150)는 배수배관(151)에 설치되어 배수배관(15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 패널, 입력버튼, 조그셔틀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170)는 부양수저장부(130)에 설치되어 부양수저장부(130) 내부의 부양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온도조절부(170)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욕조(110)에 설치되거나 욕조(110)와 연결되어 외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표시부(18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80)는 디스플레이 패널, LED 전구, 표시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빛이나 이미지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부(191)는 부양수저장부(130)에 설치되어 부양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부(191)는 측정된 부양수의 온도를 제어부(193)로 전송할 수 있다.
필터부(192)는 급수배관(141)에 설치되어 부양수저장부(130)로부터 욕조(110)로 공급되는 부양수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92)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부양수가 통과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93)는 욕조(110)나 욕조(110) 외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93)는 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3)는 휴대용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93)는 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되어 표시부(18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욕조 시스템(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부양수를 부양수저장부(130)에 공급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부양수를 공급하는 방법은 인위적으로 부양수를 제조하여 공급하거나 일반적인 바닷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통하여 부양수 목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통하여 다양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통하여 부양수의 사용 유무, 부양수의 농도, 부양수의 온도, 부양수의 수위 등을 입력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부(16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는 표시부(180)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부(160)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93)는 온도조절부(170)를 통하여 부양수저장부(130) 내부의 부양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부(191)에서는 부양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부양수의 온도는 제어부(193)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93)는 온도센서부(191)에서 측정된 부양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조절부(170)를 통하여 부양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3)는 표시부(180)를 통하여 부양수가 아직 준비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80)가 표시하는 방법은 글자, 화면 밝기 화면 색 등을 조절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93)는 온도센서부(191)에서 측정된 부양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180)를 통하여 부양수가 준비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80)에서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통하여 부양수 공급을 입력하면, 제어부(193)는 밸브(153)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3)는 급수펌프(142)를 작동시켜 부양수저장부(130)로부터 욕조(110)로 부양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수위센서부(122)는 욕조(110)의 부양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193)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3)는 수위센서부(122)에서 측정된 부양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와 동일할 때까지 급수펌프(142) 및 밸브(15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급수배관(141)을 통하여 부양수저장부(130)로부터 욕조(110)로 공급되는 부양수는 필터부(192)를 통과하면서 여러 가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욕조(1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수위센서부(122)에서 측정된 부양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3)는 급수펌프(142)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3)는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통하여 입력한 이용시간 동안 밸브(153)를 통하여 배수배관(151)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193)는 입력한 이용시간이 도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밸브(153)를 개방하고 배수펌프(152)를 작동시켜 욕조(110)의 부양수를 부양수저장부(13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염도센서부(121)는 부양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93)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이용시간이 진행되는 동안 염도센서부(121)는 부양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93)로 피드백할 수 있다.
제어부(193)는 염도센서부(121)에서 측정된 부양수의 염도(또는 부유부(121b)의 위치)가 전송되면, 기 설정된 염도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염도는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부양수의 최적 염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통하여 입력한 염도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 설정된 염도는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부양수의 최적 염도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용시간 동안 염도센서부(121)에서 측정된 부양수 염도와 기 설정된 염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부양수 염도와 기 설정된 염도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3)는 급수펌프(142)와 배수펌프(152)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 이용시간 동안 부양수 중 수분이 증발하여 욕조(110) 내부의 부양수 염도가 변할 수 있다. 특히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욕조(110) 내부의 부양수 염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염도센서부(121)에서 측정된 부양수 염도와 기 설정된 염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부양수 염도가 기 설정된 염도를 초과한 경우 제어부(193)는 밸브(153)를 개방하고 급수펌프(142)와 배수펌프(15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양수저장부(130)의 부양수는 욕조(110)로 공급되고, 욕조(110)의 부양수는 부양수저장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부양수는 욕조(110)와 부양수저장부(130)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양수가 욕조(110)와 부양수저장부(130)를 순환하는 경우 욕조(110) 내부의 부양수 염도가 기 설정된 염도와 동일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93)는 염도센서부(121)에서 측정된 부양수의 염도를 근거로 밸브(153)를 작동시켜 배수배관(151)을 차단하고, 배수펌프(152)와 급수펌프(142)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제어부(193)는 부양수저장부(130)에 순수한 물을 외부로부터 공급하거나 새로운 부양수를 공급하도록 별도의 장치들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욕조 시스템(100)은 최적의 농도를 갖는 부양수를 욕조에 공급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욕조 시스템(100)은 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부양수 공급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욕조 시스템
110: 욕조
120: 욕조센서부
121: 염도센서부
122: 수위센서부
130: 부양수저장부
140: 부양수공급부
150: 배수부
160: 입력부
170: 온도조절부
180: 표시부
191: 온도센서부
192: 필터부
193: 제어부

Claims (14)

  1. 부양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욕조;
    상기 욕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염도 및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욕조센서부;
    상기 부양수를 저장하는 부양수저장부;
    상기 욕조 및 상기 부양수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양수를 상기 부양수저장부로부터 상기 욕조로 공급하는 부양수공급부;
    상기 욕조 및 상기 부양수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양수를 상기 욕조로부터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욕조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양수의 염도 및 상기 부양수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부양수공급부와 상기 배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부양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욕조센서부는 상기 부양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도센서부는,
    상기 욕조에 설치되며, 상기 부양수가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출입에 따라 부양하는 부유부; 및
    상기 부유부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부양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부는 자기력을 생성하고,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부유부의 자기력의 세기를 통하여 상기 부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욕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욕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저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욕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욕조에서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이동하는 상기 부양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 및
    상기 욕조에서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상기 부양수를 이동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욕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욕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저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욕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공급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양수저장부에서 상기 욕조로 공급되는 상기 부양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욕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양수공급부가 작동한 후 상기 욕조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양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부양수공급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욕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양수공급부의 작동이 중지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욕조의 부양수를 상기 부양수저장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는 욕조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욕조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양수의 염도가 기 설정된 염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양수가 상기 욕조와 상기 부양수저장부를 순환하도록 상기 부양수공급부 및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는 욕조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센서부는,
    상기 부유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유부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욕조 시스템.
KR1020150166623A 2015-11-26 2015-11-26 욕조 시스템 KR10182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23A KR101821019B1 (ko) 2015-11-26 2015-11-26 욕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23A KR101821019B1 (ko) 2015-11-26 2015-11-26 욕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496A KR20170061496A (ko) 2017-06-05
KR101821019B1 true KR101821019B1 (ko) 2018-01-22

Family

ID=5922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623A KR101821019B1 (ko) 2015-11-26 2015-11-26 욕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691A1 (en) * 2017-11-23 2019-05-31 Dreamwater Float Bathing apparatus
KR102421447B1 (ko) * 2018-02-14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김치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701Y1 (ko) * 1999-12-31 2000-06-01 백호현 수온 및 수량조절이 가능한 욕조
KR100676653B1 (ko) * 2005-04-27 2007-02-01 한국해양연구원 염분조절이 가능한 해양수 요법 보조장치
KR101435104B1 (ko) * 2014-01-13 2014-08-27 에스엠소프트웨어 (주) 염도 및 액위 측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701Y1 (ko) * 1999-12-31 2000-06-01 백호현 수온 및 수량조절이 가능한 욕조
KR100676653B1 (ko) * 2005-04-27 2007-02-01 한국해양연구원 염분조절이 가능한 해양수 요법 보조장치
KR101435104B1 (ko) * 2014-01-13 2014-08-27 에스엠소프트웨어 (주) 염도 및 액위 측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496A (ko)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436B2 (en) In-situ water analysis method and system
US9074587B2 (en) Energy efficient sewage pumping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variable frequency drive and method
US8747075B1 (en) Fluid level management
KR101821019B1 (ko) 욕조 시스템
CN108279058A (zh) 水箱组件和电器设备
US20090220383A1 (en) Automatic analyzer
CN105210970B (zh) 一种水体盐度可自动控制和调整的养鱼装置
CN208026357U (zh) 水箱组件和电器设备
US10234326B2 (en) Indication type level indicator including total reflection prism
US11091377B2 (en) Chlorinator
CN206671903U (zh) 循环水动态模拟试验自动补水系统
CN207582578U (zh) 给水控制系统及给水系统
CN105734916A (zh) 一种自适应水位调节的洗衣机
JP2001198573A (ja) 殺菌水供給装置
JP2016161342A (ja) 水質検知装置
KR101192992B1 (ko)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염도 측정장치
US6147614A (en) Bathtub water level alarm
KR20170077767A (ko) 수위 스위치 장치 및 수위의 검측 제어 방법
CN109898264B (zh) 一种自动投放控制方法与自动投放装置及洗衣机
JP2020025523A (ja) 環境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209826304U (zh) 一种引导幼儿饮水的智能健康饮水机
US20220018802A1 (en) pH MEASURING DEVICE AND pH MEASURING METHOD
JP6648390B2 (ja) pH自動測定器付き次亜塩素酸水生成装置
KR200366370Y1 (ko) 욕조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CN218566640U (zh) 一种植物机的水位自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