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492A - 냉장고용 김치통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김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492A
KR20210059492A KR1020190146998A KR20190146998A KR20210059492A KR 20210059492 A KR20210059492 A KR 20210059492A KR 1020190146998 A KR1020190146998 A KR 1020190146998A KR 20190146998 A KR20190146998 A KR 20190146998A KR 20210059492 A KR20210059492 A KR 20210059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sensor
refrigerator
cover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진영
이슬기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9492A/ko
Publication of KR2021005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도센서가 장착되는 냉장고용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은, 김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어퍼버킷과; 상기 어퍼버킷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버킷과; 상기 어퍼버킷에 구비되며,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어퍼버킷의 바닥면에는, 상기 염도센서가 안착되는 센서홈과, 고형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김치의 고형물에 의해 김치 염도 측정이 방해받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김치통{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도센서가 장착되는 냉장고용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장고는 김치를 보관할 수 있고, 김치의 신선한 맛을 보존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온도에서 오래 저장할 수 있도록 운전될 수 있다.
김치를 담는 김치통은 냉장고에 형성된 저장실에 투입되어 보관되고, 사용자는 필요시 김치통을 냉장고의 저장실에서 외부로 꺼내어 사용한다.
냉장고는 김치통 내부의 김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맛을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김치가 쉽게 시어지지 않고 맛을 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냉장고는 저장성을 향상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로 김치통 내부의 김치를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김치는 환경, 기후 또는 지역 특성 등에 따라 염도가 다를 수 있고, 염도에 따라 김치의 발효 속도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98645호에서와 같이 김치통희 하단에 염도센서가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전극이 하측에 구비되어 김치의 액상성분에 잘 닿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김치 고형물이 하측으로 가라앉아 전극에 닿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김치통에 김치를 넣게되면 액상의 김치국물이 중력으로 인해 바닥에 고이게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액상의 국물 속 고형물이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며, 이러한 김치의 고형물이 염도센서의 전극부위에 닿을 때는 센싱(염도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9864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김치의 염도를 정확하게 센싱 가능한 냉장고용 김치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김치통의 하단에 고형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김치 찌꺼기(고형물)에 의해 염도 측정이 방해받지 않는 냉장고용 김치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의 저면에는 김치 고형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이 별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염도센서에 접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염도센서의 좌우에 수용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염도센서의 상커버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김치의 고형물이 염도센서의 상측에 머물지 못하고 흘러내려 수용홈에 쌓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은, 김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어퍼버킷과; 상기 어퍼버킷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버킷과; 상기 어퍼버킷에 구비되며,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어퍼버킷의 바닥면에는, 상기 염도센서가 안착되는 센서홈과, 고형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서홈의 옆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홈은,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 중앙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서홈의 측방에 하나 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서홈의 좌우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에는, 고형물이 점차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경사면과, 상기 어퍼버킷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경사면은, 상기 어퍼버킷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경사면은, 상기 어퍼버킷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도센서는, 피시비(PCB)기판과, 상기 피시비(PCB)기판의 상하를 감싸는 상커버 및 하커버와, 상기 피시비(PCB)기판에 체결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은, 상단이 상기 상커버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는, 상기 하커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판은, 주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판의 외측에는, 전극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판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전방판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의 좌우 측방에는, 좌우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좌측판 및 우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극판의 후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후방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에는 테두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된 좌측테와 우측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측테와 우측테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이 낮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도센서의 상측에는, 김치가 염도센서에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센서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커버는, 상기 센서홈과 수용홈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이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판의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단은, 상기 커버판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의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김치통의 바닥면에 김치의 고형물이 가라않아 수용되는 수용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김치의 고형물이 수용홈에 가라않게 되므로 염도센서의 염도 측정이 방해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염도센서의 상커버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염도센서의 상측으로 가라않는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염도센서의 상커버에서 미끄러져 전극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정확한 염도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형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염도센서의 측방에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홈은 염도센서의 전극 높이보다 충분히 낮은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염도센서의 전극에 부착되어 염도측정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김치통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에도 내측경사면과 같은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홈으로 안내된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수용홈 내부에서도 가장 깊은 곳으로 가라않아 쌓이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으로 고형물의 양이 늘어나는 경우에도 고형물이 염도센서의 전극에 닿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워를 외부로 인출하여 제거산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저장실에 출납되는 드로워 및 드로워에 수용되는 김치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통커버 제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통커버 제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개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김치 고형물의 이동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이 구비되는 냉장고와 드로워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워를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저장실에 출납되는 드로워 및 드로워에 수용되는 김치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치통이 구비되는 냉장고는 복수개의 저장실(U)(C)(L)이 형성된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된 하나 이상의 저장실(U)(C)(L)이 구비되는 캐비닛(10)이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U)(C)(L)은 캐비닛(10)에 형성된 베리어(20)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저장실(U)(C)(L)은 어퍼저장실(U)과 센터저장실(C)과 로어저장실(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내부에 어퍼저장실(U)이 형성된 어퍼 이너 케이스(12)와, 내부에 센터저장실(C)이 형성된 센터 이너 케이스(14)와 내부에 로어저장실(L)이 형성된 로어 이너 케이스(16)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복수개의 저장실(U)(C)(L)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거나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 드로워(30,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32)는 저장실 내부를 향해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저장실로 삽입될 수 있고,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캐비닛(1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냉장고는 어퍼저장실(U), 센터저장실(C) 및 로어저장실(L) 중 드로워(30,32)가 배치되지 않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40)는 캐비닛(10)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회전 동작되면서 드로워(30,32)가 배치되지 않는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40)는 어퍼저장실(U)을 개폐하게 연결될 수 있고, 센터저장실(C)과 로어저장실(L) 각각에는 드로워(30,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저장실(C)과 로어저장실(L) 각각에 배치되는 드로워(30,3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서로 상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0,32)에는 보관공간(R)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32)는 전, 후, 좌, 우 총 4개의 벽체를 갖는 사각 통상의 바스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스켓(50)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의 박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관공간(R)은 상기 바스켓(5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관공간(R)을 갖는 드로워(30,32)는, 바스켓(50)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도어(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도어(42)는 드로워(30,32)가 삽입되는 저장실(C)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저장실(C)의 전방에서 저장실(C)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32)의 보관공간(R)에는 하나 이상의 김치통(100)이 보관될 수 있고, 드로워(30,32)는 저장실에 출납될 수 있다.
상기 김치통(100)은 내부에 김치를 저장하는 것으로, 커버를 포함한 다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냉각팬에서 송풍된 공기를 저장실로 토출하는 냉기토출구(62)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덕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덕트(60)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9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보관공간(R)을 가열하는 히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70)는 드로워(30,32)나 캐비닛(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70)는 드로워(30,32)에 장착되어 보관공간(R)이 형성된 부분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히터(70)는 드로워(30,32)의 하판에 장착될 수 있고, 드로워(30,32)와 조립된 상태에서 드로워(30,3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김치통(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김치통(100)에서 통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개사시도와 절개된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어셈블리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김치 고형물의 이동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100)은,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는 어퍼버킷(110)과, 어퍼버킷(110)의 하부를 감싸는 로어버킷(120)과, 수납공간(112)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감지하는 염도센서(2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퍼버킷(11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버킷(110)은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어퍼버킷(110)의 상면은 통커버(1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통커버(130)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상면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버킷(11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12)에는 김치와 같은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바닥면)에는 센서홈(114)이 형성될 수 있고, 센서홈(114)에는 염도센서(200)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에는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20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홈(114)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홈(114)에는 염도센서(200)가 안착된다.
상기 센서홈(11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홈(11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홈(114)는 후술하는 센서커버(150)와 로어버킷(12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센서커버(150) 및 로어버킷(120)에 의해 차폐 및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센서홈(114)는 냉장고용 김치통의 위에서 볼 때는 센서커버(150)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냉장고용 김치통의 옆이나 아래에서 볼 때에는 로어버킷(1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센서홈(114)의 좌우에는 수용홈(140)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40)도 상기 센서홈(114)과 같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으로 가라않는 김치의 찌꺼기와 같은 고형물이 고이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염도센서(200)가 안착되는 센서홈(114)과, 고형물이 수용되는 수용홈(14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센서홈(114)의 좌우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좌우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홈(140)에는 경상면이 형성되어 좌우 양측 방향이나 수용홈(140)의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용홈(140)은 상대적으로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42)과, 상기 어퍼버킷(110)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14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경사면(142)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경사면(14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경사면(144)과 내측경사면(142)이 만나는 지점이 상기 수용홈(140)의 가장 낮은 위치가 된다. 즉, 상기 수용홈(140)의 깊이가 제일 깊은 곳이 된다.
물론, 상기 내측경사면(142)과 외측경사면(144) 사이에 평면 형상의 바닥면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고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어퍼버킷(110)의 하측에는 로어버킷(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버킷(120)은 냉장고용 김치통(100)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하측에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버킷(120)이 구비된다.
상기 로어버킷(120)은 어퍼버킷(110)과 열융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버킷(110)의 하단과 상기 로어버킷(120)의 상단 테두리가 서로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버킷(120)은 판체 형상인 것이 가능하고, 입체 형상인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로어버킷(120)이 입체 형상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로어버킷(120)은 상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어퍼버킷(110)의 하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버킷(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센서홈(114)과 수용홈(140)이 위치된다.
상기 어퍼버킷(110)에 형성된 센서홈(114)에는 염도센서(2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염도센서(200)는 상기 수납공간(112)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센서홈(114)의 옆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센서홈(11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 중앙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센서홈(114)의 측방에 하나 이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센서홈(114)의 좌우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40)에는, 고형물이 점차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42)과, 상기 어퍼버킷(110)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144)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측경사면(142)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측경사면(14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염도센서(200)는, 피시비(PCB)기판(210)과, 상기 피시비(PCB)기판(210)의 상하를 감싸는 상커버(220) 및 하커버(230)와, 상기 피시비(PCB)기판(210)에 체결되는 한 쌍의 전극(24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240)은, 상단이 상기 상커버(2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전극(240)의 상단은 상기 상커버(22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112) 내부의 김치 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커버(220)와 하커버(230)는 상기 피시비(PCB)기판(210)을 감싸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된다.
상기 상커버(220)는, 상기 하커버(230)에 결합되는 결합부(222)와, 상기 결합부(22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240)이 노출되는 전극홀(224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전극판(22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222)는 상기 하커버(230)와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222)는 상기 하커버(230)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커버(230)의 측면 내측이나 외측에 서로 겹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판(224)은, 주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극판(224)의 외측에는, 전극판(22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판(224)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방판(226a)이나 전면테(228a) 등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전방판(226a)이나 후방판(226d) 등은 상기 전극판(224)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판(224)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전방판(226a)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전극판(224)의 전방에는 앞으로 갈수록 점차 표면 높이가 낮아지는 전방판(226a)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전극판(224)의 좌우 측방에는, 좌우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좌측판(226b) 및 우측판(226c)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전극판(224)의 좌우에도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좌우로 갈수록 점차 표면 높이가 낮아지는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극판(224)의 후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후방판(226d)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커버(220)에는 테두리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전극판(224)의 전후좌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판(226a)과 후방판(226d) 그리고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이 각각 구비되어 전극판(224)을 감싼다.
그리고, 상기 전방판(226a)과 후방판(226d) 그리고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의 외측에는 사각형상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즉, 전면테(228a)와 후면테(228d) 그리고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가 각각 구비되어 상커버(220)의 사각 테두리를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된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이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테(228b)는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이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우측테(228c)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상커버(220)가 구성되면, 상기 전극판(224)에 노츨되는 전극(240)의 상단이 상커버(220)의 최고 높은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224)의 전후 좌우에는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 등이 고이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전극판(224) 주위의 전방판(226a)과 후방판(226d) 그리고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은 모두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전방판(226a)과 후방판(226d) 그리고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 상면에 가라않는 고형물은 외측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상기 전극판(224)으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상기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을 통해 미끄러지는 고형물이 상기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의 상면도 슬라이딩하여 상기 수용홈(140)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하커버(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하커버(230)의 측면은 상기 상커버(220)의 결합부(222)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져 서로 겹쳐져 결합된다.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에는, 김치가 염도센서(200)에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센서커버(1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에는 센서커버(1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을 차폐한다.
상기 센서커버(150)는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염도센서(200)로 김치 건더기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염도센서(200)로는 김치국물과 같은 액상 물질만 접근되도록 하여 김치의 염도 측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센서커버(150)는, 상기 센서홈(114)과 수용홈(140)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판(152)과, 상기 커버판(152)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152)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단(1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판(152)의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내면 좌우 길이와 어느 정도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김치 건더기는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양단과 어퍼버킷(1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지 못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버판(152)의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길이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내면 좌우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양단과 어퍼버킷(110)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김치 국물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상기 센서커버(150)의 하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지지단(154)은,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154)은 상기 커버판(152)이 상기 염도센서(2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단(154)은 상기 커버판(152)이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한, 상기 커버판(152)의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지지단(154)이 상기 커버판(152)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형성되거나 전후단 및 좌우측단에 각각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김치통(100)에서는 김치 고형물이나 작은 찌꺼기가 상기 센서커버(150)의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에 머무르지 못하고, 상기 수용홈(140)으로 가라앉아 쌓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염도센서(200)가 상기 센서홈(114)에 설치되면,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면으로 노출된 전극(240) 상단의 위치는 염도센서(200)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은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면에 적층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 등의 상면을 미끄러져 내려와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홈(140)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별도의 홈인 수용홈(140)에 고이게 되므로, 상기 염도센서(200)의 전극(240)에는 액상의 김치국물만 접촉하게 되므로, 김치의 염도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캐비닛 12. 어퍼 이너 케이스
14. 센터 이너 케이스 16. 로어 이너 케이스
20. 베리어 30,32. 드로워
40. 도어 42. 프론트 도어
50. 바스켓 60. 토출덕트
100. 김치통 110. 어퍼버킷
112. 보관공간 114. 센서홈
120. 로어버킷 130. 통커버
140. 수용홈 150. 센서커버
200. 염도센서 210. 피시비기판
220. 상커버 230. 하커버
240. 전극 U,C,L. 저장실

Claims (20)

  1. 김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어퍼버킷과;
    상기 어퍼버킷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버킷과;
    상기 어퍼버킷에 구비되며,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어퍼버킷의 바닥면에는,
    상기 염도센서가 안착되는 센서홈과, 고형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서홈의 옆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홈은,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 중앙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서홈의 측방에 하나 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서홈의 좌우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고형물이 점차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경사면과, 상기 어퍼버킷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경사면은, 상기 어퍼버킷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경사면은, 상기 어퍼버킷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센서는,
    피시비(PCB)기판과, 상기 피시비(PCB)기판의 상하를 감싸는 상커버 및 하커버와, 상기 피시비(PCB)기판에 체결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단이 상기 상커버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는,
    상기 하커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주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의 외측에는, 전극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전방판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의 좌우 측방에는, 좌우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좌측판 및 우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극판의 후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후방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에는 테두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된 좌측테와 우측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측테와 우측테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이 낮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센서의 상측에는, 김치가 염도센서에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센서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커버는,
    상기 센서홈과 수용홈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이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의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커버판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의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KR1020190146998A 2019-11-15 2019-11-15 냉장고용 김치통 KR20210059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98A KR20210059492A (ko) 2019-11-15 2019-11-15 냉장고용 김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98A KR20210059492A (ko) 2019-11-15 2019-11-15 냉장고용 김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492A true KR20210059492A (ko) 2021-05-25

Family

ID=7614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998A KR20210059492A (ko) 2019-11-15 2019-11-15 냉장고용 김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94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645A (ko)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김치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645A (ko)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김치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008B2 (en) Defrost water draining unit for a refrigerator
CN107110589B (zh) 冰箱
KR101104567B1 (ko) 냉장고 서랍장치
KR102629953B1 (ko) 냉장고
US20070169505A1 (en) Refrigerator
KR102421447B1 (ko) 냉장고용 김치통
KR20190107486A (ko) 냉장고
KR20210059492A (ko) 냉장고용 김치통
KR20210059491A (ko) 냉장고용 김치통
CN110375479B (zh) 具有导流板的冰箱
KR20210059490A (ko) 냉장고용 김치통
TW201730491A (zh) 冰箱
KR1010387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JP2019134902A (ja) ロッカー装置
KR10113243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1803625B1 (ko) 냉장고
US10823483B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heat transfer features for reducing condensation
JP3843088B2 (ja) 超低温フリーザ
JP4289985B2 (ja) 恒温高湿庫
KR101988306B1 (ko) 냉장고
CN110375484B (zh) 冰箱与冰箱的装配方法
JP4208280B2 (ja) 貯蔵庫
JP2902908B2 (ja) 低温貯蔵庫
KR200158634Y1 (ko) 냉장고
KR200336108Y1 (ko) 김치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