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033B1 -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 Google Patents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033B1
KR102420033B1 KR1020200055466A KR20200055466A KR102420033B1 KR 102420033 B1 KR102420033 B1 KR 102420033B1 KR 1020200055466 A KR1020200055466 A KR 1020200055466A KR 20200055466 A KR20200055466 A KR 20200055466A KR 102420033 B1 KR102420033 B1 KR 102420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eeding
supply
vibrator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756A (ko
Inventor
송병호
Original Assignee
송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호 filed Critical 송병호
Priority to KR102020005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0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족관의 어항(수조), 양어장, 축사 등에 설치하여 물고기나 닭 등에게 일정시간마다 적정량의 먹이(모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나 장치 들을 배제하고, 간단한 구조와 더불어 진동자의 부정형 진동만을 이용하여, 저장된 먹이(모이)를 일정시간마다 적정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복잡한 구성이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먹이를 배출하는 공급량조절판이 부정형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의해 저장된 먹이가 뭉쳐지더라도 지속적인 먹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먹이공급장치 분야, 특히 자동 먹이공급장치 분야와 더불어, 가축 사육 분야, 어류양식 분야, 축사/양어장/수족관 관리분야 등은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Vibration feeder for food}
본 발명은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족관의 어항(수조), 양어장, 축사 등에 설치하여 물고기나 닭 등에게 일정시간마다 적정량의 먹이(모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나 장치 들을 배제하고, 진동자의 부정형 진동만을 이용하여, 저장된 먹이(모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 오리 등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나, 양어장, 수족관 등에서는 관리자가 매일 일정한 시간마다 일정량의 먹이(모이)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관리자가 장시간 외출하거나 부주의로 인해 먹이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가 없더라도 일정시간마다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823호 '물고기용 먹이 공급기'(이하, '선행기술1'이라 한다)는, 수조의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일정시간마다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부유체에 구비된 회전판 및 고정판에 형성된 먹이공급홀이 일치되면서 먹이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조나 양어장에 설치되는 먹이공급장치의 경우, 많은 양의 물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설치장소의 특성상 습도가 매우 높은 상태에서 동작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높은 습도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먹이(사료)가 뭉쳐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바, 선행기술1의 경우에는 많은 구성들로 인해 각 구성들의 사이사이(예를 들어, 회전판과 고정판 사이 등)에서 먹이가 뭉쳐짐에 따라 먹이공급홀이 막히거나 일부 구성들이 동작하지 못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1은 일정한 위치에서 부유되는 공급장치를 통해 먹이가 공급되므로, 수조 내부에서 먹이를 공급하는 위치가 특정 부분에 한정되어 이루어지므로, 원활한 먹이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선행기술1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나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고, 각각의 비용 또한 크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2944호 '진동식 자동 먹이 공급장치'(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일정시간마다 일정량의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2의 경우, 지지대에 의해 플랜지와 베이스 간의 간격이 고정됨에 따라, 먹이가 공급되는 배출구의 크기도 고정되므로, 습기에 의해 먹이가 뭉쳐지게 될 경우, 먹이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은 그대로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행기술2는 무게중심이 편향된 회전자의 회전시 진동이 발생하기는 하나, 이러한 진동은 내부에 저장된 먹이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조금씩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할 뿐이며, 간격(틈)이 고정되어 있는 배출구의 크기가 변형되는 것은 아니므로, 습기에 의해 먹이가 뭉쳐지게 될 경우, 먹이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은 그대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선행기술2의 경우에도, 공급장치의 하부의 일정범위와 같이 특정 부분에 한정되어 먹이공급이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823호 '물고기용 먹이 공급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2944호 '진동식 자동 먹이 공급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더불어 진동자의 부정형 진동만을 이용하여, 저장된 먹이(모이)를 일정시간마다 적정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진동자의 부정형 진동을 통해, 저장된 먹이가 배출되는 틈이 유동적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의해 저장된 먹이가 뭉쳐지더라도 지속적인 먹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먹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급장치에 인접한 영역에만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먹이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는, 하부에 배출홀이 형성된 호퍼; 상기 배출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부정형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출홀의 하부에 밀착되는 공급량조절판; 및 상기 공급량조절판을 부정형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량조절판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탄성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는, 상기 배출홀의 측면으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량조절판은, 상기 배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플랜지와 면접촉되는 중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량조절판은, 상기 중첩부에 적어도 하나의 먹이공급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먹이를 주위로 확산시키는 먹이확산판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먹이확산판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자의 외측면에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진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구는, 일측종단이 상기 진동자의 외측면에 고정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종단에 구성된 분쇄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수족관의 어항(수조), 양어장, 축사 등에 설치하여 물고기나 닭 등에게 일정시간마다 적정량의 먹이(모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먹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나 장치 들을 배제하고, 간단한 구조와 더불어 진동자의 부정형 진동만을 이용하여, 저장된 먹이(모이)를 일정시간마다 적정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복잡한 구성이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먹이를 배출하는 공급량조절판이 부정형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의해 저장된 먹이가 뭉쳐지더라도 지속적인 먹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진동자에 분쇄구를 구성하고, 진동자의 진동시 분쇄구가 진동하도록 하여, 호퍼 내부에서 뭉쳐진 먹이가 잘게 부서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먹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먹이가 비교적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먹이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먹이의 공급영역을 확산시키는 먹이확산판이나, 뭉쳐진 먹이를 부수는 분쇄구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효율적으로 최적화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먹이공급장치 분야, 특히 자동 먹이공급장치 분야와 더불어, 가축 사육 분야, 어류양식 분야, 축사/양어장/수족관 관리분야 등은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호퍼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동작에 의해 먹이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공급량조절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베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베이스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진동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진동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호퍼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A)는 호퍼(100), 베이스(200), 공급량조절판(300) 및 진동자(400)를 포함한다.
호퍼(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에 배출홀(101)이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저장된 먹이가 배출홀(101)을 통해 공급된다. 이때, 호퍼(100)의 상부에는 별도의 뚜껑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호퍼(100)의 하부에는, 배출홀(101)의 측면으로 플랜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호퍼(100)의 하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호퍼(100)의 배출홀(10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때, 베이스(20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퍼(100)의 플랜지(1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홀(101)과의 이격거리는 스페이서(21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서, 스페이서(210)는 고정볼트(211)에 의해 양측단이 각각 플랜지(110) 및 베이스(200)에 고정설치 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호퍼(100)의 배출홀(101)과 베이스(200)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공급량조절판(300)은 베이스(200)의 상부에 부정형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배출홀(101)의 하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부정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프링 등의 탄성구(310)에 의해 베이스(20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진동자(400)는 공급량조절판(300)을 부정형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량조절판(300)의 상부면에서 배출홀(101)을 통해 호퍼(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A)는, 호퍼(100)로부터 이격되어 구성된 베이스(200)에 공급량조절판(300)을 설치하되, 공급량조절판(300)이 탄성구(310)에 의해 호퍼(100)의 배출홀(101) 측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공급량조절판(300)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도가 높은 상태에서 배출홀(101)을 개폐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동작에 의해 먹이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평상시 도 4의 상부와 같이 탄성구(310)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공급량조절판(300)이 배출홀(101) 측으로 가압되면서, 배출홀(101)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배출홀(101)이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량조절판(300)의 가장자리가, 배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110)와 면접촉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급량조절판(300)의 가장자리에는 호퍼(100)의 플랜지(110) 하부에 면접촉되는 중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먹이공급시간이 되면, 진동자(400)가 동작하면서 공급량조절판(300)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자(400)에서 발생한 진동이 공급량조절판(300)으로 전달되면, 공급량조절판(300)은 해당 진동 및 그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도 4의 하부와 같이 호퍼(100)의 배출홀(211)에서 부정형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로 인해 배출홀(211)과 공급량조절판(300) 사이의 간격이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에, 호퍼(100) 내부에 저장된 먹이의 크기가 다양한 경우, 또는 습기에 의해 먹이가 뭉쳐진 경우에도 배출홀(211)과 공급량조절판(300) 사이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먹이의 크기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 또는 습기에 의해 먹이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 뭉쳐진 경우에는, 도 4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배출되는 것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공급량조절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급량조절판(300)은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먹이공급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먹이공급홀(321)은 공급량조절판(300)의 중첩부(3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평상시 공급량조절판(300)이 플랜지(11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먹이공급홀(321)이 플랜지(110)에 가려지므로, 배출홀(101)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자(400)가 동작되면, 플랜지(110)와 공급량조절판(300)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당한 크기의 먹이가 먹이공급홀(3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먹이의 크기 차이가 매우 큰 경우, 또는 습기에 의해 먹이가 상당한 크기로 뭉쳐진 경우에는, 도 5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도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배출된다 하더라도 사육되는 동물들이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베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200)의 상부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200)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진동자(400)의 진동에 의해 공급량조절판(300)이 부정형으로 움직이게 되면, 배출홀(101)을 통해 배출된 먹이의 일부가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200)의 경사부(220)에 의해 보다 멀리 확산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A)가 설치된 지역과 더불어 보다 확산된 영역까지 먹이가 효율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베이스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먹이를 확산시키기 위한 방법 중 다른 하나로 먹이확산판(230)이 구성될 수 있다.
먹이확산판(230)은 도 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20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200)에는 먹이확산판(230)이 끼워지는 관통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먹이확산판(23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7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홀(101)을 통해 배출된 먹이의 일부가 먹이확산판(230)의 경사면에 의해 보다 멀리 확산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진동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진동자(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5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제어유닛(50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시작시간, 동작유지시간, 진동량 등을 포함하는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진동자(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500)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량조절판(300)의 하부에서 탄성구(310) 및 베이스(200)의 관통홀(201)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진동자(400)와 제어유닛(500) 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진동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진동자(40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분쇄구(410)를 구성할 수 있다.
분쇄구(410)는 진동자(400)의 진동에 의해 진동되는 것으로, 도 4의 하부와 같이 진동자(400)가 진동하게 되면, 호퍼(100)의 내부에서 뭉쳐진 먹이를 잘게 부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원활한 먹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쇄구(410)는 일측종단이 진동자(40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스프링(411)과, 스프링(411)의 다른 일측종단에 구성된 분쇄촉(412)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자(400)가 진동하게 되면, 발생된 진동이 스프링(411)을 통해 분쇄촉(412)으로 전달되고, 분쇄촉(412)이 부정형으로 움직이면서 뭉쳐진 먹이를 다시 원상태로 잘게 부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분쇄구(410)를 공급량조절판(300)의 상부에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A)는 습기에 의해 호퍼(100) 내부에 저장된 먹이가 뭉쳐지더라도 원할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과도하게 뭉쳐진 먹이를 잘게 부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된 먹이가 넓은 영역에 원활하게 확산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100 : 호퍼 101 : 배출홀
110 : 플랜지
200 : 베이스 220 : 경사부
230 : 먹이확산판
300 : 공급량조절판 310 : 탄성구
320 : 중첩부 321 : 먹이공급홀
400 : 진동자 410 : 분쇄구
411 : 스프링 412 : 분쇄촉

Claims (9)

  1. 하부에 배출홀이 형성된 호퍼;
    상기 배출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부정형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구에 의해 상기 배출홀의 하부에 밀착되는 공급량조절판; 및
    상기 공급량조절판에 설치되어 공급량조절판을 부정형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에는 상기 배출홀의 측면으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량조절판에는 상기 배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플랜지와 면접촉되는 중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조절판은,
    상기 중첩부에 적어도 하나의 먹이공급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먹이를 주위로 확산시키는 먹이확산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확산판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외측면에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진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구는,
    일측종단이 상기 진동자의 외측면에 고정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종단에 구성된 분쇄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KR1020200055466A 2020-05-08 2020-05-08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KR10242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466A KR102420033B1 (ko) 2020-05-08 2020-05-08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466A KR102420033B1 (ko) 2020-05-08 2020-05-08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56A KR20210136756A (ko) 2021-11-17
KR102420033B1 true KR102420033B1 (ko) 2022-07-13

Family

ID=7870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466A KR102420033B1 (ko) 2020-05-08 2020-05-08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7750B (zh) * 2023-03-08 2023-09-29 上海海圣生物实验设备有限公司 一种投食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33A (ja) 2000-05-06 2001-11-13 Atsushi Manabe 粒状飼料の自動給餌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5159A (en) * 1984-08-10 1986-01-21 Sweeney Enterprises, Inc. Animal feeder
KR20110012944A (ko)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도시펌프 진동식 자동 먹이 공급장치
KR20140108823A (ko) 2013-02-28 2014-09-15 정지원 물고기용 먹이 공급기
KR101603517B1 (ko) * 2014-05-30 2016-03-15 박장춘 물 청소 가능형 사료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33A (ja) 2000-05-06 2001-11-13 Atsushi Manabe 粒状飼料の自動給餌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56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033B1 (ko)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US20100242846A1 (en) Food Dispensers and Aquaculture Systems
JP3655839B2 (ja) ねじ供給装置
CN108293892B (zh) 液状饲料供应机
KR200228641Y1 (ko) 입상물정량배출장치
JP5274137B2 (ja) 粒状物体払い出し装置
JP2007223738A (ja) 振動ボウルフィーダ
JP3923316B2 (ja) パーツフィーダの静電気除去装置
KR101462164B1 (ko) 원료 공급 장치
KR102301901B1 (ko) 비중 선별 장치
JP6659076B2 (ja) エサ棒1で受け板穴9を開閉し開閉時の衝撃で飼料を適量切り崩して落下さす家畜用給餌器
KR200476587Y1 (ko) 전자 부품 정렬판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정렬 장치
RU2197325C2 (ru) Вибромельница
CN1261840C (zh) 多向输入装置
KR101979227B1 (ko) 양돈용 사료공급기
KR102481137B1 (ko) 파우더 분쇄 장치
KR20060109617A (ko) 원심력을 이용한 어류의 사료살포장치
CN101462091A (zh) 草木粉碎机
CN218706632U (zh) 一种缝合钉的振动上料装置
JP2003009699A (ja) 給餌装置
CN210388221U (zh) 一种碎纸刀片自动定向装置及碎纸机
JP4907971B2 (ja) ストランドカッタ装置
JPH05147042A (ja) 材料供給装置
KR200195480Y1 (ko) 축산용 분말약제 투여장치
KR200317823Y1 (ko) 어류용 사료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