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846B1 -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846B1
KR102419846B1 KR1020220014566A KR20220014566A KR102419846B1 KR 102419846 B1 KR102419846 B1 KR 102419846B1 KR 1020220014566 A KR1020220014566 A KR 1020220014566A KR 20220014566 A KR20220014566 A KR 20220014566A KR 102419846 B1 KR102419846 B1 KR 10241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textile
excavation hole
formwork
join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진
Original Assignee
성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가 흐르는 지반으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말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이 시공될 지반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여 원통형의 굴착공(10)을 형성하는 굴착단계(S10); 상기 굴착공(10)에 대응하는 형상과 길이를 가진 토목섬유거푸집(20)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20); 상기 굴착공(10)의 내면에 토목섬유거푸집(20)을 밀착되게 삽입하여 굴착공(10)의 내/외부를 격리하는 차수단계(S30); 상기 굴착공(10)에 시멘트페이스트(30)를 소정의 용량으로 주입하는 충진단계(S40); 상기 굴착공(10)에 기성말뚝(40)을 삽입하고, 삽입된 기성말뚝(40)을 경타하여 지지층에 정착시키는 말뚝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성말뚝이 심어지는 굴착공으로 내부와 외부를 격리시키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굴착공에 주입되는 시멘트페이스트와 지하수의 접촉이 차단됨에 따라 지하수와 토양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Pile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geotextile formwork}
본 발명은 지하수가 흐르는 지반으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말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성말뚝이 심어지는 굴착공으로 내부와 외부를 격리시키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굴착공에 주입되는 시멘트페이스트와 지하수의 접촉이 차단됨에 따라 지하수와 토양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대형 건설 구조물의 깊은 기초는 기성말뚝(강관말뚝, PHC말뚝, 복합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기성말뚝의 시공순서는 지지층까지 말뚝의 직경보다 10cm 크게 선행굴착을 한 다음 시멘트페이스트를 채운 후 공장에서 제작한 기성말뚝을 심고 경타하여 지지층에 정착시키는 과정으로 실시한다.
여기서 경화되지 않은 시멘트와 지하수가 접촉하게 되면, 시멘트가 지하수에 용해되어서 시멘트에 함유된 중금속이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즉, 시멘트에는 6가크롬, 비소, 카드늄, 구리, 수은, 납 등 발암물질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고, 이중에서 6가크롬은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1종 발암물질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특허문헌1과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차수기능을 갖는 토목섬유거푸집을 굴착공에 설치하여 콘크리트와 지하수의 접촉을 차단하는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개시된 시공방법은 현장타설말뚝에 관한 것이므로 기성말뚝에 적용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즉, 토목섬유거푸집을 철근망에 연결 장착해서 굴착공에 동시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실시하는데 반해 기성말뚝은 철근망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굴착공에 단독으로 삽입해서 설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아울러 토목섬유거푸집을 원통형으로 제직이 어렵기 때문에 기 제작된 토목섬유원단을 굴착공에 적합한 형상과 크기로 제작이 불가피한 문제가 있다.
즉, 기존에는 어느 한쪽은 고정한 다음 다른 쪽에서 조이는 과정으로 체결하는 볼/너트방식의 수평 및 수직연결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제작에 필요한 공수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0104호 발명의 명칭: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의 수중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기성말뚝이 심어지는 굴착공으로 내부와 외부를 격리시키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굴착공에 주입되는 시멘트페이스트와 지하수의 접촉이 차단됨에 따라 지하수와 토양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벳을 통한 맞대기 접합 및 이음방식을 통해 굴착공에 대응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제작함으로써, 신속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제작이 가능하여 시공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하수가 흐르는 지반으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말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이 시공될 지반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여 원통형의 굴착공을 형성하는 굴착단계; 상기 굴착공에 대응하는 형상과 길이를 가진 토목섬유거푸집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굴착공의 내면에 토목섬유거푸집을 밀착되게 삽입하여 굴착공의 내/외부를 격리하는 차수단계; 상기 굴착공에 시멘트페이스트를 소정의 용량으로 주입하는 충진단계; 상기 굴착공에 기성말뚝을 삽입하고, 삽입된 기성말뚝을 경타하여 지지층에 정착시키는 말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준비단계는, 소정크기로 제직된 편평한 토목섬유원단과, 상기 굴착공의 직경에 대응하는 롤러지그를 각각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롤러지그의 일측에 줄형으로 함몰 형성된 슬롯에 제1 접합플레이트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제1 접합플레이트의 상단에 토목섬유원단의 양측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롤러지그에 감는 제3단계; 상기 제1 접합플레이트에 겹쳐진 토목섬유원단의 단부에 제2 접합플레이트를 안착하는 제4단계; 상기 제1/2 접합플레이트에 관통된 접합홀마다 리벳으로 맞대기 이음하는 제5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원통형으로 말려진 토목섬유원단의 일단 내측으로 원형의 이음와셔를 동심하게 삽입하는 제6단계; 상기 이음와셔와 겹쳐진 토목섬유원단의 외면에 오므림과 벌림이 가능한 이음링을 장착하는 제7단계; 상기 이음와셔와 이음링에 관통된 이음홀마다 리벳으로 맞대기 이음하는 제8단계;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7단계는, 상기 토목섬유원단의 길이가 굴착공의 깊이보다 짧은 경우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동시 또는 선행으로 거쳐 제작된 원통형의 토목섬유원단의 일측 단부끼리 동심하게 겹친 다음 겹침부위에 이음링을 장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굴착공의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토목섬유원단을 굴착공의 직경으로 재단한 토목섬유밑지를 이음와셔의 일면에 개재한 다음 토목섬유밑지의 일면에 접합와셔를 장착한 이후 이음와셔와 접합와셔에 관통된 이음홀마다 리벳으로 맞대기 이음하는 제9단계;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토목섬유원단은, 상기 시멘트페이스트에 대한 투수계수가 10-3cm/sec 이하인 폴리계 원사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토목섬유원단은, 상기 시멘트페이스트의 경화가 완료된 이후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분해가 가능하게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토목섬유원단은, 소정패턴으로 제직된 원단을 아크릴수지와 증점제로 조성된 충진용액에 침지시킨 다음 열풍으로 건조하여 경화시킨 이후 폴리우레탄수지와 황토 및 전분으로 조성된 차수용액을 분사하여 코팅한 다음 상온의 물에 침지하여 경화시킨 이후 생분해성세균을 도포하여 황토의 미세공극에서 서식되게 침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기성말뚝이 심어지는 굴착공으로 내부와 외부를 격리시키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굴착공에 주입되는 시멘트페이스트와 지하수의 접촉이 차단됨에 따라 지하수와 토양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리벳을 통한 맞대기 접합 및 이음방식을 통해 굴착공에 대응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제작함으로써, 신속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제작이 가능하여 시공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시멘트의 경화가 완료된 이후부터 토목섬유거푸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체화됨으로써, 경화된 시멘트구조물과 지반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말뚝시공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말뚝시공방법의 말뚝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말뚝시공방법의 준비단계와 차수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말뚝시공방법의 충진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말뚝시공방법의 말뚝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거푸집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작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작된 토목섬유거푸집의 주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지하수가 흐르는 지반으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말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굴착단계(S10)와 준비단계(S20) 및 차수단계(S30)와 충진단계(S40) 그리고 말뚝단계(S50)를 거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단계(S10)는 도 2와 같이 구조물이 시공될 지반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여 원통형의 굴착공(10)을 형성한다.
여기서 굴착공(10)은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기성말뚝(40)의 직경보다 10cm 큰 직경으로 지지층까지 굴착한다.
즉, 굴착공(10)과 기성말뚝(40) 사이에 생성되는 여유공간으로는 후술하는 시멘트페이스트(30)로 채워진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준비단계(S20)는 도 3과 같이 굴착공(10)에 대응하는 형상과 길이를 가진 토목섬유거푸집(20)을 준비한다.
즉, 편평한 토목섬유원단(21)을 굴착공(10)의 내면과 밑면에 밀착 가능한 원통형의 토목섬유거푸집(20)을 제작한다.
이러한 토목섬유거푸집(20)의 제작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차수단계(S30)는 도 3과 같이 굴착공(10)의 내면으로 준비된 토목섬유거푸집(20)을 밀착되게 삽입한다.
즉, 토목섬유거푸집(20)의 설치로 인해 굴착공(10)의 내부와 외부가 격리됨에 따라 외부의 지하수와 후술하는 시멘트페이스트(30)와는 접촉이 차단된다.
따라서 시멘트페이스트(30)에 함유하는 발암물질과 중금속의 용해가 차단됨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예방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충진단계(S40)는 도 4와 같이 시멘트페이스트(30)를 소정의 용량으로 주입한다.
즉, 굴착공(10)과 기성말뚝(40) 사이에 생성될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용량으로 주입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말뚝단계(S50)는 도 5와 같이 굴착공(10)의 중앙에 기성말뚝(40)을 삽입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삽입된 기성말뚝(40)을 경타하여 지지층에 정착시켜 시공을 완료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준비단계(S20)는 도 7 내지 도 16과 같이 제1단계(S21) 내지 제9단계(S29)를 거쳐 토목섬유거푸집(20)을 제작할 수 있다.
먼저, 도 7과 같이 소정의 패턴과 크기로 제직된 편평한 토목섬유원단(21)과, 굴착공(10)의 직경에 대응하는 롤러지그(22)를 각각 준비한다.
이러한 롤러지그(22)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향해 다단으로 함몰 형성된 줄형의 슬롯(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롤러지그(22)의 길이는 토목섬유원단(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롤러지그(22)의 슬롯(22a)으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 접합플레이트(23)를 삽입 장착한다.
제1 접합플레이트(23)는 롤러지그(22)의 길이와 슬롯(22a)의 두께로 형성되어 일체감 있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1 접합플레이트(23)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된 접합홀(23a)이 형성된다.
이어서 준비된 토목섬유원단(21)을 도 9와 같이 제1 접합플레이트(23)의 상단으로 양측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롤러지그(22)에 감는다.
이어서 도 10과 같이 제1 접합플레이트(23)에 겹쳐진 토목섬유원단(21)의 단부에 제2 접합플레이트(24)를 안착한다.
제2 접합플레이트(24)는 제1 접합플레이트(23)와 동일한 것으로, 중앙에는 접합홀(24a)들이 배열 형성된다.
이어서 제1/2 접합플레이트(23)(24)에 관통 형성된 접합홀(23a)(24a)마다 도 11처럼 리벳(25)으로 맞대기 이음한다.
이어서 도 12와 같이 원통형으로 말려진 토목섬유원단(21)의 일단 내측으로 원형의 이음와셔(26)를 동심하게 삽입한다.
이음와셔(26)는 롤러지그(22)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면과 측면에는 이음홀(26a)이 방사로 관통 형성된다.
이어서 도 13과 같이 이음와셔(26)와 겹쳐진 토목섬유원단(21)의 외면에 이음링(27)을 감싸지게 장착한다.
이음링(27)은 이음와셔(26)의 외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이음홀(27a)이 방사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이음링(27)은 호형으로 절개 형성되어 벌림과 오므림 변형이 가능한 탄성을 갖는다.
이때, 토목섬유원단(21)의 길이가 굴착공(10)의 깊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동일하게 기 제작된 원통형의 토목섬유원단(21)의 단부끼리 동심하게 겹쳐준다.
그리고 상호 겹쳐진 부위에 이음링(27)을 장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굴착공(10)의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한다.
이어서 도 15와 같이 이음와셔(26)와 이음링(27)에 관통된 이음홀(26a)(27a)마다 리벳(25)으로 맞대기 이음한다.
이어서 도 16과 같이 토목섬유원단(21)을 굴착공(10)의 직경으로 재단한 토목섬유밑지(28)와 접합와셔(29)를 준비한다.
즉, 토목섬유밑지(28)를 이음와셔(26)의 일면에 개재한 다음 토목섬유밑지(28)의 일면에 접합와셔(29)를 장착한다.
그리고 이음와셔(26)와 접합와셔(29)에 관통된 이음홀(26a)(29a)마다 리벳(25)으로 맞대기 이음하여 토목섬유거푸집(20)을 완성한다.
완성된 토목섬유거푸집(20)은 도 17과 같이 제1/2 접합플레이트(23)(24)와 이음와셔(26) 및 이음링(27)이 골격 및 가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토목섬유거푸집(20)은 원통형으로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굴착공(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이나 충격에도 토목섬유원단(21)이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토목섬유거푸집(20) 단독으로 신속 간편하면서도 정밀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이러한 토목섬유거푸집(20)은 말뚝시공방법에 따라 제5단계(S25)까지만 제작된 단순 원통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제8단계(S28)까지만 제작되어 토목섬유밑지(28)가 생략된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토목섬유원단(21)은 시멘트페이스트(30)가 유출되지 않도록 투수계수가 10-3cm/sec 이하인 폴리계 원사로 제직하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목섬유원단(21)은 시멘트페이스트(30)의 경화가 완료된 이후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체화가 가능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소정패턴으로 제직된 원단을 아크릴수지와 증점제로 조성된 충진용액에 침지시킨 다음 열풍으로 건조하여 경화시킨다.
즉, 충진용액은 후술하는 차수용액의 코팅을 도모하는 것으로, 토목섬유원단(21)의 망눈에 충진되어 표면을 편평하게 해준다.
여기서 충진용액은 아크릴수지 10~70 중량%와, 증점제 30~90 중량%를 혼합하여 50cps 이하의 점도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우레탄수지와 황토 및 전분으로 조성된 차수용액을 분사하여 코팅한 다음 상온의 물에 침지하여 경화시킨다.
즉, 차수용액의 코팅으로 인해 토목섬유원단(21)의 강도가 향상됨에 따라 시멘트페이스트(30)의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가 있다.
여기서 차수용액은 폴리우레탄수지 70~90 중량%와, 천연황토 5~15 중량% 및 전분 5~15 중량%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생분해성세균을 도포하여 황토의 미세공극에서 서식되게 침투시킨다.
생분해성세균으로 코클리오볼루스종(Cochliobolus sp.), 아스페르길루스 니제르(Aspergillus niger),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티쿠스(Lysinibacillus xylanilyticus)으로 조성될 수 있다.
즉, 황토에 서식하는 생분해성세균이 분해효소인 라카아제, 아밀라아제 또는 리파아제를 분비하거나 촉진하게 된다.
따라서 굴착공(10)에 설치된 토목섬유거푸집(20)은 경화된 시멘트페이스트(30)와 지반이 일체화됨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S10: 굴착단계
S20: 준비단계
S30: 차수단계
S40: 충진단계
S50: 말뚝단계
10: 굴착공
20: 토목섬유거푸집
21: 토목섬유원단
22: 롤러지그
22a: 슬롯
23: 제1 접합플레이트
23a, 23b: 접합홀
24: 제2 접합플레이트
25: 리벳
26: 이음와셔
26a, 27a, 29a: 이음홀
27: 이음링
28: 토목섬유밑지
29: 접합와셔
30: 시멘트페이스트
40: 기성말뚝

Claims (8)

  1. 지하수가 흐르는 지반으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말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이 시공될 지반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여 원통형의 굴착공(10)을 형성하는 굴착단계(S10);
    상기 굴착공(10)에 대응하는 형상과 길이를 가진 토목섬유거푸집(20)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20);
    상기 굴착공(10)의 내면에 토목섬유거푸집(20)을 밀착되게 삽입하여 굴착공(10)의 내/외부를 격리하는 차수단계(S30);
    상기 굴착공(10)에 시멘트페이스트(30)를 소정의 용량으로 주입하는 충진단계(S40);
    상기 굴착공(10)에 기성말뚝(40)을 삽입하고, 삽입된 기성말뚝(40)을 경타하여 지지층에 정착시키는 말뚝단계(S50);를 포함하여,
    상기 준비단계(S20)는,
    소정크기로 제직된 편평한 토목섬유원단(21)과, 상기 굴착공(10)의 직경에 대응하는 롤러지그(22)를 각각 준비하는 제1단계(S21);
    상기 롤러지그(22)의 일측에 줄형으로 함몰 형성된 슬롯(22a)에 제1 접합플레이트(23)를 삽입하는 제2단계(S22);
    상기 제1 접합플레이트(23)의 상단에 토목섬유원단(21)의 양측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롤러지그(22)에 감는 제3단계(S23);
    상기 제1 접합플레이트(23)에 겹쳐진 토목섬유원단(21)의 단부에 제2 접합플레이트(24)를 안착하는 제4단계(S24);
    상기 제1/2 접합플레이트(23)(24)에 관통된 접합홀(23a)(24a)마다 리벳(25)으로 맞대기 이음하는 제5단계(S25);
    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20)는,
    상기 원통형으로 말려진 토목섬유원단(21)의 일단 내측으로 원형의 이음와셔(26)를 동심하게 삽입하는 제6단계(S26);
    상기 이음와셔(26)와 겹쳐진 토목섬유원단(21)의 외면에 오므림과 벌림이 가능한 이음링(27)을 장착하는 제7단계(S27);
    상기 이음와셔(26)와 이음링(27)에 관통된 이음홀(26a)(27a)마다 리벳(25)으로 맞대기 이음하는 제8단계(S28);
    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S28)는,
    상기 토목섬유원단(21)의 길이가 굴착공(10)의 깊이보다 짧은 경우 제1단계(S21) 내지 제6단계(S26)를 동시 또는 선행으로 거쳐 제작된 원통형의 토목섬유원단(21)의 일측 단부끼리 동심하게 겹친 다음 겹침부위에 이음링(27)을 장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굴착공(10)의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20)는,
    상기 토목섬유원단(21)을 굴착공(10)의 직경으로 재단한 토목섬유밑지(28)를 이음와셔(26)의 일면에 개재한 다음 토목섬유밑지(28)의 일면에 접합와셔(29)를 장착한 이후 이음와셔(26)와 접합와셔(29)에 관통된 이음홀(26a)(29a)마다 리벳(25)으로 맞대기 이음하는 제9단계(S29);
    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원단(21)은,
    상기 시멘트페이스트(30)에 대한 투수계수가 10-3cm/sec 이하인 폴리계 원사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원단(21)은,
    상기 시멘트페이스트(30)의 경화가 완료된 이후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체화가 가능하게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원단(21)은,
    소정패턴으로 제직된 원단을 아크릴수지와 증점제로 조성된 충진용액에 침지시킨 다음 열풍으로 건조하여 경화시킨 이후 폴리우레탄수지와 황토 및 전분으로 조성된 차수용액을 분사하여 코팅한 다음 상온의 물에 침지하여 경화시킨 이후 생분해성세균을 도포하여 황토의 미세공극에서 서식되게 침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KR1020220014566A 2022-02-04 2022-02-04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KR10241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566A KR102419846B1 (ko) 2022-02-04 2022-02-04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566A KR102419846B1 (ko) 2022-02-04 2022-02-04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846B1 true KR102419846B1 (ko) 2022-07-12

Family

ID=8241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566A KR102419846B1 (ko) 2022-02-04 2022-02-04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8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04A (ko) 1999-09-15 2000-01-15 남승엽, 최경민 자동 정제 투입기
JP2016205111A (ja) * 2014-11-11 2016-12-08 隆夫 中野 既製杭埋込み工法
JP2017145551A (ja) * 2016-02-15 2017-08-24 芦森工業株式会社 杭の施工方法及び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04A (ko) 1999-09-15 2000-01-15 남승엽, 최경민 자동 정제 투입기
JP2016205111A (ja) * 2014-11-11 2016-12-08 隆夫 中野 既製杭埋込み工法
JP2017145551A (ja) * 2016-02-15 2017-08-24 芦森工業株式会社 杭の施工方法及び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468B1 (ko) 원심 성형 중공 피씨 기둥 및 이것과 함께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철골 기둥을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777176B1 (ko)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스틸관들을 이용한 cip 공법
KR100923078B1 (ko) 시트파일과 띠장을 이용한 가물막이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 시공방법
JP5274145B2 (ja) 場所打ち杭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106498950A (zh) 锚头置于桩身的深基坑桩锚支护体系及其实施方法
KR100933660B1 (ko)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18282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CN111501772A (zh) Smw工法桩结合注浆钢管支撑支护施工方法
CN110820762A (zh) 一种劲芯帷幕桩与护壁桩锚联合支护结构的施工方法
KR101008386B1 (ko) Cip 공법을 활용한 방음벽 구조물 기초 및 그 시공방법
CN112411610A (zh) 一种桩基托换施工方法
KR102419846B1 (ko)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말뚝시공방법
JP4451553B2 (ja) 浮力防止構造体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6872231B2 (ja) 長期耐久性を有する岩盤斜面の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124007B2 (ja) 擁壁構造の施工方法
JP2008223432A (ja) 構造物の耐震工法、構造物の耐震補強工法、構造物の構築方法、構造物の耐震構造、管状部材、アンカー、及びアンカーの設置方法
KR102111153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JP2016148224A (ja) 沈設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沈設構造物
CN211395698U (zh) 一种劲芯帷幕桩与护壁桩锚联合支护结构
KR20180131042A (ko) 말뚝 및 그 시공방법
JP6345328B1 (ja) 元位置建柱工法および元位置建柱構造
KR101781058B1 (ko) 콘크리트 기성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JP2020111908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及び底部注入管
KR20100017019A (ko) 복합 쉘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