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605B1 -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 Google Patents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605B1
KR102419605B1 KR1020200162351A KR20200162351A KR102419605B1 KR 102419605 B1 KR102419605 B1 KR 102419605B1 KR 1020200162351 A KR1020200162351 A KR 1020200162351A KR 20200162351 A KR20200162351 A KR 20200162351A KR 102419605 B1 KR102419605 B1 KR 102419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cessor
location
smart clothing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166A (ko
Inventor
구민재
김재훈
김언호
Original Assignee
마이스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스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스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6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 의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는, 상기 전자 장치 모듈은, 상기 스마트 의류의 일부에 부착되고, 통신 회로, 출력 장치, 복수의 센서, 복수의 품새에 대응되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경로, 품새에 대응되는 이동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의 이동 속도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강도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기준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센서, 상기 통신회로,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와 통신 채널을 개설하고, 상기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통신회로와의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SMART CLOTHES INCLUDING SCORING SENSOR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착용자의 움직임, 속도, 착용부위의 가속도,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채점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채점을 진행하는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이다.
태권도 시합의 경우, 겨루기뿐만 아니라, 태권도의 기본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품새 시합이 존재한다. 정해진 경로를 따라 공격 자세와 방어자세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겨루기 시합의 경우, 전자 호구 등을 이용하여, 채점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호구는 압력 센서 또는 가압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센서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바탕으로, 점수가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품새 시합의 경우, 전자 호구와 달리 경로의 정확성, 이동 경로의 대칭성, 자세의 정확성 및 가해지는 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전자 호구와는 구별되는 기술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태권도 품새 시합은, 육안으로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육안에 의한 평가로 인하여, 가해지는 힘, 동작의 정확성 등과 같은 부분의 정량화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히, 선수들이 도복의 일부에 유체를 적셔와서 정권찌르기나 발차기할 때, "퍽" "퍽" 소리가 나도록 하여 평가자에게 마치 파워도 있고 절도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도록 하는 등의 행위가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행위가 발각되더라도 신체에서 배출되는 땀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채점자의 시각이나 청각에 의한 판단을 보조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KR 10-1770525 B1 KR 10-2011-0103037 A
후술할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채점자의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주관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고, 스마트 의류의 착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행동들을 정량화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는 스마트 의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점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는, 상기 전자 장치 모듈은, 상기 스마트 의류의 일부에 부착되고, 통신 회로, 출력 장치, 복수의 센서, 복수의 품새에 대응되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경로, 품새에 대응되는 이동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의 이동 속도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강도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기준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센서, 상기 통신회로,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와 통신 채널을 개설하고, 상기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통신회로와의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는 채점자의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주관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고, 스마트 의류의 착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행동들을 정량화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점수를 제공하여, 판정의 공정성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는, 채점관이 놓칠 수 있는 동작들을 기록에 의해 남겨둘 수 있어, 사후적으로 채점 결과를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에 포함된 전자 장치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를 입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사용자의 위치 식별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채점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의 구조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스마트 의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모듈을 가지고 있어,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 정보등을 획득하여, 착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착용자의 신체 정보등을 획득하여, 착용자의 심박수, 혈압, 착용자의 위치등을 파악하여, 착용자의 현재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의 건강 상태가 이상이 발생한 경우, 착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알릴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의류(1)는 전자 장치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모듈(100)은 외부의 통신회로들(10, 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댜앙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모듈(100)은 스마트 의류(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모듈(100)은 스마트 의류(1)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모듈(100)은 사용자가 스마트 의류(1)를 착용할 때,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형성된 전자 장치 모듈(100)은 스마트 의류(1)와 버튼 결합, 끼움 결합, 벨크로 결합과 같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스마트 의류(1)의 경우, 세척을 수행할 때에는 전자 부품이 포함되어 있는 전자 장치 모듈(100)을 제거하고 의류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의류(1)에 부착된 전자 장치 모듈(100)은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 모듈(100)은 복수개 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팔, 다리, 어깨 등 신체의 일부의 움직임, 신체 정보를 획득하고자하는 영역에 부착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1)에 포함된 전자 장치 모듈(100)은 기지국(셀룰러 기지국, AP(access point))(10)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근거리 외부 통신 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에 포함된 전자 장치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모듈(100)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출력 장치(150), 통신 모듈(160), 및 복수의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 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 모듈(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130)에게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130)에게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기록(또는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 출력 장치(150), 통신 모듈(160), 또는 복수의 센서(17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고, 가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메모리(130), 출력 장치(150), 통신 모듈(160), 또는 복수의 센서(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자 장치 모듈(100) 내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메모리(130), 출력 장치(150), 통신 모듈(160), 또는 복수의 센서(170))와 전기적으로(electrically) 또는 작동적으로(operably 또는 operatively) 결합(coupled with)되거나 연결될(connected to)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configured with)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본 문서에서 제안하는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6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 모듈(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60)은 셀룰러 통신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해당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GNSS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들에서, 실내에서는 GPS 신호와 셀룰러 통신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세서는 통신 모듈(16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해서, 실내에 설치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실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 모듈(100)를 제어하는 명령어, 제어 명령어 코드, 제어 데이터, 인스트럭션,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OS(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불휘발성(non-volatile memor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불휘발성 매체(med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30)는 태권도 품새에 대응되는 경로들을 복수 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상기 경로들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급자용 품새인 태극 품새의 8장까지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품새에서 이동이후, 행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의류(1)의 착용자가 지정된 품새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지 비교하는데 활용되는 경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의 이동 속도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강도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기준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경로 상에서, 특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신체의 일부(예: 팔, 다리, 또는 허리)의 이동 속도 및 힘의 강도등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위치에서 정권 찌르기를 수행하도록 지정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는 해당 지정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팔의 이동 속도 및 강도에 대한 기준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동작 및 위치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출력 장치(150)는 감지된 데이터에 따라 획득된 점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 장치(150)는 통신 모듈(160)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일 수 있다. 출력 장치(150)는 채점관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채점관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점수의 부여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득점의 인정 여부와, 사용자의 해당 동작시 신체의 이동 속도 및 강도에 대한 정보와, 착용자가 해당 동작을 수행할 때 당시의 좌표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출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 모듈(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자 장치 모듈(100)에 실장된 스피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모듈(100)에 실장된 스피커는 득점이 인정되는 경우, 점수를 청각적인 신호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60)는, 전자 장치 모듈(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6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 장치(또는 GNSS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external device, 예: 스마트폰, 서버, 기지국, AP(access point), 비콘 송신기 또는 비콘 스캐너 등) 사이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통신 기능들(예: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비콘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는 전자 장치 모듈(10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는 무선 통신 회로(예: 셀룰러 통신 회로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또는 유선 통신 회로(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회로, 또는 전력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6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모듈(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60)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서,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외부 통신 모듈(160)과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실내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외부 통신 모듈(16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강도를 바탕으로, 실내에서 전자 장치 모듈(100)을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1)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센서(170)는, 전자 장치 모듈(100)의 자세 정보 또는 전자 장치 모듈(100)의 광학 입력 장치(150)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센서(170)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센서(17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모듈(100)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17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움직임과 자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등을 이용해서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팔이 이동하는 경우, 스마트 의류(1)의 사용자 팔에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가, 사용자의 팔의 이동 방향 및 사용자의 팔의 이동 속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데이터는 스마트 의류(1)의 전자 장치 모듈(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20)로 전달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팔의 이동 방향과 팔의 이동 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식별한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바탕으로, 기준이 되는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바탕으로, 해당 동작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17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70)는 스마트 의류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어, 스마트 의류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의류(1)의 팔에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팔이 늘어나는 경우, 스마트 의류(1)의 신축에 의해 감지되는 길이의 변화를 통해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170)는 스트레인 게이지일 수 있으며, 스마트 의류(1)의 팔에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는 도전체일 수 있으며, 도전체의 길이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저항 값의 변화로부터, 인장된 길이 또는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의 길이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저항 값의 변화로부터, 프로세서(120)는 기준 압력 변화량 또는 압력값과 비교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해당 동작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센서(170)는 측정된 값들을 메모리(130)로 전송하여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비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와의 유선,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마트 의류를 입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모듈(100)은 스마트 의류(1)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서, 외부 통신 회로들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통신 모듈(160)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S301). 전자 장치 모듈(100)은 실외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지국(예: 셀룰러 기지국, AP(Access Point))들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감도 또는 수신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들로부터 획득된 수신 신호 또는 GPS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모듈(100)은 실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서, 통신 모듈(160) 중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보조적으로 외부 통신 회로(20)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모듈(100)은 각각의 외부 통신 회로(20)들과의 통신을 통해 각각의 수신 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모듈(100)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예: 도 1의 외부 통신 회로(20))들과의 통신 채널을 개설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모듈(100)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20)들로부터 복수의 수신 신호를 감지하여, 각각의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수신 신호들의 세기로부터 전자 장치 모듈(100)이 부착된 스마트 의류(1)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302). 예를 들면, 전자 장치 모듈(100)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20)들 각각의 수신 신호 세기들의 상대적 크기로부터, 제1 외부 통신 회로과 전자 장치 모듈(100)간의 수신 신호 세기, 제2 외부 통신 회로와 전자 장치 모듈(100)간의 수신 신호 세기, 및 제3 외부 통신 회로와 전자 장치 모듈(100)간의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 세기들로부터, 전자 장치 모듈(100)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20)까지의 상대적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통신 회로(20)들은 자신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들을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 모듈(100)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20)까지의 상대적 거리와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20)들이 가지는 좌표값들을 바탕으로, 삼각 측량법을 활용하여, 스마트 의류(1)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위치에 좌표값을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이동을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정확성을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S303).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수신 신호 세기의 감도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변화된 수신 신호 세기의 감도 변화로부터,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20)들이 가지는 좌표 값들을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해당 품새의 경로와 비교해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품새의 경로의 지정된 위치까지 이동하는지를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 변화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가 품새의 경로에 일치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최초 스마트 의류 착용자의 위치의 좌표로부터, 이후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획득된 상대 좌표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초 스마트 의류 착용자의 위치가 x축으로 +10m, y축으로 -5m 만큼 차이가 난다면, 이후, 사용자의 이동 위치는 x축으로 -10m, y축을 +5m를 적용해, 메모리(130)에 저장된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경로와 식별된 사용자의 이동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거리가 지정된 경로보다 짧거나 긴 경우, 그 차이 만큼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이동 경로 상에서 시작 위치로부터의 대칭성을 고려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초 시작 좌표가 (0, 0)인 경우, 좌로 이동한 경로의 종착지가 (-5, 0)이고, 우로 이동한 경로의 종착지가 (5, 0)일 때에는 해당 동작에 만점을 주기로 되어 있는 경우, 좌, 우로 이동한 경로의 종착지가 각각 (-4, 0), (6, 1)일 경우에는, 대칭성이 인정되지 않아, 지정된 점수만큼의 감점을 부여할 수 있다.
만약, 좌, 우로 이동한 경로의 종착지가 각각 (-4, 0), (4, 0)일 경우에는, 대칭성은 인정되어, 이동 거리 미달에 대한 감점만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차이에 따라, 이동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이때에는, 이동 경로의 종착지가 미달되더라도, 이에 대한 감점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의류(1)에 부착된 복수의 센서(170)로부터, 사용자의 보폭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리에 부착된 복수의 센서(170)를 통해, 사용자가 한 보 걸음을 인식할 수 있고, 통신 모듈을 통해서, 획득된 이동 거리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보폭을 감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보폭이 1.5m로 지정되어 있는데, 측정되는 사용자의 보폭이 1.2m 인 경우, 전체 적인 이동 경로를 4/5로 줄일 수 있다. 수정된 경로를 바탕으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이동 위치를 고려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사용자의 위치 식별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위치(A, B, C)에서의 위치를 복수의 외부 통신 장치(AP1, AP2, AP3)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감도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치 A에 있는 경우, 제1 외부 통신 장치(AP1)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 세기 또는 감도로부터 거리 D11만큼 떨어짐을 통신 모듈(160)을 통해 감지할 수 있고, 제2 외부 통신 장치(AP2)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 세기 또는 감도로부터 거리 D12만큼 떨어짐을 통신 모듈(160)을 통해 감지할 수 있고, 제3 외부 통신 장치(AP3)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 세기 또는 감도로부터 거리 D13만큼 떨어짐을 통신 모듈(160)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외부 통신 장치(AP1), 제2 외부 통신 장치(AP2), 및 제3 외부 통신 장치(AP3)는 지정된 좌표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A 위치에 있으면, 각각의 상대 거리를 획득하여,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송된 상대 거리(D11, D12, D13)들로부터,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A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치 B, 또는 위치 C에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으로, 위치 B에서의 상대 거리 D21, D22, D23을 획득할 수 있고, 위치 C에서의 상대 거리 D31, D32, D33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상대 거리 (D21, D22, D23, D31, D32, D33)들로부터, 프로세서(120)는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B, C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실시간 이동을 상술한 방식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실시간 이동에 따른 위치와 관련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채점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사용자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점수 부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위치 식별을 하고, 식별된 위치에 따른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S50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점수를 도 4에서의 설명과 같이 식별하고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식별된 위치에서, 대응되는 동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프로세서(120)는 미리 지정된 경로 상의 특정 지점에서, 스마트 의류(1)를 착용한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대응되는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위치 A에서 정권 찌르기 동작이 지정되어 있다면, 정권 찌르기가 수행되는 사용자의 팔과 관련된 정보가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수행되는 팔과 관련된 정보는 좌측 또는 우측 팔에 대한 정보, 정권 찌르기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팔의 순서, 팔의 이동 속도 및 강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 A에 도달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위치가 A임을 외부 통신 장치(AP1, AP2, AP3)들로부터 식별할 수 있고, 해당 위치 A에서의 동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예: 도 2의 복수의 센서(170))들 중 압력센서, 가속도 센서 등, 사용자의 사용되는 신체(예: 팔 또는 다리)에 부착된 센서들 로부터, 사용자의 정권 찌르기 동작과 관련된 팔의 속도, 팔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힘의 강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은,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된 자세 정보와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속도의 변화 정도 및 산출된 속도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들과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이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정보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실제 수행된 동작이 기준이 되는 동작과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해당 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생한 동작과 미리 지정된 동작의 비교를 통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S503). 예를 들면, 발생한 동작과 지정된 동작과의 유사도가 높으면, 높은 점수가 부여될 수 있고, 발생한 동작과 지정된 동작과의 유사도가 낮으면, 낮은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팔이 향하는 방향(orientation)을 파악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팔의 속도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값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팔의 속도를 유추할 수 있다. 메모리(120), 사용자의 팔이 향하는 방향이 어깨로부터 수평한 방향이고, 속도가 A m/s이상으로 지정되어 있을 때, 어깨와 사용자 팔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에 따라 점수를 감점할 수 있고, 속도가 A m/s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 위치에서 발차기 동작이 지정되어 있다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로부터 C위치에서 발차기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실제 사용자의 동작과 비교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 C에 도달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위치가 A임을 외부 통신 장치(AP1, AP2, AP3)들로부터 식별할 수 있고, 해당 위치 C에서의 동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예: 도 2의 복수의 센서(170))들 중 압력센서, 가속도 센서 등, 사용자의 사용되는 신체(예: 팔 또는 다리)에 부착된 센서들 로부터, 사용자의 발차기 동작과 관련된 속도, 발차기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강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은,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에 부착된 자이로 센서로부터, 발의 높낮이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부여된 기준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바탕으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돌쳐차기와 같은 동작의 경우에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통해, 실제 회전이 발생하였는지를 가속도 변화를 통해 감지할 수 있고, 회전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의류에 부착된 압력 센서(예: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서, 실제 스마트 의류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얼마인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실제 제공하는 힘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기준 힘과 비교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는, 상기 전자 장치 모듈은, 상기 스마트 의류의 일부에 부착되고, 통신 회로, 출력 장치, 복수의 센서, 복수의 품새에 대응되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경로, 품새에 대응되는 이동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의 이동 속도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강도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기준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센서, 상기 통신회로,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와 통신 채널을 개설하고, 상기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통신회로와의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이동 속도 및 자세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및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상기 자이로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대응되는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획득된 수신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식별된 위치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 테이터 변화량,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된 좌표 데이터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획득된 압력 변화량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발생을 식별하면, 상기 식별된 위치에 대응되는 미리 지정된(predesignated) 상기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 테이터 변화량,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된 좌표 데이터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획득된 압력 변화량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품새 중 하나의 품새와 관련된 신호를 외부 통신 회로로부터 수신 받고, 상기 수신 받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의 품새에 대응되는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6)

  1. 전자 장치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모듈은, 상기 스마트 의류의 일부에 부착되고,
    통신 회로;
    출력 장치;
    복수의 센서;
    복수의 품새에 대응되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경로, 품새에 대응되는 이동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의 이동 속도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강도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기준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상기 통신회로,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통신 회로와 통신 채널을 개설하고,
    상기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통신회로와의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스마트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이동 속도 및 자세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및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상기 자이로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대응되는 영역에 실장되는 스마트 의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획득된 수신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스마트 의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식별된 위치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 테이터 변화량,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된 좌표 데이터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획득된 압력 변화량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발생을 식별하는 스마트 의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발생을 식별하면, 상기 식별된 위치에 대응되는 미리 지정된(predesignated) 상기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 테이터 변화량,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된 좌표 데이터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획득된 압력 변화량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스마트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품새 중 하나의 품새와 관련된 신호를 외부 통신 회로로부터 수신 받고,
    상기 수신 받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의 품새에 대응되는 경로를 설정하는 스마트 의류.
KR1020200162351A 2020-11-27 2020-11-27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KR10241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51A KR102419605B1 (ko) 2020-11-27 2020-11-27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51A KR102419605B1 (ko) 2020-11-27 2020-11-27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66A KR20220074166A (ko) 2022-06-03
KR102419605B1 true KR102419605B1 (ko) 2022-07-11

Family

ID=8198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51A KR102419605B1 (ko) 2020-11-27 2020-11-27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6104B (zh) * 2023-09-04 2023-12-19 高维度(深圳)生物信息智能应用有限公司 一种基于柔性触控的智能家居控制方法、系统及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99B1 (ko) 2010-11-11 2011-09-01 유성규 태권도복
JP2019522790A (ja) 2016-06-02 2019-08-15 ザ ノース フェイス アパレル コーポレイションThe North Face Apparel Corp. スマート・センシング・アパレ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037A (ko) 2010-03-12 2011-09-20 조효종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KR101938215B1 (ko) * 2015-08-26 2019-01-14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스마트 인터렉션 장치
KR101770525B1 (ko) 2016-09-22 2017-08-23 우하성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73795A (ko) * 2016-12-22 2018-07-03 주식회사 큐비앤맘 스마트 의복과 연동하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99B1 (ko) 2010-11-11 2011-09-01 유성규 태권도복
JP2019522790A (ja) 2016-06-02 2019-08-15 ザ ノース フェイス アパレル コーポレイションThe North Face Apparel Corp. スマート・センシング・アパレ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66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79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structions at optimal times
US20160038059A1 (en) Gait posture meter and program
US20140378239A1 (en) Motion analysis method and motion analysis device
US10760904B2 (en) Wearable device, posture measur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KR101924441B1 (ko) 스마트 인솔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13906371B (zh) 根据锻炼环境提供锻炼信息的电子装置及操作该电子装置的方法
US11460912B2 (en)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data fusing
KR102419605B1 (ko)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US20220146280A1 (en) Walk discrimination device, walk discrimina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12449708A (zh) 虚拟现实系统、程序、以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US9817473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JP6331874B2 (ja) 運動情報測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KR101458134B1 (ko) 골프 클럽 스윙 교정 장치
WO2015107853A1 (ja) 進行方向情報出力装置、マップマッチング装置、進行方向情報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76861B2 (en) Navigation device
JP6940813B2 (ja) 歩数計測装置、歩数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51468A (ja) 情報処理装置
US11590393B2 (en) Animation preparing device, animation prepar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WI737068B (zh) 動作追蹤系統和方法
KR102489919B1 (ko) 보행 분석 방법 및 시스템
EP4016253A1 (en)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data fusing
EP4016252A1 (en)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motion tracking
TWM580179U (zh) Pedometer
TW202225915A (zh) 相關於資料融合的系統和方法
JP2022096724A (ja) データ融合に関係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