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525B1 -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525B1
KR101770525B1 KR1020160121288A KR20160121288A KR101770525B1 KR 101770525 B1 KR101770525 B1 KR 101770525B1 KR 1020160121288 A KR1020160121288 A KR 1020160121288A KR 20160121288 A KR20160121288 A KR 20160121288A KR 101770525 B1 KR101770525 B1 KR 101770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entral processing
candidate
processing unit
inqui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하성
Original Assignee
우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하성 filed Critical 우하성
Priority to KR102016012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525B1/ko
Priority to PCT/KR2017/010267 priority patent/WO20180566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권도 승품 및 승단에 응시한 응시자들의 승품 및 승단을 심사하고, 응시자들의 겸인결과와 채점, 합격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한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받아 응시자등록을 요청하며,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참석확인을 통보하는 관리자단말장치;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를 입력받아 점수등록을 요청하는 심사관단말장치;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응시자등록을 요청받아 응시자정보를 등록하며, 응시자식별정보를 통보받아 응시자정보를 판독해서 출력하며, 상기 심사관단말장치로부터 점수등록을 요청받아 점수정보를 등록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응시자정보 및 점수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Examination System And Method Of Taekwondo}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권도 승품 및 승단에 응시한 응시자(즉, 응심자)들의 승품 및 승단을 심사하고, 응시자들의 검인(본인확인)결과와 채점, 합격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한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권도는 우리나라 국기로서 국기원에서 전 세계의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를 총 관할하고 있다. "심사"란 태권도 수련자가 국기원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절차를 말한다. 태권도의 기술수준과 수련정도를 평가하여 자격을 부여하는 것으로 국기원의 승품 및 승단 심사는 권위와 정통성을 상징이다.
태권도의 심사는 주관을 기준으로 할 때 1.태권도장의 승급 심사 2.국기원의 일부 권한 위임으로 국가협회, 태권도 단체, 기관에서 시행하는 저단자 심사(1품∼4품, 1단∼5단) 3.국기원에서 직접 시행하는 고단자 심사(6단∼9단)로 나눌 수 있다.
승품 및 승단 심사 실기 심사 평가는 상대 평가가 아닌 절대 평가다. 품새나 겨루기에서 응시자의 기능이 일정 수준 이상인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국기원의 태권도심사운영규칙에 의하면 60점 이상 합격 기준으로 "시선, 기합, 완급, 강유, 신축, 중심, 자세, 기의 다양성, 거리조정 등의 요소를 평가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6106호(2015.12.03 등록)는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골격 기반의 태권도 품새 인식 및 승단 심사 장치 와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골격 기반의 태권도 품새 인식 및 승단 심사 장치에 있어서, 깊이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오브젝트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 오브젝트의 동작들을 정의하기 위한 동작 정의부, 특징 추출부와 상기 동작 정의부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행동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 동작 인식부에서 확정된 상기 오브젝트 동작의 시퀀스를 판정하여 승단 여부를 결정해주는 판정부를 포함하되, 동작 인식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동작을 분류하는 동작 분류부와, 동작을 매칭하는 동작 매칭부와, 오브젝트의 동작을 확정하는 동작 확정부를 포함하고,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각 관절의 거리편차를 고려하여 동작을 인식하고, 오브젝트의 동작은 서있는 동작과 누워있는 동작으로 나뉘어져있고, 오브젝트의 동작을 구별하기 위해 척추와 x축 간의 각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골격 기반의 태권도 품새 인식 및 승단 심사 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의 태권도 동작에 대한 정확한 품새를 인식하고, 승단 심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채점 및 판정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40305호(2002.05.29 등록)는 태권도 경기의 진행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어 공정한 심판을 진행할 수 있고, 경기 관람자에게 경기내용을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관람을 용이하게 하고 경기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전체 경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경기결과를 프린트하여 문서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태권도 경기 전광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청과 홍으로 구분되어 대전하는 태권도 경기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경기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와, 경기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키, 시작키, 종료키, 득점/감점/경고 입력키, 득점/감점/경고 취소키를 포함한 키입력수단, 키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경기내용을 처리하고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수입력패널, 컴퓨터와 통신하고 점수입력패널을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어기와, 인터페이스제어기를 통해 입력된 컴퓨터 데이터에 따라 경기내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전광판을 제어하고 부저를 동작시키는 디스플레이 제어기, 디스플레이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경기내용을 표시하는 전광판, 디스플레이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로 구성된 전광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시스템은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를 위해 많은 응시자들이 한 장소에 모이며, 관리자(또는, 진행자)가 직접 일일이 응시자들의 참석여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정확하게 집계하는 것이 어려우며, 많은 응시자들로 인해 혼잡하여,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시스템은 어느 심사관이 어느 응시자를 심사하고, 어느 응시종목에서 몇 점을 주었는지 알기 어렵고, 불합격 점수를 부여한 경우에 불합격한 사유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공정한 심사가 이루어졌는지 알기 어려우며, 이에 심사로 인한 컴플레인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610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3403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에 응시한 응시자들의 승품 및 승단을 심사하고, 응시자들의 검인(본인확인)결과와 채점, 합격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한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받아 응시자등록을 요청하며,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참석확인을 통보하는 관리자단말장치;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를 입력받아 점수등록을 요청하는 심사관단말장치;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응시자등록을 요청받아 응시자정보를 등록하며, 응시자식별정보를 통보받아 응시자정보를 판독해서 출력하며, 상기 심사관단말장치로부터 점수등록을 요청받아 점수정보를 등록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응시자정보 및 점수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는,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 응시자정보를 포함한 응시자등록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응시자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응시자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장치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는,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 응시자식별정보를 포함한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수신받아 응시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응시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상기 메모리장치로부터 판독해서 상기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심사관단말장치는,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 점수정보를 포함한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심사관단말장치로부터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점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장치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조회를 요청한 후에,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조회정보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조회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조회장치로부터 조회를 요청받아 응시자식별자정보에 해당하는 조회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조회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관리자단말장치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받아 응시자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응시자등록을 요청받아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관리자단말장치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참석확인을 통보하는 단계;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응시자식별정보를 통보받아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로부터 판독해서 출력하는 단계; 출력장치가 상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심사관단말장치가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를 입력받아 점수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점수등록을 요청받아 점수정보를 메모리장치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권도 승품 및 승단에 응시한 응시자들의 승품 및 승단을 심사하고, 응시자들의 검인결과와 채점, 합격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한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를 위해 많은 응시자들이 한 장소에 모일 때에, 관리자(또는, 진행자)가 응시자의 도복에 부착된 입력수단을 스캔하여 응시자들의 참석여부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심사관이 어느 응시자를 심사하고, 어느 응시종목에서 몇 점을 주었는지 알 수 있으며, 불합격 점수를 부여한 경우에 불합격한 사유까지 알려줄 수 있으며, 이에 심사관은 더욱 공정하게 심사를 하고, 응시자는 공정하게 심사받을 수 있고 관람석(학부모)은 전광판으로 심사진행(평가)를 볼 수 있으므로 심사로 인한 컴플레인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확인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응시자 참석 본인확인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관리자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응시자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관리자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응시자심사진행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확인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로그인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심사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응시자불러오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품새)선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는 기본동작선택에서의 선택을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심사시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시간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점수입력정보와 심사종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에서의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결과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결과전송에서의 결과전송화면창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a는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필수품새에서의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b는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겨루기에서의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검인여부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전체조회에서 구협회와 품ㅇ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전체조회에서 검인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전체조회에서 검인여부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전체조회에서 인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체육관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체육관조회에서 조회결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개인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 및 29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개인조회에서 이름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결과조회에서 심사일자, 구협회, 품ㅇ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결과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점수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점수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6 및 도 37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체육관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체육관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 및 도 40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개인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1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개인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 및 도 43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조별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조별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5 및 도 46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위원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7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위원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8 및 도 49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영상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0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영상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확인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참석본인확인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관리자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응시자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관리자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응시자심사진행(즉, 모니터링)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확인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로그인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심사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응시자불러오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품새)선택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있는 기본동작선택에서의 선택을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심사시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1에 있는 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시간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5는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점수입력정보와 심사종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본동작에서의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7은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결과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8은 도 17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결과전송에서의 결과전송화면창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9 a는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필수품새에서의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9 b는 도 1에 있는 심사관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겨루기에서의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0은 도 1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검인여부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1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전체조회에서 구협회와 품ㅇ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2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전체조회에서 검인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3은 도 22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전체조회에서 검인여부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4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전체조회에서 인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5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체육관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6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체육관조회에서 조회결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7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개인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8 및 29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검인여부정보의 개인조회에서 이름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0 및 도 31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결과조회에서 심사일자, 구협회, 품ㅇ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2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결과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3 및 도 34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점수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5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점수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6 및 도 37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체육관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8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체육관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9 및 도 40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개인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1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개인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2 및 도 43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조별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4는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조별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5 및 도 46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위원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7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심사위원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8 및 도 49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영상조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0은 도 20에 있는 조회장치에서 제공하는 합격여부정보의 영상조회를 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0을 참조하면,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100)은, 관리자단말장치(110), 심사관단말장치(120), 중앙처리장치(130), 메모리장치(140), 출력장치(150)를 포함한다.
관리자단말장치(110)는, 입력수단(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패드 등)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130)로 응시자등록을 요청하며, 입력수단(예를 들어, 바코드판독기, QR코드판독기 등)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130)로 참석확인을 통보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관리자(또는, 진행자, 운용자, 검인자 등)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하고 응시자등록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응시자정보와 응시자등록요청버튼을 확인하여 이에 따라 응시자정보를 포함한 응시자등록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자등록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관리자가 입력수단(예를 들어, 바코드판독기, QR코드판독기 등)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ID, 전화번호 등 중 하나)를 입력하고 참석확인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응시자식별정보와 참석확인요청버튼을 확인하여 이에 따라 응시자식별정보를 포함한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도복 외부면에 응시자식별정보를 포함한 입력장치(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등)를 부착 설치한 다수 명(예를 들면, 6명 ~ 8명)(바람직하게는, 6명)의 응시자가 코트 밖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코트로 진입할 시에,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참석확인요청버튼을 누르면, 응시자식별정보를 포함한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검인확인화면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검인확인화면요청버튼을 확인하여 검인확인화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검인확인화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예를 들어, 응시자의 사진, 응시자의 응시번호, 응시자의 이름, 응시자의 소속(즉, 소속 태권도장), 응시자의 주민번호, 응시자가 속한 코트에서의 번호(즉, 응시자의 위치))를 도 4와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확인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응시자심사여부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자심사여부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심사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심사진행정보를 도 5와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입력수단(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패드, 마우스 등)을 통해 점수정보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130)로 점수등록을 요청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또는,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점수등록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점수정보(또는, 응시자식별정보)와 점수등록요청버튼을 확인하여 이에 따라 점수정보(또는, 응시자식별정보)를 포함한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종목을 알려주기 위한 응시종목확인화면요청버튼(즉, 기본동작확인화면요청버튼, 필수품새확인화면요청버튼, 지정품새화면확인요청버튼, 겨루기화면확인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응시종목확인요청버튼을 확인하여 응시종목확인화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종목확인화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도 7과 같이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로그인정보(즉,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함)를 입력하고 로그인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로그인정보를 포함한 로그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로그인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며,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심사관정보를 수신받아 로그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도 8와 같이 심사관이 로그인을 한 경우에, 응시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자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도 9와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도 10과 같이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기본동작버튼(즉, 기본동작의 품새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도 10의 하단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품새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품새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품새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품새화면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심사관이 품새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품새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품새 중에서 1품을 선택하며, 이에 선택한 1품을 화면에 출력함과 동시에 동시에, 선택된 품새를 알려주기 위한 품새선택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품새확인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시작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심사시작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심사시작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기본동작시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기본동작시간정보를 도 13과 같이 화면에 출력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심사관이 심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심사관이 입력장치를 통해 각 응시들의 점수정보를 입력을 완료한 다음에, 도 15와 같이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종료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심사종료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심사종료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를 모두 입력한 경우에, 점수정보를 포함한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도 15와 같이 5 ~ 20점 단위(바람직하게는, 5점 단위)로 나눠진 점수표에서 심사관이 하나의 점수를 입력하여 응시자의 점수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최하 0점 ~ 최고 100점(바람직하게는, 최하 35점 ~ 최고 100점) 중 하나의 점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최종불합격정보와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에 해당하는 화면을 출력하여, 심사관이 불합격사유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도 16과 같이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불합격 점수를 받은 응시자의 정보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심사관이 기본동작 불합격 사유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는, 도 16과 같이 평가 요소(즉, 정확성, 기타이유)에 따라, 상세불합격사유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는데, 평가요소가 정확성인 경우에 준비자세 부족버튼, 서기자세 부족버튼, 막기자세 부족버튼, 발차기 부족버튼, 지르기 부족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평가요소가 기타사유인 경우에 심사관의 의견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예를 들면 도 16과 같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심사관이 기본동작 불합격 사유 중에서 서기자세 부족과 발차기 부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도 17과 같이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전송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심사결과전송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심사결과전송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전송화면창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결과전송화면창정보를 도 18과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결과전송화면창정보는, 예버튼과 아니오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도 18과 같이 심사관이 예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심사결과완료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심사결과완료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부터 심사결과완료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도 8과 같이 리셋되어, 중앙처리장치(130)부터 다른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심사관이 아니오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심사결과보류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심사결과보류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부터 심시진행종료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시진행종료화면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심사관이 다시 점수를 입력하거나, 불합격한 응시자의 응시사유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필수품새시간정보(또는, 지정품새시간정보, 겨루기시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필수품새시간정보를 도 13과 같이 화면에 출력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심사관이 심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심사관이 기본동작 불합격 사유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는, 필수품새에 대한 불합격사유평가화면인 경우에 도 19 a 및 도 19 b와 같이 평가 요소(즉, 완성도, 숙력도, 품위, 기타이유)에 따라, 상세불합격사유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는데, 평가요소가 완성도인 경우에 품새완결 부족버튼, 정확성 부족버튼, 공방목표 부족버튼, 자세의 굴신 부족버튼을 구비하고, 평가요소가 숙련도인 경우에 속도의 완급 부족버튼, 몸의 중심이동 부족버튼, 힘의 강유 부족버튼, 기의 집중 부족버튼, 기합 부족버튼을 구비하며, 평가요소가 품위인 경우에 예절 부족버튼, 태도 부족버튼, 도복착용 부족버튼을 구비하며, 평가요소가 기타사유인 경우에 심사관의 의견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응시자등록을 요청받아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하며,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응시자식별정보를 통보받아 메모리장치(140)에서 응시자정보를 판독해서 출력장치(150)로 출력(또는, 전달)하며,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점수등록을 요청받아 점수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한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등록요청신호에서 응시자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수신받은 응시자등록요청신호에서 응시자정보를 확인할 때에, 응시자정보에서 응시자식별정보(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ID, 전화번호 등 중 하나)를 확인하는 경우에, 해당 확인된 응시자정보를 해당 확인된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참석확인신호에서 응시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응시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140)로부터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응시자정보를 출력장치(150)로 출력(또는,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수신받은 응시자참석확인신호에서 응시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에, 참석확인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참석확인신호에서 응시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응시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예를 들어, 응시자의 사진, 응시자의 수험번호, 응시자의 이름, 응시자가 속한 코트에서의 번호(즉, 응시자의 위치))에 참석확인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점수등록요청신호에서 점수정보(또는, 응시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점수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30)는, 해당 확인한 점수정보를 해당 확인한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조회요청신호에서 응시자식자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응시자식별자정보에 해당하는 조회정보(예를 들어, 응시자정보, 검인여부정보, 합격여부정보 등)를 메모리장치(140)로부터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조회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검인확인화면요청신호를 수신받는 경우에, 메모리장치(140)로부터 기 설정되어 저장된 검인확인화면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판독된 검인확인화면정보를 관리자단말장치(110)(또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하고, 출력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종목확인화면요청신호를 수신받는 경우에, 메모리장치(140)로부터 기 설정되어 저장된 응시종목확인화면정보(즉, 기본동작확인화면정보, 필수품새확인화면정보, 지정품새확인화면정보, 겨루기확인화면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판독된 응시종목확인화면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또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 전송하고, 출력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심사여부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심사여부신호에 해당하는 응시자심사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응시자심사정보를 관리자단말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로그인요청신호에서 로그인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로그인정보에 해당하는 심사관정보를 메모리장치(140)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심사관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응시자정보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140)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응시자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품새정보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품새정보요청신호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응시자품새화면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품새확인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품새확인신호를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심사시작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시작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시간을 메모리장치(140)로부터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본동작시간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하며, 기본동작시간정보를 출력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심사종료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종료요청신호를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점수등록요청신호에서 점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점수정보를 응시자정보 및 응시종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점수정보는, 응시자의 점수정보뿐만 아니라 응시자의 합격여부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점수정보를 포함한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응시자정보별 및 응시종목별로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하고, 점수등록요청신호에서 점수정보를 확인하여 점수가 기 설정된 커트라인점수(바람직하게는, 59점)보다 낮은 경우에 최종불합격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최종불합격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하고,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최종불합격정보와 함께 심사관단말장치(120)와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30)는, 점수가 기 설정된 커트라인점수보다 높은 경우에 최종합격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최종합격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하고,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커트라인점수가 59점일 때에, 확인된 점수정보가 59점 이하인 경우 최종불합격정보를 생성시키며, 확인된 점수가 60점 이상인 경우 최종합격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점수정보를 포함한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응시자정보별 및 응시종목별로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하고, 점수등록요청신호에서 점수정보를 확인하여 응시종목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수정보가 기 설정된 커트라인점수보다 낮은 경우에 최종불합격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최종불합격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하고,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최종불합격정보와 함께 심사관단말장치(120)와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30)는, 모든 응시종목별 점수정보가 기 설정된 커트라인점수보다 높은 경우에 최종합격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최종합격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하고,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예를 들면 커트라인점수가 59점이하이며,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점수등록요청신호에서 점수정보를 확인하여, 기본동작의 점수정보가 59점 이하일 경우에, 최종불합격정보를 생성시켜,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하고,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최종불합격정보와 함께 심사관단말장치(120)와 심사관단말장치(120)와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심사결과전송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결과전송신호에 이에 해당하는 결과전송화면창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결과전송화면창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심사결과완료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결과완료신호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심사결과완료정보를 생성시켜 메모리장치(140)에 저장하고,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심사결과보류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결과보류신호를 확인하여 심시진행종료화면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심사시작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시작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시간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필수품새시간정보(또는, 지정품새시간정보, 겨루기시간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하며, 필수품새시간정보를 출력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구협회정보요청신호(또는,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 품ㅇ단정보요청신호, 검인여부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구협회정보요청신호(또는,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 품ㅇ단정보요청신호, 검인여부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구협회정보화면정보(또는, 심사일자화면정보, 품ㅇ단정보화면정보, 검인여부화면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조회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시자정보(바람직하게는, 구협회지역, 응시품ㅇ단, 수험번호, 이름, 주민번호, 태권도장소속, 검인여부, 응시조, 총응시인원, 검색된 인원 정보를 포함함)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인쇄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인쇄요청신호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인쇄정보를 생성시켜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체육관정보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육관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체육관정보화면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체육관조회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육관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체육관명단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이름명단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이름명단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이름명단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응시자식별정보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식별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시자정보(바람직하게는, 응시자 사진, 이름, 주민번호, 응시품ㅇ단, 응시조, 성별, 구협회지역, 응시번호, 태권도장소속, 응시종목별심사점수(예를 들면, 기본동작심사점수, 필수품새심사점수, 지정품새심사점수, 겨루기심사점수), 응시종목별심사위원(예를 들면, 기본동작심사위원, 필수품새심사위원, 지정품새심사위원, 겨루기심사위원), 점수, 합격여부, 응시종목별불합격사유, 총응시인원, 검색된 인원 정보를 포함함)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또는, 구협회정보요청신호, 품ㅇ단정보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또는, 구협회정보요청신호, 품ㅇ단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심사일자화면정보(또는, 구협회정보화면정보, 품ㅇ단정보화면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합격정보요청신호(즉, 합격확인요청신호, 불합격확인요청신호,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합격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시자정보(바람직하게는, 구협회지역, 응시품ㅇ단, 응시여부구분, 응시번호, 이름, 주민번호, 태권도장소속, 검인여부, 합격여부, 총응시인원, 검색된 인원 정보를 포함함)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합격정보요청신호(즉, 합격확인요청신호, 불합격확인요청신호,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합격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시자정보(바람직하게는, 구협회지역, 응시품ㅇ단, 응시번호, 이름, 태권도장소속, 응시종목별심사점수(예를 들면, 기본동작심사점수, 필수품새심사점수, 지정품새심사점수, 겨루기심사점수), 평균점수, 합격여부, 총응시인원, 검색된 인원 정보를 포함함)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체육관명단정보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육관명단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체육관명단정보화면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개인이름명단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개인이름명단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개인이름명단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개인식별정보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개인식별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시자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조명단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조명단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조명단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조별응시자정보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조별응시자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시자정보(바람직하게는, 구협회지역, 응시 조, 응시종목(품새 또는 겨루기), 코트에서의 위치, 응시번호(즉, 수험번호), 심사위원이름, 심사위원이 심사한 응시종목별 점수, 합격여부, 불합격 사유, 전체조, 검색된 조 정보를 포함함)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심사위원명단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위원명단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심사위원명단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 영상명단요청신호, 조명단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 영상명단요청신호, 조명단요청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심사일자정보, 영상명단정보, 조명단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영상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영상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조회장치(160)로부터 합격정보요청신호(즉, 합격확인요청신호, 불합격확인요청신호,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합격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시자정보(바람직하게는, 구협회지역, 응시품ㅇ단, 응시번호, 이름, 태권도장소속, 심사위원이 심사한 응시종목별 점수, 합격여부, 총응시인원, 검색된 인원 정보를 포함함)를 조회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응시자정보 및 점수정보를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응시자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참석확인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점수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 검인확인화면정보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중앙처리장치(130)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응시종목확인화면정보를 기본동작확인화면정보, 필수품새확인화면정보, 지정품새확인화면정보, 겨루기확인화면정보로 각각 구분해서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중앙처리장치(130)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각 심사관별로 심사관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중앙처리장치(130)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최종합격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최종합격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받은 점수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전달받은 점수정보를 응시자정보 및 응시종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최종불합격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최종불합격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부터 심사결과완료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해둘 수 있다.
출력장치(15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예를 들어, LCD, 모니터, 터치패드화면 등)에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장치(15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응시자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응시자정보를 도 3과 같이 화면에 출력하여, 응시자들의 참석여부를 관리자, 심사관 및 다른 응시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장치(15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받은 응시자정보를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15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첫 번째로 전달받은 응시자정보를 1번 칸에 출력하고, 두 번째로 전달받은 응시자정보를 2번 칸에 출력하며, n 번째로 전달받은 응시자정보를 n번 칸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장치(15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검인확인화면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검인확인화면정보를 도 2와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장치(15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응시종목확인화면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응시종목확인화면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장치(150)는,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기본동작확인화면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기본동작확인화면정보를 도 6과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장치(150)는, 도 14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기본동작시간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기본동작시간정보를 응시자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장치(15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필수품새시간정보(또는, 지정품새시간정보, 겨루기시간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필수품새시간정보를 응시자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시스템(100)은, 조회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회장치(160)는, 입력수단(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패드, 마우스 등)을 통해 응시자식별자정보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130)로 조회를 요청한 후에,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조회정보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예를 들어, LCD, 모니터, 터치패드화면 등)을 통해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관리자(또는, 심사관, 응시자 등)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자정보를 입력하고 조회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응시자식별자정보와 조회요청버튼을 확인하여 이에 따라 응시자식별자정보를 포함한 조회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조회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조회정보를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입력수단을 통해 조회정보를 입력받는데, 여기서 조회정보는, 검인여부정보와 합격여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0과 같이 검인여부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검인조회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0과 같이 관리자(또는, 심사관, 응시자 등)이 입력수단을 통해 검인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구협회선택버튼, 품ㅇ단선택버튼(즉, 품 또는 단을 선택하는 버튼), 검인여부버튼(즉, 전체버튼, 검인버튼, 미검인버튼 중 하나), 체육관선택버튼, 이름선택버튼, 조선택버튼, 수험번호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검인확인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1 및 도 22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구협회선택버튼(또는, 심사일자선택버튼, 품ㅇ단선택버튼, 검인여부버튼)을 누르면, 구협회정보요청신호(또는,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 품ㅇ단정보요청신호, 검인여부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구협회정보요청신호(또는,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 품ㅇ단정보요청신호, 검인여부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구협회정보화면정보(또는, 심사일자화면정보, 품ㅇ단정보화면정보, 검인여부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구협회정보화면정보(또는, 심사일자화면정보, 품ㅇ단정보화면정보, 검인여부화면정보)를 도 21과 같이 출력하여 관리자가 구협회(또는, 심사일자, 품ㅇ단, 검인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2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조회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조회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조회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예를 들어, 도 23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검인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2016년 2월을 선택하며, 구협회선택버튼을 누르면 구협회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구협회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달서구 지역을 선택하며,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품ㅇ단선택버튼을 누르면 품ㅇ단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계급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1품을 선택하며, 검인여부버튼 중에서 전체버튼을 누른 다음 조회버튼을 누르면, 검인확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체검인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즉, 달서구 지역의 1품에 응시한 응시자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검인된 응시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4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인쇄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인쇄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인쇄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인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인쇄정보를 도 24과 같이 출력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정보를 출력수단(예를 들어, 프린트기, 복합기 등)을 통해 인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5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체육관조회버튼을 누르면, 체육관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체육관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5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체육관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육관정보화면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체육관(즉, 태권도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6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조회버튼을 누르면, 체육관조회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체육관조회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체육관명단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육관명단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27 및 도 28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이름선택버튼버튼을 누르면, 이름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이름명단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이름명단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이름명단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이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심사일자, 구협회, 품ㅇ단, 이름이 모두 선택되고 조회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응시자식별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자식별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출력하여 응시자의 합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합격여부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심사결과조회버튼, 심사점수조회버튼, 체육관조회버튼, 개인조회버튼, 조별조회버튼, 평가위원조회버튼, 영상조회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30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결과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구협회선택버튼, 품ㅇ단선택버튼, 합격여부선택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검인확인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31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일자선택버튼(또는, 구협회선택버튼, 품ㅇ단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또는, 구협회정보요청신호, 품ㅇ단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또는, 구협회정보화면정보, 품ㅇ단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일자화면정보(또는, 구협회정보화면정보, 품ㅇ단정보화면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심사일자(또는, 구협회, 응시자의 품ㅇ단)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심사일자, 구협회, 품ㅇ단이 모두 선택된 다음에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합격여부선택버튼(즉, 전체버튼, 합격버튼, 불합격버튼 중 하나)을 누르고 조회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합격정보요청신호(즉, 합격확인요청신호, 불합격확인요청신호,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합격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예를 들어, 도 32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결과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일자(예를 들면, 2016년 02월)를 선택하고,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구협회선택버튼을 누르면 구협회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구협회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달서구 지역을 선택하며, 품ㅇ단선택버튼을 누르면 계급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계급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1품을 선택하며, 합격여부버튼 중에서 전체버튼을 누른 다음 조회버튼을 누르면,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해당 심사일자, 구협회, 응시품ㅇ단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도 32와 같이 화면에 출력하여, 해당된 응시자의 정보(즉, 2016년 02월에 달서구 지역에서 1품을 응시한 응시자의 정보)로부터 합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33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점수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구협회선택버튼, 품ㅇ단선택버튼, 합격여부선택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응시자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34와 같이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일자, 구협회, 품ㅇ단, 합격여부가 모두 선택된 다음에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합격여부선택버튼(즉, 전체버튼, 합격버튼, 불합격버튼 중 하나)을 누르고 조회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합격정보요청신호(즉, 합격확인요청신호, 불합격확인요청신호,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합격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예를 들어, 도 35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점수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일자(예를 들면, 2016년 02월)를 선택하고,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구협회선택버튼을 누르면 구협회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구협회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달서구 지역을 선택하며, 품ㅇ단선택버튼을 누르면 품ㅇ단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품ㅇ단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1품을 선택하며, 합격여부버튼 중에서 전체버튼을 누른 다음 조회버튼을 누르면,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해당 심사일자, 구협회, 응시품ㅇ단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해당된 응시자의 정보(즉, 2016년 02월에 달서구 지역에서 1품을 응시한 응시자의 정보)로부터 합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36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체육관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구협회선택버튼, 체육관선택버튼, 합격여부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합격확인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체육관선택버튼을 누르면, 체육관명단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체육관명단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36 및 도 37과 같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체육관명단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육관명단정보화면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체육관(즉, 태권도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예를 들어, 도 38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체육관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날짜(예를 들면, 2016년 02월)를 선택하고,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구협회선택버튼을 누르면 구협회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구협회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달서구 지역을 선택하며, 체육관선택버튼을 누르면 체육관명단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체육관명단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아름태권도장을 선택하며, 합격여부버튼 중에서 합격버튼을 누른 다음 조회버튼을 누르면,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해당 심사일자, 구협회, 체육관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해당된 응시자의 정보(즉, 2016년 02월에 달서구 지역의 아름태권도장에 다니는 응시자의 정보)로부터 합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39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개인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구협회선택버튼, 품ㅇ단선택버튼, 개인조회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합격확인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개인조회버튼을 누르면, 개인이름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개인이름명단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개인이름명단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개인이름명단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찾고자 하는 이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심사일자, 구협회, 품ㅇ단, 이름이 모두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개인식별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개인식별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도 40과 같이 화면에 출력하여 응시자의 합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예를 들어, 도 41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개인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날짜(예를 들면, 2016년 02월)를 선택하고,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구협회선택버튼을 누르면 구협회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구협회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달서구 지역을 선택하며, 품ㅇ단선택버튼을 누르면 품ㅇ단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품ㅇ단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1품을 선택하며, 개인조회버튼을 누르면, 개인이름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개인이름명단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해당 심사일자, 구협회, 품ㅇ단, 개인이름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해당된 응시자의 정보(즉, 2016년 06월에 달서구 지역에서 1품에 응시한 아태권 응시자의 정보)로부터 응시자의 점수정보, 합격여부 및 불합격사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42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조별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구협회선택버튼, 조선택버튼, 응시종목선택버튼(품새버튼 및 겨루기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합격확인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조선택버튼을 누르면, 조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조명단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43과 같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조명단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조명단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일자, 구협회, 조, 응시종목이 모두 선택된 다음에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조회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조별응시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조별응시자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출력하여 선택된 조의 응시자별 심사점수 및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예를 들어, 도 44와 같이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조별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날짜(예를 들면, 2016년 02월)를 선택하고,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구협회선택버튼을 누르면 구협회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구협회정보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달서구 지역을 선택하며, 조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조명단정보를 수신받아 2조를 선택하며, 응시종목에서 품새를 선택한 다음에,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조회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조별응시자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해당 심사일자, 구협회, 조, 응시종목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해당된 응시자의 정보(즉, 2016년 02월에 달서구 지역의 2조에서 품새를 응시한 응시자의 정보)로부터 응시자의 각 응시종목별 점수정보, 합격여부 및 불합격사유, 심사위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45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평가위원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심사위원선택버튼, 합격여부선택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합격확인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위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위원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심사위원명단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46과 같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위원명단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위원명단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심사위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심사일자 및 심사위원이 모두 선택된 다음에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합격여부선택버튼(즉, 전체버튼, 합격버튼, 불합격버튼 중 하나)을 누르고 조회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합격정보요청신호(즉, 합격확인요청신호, 불합격확인요청신호,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합격정보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예를 들어, 도 47과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평가위원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날짜(예를 들면, 2016년 06월)를 선택하고, 심사위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위원명단정보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위원명단정보를 수신받아 나길동 심사위원을 선택하며, 입력수단을 통해 전체버튼을 누르고 조회버튼을 누르면,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합격여부확인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시자정보를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해당된 응시자의 정보(즉, 2016년 02월에 나길동 심사위원이 심사한 응시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48과 같이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영상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구협회선택버튼, 품ㅇ단선택버튼, 영상구분버튼, 체육관선택버튼, 이름조회버튼, 조선택버튼, 수험번호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영상조회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심사일자선택버튼, 영상구분버튼, 조선택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 영상구분요청신호, 조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심사일자정보요청신호, 영상구분요청신호, 조명단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도 49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정보, 영상구분정보, 조명단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심사일자정보, 영상구분정보, 조명단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심사일자, 영상, 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심사일자, 영상, 조가 모두 선택된 다음에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조회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영상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영상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회장치(160)는, 예를 들어, 도 49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영상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날짜(예를 들면, 2016년 02월)를 선택하고, 영상구분버튼을 누르면 영상구분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영상구분정보를 수신받아 원하는 영상(예를 들면, 필수품새 영상)을 선택하며, 조선택버튼을 누르면 조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조명단정보를 수신받아 조(예를 들면, 2조)를 선택하고, 입력수단을 통해 조회버튼을 누르면, 영상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영상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영상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영상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해당된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100)은, 태권도 승품 및 승단에 응시한 응시자들의 승품 및 승단을 심사하고, 응시자들의 검인결과와 채점, 합격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을 제공함으로써, 태권도 승품 및 승단심사를 위해 많은 응시자들이 한 장소에 모일 때에, 관리자(또는, 진행자)가 응시자의 도복에 부착된 입력수단을 스캔하여 응시자들의 참석여부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100)은, 어느 심사관이 어느 응시자를 심사하고, 어느 응시종목에서 몇 점을 주었는지 알 수 있으며, 불합격 점수를 부여한 경우에 불합격한 사유까지 알려줄 수 있으며, 이에 심사관은 더욱 공정하게 심사를 하고, 응시자는 공정하게 심사받을 수 있고, 관람석(학부모)은 전광판으로 심사진행(평가)를 볼 수 있으므로 심사로 인한 컴플레인을 줄일 수 있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운용방법은, 응시자등록 요청단계(S101), 응시자정보 등록단계(S102), 참석확인 통보단계(S103), 응시자정보 판독 및 출력단계(S104),응시자정보 화면 출력단계(S105), 점수등록 요청단계(S106), 점수정보 등록단계(S107)를 포함한다.
먼저, 관리자단말장치(110)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받아 응시자등록을 중앙처리장치(130)로 요청한다(S101).
상술한 단계 S101에 있어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관리자(또는, 진행자, 운용자, 검인자 등)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하고 응시자등록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응시자정보와 응시자등록요청버튼을 확인하여 이에 따라 응시자정보를 포함한 응시자등록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자등록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1에서, 중앙처리장치(130)가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응시자등록을 요청받아 관리자단말장치로(110)부터 전달받은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한다(S102).
상술한 단계 S102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등록요청신호에서 응시자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2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수신받은 응시자등록요청신호에서 응시자정보를 확인할 때에, 응시자정보에서 응시자식별정보(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ID, 전화번호 등 중 하나)를 확인하는 경우에, 해당 확인된 응시자정보를 해당 확인된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2에 있어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응시자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1 및 S102와는 별도로, 관리자단말장치(110)가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130)로 참석확인을 통보한다(S103).
상술한 단계 S103에 있어서, 관리자단말장치(110)는, 관리자가 입력수단(예를 들어, 바코드판독기, QR코드판독기 등)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ID, 전화번호 등 중 하나)를 입력하고 참석확인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응시자식별정보와 참석확인요청버튼을 확인하여 이에 따라 응시자식별정보를 포함한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3에서, 중앙처리장치(130)가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응시자식별정보를 통보받아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140)로부터 판독해서 출력장치(150)로 출력한다(S104).
상술한 단계 S104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130)는,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참석확인신호에서 응시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응시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를 메모리장치(140)로부터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응시자정보를 출력장치(150)로 출력(또는, 전달)하고, 해당 판독한 응시자정보를 심사관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4에 있어서, 관리자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응시자참석확인신호에서 응시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응시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예를 들어, 응시자의 사진, 응시자의 응시번호, 응시자의 이름, 응시자가 속한 코트에서의 번호(즉, 응시자의 위치))에 참석확인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하며, 참석확인정보를 출력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4에 있어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참석확인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4에서, 출력장치(150)가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출력한다(S105).
상술한 단계 S105에 있어서, 출력장치(15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참석확인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참석확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응시자들의 참석여부를 관리자, 심사관 및 다른 응시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1 내지 S105와는 별도로, 심사관단말장치(120)가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130)로 점수등록을 요청한다(S106).
상술한 단계 S106에 있어서, 심사관단말장치(120)는,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를 입력하고 점수등록요청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점수정보와 점수등록요청버튼을 확인하여 이에 따라 점수정보를 포함한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6에서, 중앙처리장치(130)가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점수등록을 요청받아 점수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한다(S107).
상술한 단계 S107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130)는, 심사관단말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점수등록요청신호에서 점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점수정보에 해당하는 응시자정보에 점수정보를 메모리장치(140)에 등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7에 있어서, 메모리장치(140)는,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점수정보를 응시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110: 관리자단말장치
120: 심사관단말장치
130: 중앙처리장치
140: 메모리장치
150: 출력장치
160: 조회장치

Claims (10)

  1.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정보를 입력받아 응시자등록을 요청하며,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참석확인을 통보하는 관리자단말장치; 입력수단을 통해 점수정보를 입력받아 점수등록을 요청하는 심사관단말장치;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응시자등록을 요청받아 응시자정보를 등록하며, 응시자식별정보를 통보받아 응시자정보를 판독해서 출력하며, 상기 심사관단말장치로부터 점수등록을 요청받아 점수정보를 등록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응시자정보 및 점수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응시자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입력수단을 통해 응시자식별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조회를 요청한 후에,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조회정보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조회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조회장치로부터 조회를 요청받아 응시자식별자정보에 해당하는 조회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조회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심사관단말장치는, 심사관이 입력수단을 통해 불합격 점수를 받은 응시자의 정보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심사관이 기본동작 불합격 사유를 선택하도록 하며,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는, 평가 요소에 따라 상세불합격사유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며, 평가요소가 기타사유인 경우에 심사관의 의견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구비하며,
    상기 조회장치는, 관리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영상조회버튼을 누른 후에, 심사일자선택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심사일자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날짜를 선택하고, 영상구분버튼을 누르면 영상구분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영상구분정보를 수신받아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며, 조선택버튼을 누르면 조명단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조명단정보를 수신받아 조를 선택하고, 입력수단을 통해 조회버튼을 누르면, 영상요청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영상요청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영상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영상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는 응시자의 도복에 부착된 입력수단을 스캔하여, 응시자들의 참석 여부를 확인하며, 이에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응시자참석확인신호를 수신받아 응시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참석확인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심사관단말장치로부터 점수정보를 포함한 점수등록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최종불합격정보를 생성시키고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생성시켜, 불합격사유평가화면정보를 최종불합격정보와 함께 상기 심사관단말장치와 상기 조회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조회장치는, 영상조회버튼을 누르면, 심사일자선택버튼, 구협회선택버튼, 품ㅇ단선택버튼, 영상구분버튼, 체육관선택버튼, 이름조회버튼, 조선택버튼, 수험번호버튼, 조회버튼, 인쇄버튼을 포함한 영상조회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21288A 2016-09-22 2016-09-22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70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288A KR101770525B1 (ko) 2016-09-22 2016-09-22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CT/KR2017/010267 WO2018056677A1 (ko) 2016-09-22 2017-09-19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288A KR101770525B1 (ko) 2016-09-22 2016-09-22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525B1 true KR101770525B1 (ko) 2017-08-23

Family

ID=5975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288A KR101770525B1 (ko) 2016-09-22 2016-09-22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0525B1 (ko)
WO (1) WO20180566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66A (ko) 2020-11-27 2022-06-03 마이스포 주식회사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KR102500052B1 (ko) * 2022-05-16 2023-02-1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추적 시스템을 활용하여 동작을 채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4578B1 (ko) * 2023-02-22 2023-10-04 주식회사 케이앤티미디어랩 Ic 칩을 적용한 스마트 결제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ai)형 전자 태권도 단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15B1 (ko) * 2005-10-28 2007-04-27 김정훈 무도 대회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305B1 (ko) * 1999-09-21 2002-06-12 조응호 태권도 경기 전광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03037A (ko) * 2010-03-12 2011-09-20 조효종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27009A (ko) * 2013-04-24 2014-11-03 주식회사 케이오피에스 무예 인증 및 개인 이력 인증 통신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무도 및 무예정보 표시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착용 물품
KR20140137862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케이오피에스 클라이언트 단말기, 평가 단말기, 및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술 평가 대회 운영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통신 시스템
KR101576106B1 (ko) * 2014-10-14 2015-12-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골격 기반의 태권도 품새 인식 및 승단 심사 장치 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15B1 (ko) * 2005-10-28 2007-04-27 김정훈 무도 대회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66A (ko) 2020-11-27 2022-06-03 마이스포 주식회사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KR102500052B1 (ko) * 2022-05-16 2023-02-1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추적 시스템을 활용하여 동작을 채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4578B1 (ko) * 2023-02-22 2023-10-04 주식회사 케이앤티미디어랩 Ic 칩을 적용한 스마트 결제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ai)형 전자 태권도 단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677A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525B1 (ko)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8672735B2 (en) Land-based, on-line poker system
US20090075725A1 (en) Gaming Machine And Gaming System Using Chips
WO2005119565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articles of manufacture
JP2021007000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10717B2 (ja) 年齢確認装置、年齢確認方法、及び年齢確認プログラム
EP3042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joint access to a piece of equipment by participants
KR20170106736A (ko)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시험·감독의 방법 및 절차와 전용 답안지 제작
CN107170064A (zh) 基于位置分布的课堂考勤方法及系统
CN109727411A (zh) 基于人脸识别、扫码认证、人体感应的借书系统
KR100998617B1 (ko) 중앙 통제 방식의 cbt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73249B1 (ko) Qr 코드를 이용한 통합 회원관리 시스템
CN113244594A (zh) 一种大学生体质测试智能化系统
CN110393503A (zh) 具有云服务功能的视力检测系统
KR20160043297A (ko)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태권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WO2022097276A1 (ja) サーバ装置、来場者通知システム、来場者通知方法及び記憶媒体
CN109255522A (zh) 一种用户管理方法
KR101555448B1 (ko) 신분증 검사시스템
KR20060103043A (ko) 시험 문제 단말기를 이용한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978602A (zh) 一种劳务服务系统
Nugraheni et al. Usability evaluation of Prakerja card website
TW201403359A (zh) 網路電子繪畫比賽方法及系統
US20090106078A1 (en) System for selecting demands for and supplies of subcontracting and matching
KR20000054253A (ko) 상설 시험대행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US10395212B2 (en) Heads up display for material handl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