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499B1 - 태권도복 - Google Patents

태권도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499B1
KR101061499B1 KR1020100112242A KR20100112242A KR101061499B1 KR 101061499 B1 KR101061499 B1 KR 101061499B1 KR 1020100112242 A KR1020100112242 A KR 1020100112242A KR 20100112242 A KR20100112242 A KR 20100112242A KR 101061499 B1 KR101061499 B1 KR 10106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aekwondo
further provided
dobok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규
Original Assignee
유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규 filed Critical 유성규
Priority to KR102010011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499B1/ko
Priority to BR112013011837A priority patent/BR112013011837A2/pt
Priority to CN201180054297.4A priority patent/CN103200831B/zh
Priority to MX2013005314A priority patent/MX338406B/es
Priority to EP11839528.4A priority patent/EP2638813A4/en
Priority to US13/701,824 priority patent/US9259040B2/en
Priority to PCT/KR2011/008147 priority patent/WO201206403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41B1/18Shirt-fronts
    • A41B1/22False shirt-fronts, e.g. dickeys, with or without attached collars; Means for attaching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인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면서 들뜸을 최소화 하는 구성으로 남녀가 공히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착용감의 향상과 편리한 사용성을 갖도록 하는 태권도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권도복{a suit of the taekwondo}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인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면서 들뜸을 최소화 하는 구성으로 남녀가 공히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착용감의 향상과 편리한 사용성을 갖도록 하는 태권도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복이란 태권도나 유도와 같은 운동시에 착용하는 의류이고, 특히 태권도를 위하여 착용하는 도복을 태권도복이라고 한다.
그리고, 태권도복은 상의와 하의로 구성되고, 상의와 하의는 면과 폴리에스테르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면혼방재질 또는 소정의 신축성을 가지는 스판덱스(spandex)재질로서 이루어지면서 대칭되는 앞판과 뒷판이 재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태권도복과 관련되어 실용신안등록 제302788호에 사용이 편리한 태권도복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착용자의 상체가 삽입되는 몸통부(10)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0)의 상측에는 착용자의 목부위가 삽입되도록 칼라(100)를 구비한 목부(20)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10) 및 목부(20)와 연장되게 양측으로 형성되어 팔을 삽입하는 팔소매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권도복 상의를 구성하되, 도복상의의 몸통부(10)와 팔소매부(30) 사이에 형성되는 겨드랑이(200)를 폭이 넓게 라운딩형상으로 박음질하여 여유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토록 형성하여서 도복의 착용 및 팔의 움직임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복상의의 팔소매부(30)의 폭이 끝단으로 갈수록 좁게 되도록 소매끝단(300)의 하측에 상향경사부를 형성하여 팔동작시 소매끝단(300)부분이 너덜너덜거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태권도복 상의는 앞섭이 깊게 파여 있으므로 여성들의 경우에는 앞가슴이 외부에서 보일 우려가 있으므로 여성들의 경우는 부자연스럽고 활동시 조심스럽게 되어 연습이나 경기를 편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성들의 경우 따로 태권도복의 안쪽에 티셔츠 등을 착용하고 그 위에태권도복을 착용하는 것이 상례였으며 이 경우 남녀 차별적인 의상이라는 여론이 늘어가고 있으며, 태권도복의 내측에 티셔츠등의 착용시 활동이 불편하고 하절기에는 매우 무덥고 짜증스럽게 되어 태권도 연습이나 경기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그리고, 태권도복이 사용자의 체형과 일치하지 않아 운동중 태권도복이 돌아갈 수 있어 운동에 집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운동 전,후에 태권도복을 착용한 후 운전등의 일상생활을 수행할 경우 중요한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태권도복의 들뜸을 최소화 하여 남녀공히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감을 높이면서도 체형에 일치토록 하여 경기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며, 휴대전화등을 주머니에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수련생들의 차량운행등 귀가 지도시 스킨십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착용감의 향상과 편리한 사용성을 갖도록 하는 태권도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인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면서 목삽입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수직방향 길이가 전체의 수직방향 길이의 1/3이하가 되도록 하는 태권도복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의 어깨부 또는 하의의 측면부 일측에 호주머니가 설치되면서 그 상부에 덮개가 더 구비되는 태권도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의의 양측에 형성되는 밀착라인은 직선과 곡선의 연속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곡선은 하부를 향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호를 갖도록 설치되는 태권도복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곡선에 트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임부의 크기를 조절토록 지퍼가 더 설치되는 태권도복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깨부등에 보강재판이 더 구비되는 태권도복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권도복의 들뜸을 최소화 하여 남녀공히 자유롭게 사용하고, 착용감을 높이면서도 체형에 일치토록 하여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며, 수첩, 휴대전화, 자동차키 등을 운동 전,후에도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태권도 지도자 등이 운동 전후 차량운행이나 수련생들과의 자유로운 스킨십이 가능토록 되고, 착용감의 향상과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태권도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a,b는 각각 본 발명에 도복상의 및 도복하의를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복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복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복상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a,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b는 각각 본 발명에 도복상의 및 도복하의를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복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복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복상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a,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복(500)은,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도복상의(500A)는, 적어도 일부가 인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면서 목이 삽입되는 목삽입부(5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르는 수직방향 길이가 수직방향 전체 길이의 1/3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목삽입부(510)는, 곡선 또는 직선형 중에서 선택되는 상부라인(511)과 곡선 또는 직선중에서 선택되면서 양단이 한점에서 상호 연결되는 하부라인(513)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목삽입부(510)는, 상부라인(511)이 곡선형이고 이에 연결되는 양측의 하부라인(513)도 곡선 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목삽입부(510)에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깃이 더 부착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목삽입부(510)는, 적어도 일부를 절개한 후 그 사이를 고무밴드, 단추및 이에 지지되는 고리 등을 통하여 연결하거나 의복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탄성밴드 등으로 이루어져 목삽입부(510)의 크기 조절이 가능토록 되는 크기조절부(557)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호주머니(520)가 그 상부에 덮개(521)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호주머니(520)는 도복상의(500A)의 전면 또는 후면등에 설치될 때 그 내측에 충격흡수판(525)이나 타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등이 삽입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복상의(500A)는, 어깨부(540)의 하측에 양측으로 밀착라인(55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라인(550)은,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근접하여 들뜸을 방지토록 도복상의(550A)의 폭이 최소화 되는 부분으로 직선 또는 곡선의 연속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곡선은 하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호를 갖도록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밀착라인(550)의 하측에 트임부(57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트임부(570)는, 그 트임 정도를 조절토록 지퍼, 메직테잎, 탄성밴드등으로 이루어진 트임조절부(575)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깨부(540)는, 강인함 등을 표현토록 어깨무늬(545)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복상의(500A)의 어깨부(540)나 팔꿈치부, 도복하의(500B)의 엉덩이부 또는 무릎부 등에는 보강재판(53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강재판(530)은, 매직테잎(535) 등을 통하여 탈부착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의 단부에는 덧댐부(585)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형상유지부(59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태권도복(500)은,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리(560)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8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도복(500)은 밀착라인(550)과 덧댐부(585)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일치되면서 들뜸이 방지토록 되어 남녀 상관없이 도복의 착용감을 높이면서도 흐트러짐을 방지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복상의(500A)에서 목이 삽입되는 목삽입부(510)는 그 상하단이 그리는 수직방향의 길이가 도복상의 수직방향 전체길이의 1/3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여성 등이 착용하여도 들뜸이 최소화 된다.
즉, 상기 목삽입부(510)의 상부라인(511) 상단에서 하부라인(513)의 단부가 그리는 수평선 사이의 수직방향 길이가 도복상의의 상단 및 수단이 그리는 수평선 사이의 수직방향 길이의 1/3을 넘으면 목삽입부의 단부에 여성의 경우 가슴부위가 노출되는 부분에 위치토록 되어 최소한의 들뜸에도 가슴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목삽입부(510)는, 곡선 또는 직선형 중에서 선택되는 상부라인(511)과 곡선 또는 직선중에서 선택되면서 양단이 한점에서 상호 연결되는 하부라인(513)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착용시 목에 밀착되면서 서로 겹쳐지지 않는 상태로 하나의 점으로 연결되어 발가락 등이 끼이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토록 한다.
이때, 도7에서와 같이, 목삽입부(510)의 상부라인(511)이 곡선형이면 목부분에 밀착되어 태권도복의 목부위가 뒤로 젖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기 상부라인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하부라인(513)은 실질적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신체에 밀착됨으로써 들뜸을 현상을 줄일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목삽입부(510)에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깃이 더 부착되는 구성으로 태권도복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목삽입부(510)는, 적어도 일부에 고무밴드등을 통하여 신축가능토록 형성되는 크기조절부(557)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크기 등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호주머니(520)가 그 상부에 덮개(521)가 더 구비되어 도복을 착용하여도 핸드폰이나 볼펜등의 수납이 가능토록 하면서 그 상부의 덮개를 통하여 경기중에서 발가락 등이 끼이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더하여, 상기 호주머니(520)가 도복상의(500A)의 전면 또는 후면등에 설치되어 그 내측에 충격흡수판(525)등이 삽입될 때 타격에 의한 충격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 도복상의(500A)는, 어깨부(540)의 하측 즉 겨드랑이를 따라 그 하부 양측으로 밀착라인(55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에 도복이 밀착됨으로써 불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도복상의의 흐트러짐을 최소화 한다.
이때, 상기 밀착라인(550)은,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근접하여 들뜸을 방지토록 도복상의(550A)의 폭이 최소화 되는 부분으로 직선 또는 곡선의 연속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곡선은 하부를 향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호를 갖도록 형성되어 외부에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면서도 흐트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밀착라인(550)의 하측에 형성되는 트임부(570)는 그 트임 정도를 조절토록 지퍼등으로 이루어진 트임조절부(575)가 형성되어 그 간격을 조절할 때 밀착정도의 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어깨부(540)는, 어깨무늬(545)가 더 구비되어 어깨를 돋보이게 하여 강인함을 표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복상의(500A)의 어깨부(540)나 팔꿈치부, 도복하의(500B)의 엉덩이부 또는 무릎부등에는 보강재판(530)이 더 구비되어 지면으로 부터의 충격이나 가격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재판(530)은, 매직테잎(535) 등을 통하여 탈부착토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따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의 단부에는 덧댐부(585)가 더 구비되어 무게중심이 하향토록 하여 도복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면서도 마찰등에 의한 헤짐을 최소화 한다.
이때, 상기 덧댐부(585)는, 태권도복(500)의 단부를 여러번 접어 재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으며, 다른 천을 덧대어 재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져도 좋다.
한편, 상기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재봉에 의한 형상유지부(597)가 일체로 구비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굽힘이 최소화 되면서도 일정한 모양의 유지가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태권도복(500)은,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리(560)가 더 구비되어 태권도복을 벽이나 옷걸이 등에 쉽게 매달아 지지할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태권도복은, 남녀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체형에 일치토록 되어 옷 맵시를 살릴 수 있도록 하면서 태권도복의 들뜸 등으로 인한 경기력 저하 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500...도복 510...목삽입부
520...호주머니 540...어깨부
550...밀착라인 557...신축부
570..트임부 585...덧댐부
597...보강부

Claims (23)

  1. 도복(500)이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도복상의(500A)는, 목삽입부(510)가 인체의 목선에 대응되도록 곡선 또는 직선형 중에서 선택되는 상부라인(511)과 곡선 또는 직선중에서 선택되면서 양단이 한점에서 상호 연결되는 하부라인(513)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태권도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삽입부(510)는, 상부라인(511)의 상단이 그리는 수평선과 하부라인(513)의 하단이 그리는 수평선 사이의 수직방향 길이가 도복상의 상하단 사이의 수직방향 전체길이의 1/3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삽입부(510)는, 일측에 크기조절부(557) 또는 깃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에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근접하여 들뜸을 방지토록 도복상의(500A)의 폭이 최소화 되는 부분으로 직선 또는 곡선의 연속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를 향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밀착라인(5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호주머니(5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500)은,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리(5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라인(550)의 하측에 트임부(570)가 형성되며,
    상기 트임부(570)는, 그 트임 정도를 조절토록 트임조절부(575)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보강재판(5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재판(530)은, 매직테잎(535)을 통하여 탈,부착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의 단부에는 덧댐부(58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는, 어깨부(540)에 어깨무늬(545)가 더 구비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형상유지부(59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2. 도복(500)이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도복상의(500A)에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근접하여 들뜸을 방지토록 도복상의(500A)의 폭이 최소화 되는 부분으로 직선 또는 곡선의 연속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를 향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밀착라인(550)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태권도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는, 인체의 목선에 대응되도록 곡선 또는 직선형 중에서 선택되는 상부라인(511)과 곡선 또는 직선중에서 선택되면서 양단이 한점에서 상호 연결되는 하부라인(513)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목삽입부(5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삽입부(510)는, 상부라인(511)의 상단이 그리는 수평선과 하부라인(513)의 하단이 그리는 수평선 사이의 수직방향 길이가 도복상의 상하단 사이의 수직방향 전체길이의 1/3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삽입부(510)는, 일측에 크기조절부(557) 또는 깃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호주머니(5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500)은,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리(5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라인(550)의 하측에 트임부(570)가 형성되며,
    상기 트임부(570)는, 그 트임 정도를 조절토록 트임조절부(575)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보강재판(5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재판(530)은, 매직테잎(535)을 통하여 탈,부착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의 단부에는 덧댐부(58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상의(500A)는, 어깨부(540)에 어깨무늬(545)가 더 구비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하의(500B)는, 일측에 형상유지부(59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복
  23. 도복(500)이 도복상의(500A) 또는 도복하의(500B)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도복상의(500A)에는 목삽입부(510)와 밀착라인(550)이 형성되고,
    상기 목삽입부(510)는, 인체의 목선에 대응되도록 곡선 또는 직선형 중에서 선택되는 상부라인(511)과 곡선 또는 직선중에서 선택되면서 양단이 한점에서 상호 연결되는 하부라인(513)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성이며,
    상기 밀착라인(550)은,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근접하여 들뜸을 방지토록 도복상의(500A)의 폭이 최소화 되는 부분으로 직선 또는 곡선의 연속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를 향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태권도복
KR1020100112242A 2010-11-11 2010-11-11 태권도복 KR10106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42A KR101061499B1 (ko) 2010-11-11 2010-11-11 태권도복
BR112013011837A BR112013011837A2 (pt) 2010-11-11 2011-10-28 uniforme de taekwondo
CN201180054297.4A CN103200831B (zh) 2010-11-11 2011-10-28 跆拳道服
MX2013005314A MX338406B (es) 2010-11-11 2011-10-28 Uniforme de taekwondo.
EP11839528.4A EP2638813A4 (en) 2010-11-11 2011-10-28 UNIFORM OF TAEKWONDO
US13/701,824 US9259040B2 (en) 2010-11-11 2011-10-28 Taekwondo uniform
PCT/KR2011/008147 WO2012064039A2 (ko) 2010-11-11 2011-10-28 태권도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42A KR101061499B1 (ko) 2010-11-11 2010-11-11 태권도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499B1 true KR101061499B1 (ko) 2011-09-01

Family

ID=4495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242A KR101061499B1 (ko) 2010-11-11 2010-11-11 태권도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1499B1 (ko)
BR (1) BR11201301183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75B1 (ko) * 2011-10-04 2014-03-07 유성규 들뜸을 방지하는 태권도복
KR20160065274A (ko) * 2014-11-28 2016-06-09 주식회사 앙세다 태권도복
KR101682075B1 (ko) * 2015-06-10 2016-12-02 쌍영방적 주식회사 직물 마찰음이 향상된 태권도복 원단
KR20220074166A (ko) * 2020-11-27 2022-06-03 마이스포 주식회사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788Y1 (ko) 2002-11-05 2003-01-29 주식회사 일선상사 사용이 편리한 태권도복 상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788Y1 (ko) 2002-11-05 2003-01-29 주식회사 일선상사 사용이 편리한 태권도복 상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75B1 (ko) * 2011-10-04 2014-03-07 유성규 들뜸을 방지하는 태권도복
KR20160065274A (ko) * 2014-11-28 2016-06-09 주식회사 앙세다 태권도복
KR101631174B1 (ko) 2014-11-28 2016-06-17 주식회사 앙세다 태권도복
KR101682075B1 (ko) * 2015-06-10 2016-12-02 쌍영방적 주식회사 직물 마찰음이 향상된 태권도복 원단
KR20220074166A (ko) * 2020-11-27 2022-06-03 마이스포 주식회사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KR102419605B1 (ko) 2020-11-27 2022-07-11 마이스포 주식회사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1837A2 (pt)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2377B2 (en) Full torso maternity garment
US20130122780A1 (en) Clothing
US8574026B2 (en) Clothing article including a built-in bra
JP2016508550A (ja) サポート機能付きビュスチェ型衣類
JP6266383B2 (ja) カップ部を備えた衣類
KR101061499B1 (ko) 태권도복
US20130189900A1 (en) Piece of clothing
JP3146561U (ja) 整形衣料
EP2386213A1 (en) Garment for wearing a breast prosthesis
CN103200831B (zh) 跆拳道服
KR100923504B1 (ko) 올인원
US11445768B1 (en) Women's tank top with built-in breast support
KR200462424Y1 (ko) 기능성 브래지어
CN201061268Y (zh) 魔术胸罩
US20160007657A1 (en) Bodysuit apparel
JP2003193302A (ja) トップ下着
KR101027396B1 (ko) 올인원
CN201563635U (zh) 一体式运动瑜珈服
CN203523820U (zh) 具有胸罩的合身衣
CN220384306U (zh) 提臀美体裤
CN211747086U (zh) 超薄透气运动衣
CN210782968U (zh) 一种具有矫正驼背功能的内衣
CN217429295U (zh) 一种内置腰带塑身衣
CN215303115U (zh) 一种女士保暖内衣
CN213486987U (zh) 一种新型婴儿开胸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